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550A - 채혈 장치 - Google Patents

채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550A
KR20150093550A KR1020140014475A KR20140014475A KR20150093550A KR 20150093550 A KR20150093550 A KR 20150093550A KR 1020140014475 A KR1020140014475 A KR 1020140014475A KR 20140014475 A KR20140014475 A KR 20140014475A KR 20150093550 A KR20150093550 A KR 20150093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agazine
housing
support spr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로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550A/ko
Publication of KR20150093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46Devices loaded with multiple lancets simultaneously, e.g. for serial firing without reloading, for example by use of st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03Piercing procedure
    • A61B5/15107Piercing being assisted by a triggering mechanism
    • A61B5/15113Manually triggered, i.e. the triggering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such as pressing a drive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01Details
    • A61B5/15115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 A61B5/15117Driving means for propelling the piercing element to pierce the skin, e.g. comprising mechanisms based on shape memory alloys, magnetism, solenoids, piezoelectric effect,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vacuum or compressed fluids comprising biased elements, resilient elements or a spring, e.g. a helical spring, leaf spring, or elastic str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6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sugars, e.g. galact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혈 장치는, 다수의 채혈침이 장착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격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사 장치와, 상기 발사 장치가 설치된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혈당 측정 모듈, 및 상기 매거진의 타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발사 장치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엔드캡을 통하여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의 바늘의 첨부만을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채혈 장치{BLOOD-GATHER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채혈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매거진을 갖는 채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혈은 병의 진단이나 수혈 등을 위하여 피를 뽑는 일을 말한다. 즉, 채혈은 혈액이 부족한 환자에게 수혈을 위하여 다른 사람의 혈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사 바늘을 이용해 적정량의 혈액을 뽑아내거나, 환자의 혈액을 검사하기 위하여 주사기를 이용해 소량의 혈액을 뽑아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채혈 이외에도 일회용 랜싯(lancet)으로 환자의 신체부위를 찔러 미소량의 혈액을 채취한 후 검사하여 병의 진단을 하기 위한 채혈도 있다.
예를 들어, 당뇨 환자와 같이 매일 혈당 검사를 스스로 실시하여 혈당치를 측정하고, 혈당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질환관리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혈당 검사를 위하여 채혈이 필요하다. 채혈은 통상적으로 손가락 등의 신체부위를 일회용 채혈침(랜싯, lancet)으로 피부를 관통하여 소량의 미세혈액을 채취하는 것이다. 당뇨 환자는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한 채혈 후 소량의 미세혈액을 스트립(strip)에 묻히고, 스트립이 장착되는 혈당 검사계를 사용하여 혈당치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혈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채혈침을 이용한 채혈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당뇨 환자의 경우 사용자는 매일 5회 이상 혈당 검사를 해야 하며, 채혈에 사용된 일회용 채혈침을 일일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채혈기를 뒤로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채혈침을 장전해야 하므로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는 채혈을 위한 채혈기와, 혈당 검사를 위한 혈당 검사계를 따로 보관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채혈을 위하여 채혈침을 일일이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한 손 조작이 가능한 통합된 채혈 장치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다수의 채혈침이 장착될 수 있는 매거진을 갖는 채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채혈 장치에서 채혈침이 발사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2차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채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한 손 조작으로 채혈이 가능하며, 채혈침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채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채혈을 위한 발사 장치와, 매거진, 및 혈당 검사 모듈이 하나로 통합된 채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혈 장치는, 다수의 채혈침이 장착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격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사 장치와, 상기 발사 장치가 설치된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혈당 측정 모듈, 및 상기 매거진의 타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발사 장치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엔드캡을 통하여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의 바늘의 첨부만을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채혈 장치에서 채혈을 위한 발사 장치와, 매거진, 및 혈당 검사 모듈을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장비의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a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격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격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격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의 단면도이다.
