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768A -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768A
KR20150124768A KR1020140051743A KR20140051743A KR20150124768A KR 20150124768 A KR20150124768 A KR 20150124768A KR 1020140051743 A KR1020140051743 A KR 1020140051743A KR 20140051743 A KR20140051743 A KR 20140051743A KR 20150124768 A KR20150124768 A KR 20150124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ignal
item
role
cont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906B1 (ko
Inventor
이태영
강재은
강한수
박성일
박성희
신봉진
양칠렬
이명환
이장희
이춘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906B1/ko
Priority to CN201580023482.5A priority patent/CN106464505B/zh
Priority to PCT/KR2015/004222 priority patent/WO2015167204A1/en
Priority to EP15785469.6A priority patent/EP3138233B1/en
Priority to US15/307,612 priority patent/US10779143B2/en
Publication of KR2015012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 I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사용자는 전자 장비 설정 시 상기 전자 장비의 입력부를 통해 직접 설정하는 것이 아닌, 유무선 기술을 통한 원격 설정이 가능하다. 도 1을 참고하면, 도 1은 스피커(speaker)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은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스피커들을 설정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스피커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인터페이스(101), 다수의 스피커들(103 내지 117)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103 내지 117)의 각각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103 내지 117)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면,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이동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이동으로 인한 다른 스피커들의 연결 방식에 대한 사항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에 따라 장비들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인터페이스(101) 상에 표시된 장치들 및 실제 물리적 장치들 간 매핑 관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용자는 설정하고자 하는 장비의 ID(IDentification)또는 SN(Serial Number)을 인지해야 한다. 또한, 장비가 이동할 때마다 상기 장비의 연결 방식(service topology)을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설정 과정이 예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술한 설정 및 제어 절차는 사용자가 각 장비에 대한 정보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 상기 도 1에 예시된 스피커 외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도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의 인식을 직관적으로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에 따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고 설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을 감지하고 그룹핑(grouping)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group)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도 1은 스피커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 및 피제어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grouping)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웨어러블 장비(wearable device)와 연동 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 방식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 방식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지 및 설정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지 및 설정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다시 그룹핑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 방식을 설정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block)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eletronics device)를 초기 설정(initial setting)하고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을 감지(movement recognition)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는 '제어(controlling) 장치'라 지칭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피제어(controlled) 장치'라 지칭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 및 피제어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 제어 장치(209)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은, 상기 제어 장치(209)와 통신 가능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다.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 각각은 장치 특성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제어 장치(20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은 스피커(speaker), 조명(light), 세탁기, 냉장고, TV(TeleVision), 오디오(audio), 게임 콘솔(game console), PC(Personal Computer), 자동 커튼(automatic curtain), 오븐(oven), 로봇 청소기, 에어컨(air conditionor), 식기 세척기,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멀티비전(multivis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209)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과 통신 가능한 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다. 상기 제어 장치(209)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에서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209)는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입력 수단(예: 버튼(button), 터치스크린(touchscreen) 등),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209)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무선 컨트롤러(wireless controller) 중 하나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209)와 상기 피제어 장치(201 내지 207)는 상호 탐색을 실시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 장치(209)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이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209)는 미리 약속된 형태의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이 상기 미리 약속된 형태의 신호를 검출한 후,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탐색 절차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209)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은 상기 제어 장치(209)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간의 수신 신호 세기(RSSI :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audio time stamp)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209)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209)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은 상기 탐색 절차를 상호 간 존재를 인지하고 상호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209)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 간 통신 연결은 와이파이(Wi-Fi), WiGig(Wireless Gigabit), Zigbee, UWB(Ultra Wide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VLC(Visible Light Communication),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209)는 상기 블루투스, BLE, NFC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와 상호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의 상기 와이파이, 상기 WiGig, 상기 Zigbee, 상기 UWB, 상기 IrDA, 상기 VLC, 상기 GSM, 상기 EDGE, 상기 CDMA, 상기 LT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통신 모듈을 활성화 시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과 상기 제어 장치(209)는 상호 간 장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비 정보는 연결(connectivity) 정보, 서비스(service) 정보, 장비 고유 ID(IDentification) 정보, 장비 종류 정보, 장비 이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정보는, 장비 역할, 인증 정보, 연결된 장비 정보, 연결된 그룹(group)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이 지원 가능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실행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비 고유 ID 정보는, 블루투스 장비 주소(device address), 와이파이 맥(MAC : Media Access Control) 주소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장비 종류 정보는 상기 장비가 어떤 종류의 장비인지 알 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상기 장비 종류는 스피커, 조명, 세탁기, 냉장고, TV, 오디오, 게임 콘솔, PC, 자동 커튼, 오븐, 로봇 청소기, 에어컨, 식기 세척기, CCTV, 멀티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209)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로부터 전송된 상기 장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209)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201 내지 207)을 WiGig 또는 IR통신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도 