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3385A -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385A
KR20190083385A KR1020180000656A KR20180000656A KR20190083385A KR 20190083385 A KR20190083385 A KR 20190083385A KR 1020180000656 A KR1020180000656 A KR 1020180000656A KR 20180000656 A KR20180000656 A KR 20180000656A KR 20190083385 A KR20190083385 A KR 2019008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arrel
slit
hitting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기
Original Assignee
(주) 로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아메드 filed Critical (주) 로아메드
Priority to KR102018000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3385A/ko
Publication of KR2019008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3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within the blood, pH-value of blood
    • A61B5/1405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 A61B5/1411Devices for taking blood samples by percutaneous method, e.g. by lancet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으로, 한손으로 채혈침을 장전, 분리할 수 있는 제조단가가 낮은 채혈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배럴과, 배럴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배럴의 트리거걸림턱에 맞물리는 트리거부를 가지는 타격슬라이더와, 타격슬라이더를 미는 타격스프링과, 타격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채혈침을 분리하는 이젝트슬라이더부와 배럴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조작노브와 조작노브의 후방이 동시 타격슬라이더를 장전할 수 있는 장전작용부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노브의 전후방 이동을 통해 채혈기를 장전하고 채혈침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채혈기{BLOOD LANCET DEVICE}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당뇨체크 등을 위해 피부를 침으로 찔러 채혈하는 채혈기가 널리 공급되어 있다. 이들 채혈기는 침유니트를 장착하고 압축스프링을 압축 장전한 후 해제시켜 침유니트의 침이 타격적으로 피부를 찌르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채혈기들은 장전을 위한 메커니즘과 사용된 침유니트를 분리 제거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그래서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으며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부재를 통해 장전과 분리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이 낮은 간단한 구조의 채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채혈기에 있어서, 선단에 작용개구와, 측방의 트리거걸림턱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작연결슬릿부를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배럴과, 상기 배럴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젝트가이드부와, 상기 트리거걸림턱에 맞물릴 수 있도록 측방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되는 트리거부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장전턱을 가지는 타격슬라이더와, 상기 타격슬라이더를 작용개구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타격스프링과, 상기 이젝트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이젝트슬라이더부와, 상기 조작연결슬릿부를 통해 상기 이젝트슬라이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럴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후방이동 시 상기 장전턱에 걸리어 상기 타격슬라이더를 후방 이동시키는 장전작용부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노브와 상기 이젝터슬라이더부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이젝트가이드부는 상기 이젝터슬라이더부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타격슬라이더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위한 연결부슬릿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방 이동된 상기 조작부재를 선단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면 보다 간편하게 조작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조작연결슬릿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기 위한 슬릿차폐부를 가져 조작연결슬릿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럴은 상기 조작연결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물림슬릿을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물림슬릿에 삽입되는 물림돌기를 가져 조작노브가 배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하나의 부재를 통해 장전과 분리가 가능하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구조가 간단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의 (a)는 조작부재복귀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b)는 조작부재복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a)는 트리거스위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b)는 장전상태에서 장전확인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c)는 트리거걸림턱과 누름돌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d)는 비장전상태에서의 트리거스위치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의 (a)는 장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복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발사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d)는 분리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조작부재복귀부와 트리거스위치 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배럴(100)과, 타격슬라이더(200)와, 타격스프링(300)과, 조작부재(400)를 갖는다.
배럴(1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상체로 준비되거나 조립의 편의를 위해 서로 결합 가능한 상부배럴(101)과 하부배럴(102)로 준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럴(100)의 선단영역에는 침부재(10)가 끼워지거나 침부재(10)가 통과하는 작용개구(110)가 형성되고, 배럴(100)의 측방에는 배럴(1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소정크기로 절취된 트리거걸림턱(120)이 형성되며, 배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내부와 연통되도록 길게 절취되어 형성된 조작연결슬릿부(130)를 가진다.
