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73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737A
KR20150124737A KR1020140051658A KR20140051658A KR20150124737A KR 20150124737 A KR20150124737 A KR 20150124737A KR 1020140051658 A KR1020140051658 A KR 1020140051658A KR 20140051658 A KR20140051658 A KR 20140051658A KR 20150124737 A KR20150124737 A KR 20150124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able keyboard
magnetic
display device
magnetic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배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14005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737A/ko
Publication of KR2015012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of the integrated keyboard independently from the mai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0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where the programme performs an interfacing function, e.g. device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가 전송하는 입력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는 무선통신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부;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Apparatus for display}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휴대용 키보드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휴대용 키보드의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입력신호 등을 생성한다.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는 손가락 크기만큼의 인식 영역을 필요로 하지만, 크기가 작은 단말기일수록 터치 스크린의 크기도 작아지므로, 사용자의 입력시 오타가 발생하는 등 정확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단말기에 대한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무선 키보드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단말기 등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대신에, 물리적인 자판을 포함하는 무선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입력을 용이하게 입력한다. 다만, 무선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에 들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사용자의 원치 않은 입력이 무선 키보드에 인가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47217 (2013.05.08)
본 출원은, 사용자의 휴대용 키보드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휴대용 키보드의 입력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가 전송하는 입력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는 무선통신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부;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센서부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회전하여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상기 영상처리부의 후면에 위치시키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구비되는 자석과 서로 맞닿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석과 상기 자기센서부가 맞닿을 때 상기 자기센서부가 생성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이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차단을 중단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부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동작시켜, 상기 자기센서부로부터 상기 자기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자기센서부와 상기 작동제어부 사이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입력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즉, 휴대용 키보드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키보드에 대한 입력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기센서부 및 작동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선통신부(110), 영상처리부(120), 힌지부(130), 자기센서부(140) 및 작동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입력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무선통신부(110)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전송하는 입력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무선통신부(110)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작동제어부(15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즉, 상기 작동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를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와의 무선통신의 연결을 차단하여,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전송하는 입력신호가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입력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작동제어부(15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를 동작모드로 전환하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와의 연결을 재개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 중에서,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210)에 키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는 상기 키입력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키배열에는 다수의 문자, 숫자 및 특정기능 등에 대한 키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행(column)과 열(row)로 구별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키배열은 QWERTY 자판과 같은 배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키배열에 키입력을 인가하면,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즉, 키배열(210)에는 2개의 전도성막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2개의 전도성막이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막에는 저항 변화가 발생하므로, 상기 저항 변화가 발생한 위치를 판별하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한 위치를 2차원의 좌표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항변화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찾을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는 상기 키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압전효과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키입력을 판별하는 내용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인가하는 키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는 가죽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케블러(Kevlar) 등의 가요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는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커버로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레치나 오염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에 터치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키배열 대신에 터치패드 등의 입력수단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처리부(120)는,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20)는 LCD, LED, 브라운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처리부(12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00)에 포함되어, 시각적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해당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영상처리부(12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통하여 입력하는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문자나 기호 등의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을 통하여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힌지부(13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래치(latch)나 스냅(snap), 벨크로(Velcro), 지퍼(zipper) 등 기계적인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자석을 활용한 자기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의 경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일 측면 및 힌지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나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에는 자석이나 전자석, 또는 적어도 자석의 인력이 작용하는 금속이나 합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13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도2(a)와 같이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들고 동영상을 보는 경우 등에는,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회전시켜,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에 방해받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집중하여 감상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들고 이동하는 경우 등에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등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자기센서부(14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에 구비된 자석(220)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기센서부(140)는 영상처리부(12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자석(220)은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220)과 상기 자기센서부(140) 사이의 거리는 가변할 수 있다. 여기서, 자기센서부(140)가 감지하는 상기 자석(220)의 자기장은 상기 자석(220)과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자기신호를 이용하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자기센서부(140)를 이용하면, 적어도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자기센서부(140)는 홀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홀센서는 감지한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자석(220)은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자석(220)과 자기센서부(14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힌지부(130)를 축으로 회전할 때,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에 구비된 자석(220)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과 맞닿는 위치를, 상기 자기센서부(140)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작동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에는 대기모드와 동작모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에서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의 입력신호를 차단할 수 있으며, 동작모드에서는 상기 차단된 입력신호의 입력을 재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작동제어부(150)는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입력을 차단하거나 재개할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와 동작모드는, 상기 자기센서부(140)가 전송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는 상기 자기센서부(140)와 자석(220)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생성되므로,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드전환값 이상의 자기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일정 거리이상 떨어진 경우에는, 상기 모드전환값 이상의 자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2(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를 이용한 키입력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제공하는 시각적 컨텐츠에 집중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전송하는 입력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이 영향받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인가되는 키입력은 의도되지 않은 입력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작동제어부(150)는 먼저 자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으로 측정되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후면에서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동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를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모드는 모드전환값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모드전환값의 설정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제어부(150)는,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석(220)과 상기 자기센서부(140)가 맞닿을 때 자기센서부(140)가 생성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작동제어부(150)는, 자석(220)과 자기센서부(140)가 맞닿을 때의 자기신호 크기에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모드전환값의 설정을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모드전환값을 실험 등을 통하여 귀납적으로 도출하거나, 모델링 등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작동제어부(150)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자기센서부(140)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동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주기마다 자기센서부(140)로부터 자기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제어부(150)는 센서동작신호(ctr_sen)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자기센서부(140)는 상기 입력되는 센서동작신호(ctr_sen)에 따라, 상기 자석(200)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자기신호(sig_mag)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자기센서부(140)는 상기 생성한 자기신호(sig_mag)를 작동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150)와 자기 센서부(140) 사이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작동제어부(150)가 자기센서부(140)로 센서동작신호(ctr_sen)를 전송하면, 자기센서부(140)는 감지되는 자석(220)의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감지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전압은 상기 자기장의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자기센서부(140)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상기 자기센서부(140)는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문턱전압 이상의 감지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양단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작동제어부(150)로 전송되는 자기신호(sig_mag)는 0v가 된다. 즉, 상기 작동제어부(150)에는 자기신호(sig_mag)로 0이 입력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작모드로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자기센서부(140)가 상기 모드전환값 이상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상기 자기센서부(140)는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문턱전압 미만의 감지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tr)는 동작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tr) 양단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즉, Vcc의 전압이 자기신호(sig_mag)로 상기 작동제어부(150)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Vcc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자기신호(sig_mag)의 크기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때의 자기신호(sig_mag) 크기를 상기 모드전환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전환값에 해당하는 자기신호(sig_mag)가 입력되면, 상기 작동 제어부(15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10: 무선통신부
120: 영상처리부 130: 힌지부
140: 자기센서부 150: 작동제어부
200: 휴대용 키보드 장치 210: 키배열
220: 자석 tr: 트랜지스터