2는 4개의 피제어 장치들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피제어 장치들이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3a 및 상기 도 3b는 제어 장치(301)가 4개의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을 제어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상기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301)가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을 인식하고,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로부터 장비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301)는 주변 장치 인식 결과를 상기 제어 장치(301)의 표시부(303)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icon)들(313 내지 319)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이 스피커일 경우, 상기 피제어 장치들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은 스피커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이 조명일 경우,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은 조명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은 상기 제어 장치(301)가 해당 피제어 장치를 인지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301)가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 상기 제2피제어 장치(307), 상기 제3피제어 장치(309), 상기 제4피제어 장치(311) 순으로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을 인지한 경우,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인지 순서에 따라 상기 인지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제1아이콘(313), 상기 제2아이콘(315), 상기 제3아이콘(317), 상기 제4아이콘(319)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 외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을 인지한 결과 순으로 표시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에 대한 인지 순서와 무관하게 상기 제어 장치(301)는 동시에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 외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에 대한 인식 결과는 리스트(list)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의 식별 정보들을 나열한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ID, S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로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 제어 장치(301)에서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을 인지하였으나,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 각각이 실제 어느 피제어 장치와 대응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과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의 대응 관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이 식별 신호(identification signal)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로부터 출력되는 약속된 신호이다. 상기 식별 신호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빛, 소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신호는 각 피제어 장치들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을 표시한 후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과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에 대응하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의 대응관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제어 장치(301)의 표시부(303)에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을 표시한 후,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가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의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식별 신호로서, 조명 신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로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청 메시지는 식별 신호의 출력 요청을 알리며, 식별 신호의 형태, 내용, 표시 방식(예: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의 인식 결과 표시인 상기 제1아이콘(313)을 다른 아이콘들(315, 317, 319)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조명 신호를 표시하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와 상기 제1아이콘(313)의 대응관계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제1아이콘(313)을 깜빡이는 것, 움직이는 것, 색상을 변경하는 것 등을 통해 상기 다른 아이콘들(315, 317, 319)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은 상기 제어 장치(30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301)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식별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303)에 표시된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 중 상기 제1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제1아이콘(313)에 대응하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가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301)는 표시부(303)를 통해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 역할(role) 설정 창들(321 내지 327)을 표시한다.
상기 역할 설정 창들(321 내지 327)은 아이콘들(313 내지 319)과 연계를 통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의 역할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즉, 사용자는, 상기 역할 설정 창들(321 내지 327)을 통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 각각에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어 장치(301)의 표시부(303)에 표시된 상기 제1아이콘(313)을 터치(touch) 및 드래그(drag)하고, 제1역할 설정 창(321)에 드롭(drop)하면, 상기 제1아이콘(313)에 대응하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는 상기 제1역할 설정 창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제4피제어 장치가 스피커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1역할 설정 창(321)을 통해 전단-왼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2역할 설정 창(323)을 통해 전단-오른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제3역할 설정 창(325)을 통해 후단-왼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제4역할 설정 창(327)을 통해 후단-오른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313)을 상기 제1역할 설정 창(321)에 위치시키면, 상기 제1피제어 장치는 상기 제1역할 창(321)에 대응하는 전단-왼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역할 설정 창(321)에 위치된 상기 제1아이콘(313)을 터치하면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는 상기 제1역할 설정 창(321)의 역할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가 스피커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313)을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는 할당된 역할에 따른 오디오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1역할 설정 창(321)에 위치된 상기 제1아이콘(313)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표시부(303)에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피제어 장치(305)가 TV인 경우, 상기 제어 장치(301)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역할 설정 창(321)에 위치된 상기 제1아이콘(313)을 터치하면, 상기 TV 전원 활성화/비활성화, 볼륨 조절, 채널 조정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303)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상기 피제어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가 에어컨(airconditioner)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가 스피커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스피커의 볼륨, 모노(mono), 스테레오(stereo), 서라운드(surround), 센터 스피커(center speaker), 서브우퍼(sub woofer) 등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3a 내지 상기 도 3b는 4개의 피제어 장치들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피제어 장치들이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는 4개의 역할 설정 창들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역할 설정 창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 3a 및 상기 도 3b의 실시 예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이 스피커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은 멀티비전이 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전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결합하여 대형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상기 멀티비전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구성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수행하는 역할이 상이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4a 내지 상기 도 4c는 제어 장치(401)가 4개의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상기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401)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화면을 표시부(403)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이 촬영되고,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된다.
