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925B1 - 휴대용 키보드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키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925B1
KR101546925B1 KR1020140050686A KR20140050686A KR101546925B1 KR 101546925 B1 KR101546925 B1 KR 101546925B1 KR 1020140050686 A KR1020140050686 A KR 1020140050686A KR 20140050686 A KR20140050686 A KR 20140050686A KR 101546925 B1 KR101546925 B1 KR 101546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ey input
display device
magnetic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배
정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로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로직
Priority to KR102014005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는,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키배열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엣지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연결하여,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연결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부;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키보드 장치 {Apparatus for portable keybord}
본 출원은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에 접촉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지하여, 입력신호 등을 생성한다.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는 손가락 크기만큼의 인식 영역을 필요로 하지만, 크기가 작은 단말기일수록 터치 스크린의 크기도 작아지므로, 사용자의 입력시 오타가 발생하는 등 정확한 입력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동단말기에 대한 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무선 키보드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단말기 등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대신에, 물리적인 자판을 포함하는 무선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입력을 용이하게 입력한다. 다만, 무선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에 들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 이동 단말기의 특성상, 사용자의 원치 않은 입력이 무선 키보드에 인가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3-0047217 (2013.05.08)
본 출원은, 디스플레이장치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의 키입력을 전송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키배열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엣지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연결하여,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연결부;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부;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부 및 자기센서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키입력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연결부를 축으로 상기 키입력부를 회전하여, 상기 키입력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위치시키면, 상기 자석부 및 자기센서부는 서로 맞닿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석부와 자기센서부가 맞닿을 때 상기 자기센서부가 생성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이면,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기센서부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동작시켜, 상기 자기센서부로부터 상기 자기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입력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는, 상기 자기센서부와 상기 작동제어부 사이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의 키입력을 전송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키배열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 상기 키입력부와 후면 커버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키입력부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연결부; 상기 키입력부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부;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어,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의하면, 원하지 않은 사용자의 입력이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의하면,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위치에 따라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즉, 휴대용 키보드 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휴대용 키보드에 대한 입력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기센서부 및 작동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는, 키입력부(110), 힌지연결부(130), 자석부(150), 자기센서부(170) 및 작동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한 입력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전용 단말기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시각적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해당할 수 있다.
키입력부(110)는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키배열에 키입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키입력부(110)는 상기 키입력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키배열에는 다수의 문자, 숫자 및 특정기능 등에 대한 키가 기 설정된 규칙에 따라, 행(column)과 열(row)로 구별되어 배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키배열은 QWERTY 자판과 같은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키배열에 키입력을 인가하면, 키입력부(110)는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입력부(110)에는 2개의 전도성막이 일정간격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2개의 전도성막이 서로 맞닿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막에는 저항 변화가 발생하므로, 상기 저항 변화가 발생한 위치를 판별하면, 사용자가 압력을 인가한 위치를 2차원의 좌표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항변화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키를 찾을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110)는 상기 키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압전효과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인가하는 키입력을 판별하는 내용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인가하는 키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키입력부(110)는 가죽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케블러(Kevlar) 등의 가요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키입력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는 커버로 기능할 수 있다. 즉, 키입력부(110)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커버로 사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레치나 오염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키입력부(110)에 터치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키배열 대신에 터치패드 등의 입력수단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힌지연결부(13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엣지부와 키입력부(11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1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키입력부(110)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엣지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가장자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가장자리라면 어느 곳이든 상기 힌지연결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연결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와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래치(latch)나 스냅(snap), 벨크로(Velcro), 지퍼(zipper) 등 기계적인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자석을 활용한 자기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자기적 결합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엣지부 및 힌지연결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나 전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에는 자석이나 전자석, 또는 적어도 자석의 인력이 작용하는 금속이나 합금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힌지연결부(13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입력부(11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한 키입력부(11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입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도2(a)와 같이 키입력부(110)를 위치시킬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200)를 들고 동영상을 보는 경우 등에는,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입력부(110)를 회전시켜, 키입력부(110)에 방해받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집중하여 감상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장치(200)를 들고 이동하는 경우 등에는 키입력부(110)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하는 등의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자석부(150)는 키입력부(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 등을 포함하여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또는 전자석이 형성하는 자기장의 크기는 거리에 반비례할 수 있다.