배럴(100)의 내부에는 배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젝트가이드부와 트리거걸림턱(120)에 맞물릴 수 있도록 측방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되는 트리거부(220)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장전턱(230)을 가지는 타격슬라이더(200)가 삽입된다.
타격슬라이더(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관상체로 준비될 수 있으며, 배럴(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타격슬라이더(200)의 후단영역에는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전턱(230)이 형성되며, 선단영역에는 침부재(10)가 끼워질 수 있으며, 타격슬라이더(200)의 축심 방향으로 관통공(241)을 가지는 침부재물림부(240)가 형성된다.
트리거부(220)는 배럴(100)의 트리거걸림턱(120)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부를 가지는 걸림부(221)와 걸림부(221)가 타격슬라이더(200)의 측방 외측으로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223)를 가진다. 탄성부재(2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턱(230)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걸림부(221)가 형성되는 막대형상으로 준비될 수 있다.
이젝트가이드부는 후술하게 될 이젝트슬라이더부(410)가 이젝트가이드부를 통해 배럴(100)의 선단영역으로 침부재(10)를 밀어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젝트가이드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침부재물림부(240)의 관통공(241)으로부터 타격슬라이더(200)의 후단영역까지 길게 형성된다.
또한, 타격슬라이더(200)의 침부재물림부(240)의 후단영역은 타격슬라이더(200)의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발사돌기(242)을 가지며, 배럴(100)은 작용개구(110)의 내부에 발사돌기(242)에 걸려 타격슬라이더(200)가 배럴(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11)이 형성된다.
배럴(100)에 삽입된 타격슬라이더(200)와 배럴(100)의 끝단 사이에는 타격슬라이더(200)를 작용개구(110)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타격스프링(300)이 설치된다. 타격스프링(300)은 일단이 타격슬라이더(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타격스프링끼움부에 걸리고, 타단이 배럴(100)의 내측 끝단 또는 내측 끝단에 형성된 타격스프링지지부에 지지된다.
타격스프링(300)은 압축 후 압축이 해제되어 스프링의 길이가 늘어날 때의 최대 길이가 평상시의 스프링의 길이보다 소정거리 크게 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진다.
조작부재(400)는 이젝트슬라이더부(410)와 조작노브(420)와 장전작용부를 갖는다.
이젝트슬라이더부(410)는 이젝트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작용개구(110)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침부재(10)의 후단을 밀어 침부재(10)를 작용개구(110) 바깥으로 밀어 분리시킨다. 조작노브(420)는 조작연결슬릿부(130)를 통해 이젝트슬라이더부(410)와 연결되어 배럴(100)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다. 장전작용부는 조작노브(420)가 후방 이동할 때 장전턱(230)에 걸려 타격슬라이더(200)를 후방이동시켜 트리거부(220)가 트리거걸림턱(120)에 걸려 장전될 수 있도록 한다.
조작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슬라이더(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막대형상의 이젝트슬라이더부(410)와, 이젝트슬라이더부(410)의 후단에서 조작연결슬릿부(130)를 통과해 조작노브(420)와 연결되며 후단이 장전턱(230)을 미는 장전작용부의 역할을 하는 연결부(430)를 가진다. 이때, 이젝트가이드부는 이젝트슬라이더부(410)의 축방향을 따라 침부재물림부(240)의 관통공(241)으로부터 타격슬라이더(200)의 후단영역까지 길게 형성되며, 타격슬라이더(200)는 연결부(430)의 길이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연결부슬릿(250)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조작연결슬릿부(130)와 연결부슬릿(250)은 서로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어 연결부(430)는 조작연결슬릿부(130)와 연결부슬릿(250)을 동시에 통과할 수 있어야 하며, 조작연결슬릿부(130)는 조작부재(400)가 타격슬라이더(200)를 장전하고 침부재(10)를 분리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하며, 연결부슬릿(250)은 이젝트슬라이더부(410)가 침부재(10)를 밀어내어 분리시킬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후방 이동된 조작부재(400)를 선단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조작부재복귀부를 가질 수 있다.