상기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401)는 표시부(403)를 통해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을 표시한다.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은 아이콘들(413 내지 419)과 연계를 통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역할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즉,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을 통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 각각에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b에 도시된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은 상기 피제어 장치들(305 내지 311)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을 인식한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로부터 장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401)는 주변 장치 인식 결과를 상기 제어 장치(401)의 표시부(403)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들(413 내지 419)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이 스피커일 경우,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을 나타내는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은 스피커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이 조명일 경우,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은 조명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은 상기 제어 장치(401)가 해당 피제어 장치를 인지한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401)가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 상기 제2피제어 장치(407), 상기 제3피제어 장치(409), 상기 제4피제어 장치(411) 순으로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을 인지한 경우,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인지 순서에 따라 상기 인지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제1아이콘(413), 상기 제2아이콘(415), 상기 제3아이콘(417), 상기 제4아이콘(419)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은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을 인지한 결과 순으로 표시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에 대한 인지 순서와 무관하게 상기 제어 장치(401)는 동시에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 외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에 대한 인식 결과는 리스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식별 정보들을 나열한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ID, S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로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역할을 사용자의 명령 없이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 각각의 위치와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의 위치와의 대응 관계를 확인하고,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로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위치를 인지하기 위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이 식별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로부터 출력되는 약속된 신호이다. 상기 식별 신호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빛, 소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신호는 각 피제어 장치들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로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청 메시지는 식별 신호의 출력 요청을 알리며, 식별 신호의 형태, 내용, 표시 방식(예: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제어 장치(401)의 표시부(403)에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을 표시한 후,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가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의 표시 수단을 통해, 상기 식별 신호로서, 조명 신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장치(401)는 센서부를 통해 상기 조명 신호를 인지하고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영상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인지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영상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카메라와 음향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마이크(micro 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조명 신호를 통해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의 위치가 상기 제1역할 설정 창(421)의 위치에 대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의 위치가 상기 제1역할 설정 창(421)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에게 상기 제1역할 설정 창(421)에 대응하는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에게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 상기 제2피제어 장치(407), 상기 제3피제어 장치(409), 상기 제4피제어 장치(411) 순으로 상기 조명 신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이 순차적으로 조명 신호를 표시하면 상기 조명 신호를 통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위치가 각각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의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에게 상기 역할 설정 창들(405 내지 411)의 위치에 따른 역할을 각각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이 스피커일 경우,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에게 상기 제1역할 설정 창(4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단-왼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제2피제어 장치(407)에게 상기 제2역할 설정 창(423)의 위치에 대응하는 전단-오른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제3피제어 장치(409)에게 상기 제3역할 설정 창(325)의 위치에 대응하는 후단-왼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제4피제어 장치(411)에게 상기 제4역할 설정 창(427)에 대응하는 후단-오른쪽에 위치한 스피커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401)에서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을 인지하고 역할을 할당하였으나,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 각각이 실제 어느 피제어 장치와 대응하는지 알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405)는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에게 할당된 역할을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장치(405)의 표시부(403)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을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에 이동하여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과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의 대응관계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을 터치하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은 설정된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가 스피커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417)을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1피제어 장치(405)는 할당된 역할에 따른 오디오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역할 설정 창들(421 내지 427)에 위치된 상기 아이콘들(413 내지 419) 중 적어도 하나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표시부(403)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피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가 TV인 경우, 상기 제어 장치(401)는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TV 전원의 활성화/비활성화, 볼륨 조절, 채널 조정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403)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상기 피제어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가 에어컨인 경우, 상기 피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4a 내지 상기 도 4c는 4개의 피제어 장치들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피제어 장치들이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a 내지 상기 도 4c는 4개의 역할 설정 창들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역할 설정 창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 4a 내지 상기 도 4c의 실시 예는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이 스피커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들(405 내지 411)은 조명 또는 멀티비전이 될 수 있다. 상기 멀티비전은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결합하여 대형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상기 멀티비전은 표시 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로 구성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수행하는 역할이 상이하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5a 내지 상기 도 5d는 제어 장치(517)가 제4공간(501)에서 제4피제어 장치(515)를 인지하고 제어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상기 도 5a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501)는 상기 제4공간(501)에서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와 거리 측정을 통해 상호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하면,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와 장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공간들(501 내지 507)이 포함된 공간이 가정집일 경우, 상기 제1공간(501)은 주방, 상기 제2공간(503)은 거실, 상기 제3공간(505)는 작은 방, 상기 제4공간(507)은 안방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517)는 표시부(519)를 통해 상기 제1아이콘(529), 공간에 따른 역할 설정 창들(521 내지 527)을 표시한다. 