KR20150125187A -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187A
KR20150125187A KR1020140052118A KR20140052118A KR20150125187A KR 20150125187 A KR20150125187 A KR 20150125187A KR 1020140052118 A KR1020140052118 A KR 1020140052118A KR 20140052118 A KR20140052118 A KR 20140052118A KR 20150125187 A KR20150125187 A KR 2015012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member
lancet
guide
cas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059B1 (ko
Inventor
김용필
Original Assignee
김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필 filed Critical 김용필
Priority to KR102014005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05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2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 A61B5/15144Devices intended for single use, i.e. disposable comprising driving means, e.g. a spring, for retracting the piercing unit into the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61B5/150541Breakable protectors, e.g. caps, shields or sleeves, i.e. protectors separated destructively, e.g. by breaking a connecting area
    • A61B5/150549Protectors removed by rotational movement, e.g. torsion or 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중공의 케이스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부가 케이스 전방으로 돌출되며 후단부에 미끄럼 접촉으로 발사를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탄성지지되고 상기 유도부와 미끄럼접촉되며 상기 푸쉬부재가 눌림되면 상기 유도부의 가압에 의해 눌림이 진행되다가 미끄러짐으로 인하여 상기 유도부를 벗어나는 순간 발사가 이루어져 바늘이 상기 푸쉬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랜싯부를 포함하는 채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늘 보호캡을 절취한 다음 전방으로 돌출된 푸쉬부재를 피부에 대고 누르기만 하면 바늘이 발사되어 채혈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작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포장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채혈기{Blood Lancet Device}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건강의 검진 및 진단에 필요한 소량의 혈액을 채혈하는데 사용하는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혈기는 혈당 측정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당뇨환자 등이 주로 사용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혈액 샘플을 채취해야 하는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채혈기는 랜싯이 결합된 샤프트를 뒤로 당겨 장전한 다음 채혈버튼을 누르면 샤프트가 앞으로 발사되어 바늘이 피부에 순간적으로 침투된 다음 뒤로 빠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채혈기는 랜싯을 발사시키는 채혈버튼이 몸체의 외측에 돌출되게 구비되고 랜싯이 결합된 샤프트를 장전하는 레버가 몸체의 후방에 위치되어 샤프트의 장전동작시 한 손으로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장전 레버를 후방으로 당겨 샤프트를 장전한 다음 채혈버튼을 눌러야 하는 동작의 번거로움은 물론 샤프트의 장전시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샤프트를 장전하는 레버가 몸체의 후방에 위치됨으로써 채혈기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구조의 복잡화로 인하여 소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혈당측정기는 기술개발 및 기능의 효율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소형화되고 있는 반면 혈당측정기의 부속품 혹은 액세서리 제품으로 필히 구비되는 채혈기는 소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혈당측정기의 단위포장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 0362922 (공고일 2004. 09. 22)
한국등록특허: 10 - 1167637 (공고일 2012. 07. 2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대고 피부와 접촉되는 푸쉬부재를 누르면 푸쉬부재의 후단부와 미끄럼 접촉되는 랜싯부가 푸쉬부재의 가압에 의해 뒤로 눌림되다가 미끄럼 접촉을 벗어나는 순간 앞으로 발사되어 바늘이 피부에 순간적으로 침투되는 것에 의해 소량의 채혈이 이루어지는 채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이 매우 용이하고, 구조의 단순화로 소형화가 가능하며, 휴대 및 포장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채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는 내면에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중공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고 선단부가 케이스 전방으로 돌출되며 후단부에 미끄럼 접촉을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 푸쉬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상기 푸쉬부재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유도부와 미끄럼접촉되며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푸쉬부재의 눌림시 상기 유도부의 누름 및 슬라이딩에 따라 압축된 후 상기 유도부에 대한 미끄러짐 이탈시 탄성에 의해 발사되어 바늘이 상기 푸쉬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랜싯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푸시부재의 유도부는 랜싯부와 접촉되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1 경사면을 벗어나는 랜싯부의 발사를 안내하는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푸쉬부재의 외면에는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가이드돌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랜싯부는 바늘(lancet)이 장착된 랜싯홀더와, 상기 랜싯홀더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부재의 제 1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된 날개편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랜싯홀더를 지지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날개편은 제 2 경사면이 상기 푸쉬부재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상기 푸쉬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푸쉬부재의 최대 눌림시 상기 푸쉬부재에 의해 눌림된 날개편이 이탈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늘에는 바늘의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랜싯홀더에 절취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보호캡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늘 보호캡은 바늘의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푸쉬부재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선단부에 비틀림이 용이하도록 절취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앤드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늘 보호캡을 절취한 다음 전방으로 돌출된 푸쉬부재를 피부에 대고 누르기만 하면 바늘이 발사되어 채혈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작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의 단순화로 제조비용이 절감시킬 수 있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휴대 및 포장이 용이하여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전,후 양측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굴러다니지 않는 형상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관이 용이하여 실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사용하면 재사용할 수 없는 일회성 채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늘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늘에 대한 위험성과 불안감을 느낄 수 없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바늘을 바늘 보호캡으로 보호하여 무균성을 유지함으로 세균감염의 우려가 없어 매우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에서 푸쉬부재와 랜싯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에서 푸쉬부재와 랜싯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기는 케이스(100), 푸쉬부재(200), 랜싯부(3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전,후방이 개방된 중공의 몸체(110)와, 개방된 후방을 커버하여 몸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앤드 캡(120)을 포함한다.