도 10a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1a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을 장착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2a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이 외부로 돌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채혈 장치(1)는 다수의 채혈침이 장착되는 매거진(3)과, 매거진(3)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기 위하여 매거진(3)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발사 장치(2), 및 발사 장치(2)가 설치된 매거진(3)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혈당 측정 모듈(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거진(3)은 다수의 채혈침이 수용되는 매거진 하우징(31)과,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2)와, 매거진 하우징(31)의 타측면에 설치되되, 발사 장치(2)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엔드캡(38), 및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출용 버튼(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거진 하우징(31)은 매거진(3)의 외관을 형성하며,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서 배출용 버튼(33)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버튼홈(311)을 가질 수 있다. 매거진 하우징(31)은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32)가 개방됨으로써, 내부 공간으로 다수의 채혈침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32)는 매거징 하우징(31)의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2)는 소정의 지지핀에 의해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출용 버튼(33)은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출용 버튼(33)은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버튼홈(311)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용 버튼(33)은 스프링의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배출용 버튼(33)이 가압 받는 경우, 가압력에 의해 배출용 버튼(33)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배출용 버튼(33)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배출용 버튼(33)의 하부에 설치된 스틸판이 매거진 하우징(31)에 장착된 채혈침을 밀어냄으로써 채혈침을 탈착시킬 수 있다. 이후 배출용 버튼(33)은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엔드캡(38)은 매거진 하우징(31)의 타측면에 설치되되, 발사 장치(2)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엔드캡(38)은 매거진 하우징(31)에 장착된 채혈침의 바늘이 엔드캡(38)에서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엔드캡(38)의 지름은 채혈침의 보호 부재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엔드캡(38) 방향으로 발사된 채혈침은 엔드캡(38)에 걸려 바늘의 첨부만이 엔드캡(38) 외부로 돌출되고,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부위가 바늘의 첨부에 찔려 채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 장치(2)는 매거진(3)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기 위한 격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발사 장치(2)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 외부 하우징(21)과, 외부 하우징(21)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단부가 외부 하우징(21)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21)은 격발을 위한 중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스프링 및 발사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사 장치(2)는 버튼부(24)를 누름으로써 발사로드를 지지하는 스프링이 압축됨과 동시에 복원되어 발사로드를 지지하는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발사로드가 매거진(3)에 장착된 채혈침을 순간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혈당 측정 모듈(4)은 채혈된 혈액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트립에 혈액을 묻혀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발사 장치(2)는 외부 하우징(21)과, 내부 하우징(22)과, 발사로드(23)와, 버튼부(24)와, 레버(25), 및 다수의 스프링(26, 27, 28, 29)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21)은 개방된 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버튼부(2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1)은 타측면에 일정 길이의 로드홈(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홈(212)에는 발사로드(23)의 일단이 맞춰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발사로드(23)의 타단은 외부 하우징(21)의 내부 공간(211)에 형성된 지지홈(213)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발사로드(23)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22)은 중공형 구조를 가지며, 외부 하우징(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2)은 버튼부(24)와 후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버튼부(24)가 이동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22) 역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2)은 전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26)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2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내부 하우징(22)을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26)은 압축하게 되고, 이후 복원력으로 인해 내부 하우징(22)은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로드(23)는 레버 수용홈(2311)을 갖는 몸체부(231)와, 몸체부(2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샤프트(232),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샤프트(2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31)의 레버 수용홈(2311)에는 일정 형상의 레버(25)가 수용될 수 있으며, 레버(25)의 하부에는 레버(25)를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 스프링(27)이 개재될 수 있다. 레버 지지 스프링(27)은 내부 하우징(22)의 상면에 의해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샤프트(232)는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29)에 의해 지지받으며, 제2 샤프트(233)는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28)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다.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29)의 탄성력은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28)의 탄성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로드(23)는 내부 하우징(22)의 내부에 수용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내부 하우징(2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24)의 가압으로 인해 내부 하우징(2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레버 수용홈(2311)에 수용된 레버(25)의 돌출을 차단하는 내부 하우징(22)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내부 하우징(2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221)를 통해 레버(25)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레버(25)는 레버(2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레버 걸림부(212)에 걸리게 되고, 하우징 지지 스프링(26)의 복원력으로 내부 하우징(22)과 발사로드(23)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레버(25)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레버 걸림부(212) 역시 레버(25)와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어 레버(25)가 레버 걸림부(212)에서 하측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발사로드(23)가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압축시킨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28)은 레버(25)가 레버 걸림부(212)에서 완전히 빠져나갈 때,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28)의 복원력으로 발사로드(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샤프트(232)는 외부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이때 압축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29)은 복원력으로 돌출된 제1 샤프트(232)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a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격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21)의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24)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24)는 버튼부(24)와 연결된 내부 하우징(22)을 밀어 내부 하우징(22)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발사로드(23)의 레버 수용홈(2311)에 수용된 레버(25)의 돌출을 차단하는 내부 하우징(22)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내부 하우징(2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221)를 통해 레버(25)가 레버 지지 스프링(27)의 복원력으로 인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레버(25)는 레버(2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레버 걸림부(212)에 걸리게 되며, 이때 내부 하우징(22)을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26)은 압축하게 된다. 여기서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26) 외에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29) 및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28)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후,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2)은 하우징 지지 스프링(26)의 복원력으로 발사로드(23)와 함께 후방(①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레버(25)의 상면은 경사지고, 레버 걸림부(212) 역시 레버(25)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므로, 레버(25)가 레버 걸림부(212)에서 하측 방향(② 방향)으로 미끄러지듯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레버(25)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 스프링(27)은 레버(25)의 이동에 따라 압축될 수 있다. 또한, 발사로드(23)는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28)을 압축시키고,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29)을 인장시킬 수 있다.