자기센서부(17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자기장을 감지하여 상기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부(150)는 키입력부(11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자석부(150)와 상기 자기센서부(170) 사이의 거리는 가변할 수 있다. 다만, 자기센서부(170)가 감지하는 상기 자석부(150)의 자기장은 상기 자석부(150)와의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상기 자기신호를 이용하면 상기 키입력부(1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자기센서부(170)를 이용하면, 적어도 상기 키입력부(11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키입력부(11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자석부(150)와 자기센서부(17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입력부(110)가 힌지연결부(130)를 축으로 회전할 때, 키입력부(110)에 구비된 자석부(15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과 맞닿는 위치를, 상기 자기센서부(170)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자기센서부(170)는 홀센서(hall sensor)를 이용하여 자기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홀센서는 감지한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제어부(190)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모드에는 대기모드와 동작모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에서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입력신호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할 수 있으며, 동작모드에서는 중단된 상기 입력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 대기모드와 동작모드는, 상기 자기센서부(170)가 전송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인 경우에는 다시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는 상기 자기센서부(170)와 자석부(150) 사이의 거리에 반비례하여 생성되므로,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입력부(11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상기 모드전환값 이상의 자기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제어부(19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모드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키입력부(11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일정 거리이상 떨어진 경우에는, 상기 모드전환값 이상의 자기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작동제어부(190)는 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2(c)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10)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를 이용한 키입력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제공하는 시각적 컨텐츠에 집중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키입력부(110)가 전송하는 입력신호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동작이 영향받는 것을 원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때 인가되는 키입력은 의도되지 않은 입력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작동제어부(190)는 먼저 자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키입력부(11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존재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키입력부(11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를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의도하지 않은 입력이 디스플레이장치(200)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으로 측정되면, 상기 키입력부(110)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서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키입력부(110)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동제어부(19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모드를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이면서,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키입력이 적어도 1회 인가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모드는 모드전환값에 따라 결정되므로, 상기 모드전환값의 설정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제어부(190)는,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석부(150)와 상기 자기센서부(170)가 맞닿을 때 자기센서부(170)가 생성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작동제어부(190)는, 자석부(150)와 자기센서부(170)가 맞닿을 때의 자기신호 크기에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내용은 모드전환값의 설정을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모드전환값을 실험 등을 통하여 귀납적으로 도출하거나, 모델링 등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작동제어부(190)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자기센서부(170)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동작시킬 수 있으며, 상기 주기마다 자기센서부(170)로부터 자기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제어부(190)는 센서동작신호(ctr_sen)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자기센서부(170)는 상기 입력되는 센서동작신호(ctr_sen)에 따라, 상기 자석부(150)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자기신호(sig_mag)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자기센서부(170)는 상기 생성한 자기신호(sig_mag)를 작동 제어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제어부(190)와 자기 센서부(170) 사이에는,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작동제어부(190)가 자기센서부(170)로 센서동작신호(ctr_sen)를 전송하면, 자기센서부(170)는 감지되는 자석부(150)의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감지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전압은 상기 자기장의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자기센서부(170)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상기 자기센서부(170)는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문턱전압 이상의 감지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tr)의 양단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작동제어부(190)로 전송되는 자기신호(sig_mag)는 0v가 된다. 즉, 상기 작동제어부(150)에는 자기신호(sig_mag)로 0이 입력되므로, 상기 작동제어부(150)는 동작모드로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자기센서부(170)가 상기 모드전환값 이상의 자기장을 감지하면, 상기 자기센서부(170)는 상기 트랜지스터(tr)의 문턱전압 미만의 감지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경우, 상기 트랜지스터(tr)는 동작하지 않으며, 트랜지스터(tr) 양단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즉, Vcc에서 저항 r에 의한 전압강하를 뺀 크기의 전압이 자기신호(sig_mag)로 상기 작동제어부(190)에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Vcc와 저항 r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면, 상기 자기신호(sig_mag)의 크기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때의 자기신호(sig_mag) 크기를 상기 모드전환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전환값에 해당하는 자기신호(sig_mag)가 입력되면, 상기 작동 제어부(19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를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작동제어부(190)는, 상기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의 모드 전환 이외에, 상기 키입력부(110)로부터 전송받은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제어부(190)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서는 자석부(150)가 키입력부(110)에 위치하고, 자기센서부(17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하는 실시예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자석부(150)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에 위치하고, 자기센서부(170)가 키입력부(110)에 위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키보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을 전부 또는 일부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키입력부(110)는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을 포함하여, 상기 키배열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후면 커버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후면을 커버하는 것으로서, 가죽이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케블러(Kevlar) 등의 가요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연결부(130)는, 상기 키입력부(110)와 후면 커버부(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110)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석부(150)는 상기 키입력부(110)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다. 자기센서부(170)는, 상기 후면커버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작동제어부(190)는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부(150)와 상기 자기센서부(170)의 위치를 서로 바꾸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키입력부(110), 힌지연결부(130), 자석부(150), 자기센서부(170) 및 작동제어부(190)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10: 키입력부 120: 후면커버부