케이스(100)의 몸체(110) 내벽에는 좌우 양측으로 가이드부(111)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바(11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양측 내벽에 앤드 캡(120)이 결합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앤드 캡(120)에는 몸체(110)의 결합홈(113)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21)가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편(122)이 일면의 양측에 돌설되고 중앙에 랜싯부(300)를 고정시키는 고정쐐기(123)가 돌설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몸체와 앤드 캡은 전,후 양측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고 좌,우 양측이 라운드면으로 형성되어 외형의 형상이 직사각형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의 형상은 바닥에 떨어지거나 보관을 할 때 굴러 다니지 않게 하여 분실의 우려를 방지하고 휴대를 용이하게 한다.
푸쉬부재(200)는 전방면에 랜싯부(300)의 바늘(310)이 통과되는 구멍(210)이 형성되고 후방이 개방되며, 외면의 좌우 양측에 가이드돌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돌부(220)의 일측에는 개방된 후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슬롯(230)이 형성되고, 가이드돌부(220)의 저면에는 슬롯(230)을 향해 상향 경사지는 제 1 경사면(24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돌부(220)는 푸쉬부재(200)의 선단부를 제외한 중앙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경사면(240)은 가이드돌부(220) 저면과 푸쉬부재(200)의 두께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슬롯(230)과 연결된다.
랜싯부(300)는 바늘(lancet)(310)이 장착된 랜싯홀더(320)와, 랜싯홀더(3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푸쉬부재(200)의 제 1 경사면(240)과 미끄럼 접촉되는 제 2 경사면(331)이 형성된 날개편(330)과, 랜싯홀더(320)를 탄성지지시키는 탄성스프링(3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바늘(310)에는 바늘을 보호하기 위하여 바늘의 외측을 커버하는 바늘 보호캡(311)이 씌워진다. 바늘 보호캡(311)은 바늘(310)의 외측을 커버한 상태에서 랜싯홀더(320)에 절취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바늘 보호캡(311)을 절취시켜 제거하면 내부의 바늘(310)이 외부로 노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바늘 보호캡(311)은 비틀어서 절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단부에 폭이 넓어 비틀림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형태의 절취편(312)이 구비된다.
그리고, 날개편(330)은 푸쉬부재(200)의 슬롯(230)을 통과할 수 있는 두께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경사면(331)은 푸쉬부재(200)의 제 1 경사면(240)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탄성스프링(340)은 일단부가 랜싯홀더(32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케이스의 앤드 캡(120)에 돌설된 고정쐐기(123)에 결합되어 랜싯홀더(320)를 탄성지지시킨다.