이후,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5)가 레버 걸림부(212)에서 완전히 빠져나갈 경우, 압축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28)이 복원력으로 발사로드(23)를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29)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제1 샤프트(232)는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며, 이후 압축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29)의 복원력으로 돌출된 제1 샤프트(232)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채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채혈 장치(1)는 다수의 채혈침이 장착되는 매거진(6)과, 매거진(6)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기 위하여 매거진(6)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발사 장치(5), 및 발사 장치(5)가 설치된 매거진(6)의 일측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혈당 측정 모듈(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거진(6)은 다수의 채혈침이 수용되는 매거진 하우징(61)과, 매거진 하우징(61)의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62)와, 매거진 하우징(61)의 타측면에 설치되되, 발사 장치(5)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엔드캡(68), 및 매거진 하우징(61)의 상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출용 버튼(6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거진 하우징(61)은 매거진(6)의 외관을 형성하며, 매거진 하우징(61)의 상면에서 배출용 버튼(63)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버튼홈(611)을 가질 수 있다. 매거진 하우징(61)은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62)가 개방됨으로써, 내부 공간으로 다수의 채혈침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62)는 매거징 하우징(61)의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62)는 소정의 지지핀에 의해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출용 버튼(63)은 매거진 하우징(61)의 상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출용 버튼(63)은 매거진 하우징(61)의 상면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버튼홈(611)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용 버튼(63)은 스프링의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배출용 버튼(63)이 가압 받는 경우, 가압력에 의해 배출용 버튼(63)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배출용 버튼(63)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배출용 버튼(63)의 하부에 설치된 스틸판이 매거진 하우징(61)에 장착된 채혈침을 밀어냄으로써 채혈침을 탈착시킬 수 있다. 이후 배출용 버튼(63)은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엔드캡(68)은 매거진 하우징(61)의 타측면에 설치되되, 발사 장치(5)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엔드캡(68)은 매거진 하우징(61)에 장착된 채혈침의 바늘이 엔드캡(68)에서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엔드캡(68)의 지름은 채혈침의 보호 부재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엔드캡(68) 방향으로 발사된 채혈침은 엔드캡(68)에 걸려 바늘의 첨부만이 엔드캡(68) 외부로 돌출되고,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부위가 바늘의 첨부에 찔려 채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 장치(5)는 매거진(6)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기 위한 격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발사 장치(5)는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형 외부 하우징(51)과, 외부 하우징(51)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단부가 외부 하우징(51)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54), 및 외부 하우징(51)의 측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발사 버튼(5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51)은 격발을 위한 중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스프링 및 발사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1)은 외부 하우징(51)의 측면에서 발사 버튼(56)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버튼 수용홈(512)을 가질 수 있다. 발사 장치(5)는 버튼부(54)를 누름으로써 발사로드를 지지하는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발사 버튼(56)을 누름으로써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발사로드가 매거진(6)에 장착된 채혈침을 순간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혈당 측정 모듈(7)은 채혈된 혈액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트립에 혈액을 묻혀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발사 장치(5)는 외부 하우징(51)과, 내부 하우징(52)과, 발사로드(53)와, 버튼부(54)와, 레버(55)와, 발사 버튼(56), 및 다수의 스프링(57, 58, 59, 60, 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51)은 개방된 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버튼부(5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1)의 상면에는 발사 버튼(56)이 상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버튼 수용홈(51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튼 수용홈(512)은 발사 버튼(56)을 지지하는 버튼 지지 스프링(S)의 탄성력으로 인해 발사 버튼(56)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발사 버튼(56)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1)은 타측면에 일정 길이의 로드홈(5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홈(513)에는 발사로드(53)의 일단이 맞춰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발사로드(53)의 타단은 외부 하우징(51)의 내부 공간(511)에 형성된 지지홈(51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발사로드(53)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52)은 