조작부재복귀부는 도 3의 (a)와 (b)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삽입홈(140)과, 스프링삽입홈(140)에 삽입되는 복귀스프링(510) 및 복귀스프링(510)에 끼워져 조작부재(400)를 미는 복귀부재(520)와, 스프링커버(530)를 가진다.
스프링삽입홈(140)은 조작연결슬릿부(130)의 후단영역에서 배럴(100)의 후단영역 방향으로 배럴(100)의 외측에서 함몰되어 형성된다. 스프링삽입홈(140)에는 조작부재(400)가 후방 이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귀스프링(510)이 삽입된다. 복귀스프링(510)에는 조작부재(400)를 용이하게 밀기위한 막대형상의 복귀부재(520)가 끼워져 복귀부재(520)의 선단이 조작부재(400)를 밀게된다. 이러한 복귀스프링(510) 중 복귀부재(520)가 끼워지지 않은 부분은 스프링커버(530)로 인해 보호된다.
본 발명의 조작부재(400)는 조작연결슬릿부(13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기 위한 슬릿차폐부(421)를 가질 수 있다. 슬릿차폐부(421)는 조작노브(420)에서 선단과 후단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배럴(100)에 형성된 조작연결슬릿부(130)를 가릴 수 있는 두께와 길이를 가진다. 이로 인해, 조작연결슬릿부(130)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외관상의 미려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배럴(100)은 선단캡(700)을 가질 수 있다. 선단캡(700)은 작용개구(110)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도 4의 (a), (b), (c), (d)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00)에 설치되어 트리거부(220)를 가로방향 외측에서 가압하기 위한 트리거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럴(100)에는 트리거스위치(600)가 결합되는 스위치결합홈(150)이 형성되며, 트리거스위치(600)는 스위치결합홈(150)에 삽입되는 고정부(610)와, 트리거부(220)의 걸림부(221)를 누르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누름돌기(621)를 가지며 누름돌기(621)가 걸림부(221)를 누르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누름노브(620)를 가진다.
이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노브(620)에는 누름노브(620)를 관통하여 트리거부(220)의 걸림부(221)를 노출하게 만드는 장전확인공(622)이 형성되며, 걸림부(221)에는 장전확인공(622)을 통해 장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장전확인부재(222)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장전상태에서는 장전확인공(622)을 통해 장전확인부재(222)를 파악하는 것으로 장전된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장전확인부재(222)가 보이는 상태에서 누름노브(620)를 가압하여 누름돌기(621)가 걸림부(221)를 누르는 것으로 타격슬라이더(200)를 장전상태에서 작용개구(110) 방향으로 타격스프링(300)에 의해 이동되는 발사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럴(100)은 조작연결슬릿부(13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물림슬릿(160)을 가지며, 조작노브(4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고, 물림슬릿(160)에 삽입되는 물림돌기(422)를 가져 물림슬릿(1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림슬릿(160)은 배럴(100)의 외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한 쌍으로 설치되며, 배럴(100)을 관통하거나 배럴(100)의 외표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조작노브(420)는 배럴(100)을 감싸며 양 끝단이 물림슬릿(160)이 형성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된 부분의 내측에는 돌출되어 물림슬릿(160)에 삽입되는 물림돌기(42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물림슬릿(160)과 조작노브(42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림슬릿(160)은 배럴(100)의 중단영역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조작노브(420)는 단면이 반원의 형상을 가지며 반원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물림돌기(422)를 가진다. 이로 인해, 조작부재(400)를 배럴(100)에 결합시킬 때는 이젝트슬라이더부(410)와 연결부(430)를 조작연결슬릿부(130)와 연결부슬릿(250)으로 통과시켜 배럴(100)의 내부에 삽입하고 조작노브(420)의 물림돌기(422)를 물림슬릿(160)에 끼우는 것으로 조작부재(400)를 배럴(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조작노브(420)는 연질의 재질이기 때문에 물림돌기(422)를 물림슬릿(160)에 끼우는 과정에서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작부재(400)를 통해 타격슬라이더(200)를 후방 이동시켜 장전하고, 조작부재(400)를 작용개구(110) 방향으로 이동시켜 침부재(1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의 작동순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는 조작부재(400)를 후방 이동시켜 타격슬라이더(200)를 장전한 장전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작용개구(110)를 통해 침부재(10)를 삽입하여 침부재물림부(240)에 고정시킨 후 조작노브(420)를 이용하여 조작부재(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결부(430)의 후단인 장전작용부는 타격슬라이더(200)의 장전턱(230)을 후방으로 밀어 타격슬라이더(200)가 후방 이동하게 한다. 후방 이동된 타격슬라이더(200)의 트리거부(220)는 트리거걸림턱(120)에 걸려 장전상태가 된다. 이때, 연결부(430)는 연결부슬릿(250)과 조작연결슬릿부(130)를 통과하며 이동하기 때문에 간섭이 없다.