상기 역할 설정 창들(521 내지 527)은 제1아이콘(529)과 연계를 통해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의 역할을 설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제어 장치(517)는 주변 장치 인식 결과를 상기 제어 장치(517)의 표시부(519)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529)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가 조명일 경우,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를 나타내는 상기 제1아이콘(529)은 조명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가 스피커일 경우, 상기 아이콘들(313 내지 319)은 조명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제1아이콘(529) 외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피제어 장치(515)에 대한 인식 결과는 리스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의 식별 정보들을 나열한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ID, S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1아이콘(515)으로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 도 5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상기 역할 설정 창들(521 내지 527)을 통해 상기 제4피제어 장치(529)에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제어 장치(517)의 표시부(519)에 표시된 상기 제1아이콘(529)을 터치 및 드래그하고, 제4역할 설정 창(527)에 드롭하면, 상기 제1아이콘(529)에 대응하는 상기 제4피제어 장치는 상기 제4역할 설정 창(527)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4공간이 안방이고, 상기 제4피제어 장치가 조명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4역할 설정 창(527)을 통해 안방 조명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529)을 상기 제4역할 설정 창(527)에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제4피제어 장치는 상기 제4역할 창(527)에 대응하는 안방 조명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4역할 설정 창으로 이동된 상기 제1아이콘(529)을 터치하면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는 상기 제4역할 설정 창(527)의 역할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가 조명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529)을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는 할당된 역할에 따른 조명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4역할 설정 창(527)에 위치된 상기 제1아이콘(529)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 장치(517)는 상기 표시부(519)에 제4피제어 장치(515)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피제어 장치(515)가 조명인 경우, 상기 제어 장치(517)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529)을 터치하면, 상기 조명의 밝기, 상기 조명 전원의 활성화/비활성화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517)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피제어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가 에어컨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5a 내지 상기 도5c는 4개의 공간 중 1개의 공간에 위치하는 1개의 피제어 장치를 제어 장치가 인지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공간이 존재할 수 있고, 또한, 각 공간에 1개 이상의 피제어 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 장치를 인지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6a 내지 상기 도 6c는 공간이 구분된 장소에서 위치 정보 제공 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제어 장치를 통해 피제어 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6a를 참고하면, 상기 공간들(601 내지 607)이 포함된 공간이 가정집일 경우, 상기 제1공간(601)은 주방, 상기 제2공간(603)은 거실, 상기 제3공간(605)는 작은 방, 상기 제4공간(607)은 안방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간들(601 내지 607)에 상기 공간들(601 내지 607)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들(617 내지 623)이 위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들(617 내지 623)은 상기 공간들(601 내지 607)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들(617 내지 623)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들(617 내지 623)의 신호 전송 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게 상기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 제공 장치들(617 내지 623) 각각이 설치된 방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안방, 주방, 거실 등과 같은 명칭, 문자 및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ID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간(601)에 위치한 상기 제1위치 정보 제공 장치(617)는 상기 제1공간(601)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에게 상기 제1공간(601)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공간 내지 상기 제4공간(603 내지 607)에 각각 위치한 상기 제2위치 정보 제공 장치 내지 상기 제4위치 정보 제공 장치(617 내지 623)는 상기 제2공간 내지 상기 제4공간에 위치하는 전자 장치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625)가 상기 제4공간(607)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625)는 상기 제4위치 정보 제공 장치(623)가 송신하는 위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제4위치 정보 제공 장치(623)가 전송하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625)는 상기 제4위치 정보 제공 장치(623)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625)가 상기 제4공간(607)에 위치함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도 6b는 상기 제어 장치(625)가 상기 제4공간(607)에서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를 인식하고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로부터 장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4위치 정보 제공 장치(623)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상기 제어 장치(625)는 표시부(627)를 통해 상기 제1아이콘(637), 공간에 따른 역할 설정 창들(629 내지 635)을 표시한다. 상기 역할 설정 창들(629 내지 635)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과 연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의 역할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제어 장치(625)는 주변 장치 인식 결과를 상기 제어 장치(625)의 표시부(627)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 종류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637)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가 조명일 경우,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를 나타내는 상기 제1아이콘(637)은 조명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가 스피커일 경우, 상기 제1아이콘(637)은 조명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제1아이콘(637) 외 다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피제어 장치(615)에 대한 인식 결과는 리스트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주변 장치 인식 결과는,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의 식별 정보들을 나열한 리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ID, S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제1아이콘(615)으로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든다.
상기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625)는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의 역할을 사용자의 명령 없이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615)는 상기 제4위치 정보 제공 장치(623)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 및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로부터 수신한 장비 정보를 통해 상기 제4피제어 장치(635)가 상기 제4공간(607)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상기 제어 장치(625)는 상기 제1아이콘(637)을 상기 제4역할 설정 창(637)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키면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를 제4공간에 대응하는 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공간(607)이 안방이고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가 조명일 경우,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에는 안방 조명 역할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4역할 설정 창(637)이동된 상기 제1아이콘(637)을 터치하면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는 상기 제4역할 설정 창(635)의 역할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가 조명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635)을 터치함에 따라, 상기 제4피제어 장치(615)는 할당된 역할에 따른 조명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4역할 설정 창(635)에 위치된 상기 제1아이콘(637)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 장치(625)는 상기 표시부(627)에 제4피제어 장치(615)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피제어 장치(637)가 조명인 경우, 상기 제어 장치(625)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아이콘(637)을 터치하면, 상기 조명의 밝기, 상기 조명 전원의 활성화/비활성화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627)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피제어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제어 장치가 에어컨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6a 내지 상기 도 6c는 4개의 공간 중 1개의 공간에 위치하는 1개의 피제어 장치를 제어 장치가 인지 및 제어하는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공간이 존재할 수 있고, 또한, 각 공간에 1개 이상의 피제어 장치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을 이동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 장치를 인지 및 제어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grouping)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7a는 제1전자 장치 내지 제4전자 장치는 제1그룹(713)으로, 제5 전자 장치(709) 및 제6전자 장치(711)는 제2그룹(715)으로 그룹핑된 예를 도시한다. 상기 제1전자 장치 내지 제6전자 장치(701 내지 711)는 제어 장치 또는 피제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들(701 내지 711)은 상기 각 전자 장치들(701 내지 711)간의 거리 측정을 통해 인접한 거리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들은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은 상기 각 전자 장치들간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들(701 내지 711)은 상기 전자 장치들(701 내지 711)간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확인하여 각 전자 장치들의 인접 거리를 확인하여, 인접한 전자 장치들은 각각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자 장치 내지 제4전자 장치(701 내지 707)는 제1그룹(71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5전자 장치(709)와 상기 제6전자 장치(711)는 제2그룹(71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전자 장치들(701 내지 711)은 각 그룹에 맞는 역할이 부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자 장치(701)가 냉장고이고, 상기 제2전자 장치 내지 제4전자 장치(703 내지 707)가 라디오 기능을 포함한 스피커인 경우, 상기 제2전자 장치 내지 제4전자 장치(703 내지 707)는 상기 제1전자 장치(701)와 장비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제1전자 장치(701)가 냉장고임을 인지한다. 상기 제2전자 장치 내지 제4전자 장치(703 내지 707)는 상기 장비 정보를 통해 냉장고가 위치한 장소는 주방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자 장치 내지 상기 제4전자 장치(703 내지 711)는 위치 확인 결과에 따라 주방에 위치한 스피커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방에 위치한 스피커의 역할이 라디오 재생인 경우, 상기 제2전자 장치 내지 제4전자 장치(703 내지 707)는 라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제5전자 장치(709)가 TV이고, 상기 제6전자 장치(711)가 스피커인 경우, 상기 제6전자 장치(711)는 상기 제5전자 장치(709)의 장비 정보를 수신하여 TV의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도 7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4전자 장치(707)를 상기 제1그룹(713)의 그룹핑이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고, 상기 제2그룹(715)의 그룹핑이 가능한 거리 범위로 이동시킬 경우(701), 상기 제4전자 장치(707)는 상기 제1그룹(713)의 상기 제1전자 장치 내지 상기 제3전자 장치(701 내지 705)와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1전자 장치 내지 상기 제3전자 장치(701 내지 705)와의 그룹핑을 종료한다. 상기 제4전자 장치(707)는 상기 제2그룹(715)의 상기 제5전자 장치 및 상기 제6전자 장치(709 내지 711)와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제4전자 장치 내지 상기 제6전자 장치(707 내지 711)는 상기 거리 측정 결과 상호 간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범위에 위치하면 장비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제2그룹(715)으로 재 그룹핑된다. 