중공형 구조를 가지며, 외부 하우징(5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52)은 버튼부(54)와 후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버튼부(54)가 이동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52) 역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52)은 전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57)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5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내부 하우징(52)을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57)은 압축하게 되고, 이후 복원력으로 인해 내부 하우징(52)은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로드(53)는 레버 수용홈(5311)을 갖는 몸체부(531)와, 몸체부(5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샤프트(532),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샤프트(5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31)의 레버 수용홈(5311)에는 일정 형상의 레버(55)가 수용될 수 있으며, 레버(55)의 하부에는 레버(55)를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 스프링(58)이 개재될 수 있다. 레버 지지 스프링(58)은 내부 하우징(52)의 상면에 의해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샤프트(532)는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60)에 의해 지지받으며, 제2 샤프트(533)는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59)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다.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60)의 탄성력은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59)의 탄성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로드(53)는 내부 하우징(52)의 내부에 수용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내부 하우징(5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54)의 가압으로 인해 내부 하우징(5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레버 수용홈(5311)에 수용된 레버(55)의 돌출을 차단하는 내부 하우징(52)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내부 하우징(5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521)를 통해 레버(55)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레버(55)는 내부 하우징(5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521)에 삽입되고, 하우징 지지 스프링(57)의 복원력으로 내부 하우징(52)과 발사로드(53)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55)는 발사로드(53)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외부 하우징(51)에 형성된 버튼 수용홈(512) 공간으로 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55)는 발사 버튼(56)의 하면(561)에 밀착되고, 발사로드(53)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발사 버튼(56)을 누르게 되면 발사 버튼(56)과 밀착된 레버(55)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고, 압축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59)의 복원력으로 발사로드(23)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샤프트(532)는 외부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이때 압축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60)은 복원력으로 돌출된 제1 샤프트(532)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a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격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51)의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54)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54)는 버튼부(54)와 연결된 내부 하우징(52)을 밀어 내부 하우징(22)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레버 수용홈(5311)에 수용된 레버(55)의 돌출을 차단하는 내부 하우징(52)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내부 하우징(5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521)를 통해 레버(55)가 레버 지지 스프링(58)의 복원력으로 인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된 레버(55)는 내부 하우징(5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521)에 삽입되고, 하우징 지지 스프링(57)의 복원력으로 내부 하우징(52)과 발사로드(53)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내부 하우징(52)을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57)은 압축하게 된다. 여기서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57) 외에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60) 및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59)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52)은 하우징 지지 스프링(57)의 복원력으로 발사로드(53)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레버(55)는 발사로드(53)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외부 하우징(51)에 형성된 버튼 수용홈(512) 공간으로 더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55)는 발사 버튼(56)의 하면에 밀착되고, 발사로드(53)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사로드(53)는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59)을 압축시키고,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60)을 인장시킬 수 있다.
이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사 버튼(56)을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발사 버튼(56)과 밀착된 레버(55)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어 레버(55)가 내부 하우징(52)의 개구부(521)에서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이때, 레버(55)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 스프링(58)은 레버(55)의 이동에 따라 압축될 수 있다.