도 2, 도 3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된 채혈기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스(100)의 몸체(110) 내부에 푸쉬부재(200)를 삽입시킨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푸쉬부재(2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돌부(220)가 케이스(100)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부(111)에 끼워지게 하여 가이드부(111)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된 푸쉬부재(200)는 가이드돌부(220)가 선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에서부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돌부(220)가 케이스(100)의 가이드부(111)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 푸쉬부재(200)의 선단부가 케이스(100)의 개방된 전면부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이어, 케이스의 몸체(110) 내부에 랜싯부(300)를 삽입시킨다. 이때, 랜싯부(300)는 앤드 캡(120)의 고정쐐기(123)에 탄성스프링(340)의 일단부를 고정시키고 랜싯홀더(320)의 하단에 타단부를 고정시켜 랜싯부(300)와 앤드 캡(120)이 조립되게 한 상태에서 랜싯부(300)의 날개편(330)이 푸쉬부재(200)의 가이드돌부(220)가 삽입된 가이드부(111)에 끼워지게 한다. 그러면 푸쉬부재(200)의 저면에 형성된 제 1 경사면(240)과 날개편(330)에 형성된 제 2 경사면(331)이 서로 접촉되고, 바늘(310)이 장착된 랜싯홀더(320)는 푸쉬부재(20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앤드 캡(120)의 고정편(122)이 케이스의 몸체(110) 내측에 끼워지게 하여 앤드 캡(120)에 압박을 가하면 고정편(122)에 형성된 결합돌기(121)가 케이스의 몸체(110) 내벽에 형성된 결합홈(113)에 끼워지면서 조립이 완료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채혈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채혈기의 푸쉬부재가 눌림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채혈기의 푸쉬부재가 눌림되었을 때 제 1 경사면의 가압에 의해 랜싯부가 눌림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6은 랫싯부의 제 2 경사면이 미끄럼접촉되는 푸쉬부재의 제 1 경사면을 벗어나는 순간 랜싯부가 발사되어 바늘이 푸쉬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먼저, 채혈기의 선단부에 돌출된 바늘 보호캡(311)의 절취편(312)을 비틀면 바늘(310)을 감싸고 있는 바늘 보호캡(311)이 절취되어 제거되는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4의 상태에서 채혈기를 피부에 대고 꾹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부재(200)가 눌림되면서 푸쉬부재(200)의 선단부가 케이스(100)의 내부로 들어가고 푸쉬부재(200)의 제 1 경사면(240)이 미끄럼접촉되는 랜싯부(300)의 제 2 경사면(331)을 가압하여 랜싯부(300)을 누르게 된다. 아울러 눌림되는 랜싯부(300)는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340)의 압축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푸쉬부재(200)의 제 1 경사면(240)과 미끄럼접촉되는 랜싯부(300)의 제 2 경사면(331)은 제 1 경사면(240)의 가압에 의해 눌림되는 것과 동시에 제 1 경사면(240)과 의 미끄러짐이 진행되어 제 1 경사면(240)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편(330)의 제 2 경사면(331)이 푸쉬부재(200)의 제 1 경사면(240)을 벗어나면 날개편(330)이 푸쉬부재(200)의 슬롯(230)으로 이동하고 압축되었던 탄성스프링(340)의 복원력으로 랜싯부(300)가 전방을 향해 발사하게 된다. 아울러 랜싯부(300)의 바늘(310)이 푸쉬부재(200)의 전방면에 형성된 구멍(210)을 통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피부에 순간적으로 침투되고 바늘(310)이 침투된 피부에서는 소량의 혈액이 배출된다. 이때, 케이스(100)의 몸체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부(111)는 푸쉬부재의 최대 눌림시 푸쉬부재에 의해 눌림된 날개편이 이탈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날개편의 제 2 경사면이 푸쉬부재의 제 1 경사면을 벗어나는 순간 날개편이 푸쉬부재의 슬롯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아울러 랜싯부는 날개편이 슬롯에 안내됨으로써 안정적인 발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늘 보호캡을 절취한 다음 케이스 전방으로 돌출된 푸쉬부재를 피부에 대고 누르기만 하면 바늘이 발사되어 채혈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작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구조의 단순화로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 및 포장이 용이하며 이로 인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한번 사용하면 재사용할 수 없는 일회성 채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성 및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늘을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늘에 대한 위험성과 불안감을 느낄 수 없어 심리적인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늘을 바늘 보호캡으로 보호하여 무균성을 유지하므로 세균감염의 우려가 없어 매우 위생적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10: 몸체
111: 가이드부 112: 가이드바
113: 결합홈 120: 앤드 캡
121: 결합돌기 122: 고정편
123: 고정쐐기 200: 푸쉬부재
210: 구멍 220: 가이드돌부
230: 슬롯 240: 제 1 경사면
300: 랜싯부 310: 바늘
311: 바늘 보호캡 312: 절취편
320: 랜싯홀더 330: 날개편
331: 제 2 경사면 340: 탄성스프링

Claims (8)