또한, 상기 제4전자 장치(707)는 새로운 그룹의 전자 장치들에 따라 새로운 역할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전자 장치(701)가 냉장고이고, 상기 제5전자 장치(709)가 PC일 경우, 상기 제4전자 장치(707)의 역할이 상기 제1그룹(713)에서 라디오 재생이였다면, 제2그룹(715)으로 이동한 후 제4전자 장치(711)사용자가 상기 제4전자 장치(707)를 상기 제5전자 장치(709)를 포함하는 제2그룹(715)의 영역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4전자 장치(707)는 상기 제5전자 장치(709)와 장비 정보 교환을 통해 PC 스피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4전자 장치(707)가 상기 제1그룹(713)의 영역 안에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제4전자 장치(707)는 상기 제1그룹(713)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술한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웨어러블 장비(wearable device)와 연동 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8은 사용자(801)가 웨어러블 장비(wearable device)(803)를 착용하고 상기 전자 장치(805)를 이동시키는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는 상기 사용자(801)가 착용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비(805)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는, 안경형 단말, 손목시계형 단말, 통신 기능을 구비한 귀걸이, 팔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는 상기 사용자(801)로부터 상기 사용자(801)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는 상기 사용자(801)가 주로 위치하는 장소, 선호하는 TV 프로그램, 선호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기상 시간, 취침 시간 등 상기 사용자(801)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805)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영상 정보, 음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805)는 스피커, 조명, 세탁기, 냉장고, TV, 오디오, 게임 콘솔, PC, 자동 커튼, 오븐, 로봇 청소기, 에어컨, 식기 세척기, CC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805)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와 상기 전자 장치(805)와의 일정거리를 얼마의 시간동안 유지하는지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은 상기 전자 장치(805)와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 간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801)가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를 착용하고 상기 전자 장치(805)를 들고 이동을 하면, 상기 전자 장치(805)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와의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지 측정한다. 상기 전자 장치(805)는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와 상기 전자 장치(805)의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장치(805)가 이동한다고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805)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이동을 종료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805)는 이동 후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주변 전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장비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805)가 스피커이고,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에 상기 사용자(801)가 특정 음량을 선호하고, 특정 시간에 취침한다는 정보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를 살펴보자. 상기 사용자(801)가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를 착용하고 상기 전자 장치(805)를 TV가 위치한 거실로 이동시키면, 상기 전자 장치(805)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803)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TV로부터 수신한 장비 정보를 통해 TV의 스피커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805)는 상기 사용자(801)가 선호하는 특정 음량으로 재생되고, 특정 시간에 재생이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 방식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9는 제어 장치(901-1)와 피제어 장치들(903-1 내지 909-1)의 연결 방식과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3피제어 장치(903-1 내지 907-1)가 상기 제어 장치(901-1)가 제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장치(901-2)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909-2)가 기존 연결 방식을 유지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901-1)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903-1 내지 909-1)이 상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제어 장치(901-1)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903-1 내지 909-1)은 기존의 연결 방식을 계속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901-1)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903-1 내지 909-1)의 연결 방식에서,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3피제어 장치(903-1 내지 907-1)가 상기 제어 장치(901-1)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909-1)와 상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장치(901-2)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909-2)는 기존의 연결 방식을 유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 방식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10은 제어 장치(1001-1)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1003-1 내지 1009-1)의 연결,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3피제어 장치(1003-1 내지 1007-1)가 상기 제어 장치(1001-1) 및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9-1)와 통신 가능한 거리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장치(1001-2)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9-2)가 기존의 연결 방식이 아닌 새로운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장치(1001-1)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1003-1 내지 1009-1)의 연결 방식은 상기 제1피제어 장치(1003-1)가 접근점(AP : Access Point)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 장치(1001-1)와 상기 제2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5-1 내지 1009-1)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1001-1)와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3-1 내지 1009-1)가 상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어 장치(1001-1)와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3-1 내지 1009-1)는 기존의 연결 방식을 계속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 장치(1001-1)와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3-1 내지 1009-1)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3피제어 장치(1003-1 내지 1007-1)가 상기 제어 장치(1001-1)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9-1)와 상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장치(1001-2)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9-2)는 기존의 연결 방식이 아닌 새로운 연결 방식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1001-2)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1009-2)는 상호 연결을 유지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지 및 설정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101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신호를 탐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은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한 거리 측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는 상호 간 장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정보는 연결 정보, 서비스 정보, 장비 고유 ID 정보, 장비 종류 정보, 장비 이름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장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1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또는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1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식별 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상기 인식 결과 표시의 대응 관계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식별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약속된 신호이다. 상기 식별 신호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107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을 설정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결과 표시와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식 결과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으로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 및 드래그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에 드롭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에 위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의 역할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오디오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오디오 전원의 활성화/비활성화, 볼륨 조절, 채널 조정 등의 상기 오디오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에어컨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인지 및 설정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20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신호를 탐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상기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상호 간 장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비 정보는 연결 정보, 서비스 정보, 장비 고유 ID 정보, 장비 종류 정보, 장비 이름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장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장비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식한 결과의 표시인 인식 결과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또는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식별 신호를 표시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를 인지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식별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약속된 신호이다. 