이후,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55)가 개구부(521)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경우, 압축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59)이 복원력으로 발사로드(53)를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60)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제1 샤프트(532)는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며, 이후 압축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60)은 복원력으로 돌출된 제1 샤프트(532)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발사 장치(8)는 외부 하우징(81)과, 내부 하우징(82)과, 발사로드(83)와, 버튼부(84)와, 지지부(85)와, 레버(86), 및 다수의 스프링(87, 88, 89, 9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81)은 개방된 측면을 가질 수 있으며,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버튼부(8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81)의 상면에는 레버(86)가 외부 하우징(81)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가이드홈(812)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81)은 타측면에 일정 길이의 로드홈(8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로드홈(811)에는 발사로드(83)의 일단이 맞춰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발사로드(83)의 타단은 외부 하우징(81)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85)의 지지홈(851)에 관통되는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발사로드(83)는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수평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 하우징(82)은 중공형 구조를 가지며, 외부 하우징(8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82)은 버튼부(84)와 후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버튼부(84)가 이동함에 따라 내부 하우징(82) 역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82)은 전단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87)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하우징(8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내부 하우징(82)을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87)은 압축하게 되고, 이후 복원력으로 인해 내부 하우징(82)은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로드(83)는 레버 수용홈(8311)을 갖는 몸체부(831)와, 몸체부(8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샤프트(832), 및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샤프트(8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831)의 레버 수용홈(8311)에는 일정 형상의 레버(86)가 수용될 수 있으며, 레버(86)의 하부에는 레버(86)를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 스프링(88)이 개재될 수 있다. 레버 지지 스프링(88)은 내부 하우징(82)의 상면에 의해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샤프트(832)는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90)에 의해 지지받으며, 제2 샤프트(833)는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89)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다.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90)의 탄성력은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89)의 탄성력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사로드(83)는 내부 하우징(82)의 내부에 수용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내부 하우징(82)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84)의 가압으로 인해 내부 하우징(82)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레버 수용홈(8311)에 수용된 레버(86)의 돌출을 차단하는 내부 하우징(82)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내부 하우징(8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821)를 통해 레버(86)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레버(86)는 개구부(821)와 하우징(8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812)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후, 하우징 지지 스프링(87)의 복원력으로 내부 하우징(82)과 발사로드(83)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86)는 발사로드(83)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가이드홈(812)의 끝단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레버(86)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발사로드(83)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후, 레버(86)를 누르게 되면 레버(86)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어, 압축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89)의 복원력으로 발사로드(83)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샤프트(832)는 외부로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이때 압축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90)은 복원력으로 돌출된 제1 샤프트(832)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a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격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81)의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84)를 가압하는 경우, 버튼부(84)는 버튼부(84)와 연결된 내부 하우징(82)을 밀어 내부 하우징(82)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레버 수용홈(8311)에 수용된 레버(86)의 돌출을 차단하는 내부 하우징(82)의 상면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내부 하우징(82)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821)를 통해 레버(86)가 레버 지지 스프링(88)의 복원력으로 인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레버(86)는 개구부(821)와 하우징(8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812)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내부 하우징(82)을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87)은 압축하게 된다. 여기서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87) 외에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90) 및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89)은 움직이지 않는다.
이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82)은 하우징 지지 스프링(87)의 복원력으로 발사로드(83)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레버(86)는 발사로드(83)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는 도중, 가이드홈(812)의 끝단에 걸리게 되고, 따라서, 레버(86)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발사로드(83)가 더 이상 움직이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발사로드(83)는 상기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89)을 압축시키고,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90)을 인장시킬 수 있다.
이후,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86)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레버(86)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어 레버(86)는 내부 하우징(82)의 개구부(821)에서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이때, 레버(86)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 스프링(88)은 레버(86)의 이동에 따라 압축될 수 있다.