Claims (6)

  1. 휴대용 키보드 장치가 전송하는 입력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하여 전송받는 무선통신부;
    상기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일 측면과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부;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차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부는
    상기 힌지부를 축으로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회전하여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상기 영상처리부의 후면에 위치시키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구비되는 자석과 서로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석과 상기 자기센서부가 맞닿을 때 상기 자기센서부가 생성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이면,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신호의 차단을 중단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부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동작시켜, 상기 자기센서부로부터 상기 자기신호를 입력받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부와 상기 작동제어부 사이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40051658A 2014-04-29 2014-04-29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24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658A KR20150124737A (ko) 2014-04-29 2014-04-29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658A KR20150124737A (ko) 2014-04-29 2014-04-2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37A true KR20150124737A (ko) 2015-11-06

Family

ID=5460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658A KR20150124737A (ko) 2014-04-29 2014-04-2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7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8808A1 (zh) * 2022-12-28 2024-07-04 宜宾市天珑通讯有限公司 一种用于与键盘通信的便携式设备及通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38808A1 (zh) * 2022-12-28 2024-07-04 宜宾市天珑通讯有限公司 一种用于与键盘通信的便携式设备及通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52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input object detection and interaction
US11656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US9798399B2 (en) Side sensing for electronic devices
JP5832784B2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304619B2 (en) Operating a touch scree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 plurality of rule sets
US9218126B2 (en) Methods circuits apparatus and systems for human machine interfacing with an electronic appliance
KR101440708B1 (ko) 분리가능한 사용자 입력 부속장치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용 장치,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55018A1 (en) Device and method for emulating a touch screen using force information
US20140253446A1 (en) Mechanical Actuator Apparatus for a Touchscreen
KR10140423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50331510A1 (en) Touch Control Assembly, Device Control Method, Controller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70113023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20140355189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Control Method
CN105630327A (zh) 便携式电子设备和控制可选元素的显示的方法
KR20100094754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946544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echanical keyboard having touch sensors for detecting touches and actuation of mechanical keys
EP2755106A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10126843B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73747A (ko)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6024718A (ja) ウェアラブル入力装置及びウェアラブル入力方法
US11789569B2 (en) Physical control device for touchscreens
KR20150124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370352A1 (en) Active stylus pen, data input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ctive stylus pen
US2016011009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KR101546925B1 (ko) 휴대용 키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