상기 식별 신호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빛, 소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신호를 인식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센서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식별 신호를 인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영상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인지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영상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카메라와 음향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2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을 설정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식별 신호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상기 역할 설정 창에 대응하는 역할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가 각각 제1역할 설정 창 내시 상기 제4역할 설정 창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 각각에 상기 제1역할 설정 창 내지 상기 제4역할 설정 창의 위치에 따른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피제어 장치들과 역할 설정 창들의 대응관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제어 장치들의 인식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아이콘들을 각각 상기 역할 설정 창들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 설정하는 방식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6a를 참고하면, 적어도 하나의 공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의 신호 전송 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게 상기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가 제4공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4공간에 위치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4공간에서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제4공간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와 상기 제4공간에 위치함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역할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4위치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4공간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장비 정보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상기 제4공간에 따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인 적어도 하나의 인식 결과 표시를 상기 제4역할 설정 창으로 드래그하여 이동하여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 설정 여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식 결과 표시가 아이콘으로 표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아이콘을 상기 제4역할 설정 창으로 드래그하여 이동시켜,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 설정을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오디오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할 설정 창에 위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상기 오디오 전원의 활성화/비활성화, 볼륨 조절, 채널 조정 등의 상기 오디오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에어컨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전자 장치에서의 동작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130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가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간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의 거리를 판단하고 상기 거리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와 장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1303단계로 진행하여 식별 신호 출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식별 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식별 신호의 출력 요청을 알리며, 식별 신호의 형태, 내용, 표시 방식(예: 지속 시간, 반복 횟수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1305단계로 진행하여 식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식별 신호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약속된 신호이다. 상기 식별 신호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빛, 소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신호는 각 피제어 장치들에 대하여 모두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신호는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1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을 설정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의해 역할이 할당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스피커인 경우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에 따른 스피커의 역할을 할당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오디오인 경우,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명령에 의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 전원의 활성화/비활성화, 볼륨, 채널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조명인 경우,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조명의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40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신호를 탐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제어 가능한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장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정보는 연결 정보, 서비스 정보, 장비 고유 ID 정보, 장비 종류 정보, 장비 이름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장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403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을 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거리 측정을 통해 인접한 거리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하나의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측정은 상기 각 전자 장치들간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a를 참고하면, 상호간 거리 측정을 통해 제1전자 장치 내지 제4전자 장치는 제1그룹으로, 제5전자 장치 및 제6전자 장치는 제2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다시 그룹핑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50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인접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503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 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확인하여 인접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505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그룹 이탈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이탈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507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그룹 내에 추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상기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추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509단계로 진행하여 이탈 또는 추가된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는 이탈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는 미리 획득한 상기 이탈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장비 정보를 통해 그룹 내에 어떤 전자 장치가 이탈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추가된 다른 전자 장치와 장비 정보를 교환을 통해 상기 추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정보는 연결 정보, 서비스 정보, 장비 고유 ID 정보, 장비 종류 정보, 장비 이름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151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을 실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이탈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제외한 그룹핑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추가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여 그룹핑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 방식을 설정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60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탐색을 통해 그룹 내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거리를 확인한다.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간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피 제어 장치들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603단계로 진행하여 그룹 내의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제1그룹의 상기 제1전자 장치 내지 상기 제3전자 장치는 상기 제4전자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제4전자 장치가 상기 제1그룹을 이탈했다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2그룹의 상기 제5전자 장치 및 상기 제6전자 장치는 상기 제4전자 장치가 상기 제2그룹에 진입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4전자 장치가 상기 제2그룹에 추가됐다고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1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 방식을 변경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의 기존 연결 방식을 유지할지, 기존 연결 방식이 아닌 새로운 연결 방식으로 상호 연결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피제어 장치들의 연결 방식은 상기 제1피제어 장치가 접근점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2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가 상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동하면,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는 기존의 연결 방식을 계속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3피제어 장치가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와 상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는 기존의 연결 방식이 아닌 새로운 연결 방식으로 변경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16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른 전자 장치와 연결 방식을 변경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기존 연결 방식으로 더이상 연결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기존의 연결 방식이 아닌 새로운 연결 방식으로 변경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4피제어 장치의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1피제어 장치 내지 상기 제3피제어 장치가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와 상호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제4피제어 장치는 기존의 연결 방식이 아닌 새로운 연결 방식으로 변경하여 상호 연결을 유지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하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7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70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탐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수신 신호 세기 또는 음향 타임 스탬프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장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정보는 연결 정보, 서비스 정보, 장비 고유 ID 정보, 장비 종류 정보, 장비 이름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기 장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웨어러블 장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비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고, 상기 전자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웨어러블 장비는 상기 사용자가 주로 위치하는 장소, 선호하는 TV 프로그램, 선호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기상시간, 취침시간 등 사용자 정보를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와 장비 정보를 교환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비가 웨어러블 장비임을 