130: 힌지연결부 150: 자석부
170: 자기센서부 190: 작동제어부
200: 디스플레이장치 tr: 트랜지스터

Claims (9)

  1.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의 키입력을 전송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키배열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엣지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연결하여, 상기 키입력부에 대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연결부;
    상기 키입력부에 위치하여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연결부를 축으로 상기 키입력부를 회전하여 상기 키입력부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위치시키면 상기 자석부와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이고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1회의 키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석부와 자기센서부가 맞닿을 때 상기 자기센서부가 생성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하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센서동작신호를 상기 자기센서부에 전송하여 상기 자기센서부를 동작시켜 상기 자기센서부로부터 상기 자기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키입력부는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구비된 2개의 전도성막을 포함하여, 상기 전도성막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른 저항변화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2차원의 좌표로 파악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판별하며,
    상기 키입력부는 가죽,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케블러 중 어느 하나의 가요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자기센서부가 상기 키입력부에 위치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입력신호를,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부와 상기 작동제어부 사이에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
  9. 디스플레이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자의 키입력을 전송하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키(key)가 배열된 키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키배열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키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부;
    상기 키입력부와 후면 커버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키입력부가 회전하는 회전축을 제공하는 힌지연결부;
    상기 키입력부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부;
    상기 후면커버부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연결부를 축으로 상기 키입력부를 회전하여 상기 키입력부를 상기 후면 커버부 상에 위치시키면 상기 자석부와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자기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센서부; 및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모드전환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을 중단하는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자기신호의 크기가 상기 모드전환값 미만이고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1회의 키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작동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제어부는
    상기 자석부와 자기센서부가 맞닿을 때 상기 자기센서부가 생성하는 자기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모드전환값을 설정하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센서동작신호를 상기 자기센서부에 전송하여 상기 자기센서부를 동작시켜 상기 자기센서부로부터 상기 자기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키입력부는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하여 구비된 2개의 전도성막을 포함하여, 상기 전도성막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른 저항변화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2차원의 좌표로 파악하여 대응하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판별하며,
    상기 키입력부는 가죽,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케블러 중 어느 하나의 가용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을 덮는 휴대용 키보드 장치.
KR1020140050686A 2014-04-28 2014-04-28 휴대용 키보드 장치 KR101546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86A KR101546925B1 (ko) 2014-04-28 2014-04-28 휴대용 키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86A KR101546925B1 (ko) 2014-04-28 2014-04-28 휴대용 키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925B1 true KR101546925B1 (ko) 2015-08-27

Family

ID=54061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686A KR101546925B1 (ko) 2014-04-28 2014-04-28 휴대용 키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92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6136B2 (en)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JP5995922B2 (ja) タッチ及びホバー感知
US116567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plurality of virtual buttons on a device
US97852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input object detection and interaction
US9218126B2 (en) Methods circuits apparatus and systems for human machine interfacing with an electronic appliance
US93233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20090167719A1 (en) Gesture commands performed in proximity but without making physical contact with a touchpad
US20140085220A1 (en) Determining a dominant hand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EP2435894A1 (en) Touch- or proximity-sensitive interface
WO2008123546A1 (ja)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電話機
JP2012248035A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EP2755106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10126843B2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946544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echanical keyboard having touch sensors for detecting touches and actuation of mechanical keys
KR101546925B1 (ko) 휴대용 키보드 장치
EP3547091A1 (en) Floating touch control sensing method, floating touch control sensing system and floating touch control electronic device
US11789569B2 (en) Physical control device for touchscreens
KR20150124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7614B1 (ko) 접촉감지식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가변 촉각효과로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4552A (ko) 입력부를 구비하는 커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N103092491A (zh) 生成控制命令的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
CN109144398A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TWI701550B (zh) 電源控制方法與使用此方法的電子裝置
KR20180050800A (ko) 터치 패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CA2845397C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