  1. 내면에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중공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고 선단부가 케이스 전방으로 돌출되며 후단부에 미끄럼 접촉을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 푸쉬부재; 및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상기 푸쉬부재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유도부와 미끄럼접촉되며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푸쉬부재의 눌림시 상기 유도부의 누름 및 슬라이딩에 따라 압축된 후 상기 유도부에 대한 미끄러짐 이탈시 탄성에 의해 발사되어 바늘이 상기 푸쉬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랜싯부;
    를 포함하는 채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의 유도부는 랜싯부와 접촉되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1 경사면을 벗어나는 랜싯부의 발사를 안내하는 슬롯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의 외면에는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가이드돌부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랜싯부는 바늘(lancet)이 장착된 랜싯홀더와, 상기 랜싯홀더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푸쉬부재의 제 1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된 날개편과,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랜싯홀더를 지지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편은 제 2 경사면이 상기 푸쉬부재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상기 푸쉬부재가 삽입되는 가이드부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푸쉬부재의 최대 눌림시 상기 푸쉬부재에 의해 눌림된 날개편이 이탈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는 바늘의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랜싯홀더에 절취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 보호캡이 씌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보호캡은 바늘의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푸쉬부재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선단부에 비틀림이 용이하도록 절취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중공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앤드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채혈기.
KR1020140052118A 2014-04-30 2014-04-30 채혈기 KR10158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18A KR101589059B1 (ko) 2014-04-30 2014-04-30 채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118A KR101589059B1 (ko) 2014-04-30 2014-04-30 채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87A true KR20150125187A (ko) 2015-11-09
KR101589059B1 KR101589059B1 (ko) 2016-01-27

Family

ID=5460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118A KR101589059B1 (ko) 2014-04-30 2014-04-30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862A (ko) * 2017-09-29 2019-04-08 최임철 가압-작동식 일회용 무통 채혈기
WO2022103326A1 (en) * 2020-11-16 2022-05-19 Medipurpose Pte. Ltd. Lance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0042A (ko) 2022-05-16 2023-11-23 주식회사 레노메디컬 무통증 자가 채혈 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22Y1 (ko) 2004-07-05 2004-09-22 김성수 극장용의자의 음식물 받침대
JP2007260243A (ja) * 2006-03-29 2007-10-11 ▲恵▼碁生物科技股▲分▼有限公司 採血用穿刺器具
KR101167637B1 (ko) 2010-02-02 2012-07-20 김기백 다리찢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922Y1 (ko) 2004-07-05 2004-09-22 김성수 극장용의자의 음식물 받침대
JP2007260243A (ja) * 2006-03-29 2007-10-11 ▲恵▼碁生物科技股▲分▼有限公司 採血用穿刺器具
KR101167637B1 (ko) 2010-02-02 2012-07-20 김기백 다리찢기 운동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862A (ko) * 2017-09-29 2019-04-08 최임철 가압-작동식 일회용 무통 채혈기
WO2022103326A1 (en) * 2020-11-16 2022-05-19 Medipurpose Pte. Ltd. Lanc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059B1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0151B2 (en) Lancet device with lance retraction
US7303573B2 (en) Lancet device
US7438694B2 (en) Lancing device
JP4512171B1 (ja) ランセットを駆動する装置
USRE32922E (en) Blood sampling instrument
JP3821490B2 (ja) 皮膚プリッカ
US20030220663A1 (en) Lancet device
EP0115388A1 (en) Blood sampling instrument
US20070185516A1 (en) Puncture aid with protection against reuse
EP2144563B1 (en) Lancet-eject mechanism
EP1986550B1 (en) Single-use skin pricking device
KR101589059B1 (ko) 채혈기
KR20190083385A (ko) 채혈기
KR20090090659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자동채혈장치
KR20100008421A (ko) 랜싱장치
EP2381847B1 (en) Skin pricking device
KR20190055856A (ko) 당뇨 환자 전용 채혈기
US9204834B1 (en) Glucose blood monitor
KR101602633B1 (ko) 채혈기
KR102493593B1 (ko) 자가 채혈기
KR20150093550A (ko) 채혈 장치
EP2653099A1 (en) Lancet device capable of lancet detach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