인지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17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웨어러블 장비와 거리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비를 착용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들고 이동을 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와의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는지 측정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웨어러블 장비와 상기 전자 장치의 거리가 일정 범위 내에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다고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와의 거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상기 거리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이동을 종료하였다고 판단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1707단계로 진행하여 또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핑을 수행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이동 후 상기 웨어러블 장비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정보와 주변 전자 장치들로부터 수신한 장비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가 스피커이고, 상기 웨어러블 장비에 상기 사용자가 특정 음량을 선호하고, 특정 시간에 취침한다는 정보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웨어러블 장비를 착용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TV가 위치한 거실로 이동시키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비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TV로부터 수신한 장비 정보를 통해 TV의 스피커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특정 음량으로 재생되고, 특정 시간에 재생이 종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전자 장치는 180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인 인식 결과 표시를 상기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부에 출력한다. 상기 인식 결과 표시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또는 목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1803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장비 식별 신호 출력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 상기 장비 식별 신호 출력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제어 장치,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도 2의 피제어 장치들 중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장비 식별 신호 출력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장비 식별 신호 출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장비 식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다른 전자 장치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표시부를 통해 상기 장비 식별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장비 식별 신호는 상기 다른 전자 장치가 또 다른 전자 장치와 구별되기 위한 숫자, 문자, 이미지,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블록(block)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0을 참고하면, 통신부(2001), 센서부(2003), 화면표시부/입력부(2005), 메모리부(2007), 제어부(2009)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통신부(2001)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닝(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상기 통신부(20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제어 장치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통신부(20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과, 상기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data)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003)는, GPS 수신기, 자이로(Gyro) 센서, 지자기(Geomagnetic) 센서, 가속도(Gravity) 센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센서, 광감지 센서, 음향 감지 센서 중 하나 혹은 두개 이상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부(2003)는 빛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카메라부, 음향 신호를 감지하는 마이크(micro phone)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영상 촬영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로,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서부(2003)는, 숫자, 문자, 이미지(image),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pattern),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가능한 신호를 인식하는 카메라(camera) 또는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상기 전자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자세히 말해,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상기 전자 장치에 전달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이다. 또한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의 카메라가 인식한 장비의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는 터치 스크린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상기 화면표시부, 상기 입력부로 각각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의 역할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 중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는 피제어 장치에 대응하는 항목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목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피제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화면표시부/입력부(2005)는,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에 대응하는 항목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007)는 상기 제어부(2009)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007)는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를 인식하고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009)는, 상기 제어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2009)는,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피제어 장치에 역할을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9)는,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피제어 장치가 상기 할당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상기 위치에 따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9)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에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른 역할을 할당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가 할당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21를 참고하면, 통신부(2101), 표시부(2103), 메모리부(2105), 제어부(2107)가 도시되어있다.
상기 통신부(2101)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닝(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2101)는, 제어 장치로부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1)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제어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제어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제어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피제어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1)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비(wearable device)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01)는, 제어 장치로부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103)는 조명 신호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부,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부(2103)는, 숫자, 문자, 이미지,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105)는 상기 제어부(2107)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105)는 상기 피제어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107)는, 상기 전자 장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2107)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피제어 장치와 그룹(group)을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제어 장치 또는 피제어 장치의 이동을 인지하고, 상기 그룹을 다시 형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7)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54)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item)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data)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는 숫자, 문자, 이미지(image),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pattern),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인식하는 카메라(camera) 또는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하는 센서(sensor)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중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항목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목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역할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할당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항목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상기 위치에 따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을 표시하는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상기 창 안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른 역할을 할당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할당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group)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을 인지하고, 상기 그룹을 다시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비(wearable device)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역할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전자 장치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는, 숫자, 문자, 이미지,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는 숫자, 문자, 이미지,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인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 중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항목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항목과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역할을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가 상기 할당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항목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상기 위치에 따른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항목에 대응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한 결과를 적어도 하나의 항목으로 표시하는 과정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역할을 표시하는 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상기 창 안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상기 위치에 대한 정보에 따른 역할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가 할당된 역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창 안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그룹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의 이동을 인지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을 다시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착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비를 인식하기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장비와 상기 전자 장치가 일정 거리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전자 장치가 이동한다고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신호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역할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가능한 신호는, 숫자, 문자, 이미지, 조명의 색깔, 조명의 패턴, 조명의 주기, 음향 신호의 패턴, 음향 신호의 주기 중 적어도 하나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0051743A 2014-04-29 2014-04-29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01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43A KR102201906B1 (ko) 2014-04-29 2014-04-29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201580023482.5A CN106464505B (zh) 2014-04-29 2015-04-28 用于在电子装置中控制其它电子装置的设备和方法