도 5의 (b)는 조작부재(400)가 조작부재복귀부로 인해 후방이동 전의 상태로 복귀한 복귀상태를 나타낸다. 도 5의 (a)에서 조작부재(400)가 후방 이동할 때 조작부재복귀부의 복귀스프링(510) 또한 압축된 상태로 전환된다. 그 후 장전이 완료되면 타격슬라이더(200)는 장전된 상태로 후방이동 되어 있지만, 조작부재(400)는 복귀스프링(510)에 의해 후방이동 전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5의 (c)는 트리거스위치(600) 또는 트리거부(220)를 작동시켜 타격슬라이더(200)가 작용개구(110)방향으로 타격스프링(300)에 의해 이동된 발사상태를 나타낸다. 트리거스위치(600) 또는 트리거부(220)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타격슬라이더(200)는 선단의 침부재물림부(240)에 형성된 발사돌기(242)가 배럴(100)의 작용개구(110)의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턱(111)에 걸려 배럴(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발사상태에서의 침부재(10)는 사람의 신체에 상처를 내어 채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d)는 조작부재(400)를 통해 침부재(10)를 분리시키는 분리단계를 나타낸다. 발사단계를 통해 사용된 침부재(10)는 침부재물림부(240)에 고정된 상태에서 관통공(241)을 통과하는 이젝트슬라이더부(410)에 의해 침부재물림부(24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사용자는 조작부재(400)의 조작노브(420)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이젝트슬라이더부(410)의 끝단이 관통공(241)을 통과하여 침부재물림부(240)에 결합된 침부재(10)의 후단을 밀어 분리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조작부재(400)를 통해 장전과 분리를 모두 실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간편하고, 장전과 분리에 따른 메커니즘을 각각 가진 기존의 발명들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채혈기는 분리단계의 조작부재(400)를 후단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보조조작부재복귀부를 가질 수 있다. 보조조작부재복귀부는 조작부재(400)의 선단영역을 후단방향으로 미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고 있어 채혈침을 분리하기 위해 이동된 조작부재(40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조작부재복귀부와 보조조작부재복귀부를 모두 가진 채혈기의 경우 사용자는 장전을 위해 조작노브(420)를 후방으로 미는 행위와, 분리를 위해 조작노브(420)를 전방으로 미는 행위 및 트리거스위치(600)나 트리거부(220)를 작동시키는 행위만으로 채혈기의 장전, 발사, 분리를 할 수 있어 한손으로 모든 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 : 침부재 100 : 배럴
101 : 상부배럴 102 : 하부배럴
110 : 작용개구 111 : 이탈방지턱
120 : 트리거걸림턱 130 : 조작연결슬릿부
140 : 스프링삽입홈 150 : 스위치결합홈
160 : 물림슬릿 200 : 타격슬라이더
220 : 트리거부 221 : 걸림부
222 : 장전확인부재 223 : 탄성부재
230 : 장전턱 240 : 침부재물림부
241 : 관통공 242 : 발사돌기
250 : 연결부슬릿 300 : 타격스프링
400 : 조작부재 410 : 이젝트슬라이더부
420 : 조작노브 421 : 슬릿차폐부
422 : 물림돌기 430 : 연결부
510 : 복귀스프링 520 : 복귀부재
530 : 스프링커버 600 : 트리거스위치
610 : 고정부 620 : 누름노브
621 : 누름돌기 622 : 장전확인공
700 : 선단캡

Claims (5)

  1. 채혈기에 있어서,
    선단에 작용개구와, 측방의 트리거걸림턱과,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작연결슬릿부를 가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배럴과,
    상기 배럴 내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젝트가이드부와, 상기 트리거걸림턱에 맞물릴 수 있도록 측방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되는 트리거부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장전턱을 가지는 타격슬라이더와,
    상기 타격슬라이더를 작용개구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타격스프링과,