이후,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86)가 개구부(821)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경우, 압축된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89)이 복원력으로 발사로드(83)를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90)을 압축시킨다. 따라서, 제1 샤프트(832)는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며, 이후 압축된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90)은 복원력으로 돌출된 제1 샤프트(832)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의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매거진(3)은 매거진 하우징(31)과, 커버(32)와, 배출용 버튼(33)과, 가이드 레일(34)과, 슬라이더(35)와, 다수의 채혈침(36a, 36b)과, 슬라이더 지지 스프링(37), 및 엔드캡(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거진 하우징(31)은 매거진(3)의 외관을 형성하며,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서 배출용 버튼(33)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의 버튼홈(311)을 가질 수 있다. 매거진 하우징(31)은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커버(32)가 개방됨으로써, 내부 공간(312)으로 다수의 채혈침(36a, 36b)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32)는 매거징 하우징(31)의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버(32)는 소정의 지지핀에 의해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출용 버튼(33)은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배출용 버튼(33)은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버튼홈(311)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배출용 버튼(33)은 스프링의 지지를 받을 수 있으며, 배출용 버튼(33)이 가압 받는 경우, 가압력에 의해 배출용 버튼(33)을 지지하는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배출용 버튼(33)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배출용 버튼(33)의 걸림부(331)는 탈착시키려는 채혈침(36a)과 밀착된 다른 채혈침(36b)을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용 버튼(33)의 하부에 설치된 스틸판(332)이 매거진 하우징(31)에 장착된 채혈침(36a)을 밀어냄으로써 채혈침(36a)을 탈착시킬 수 있다. 이후 배출용 버튼(33)은 압축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매거진 하우징(31)의 내부 공간(312)에는 일정 형상을 갖는 슬라이더(35)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34)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34)은 그 상부에 다수의 채혈침(36a, 36b)이 장착될 수 있다. 슬라이더(35)는 슬라이더 스프링(37)을 매개로 하여 탄력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34)에 장착된 다수의 채혈침(36a, 36b)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채혈침(36a, 36b)을 하나씩 발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엔드캡(38)은 장착된 채혈침(36a)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엔드캡(38)은 매거진 하우징(31)에 장착된 채혈침(36a)의 바늘이 엔드캡(38)에서 일정 거리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엔드캡(38)의 지름은 채혈침(36a)의 보호 부재의 지름보다 작으므로, 엔드캡(38) 방향으로 발사된 채혈침(36a)은 엔드캡(38)에 걸려 바늘의 첨부만이 엔드캡(38) 외부로 돌출되고,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 등 신체부위가 바늘의 첨부에 찔려 채혈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0a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3)은 발사 장치(2) 및 혈당 측정 모듈(4)과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매거진(3)은 발사 장치(2)와 혈당 측정 모듈(4)을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매거진(3)을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매거진(3)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하여 채혈침을 제거하기 위한 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매거진(3)의 후면은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 채혈침을 탈착시키기 용이한 구조로 될 수 있다.
이후,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용 버튼(33)을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배출용 버튼(33)이 하방으로 밀리면서 배출용 버튼(33)의 걸림부(331)는 탈착시키려는 채혈침(36a)과 밀착된 다른 채혈침(36b)을 이격시키고, 배출용 버튼(33)의 하부에 설치된 스틸판(332)이 장착된 채혈침(36a)을 밀어냄으로써 채혈침(36a)을 탈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된 채혈침을 손으로 꺼내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제거된 채혈침의 빈공간으로 슬라이더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5)가 다른 채혈침(36b)을 밀어낼 수 있다.
이후,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된 채혈침의 빈공간으로 슬라이더(35)가 채혈침(36b)을 밀어 채혈침(36b)을 발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a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을 장착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 하우징(31)의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2)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매거진 하우징(31)의 내부 공간(312)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35)를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후,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긴 슬라이더(35)를 고정시키고, 매거진 하우징(31)의 내부 공간(312) 내에 채혈침(36c)을 하나씩 삽입한다.
이후,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혈침을 장착한 후에 고정된 슬라이더(35)의 고정을 해제하면, 슬라이더(35)가 채혈침을 밀어 발사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2a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3)의 배출용 버튼(33)을 수직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배출용 버튼(33)이 하방으로 밀리면서 배출용 버튼(33)의 걸림부(331)는 탈착시키려는 채혈침(36a)과 밀착된 다른 채혈침(36b)을 이격시키고, 배출용 버튼(33)의 하부에 설치된 스틸판(332)이 장착된 채혈침(36a)을 밀어냄으로써 채혈침(36a)을 탈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용 버튼(33)의 스틸판(332)은 일정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탄성을 이용하여 채혈침(36a)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채혈침(36a)을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채혈침(36a)은 도 12c와 같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된 채혈침(36a)을 손으로 꺼내어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후,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된 채혈침의 빈공간으로 슬라이더(35)가 채혈침(36b)을 밀어 채혈침(36b)을 발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거진에서 채혈침이 외부로 돌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거진의 배출용 버튼(33)은 그 하부에 일정 길이의 스틸판(332)이 설치될 수 있다. 스틸판(332)은 탄성력을 가지며 일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다. 스틸판(332)은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36c)의 상면에 형성된 홈(36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용 버튼(33)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경우, 스틸판(332)의 일부는 채혈침(36c)의 홈(361) 공간에 수용되며 곡률을 갖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때, 스틸판(332)은 장착된 채혈침(36c)을 일정 거리 밀어내는 방식으로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스틸판(332)의 탄성을 이용하여 채혈침(36c)을 외부로 돌출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가 변경 또는 병합되거나 재사용 가능하며 생략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채혈 장치 2: 발사 장치