PCT/KR2015/004222 WO2015167204A1 (en) 2014-04-29 2015-04-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 in electronic device
EP15785469.6A EP3138233B1 (en) 2014-04-29 2015-04-28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from another electronic device
US15/307,612 US10779143B2 (en) 2014-04-29 2015-04-2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43A KR102201906B1 (ko) 2014-04-29 2014-04-29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68A true KR20150124768A (ko) 2015-11-06
KR102201906B1 KR102201906B1 (ko) 2021-01-12

Family

ID=5435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43A KR102201906B1 (ko) 2014-04-29 2014-04-29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79143B2 (ko)
EP (1) EP3138233B1 (ko)
KR (1) KR102201906B1 (ko)
CN (1) CN106464505B (ko)
WO (1) WO20151672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495A1 (en) * 2019-11-29 2021-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5295A (ko) 2015-11-11 2017-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05515834B (zh) * 2015-11-27 2019-02-2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设备分组管理系统、方法及装置
KR102347069B1 (ko) * 2015-12-14 202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D889504S1 (en) * 2016-07-24 2020-07-07 Darrin F. Edelma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10678B2 (en) * 2016-08-19 2018-10-2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based on image processing
JP6720902B2 (ja) * 2017-03-15 2020-07-0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載機器の制御装置及び車載機器制御用の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US10542052B2 (en) * 2017-04-27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area grouping
WO2018227076A1 (en) * 2017-06-08 2018-12-13 Guardian Band, Inc. Wearable personal safet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1233671B2 (en) * 2018-11-28 2022-01-25 Motorola Mobility Llc Smart internet of things menus with cameras
US20230035360A1 (en) * 2021-08-02 2023-02-02 Qualcomm Incorporated Mapping networked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8357A1 (en) * 2001-08-29 2003-03-13 Geovantage, Inc. Digital imaging system for airborne applications
US20050198306A1 (en) * 2004-02-20 2005-09-08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ccessing at least one virtual private network
EP2293531A1 (en) * 2009-08-11 2011-03-0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39316A1 (en) * 2010-08-12 201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generating map, and method of measuring location of terminal using the ma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2022B1 (en) * 1999-06-10 2006-04-18 Alcatel Statistics aggregation for policy-based network
CN2512165Y (zh) 2001-12-30 2002-09-18 深圳市鑫王科技发展有限公司 可视化智能家居控制器
JP4588395B2 (ja) * 2004-09-24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CN100507969C (zh) 2006-08-15 2009-07-01 何进 选择性智能遥控系统及方法
US20080101273A1 (en) 2006-10-27 2008-05-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device association
US8302166B2 (en) * 2008-02-18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Associating network devices with users
US9078038B2 (en) * 2008-09-29 2015-07-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Automatic provisioning of set-top boxes
CN201504341U (zh) 2009-07-31 2010-06-09 宁波家天下智能系统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控制系统中的万能遥控器
US8018943B1 (en) * 2009-07-31 2011-09-13 Anue Systems, Inc. Automatic filter overlap processing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2033830A (zh) 2009-09-30 2011-04-27 宏碁股份有限公司 装置辨识方法、装置辨识系统以及电子装置
US8581707B2 (en) 2009-12-16 2013-11-12 Pyramid Meriden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distributed devices
US8588806B2 (en) 2010-02-26 2013-11-19 Thl Holding Company, Llc Wireless device and methods for use in a paging network
US20130115892A1 (en) 2010-07-16 2013-05-09 T-Mobile International Austria Gmbh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WO2012150815A2 (ko) 2011-05-02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장치 간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732319B2 (en) 2011-06-10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establish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S8868016B2 (en) 2012-01-13 2014-10-21 Sony Corporation Acoustic signalling to switch from infrastructure communication mode to ad hoc communication mode
US20130225197A1 (en) 2012-02-24 2013-08-29 Broadcom Corporation Low Power Location Beacon
US8725113B2 (en) 2012-03-12 2014-05-13 Google Inc. User proximity control of devices
US10229610B2 (en) 2012-03-30 2019-03-12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ual awareness using relative positions of mobile devices
US8826415B2 (en) * 2012-09-04 2014-09-02 Apple Inc. Automated device access
US10169534B2 (en) 2013-09-30 2019-01-01 Toshiba Medical Systems Corporation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8357A1 (en) * 2001-08-29 2003-03-13 Geovantage, Inc. Digital imaging system for airborne applications
US20050198306A1 (en) * 2004-02-20 2005-09-08 Nok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ccessing at least one virtual private network
EP2293531A1 (en) * 2009-08-11 2011-03-0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39316A1 (en) * 2010-08-12 2012-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generating map, and method of measuring location of terminal using the ma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7495A1 (en) * 2019-11-29 2021-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443615B2 (en) 2019-11-29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7204A1 (en) 2015-11-05
KR102201906B1 (ko) 2021-01-12
EP3138233B1 (en) 2021-06-02
EP3138233A1 (en) 2017-03-08
CN106464505A (zh) 2017-02-22
US20170048648A1 (en) 2017-02-16
CN106464505B (zh) 2020-11-20
US10779143B2 (en) 2020-09-15
EP3138233A4 (en)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906B1 (ko) 전자 장치에서 다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7810459A (zh) 媒体流式传输装置的配对
US1034101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022666B1 (ko)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CN106576221B (zh) 用于物联网的终端及其操作方法
EP3152933B1 (en) Automatically connecting a user equipment device with a partner device
JP2015149710A (ja) 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25082B1 (en) Controlling lighting dynamics
JP2017509129A (ja) 近接ベースの照明制御
EP3549004A1 (en) Augmented reality control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CN104641727A (zh) 经由便携式设备控制(多个)光源
CN104635505A (zh) 一种与室内智能设备的交互方法
KR20090023735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1397A (ko) 전자기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JP6380408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およびワイヤレスリンク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
KR102325326B1 (ko) 조명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264655B2 (en) Luminaire, light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in lighting system
JP6591560B2 (ja) 電化機器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電化機器通信連携方法
CN107148604B (zh) 电子装置和反馈提供方法
JP2022522912A (ja) 視覚認識を使用してデバイスをペア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3197643U (ja) 監視機能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機能を有するリモートセキュリティ監視装置
EP2688229B1 (en) Method for detecting interactive devices and associated equipments
KR102352926B1 (ko) 설정용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정보 단말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40016726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4120889A (ja) 端末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