    상기 이젝트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이젝트슬라이더부와, 상기 조작연결슬릿부를 통해 상기 이젝트슬라이더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럴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조작노브와, 상기 조작노브의 후방이동 시 상기 장전턱에 걸리어 상기 타격슬라이더를 후방 이동시키는 장전작용부를 가지는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노브와 상기 이젝터슬라이더부는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이젝트가이드부는 상기 이젝터슬라이더부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타격슬라이더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위한 연결부슬릿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3. 제 1항에 있어서,
    후방 이동된 상기 조작부재를 선단 방향으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조작연결슬릿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기 위한 슬릿차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은 상기 조작연결슬릿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는 물림슬릿을 가지며,
    상기 조작노브는 상기 물림슬릿에 삽입되는 물림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기.
KR1020180000656A 2018-01-03 2018-01-03 채혈기 KR201900833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656A KR20190083385A (ko) 2018-01-03 2018-01-03 채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656A KR20190083385A (ko) 2018-01-03 2018-01-03 채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385A true KR20190083385A (ko) 2019-07-12

Family

ID=6725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656A KR20190083385A (ko) 2018-01-03 2018-01-03 채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33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19A1 (ko) * 2020-01-14 2021-07-22 이준기 사혈기
WO2021221198A1 (ko)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메덱스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WO2023027532A1 (ko) * 2021-08-27 2023-03-02 (주) 로아메드 채혈기 및 채혈기용 니들유니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519A1 (ko) * 2020-01-14 2021-07-22 이준기 사혈기
WO2021221198A1 (ko)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메덱스 개인용 코로나 항체 진단 키트 세트
WO2023027532A1 (ko) * 2021-08-27 2023-03-02 (주) 로아메드 채혈기 및 채혈기용 니들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14563B1 (en) Lancet ejector mechanism
JP3821490B2 (ja) 皮膚プリッカ
US9693712B2 (en) Lancet pricking device
KR100820523B1 (ko) 채혈기
US6120463A (en) Biopsy surgical appliance
EP0115388A1 (en) Blood sampling instrument
KR20190083385A (ko) 채혈기
CN106859669B (zh) 一种一次性安全采血针、装配方法及使用方法
JPS63281628A (ja) 廃棄式プリッカ
KR101851211B1 (ko)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채혈기
KR101462447B1 (ko) 안전 채혈기
US8114109B2 (en) Single-use skin pricking device
US8308748B2 (en) Collapsible lancing device
KR101021922B1 (ko) 랜싱장치
KR100932946B1 (ko) 채혈기
JP5420544B2 (ja) 外科針装置
EP1610682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kin prickers
US8425547B2 (en) Disposable skin pricker
KR20190055856A (ko) 당뇨 환자 전용 채혈기
KR101589059B1 (ko) 채혈기
KR101491812B1 (ko) 채혈기
EP4275603A1 (en) Disposable blood collecting device
JP5587721B2 (ja) 穿刺装置
KR20210091844A (ko) 사혈기
KR101602633B1 (ko) 채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