3: 매거진 4: 혈당 측정 모듈

Claims (19)

  1. 다수의 채혈침이 장착되는 매거진;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격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사 장치;
    상기 발사 장치가 설치된 상기 매거진의 측면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혈당 측정 모듈; 및
    상기 매거진의 타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발사 장치와 연장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엔드캡을 포함하되,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엔드캡을 통하여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의 바늘의 첨부만을 외부로 돌출시키는 채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매거진 하우징;
    상기 매거징 하우징의 상면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상기 매거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발사 위치로 이동시키는 채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하우징의 상면에는 버튼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수용홈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배출용 버튼을 더 포함하는 채혈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용 버튼의 하부에는 스틸판이 설치되며, 상기 스틸판은 상기 배출용 버튼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탈착시키는 채혈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는,
    개방된 측면을 갖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의 개방된 측면을 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며,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전단이 외부로 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사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로드는 그 전단이 상기 버튼부의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매거진에 장착된 채혈침을 발사시키는 채혈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하우징은 중공형이며, 상기 내부 하우징은 상기 내부 하우징의 전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 지지 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채혈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로드는,
    레버 수용홈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샤프트는 상기 제1 샤프트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의 지지를 받고,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제2 샤프트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의 지지를 받는 채혈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일정 곡률의 상면을 갖는 레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수용홈에 수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채혈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하부에는 상기 레버를 지지하기 위한 레버 지지 스프링이 개재되는 채혈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이 전방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하우징 지지 스프링은 상기 내부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내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채혈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레버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상기 레버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레버 걸림부에 걸리는 채혈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걸림부는 상기 레버의 상면과 상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레버는 상기 레버 걸림부의 곡면에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채혈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로드는 압축된 상기 하우징 지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내부 하우징과 함께 후방으로 밀리어 상기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상기 레버를 상기 레버 걸림부에서 이탈시키는 채혈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레버 걸림부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경우, 압축된 상기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사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채혈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로드는 압축된 상기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채혈 장치.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여 상기 내부 하우징이 전방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하우징 지지 스프링은 상기 내부 하우징에 의해 압축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채혈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레버는 상기 가이드홈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끝단에 고정되고, 상기 발사로드는 압축된 상기 하우징 지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어 상기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채혈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고정된 상기 레버를 가압하는 경우, 압축된 상기 제2 샤프트 지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발사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채혈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로드는 압축된 상기 제1 샤프트 지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는 채혈 장치.
KR1020140014475A 2014-02-07 2014-02-07 채혈 장치 KR20150093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475A KR20150093550A (ko) 2014-02-07 2014-02-07 채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475A KR20150093550A (ko) 2014-02-07 2014-02-07 채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550A true KR20150093550A (ko) 2015-08-18

Family

ID=5405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475A KR20150093550A (ko) 2014-02-07 2014-02-07 채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959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아키포인트건축사사무소 유리섬유철근을 이용한 건축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6959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아키포인트건축사사무소 유리섬유철근을 이용한 건축구조물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605B (zh) 一种弹卸式采血笔结构
US4658821A (en) Ejector for an automatic lancet arm
US8568434B2 (en) Lancing device
US7303573B2 (en) Lancet device
EP2187811B1 (en) Lancing devices
US9138185B2 (en) Lancet assembly and pricking device
CN106859669B (zh) 一种一次性安全采血针、装配方法及使用方法
KR101462447B1 (ko) 안전 채혈기
CN108514422B (zh) 一种带卸针保护的采血笔
EP2050393A1 (en) Lancing device
US9078604B2 (en) Lancing devices
KR101021922B1 (ko) 랜싱장치
WO2011152580A1 (ko) 란셋 재사용 방지장치
US20090048621A1 (en) Single-use skin pricking device
US8308748B2 (en) Collapsible lancing device
WO2010050350A1 (ja) 体液採取装置およびこの装置に使用する穿刺針着脱部材
JP5420544B2 (ja) 外科針装置
KR20150093550A (ko) 채혈 장치
KR20190083385A (ko) 채혈기
US9204834B1 (en) Glucose blood monitor
KR101589059B1 (ko) 채혈기
KR20190055856A (ko) 당뇨 환자 전용 채혈기
KR101491812B1 (ko) 채혈기
JP5190066B2 (ja) 穿刺装置
KR101602633B1 (ko) 채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