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57A -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357A
KR20150124357A KR1020140117865A KR20140117865A KR20150124357A KR 20150124357 A KR20150124357 A KR 20150124357A KR 1020140117865 A KR1020140117865 A KR 1020140117865A KR 20140117865 A KR20140117865 A KR 20140117865A KR 20150124357 A KR20150124357 A KR 20150124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nalysis
pipe network
gi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1867B1 (ko
Inventor
정광식
박태용
Original Assignee
(주)아이뱅크컨설턴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뱅크컨설턴츠 filed Critical (주)아이뱅크컨설턴츠
Publication of KR2015012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아이에스(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GIS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배관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배관망 데이터에서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기반 배관망 정보가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고, 해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고값을 검색하고, 시간당 가스소비 추정량을 산출하여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와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FLUID STREAM IN PIPE NETWORK BASED GIS}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을 편리하게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이다.
지아이에스(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정보는, 지리(Geographic:실세계, 공간적실체, 지리), 정보(Information:자료(data)로부터 가공, 의사결정에 이용), 체계(System: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정보들의 집합체)를 통합한 것으로 지리공간 데이터를 분석·가공하여 도로·교통·통신 등과 같은 지형 관련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하고, 과거 인쇄물 형태로 이용하던 지도 및 지리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작성·관리하고, 여기서 얻은 지리정보를 기초로 데이터를 수집·분석·가공하여 지형과 관련되는 모든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설계된 종합정보시스템을 말한다.
종래에는 GIS 정보로 구축된 배관망도 데이터를 유체흐름 해석을 위한 데이터로 직접 활용이 어려웠고, 고가의 연결(미들웨어) 제품을 추가로 구매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망에 대한 유체흐름해석 시스템(외국 제품)은 수치해석 전문으로 수치지형도 상에 배관망도의 그래픽 입력 및 편집이 매우 불편하고 기존 DB들과 연계 처리가 불가하다.
또한, 외국제품은 입력된 배관망도 데이터의 오류 검색과 분석 및 처리 기능이 부족했다.
또한, 해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배관시설정보 및 사용량정보) 생성 및 적용과정이 분리되어 있어서 일관성있는 해석 및 분석 시스템 운영이 불가하여 GIS DB, 사용량 DB, 실시간 측정 데이터를 연계 통합하고, 그래픽정보 처리가 우수한 GIS 기반 시스템으로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 기능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GIS의 배관망 데이터는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용 데이터로 변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구조가 아니어서 GIS 배관망의 속성정보와 그래픽정보를 가공해서 변환한 후 유체흐름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석의 정확도를 좌우하는 표고값(고도차) 적용 및 시간유량(시간당 가스소비 추정량)의 정확한 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GIS 배관망의 해석에러 및 잠재적 에러 요인들을 분석하고 수정할 수 있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환경을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사용자가 시스템 사용이 쉽고 다양한 작업과 성능이 우수한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IS), 원방감시(SCADA), 전사적자원 관리시스템(ERP) 정보들을 연계해서 GIS 기반에서 배관망내의 유체흐름에 대한 해석(압력, 유량, 유속)을 위하여 GIS 배관망 및 사용량 입력/편집 기능, 해석용 데이터 자동 생성 기능, 유체수치 계산 기능, 해석 결과 보기/분석/Reporting/Plotting 기능이 있는 세계 최초의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는, 배관망 정보 및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배관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관망 데이터를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기반 배관망 정보가 지도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방법은, GIS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배관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배관망 데이터에서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기반 배관망 정보가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분석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빠른 운영속도, 쉬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최상의 활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버전파일 관리로 해석 데이터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셋째, 최신의 GIS 데이터를 해석데이터로 사용하고, 정형화된 시간유량 산출 및 유량값 보정 기능을 제공하여 배관망해석의 정확도를 대폭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해석결과를 이용한 다양한 분석 결과를 그래픽 화면과 문서로 제공하여 안정적인 가스 공급을 위한 배관망 설계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해석을 이용한 최적의 배관망 설계를 지원하여 안전성 향상 및 공사비 절감을 할 수 있어서 경제적 이익을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나아가,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및 "장치"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부", 및 "장치"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설계 가능하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100)는, 배관망 정보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서버(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GIS 정보와 배관망 정보는 통합하여 통합 관리서버(110)에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는 데이터들은 통합 관리서버(110)에 저장되고,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100)에서 필요한 정보만 다운로드해서 재가공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정보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시스템의 동작 방법 및 구성에 관하여는 이하 도면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100)는, 데이터 저장부(101), 데이터 추출부(102), 데이터 변환부(103), 제어부(104), 디스플레이부(10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01)는, 통합 관리서버(110)로 부터 배관망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부(102)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관망 데이터를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03)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버전파일)로 변환하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 동작에 관하여는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04)는, GIS 기반 배관망 정보가 지도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05)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도에는 배관, 밸브, 정압기, 등이 설치된 위치에 그래픽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GIS 배관망 정보는 배관망내의 유체흐름 해석 및 분석을 위한 것으로,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정보 및 GIS 공간정보가 포함 될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변환부 (103)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정보 및 GIS 공간정보의 각 객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변환부(103)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는 배관망내의 압력/유량/유속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103)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망내의 압력/유량/ 유속 정보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6)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해석된 결과를 조회, 분석하여 사용자가 배관망을 추가 입력/편집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와 사용자가 배관망을 추가 입력/편집하여 업데이트된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의 연결성 및 종속관계를 기반으로 해석에러 분석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04)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와 사용자가 배관망을 추가 입력/편집하여 업데이트된 내용에 기초하여, 배관망의 구조 및 속성 값을 분석하여 잠재적인 에러 요인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 리포트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배관망과 연계하여 공급미달 지역 분포 검색 및 공급미달 지역에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루프구간 검색/분석을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고검색은 배관의 시작점과 끝점에 인접한 표고값 검색 시 공간연산을 이용한 검색은 효율이 좋지 않으므로 검색 범위에 따라 GIS 화면 스케일을 조정해서 로케이션 서비스로 검색 속도를 극대화하여 표고값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고값 검색은 , 반경 5m 이내에 표고값을 검색해서 배관의 끝점에 가장 가까운 표고값을 찾아서 배관에 적용하며, 반경 5m 이내에 표고값이 없을 경우, 15m, 50m, 150m,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표고값을 검색할 수 있고, 상기 표고값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선택월 전후(전월, 선택월, 후월) 판매량에서 최고 판매량을 추출해서 수용가 용도에 따른 팩터값을 적용하여 시간당 가스 소비 추정량(시간유량)을 산출 하고, 상기 시간당 가스소비 추정량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시간당 가스소비 추정량(시간유량)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간유량 = 용도별 월판매량 * 용도별 팩터값
팩터값 산출:
1) 데이터베이스에서 용도별 고지전수, 용도별 월판매량 집계
2)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월의 최고 일판매량, 일피크량 조회
3) 용도별 사용일수를 입력 (월별 평균 사용일수)
4) 용도별 사용시간을 입력 (평균 사용시간)
5) 용도별 평균일판매량 = 용도별 월판매량 / 용도별 사용일수
6) 용도별 일피크율 = 일판매량 / 용도별 평균일판매량 합산
7) 용도별 일판매량 = 용도별 평균일판매량 * 용도별 일피크율
8) 용도별 평균시간유량 = 용도별 일판매량 / 용도별 사용시간
9) 용도별 일피크량 = 용도별 평균시간유량 / (용도별 평균시간유량 합산 * 일피크량)
10) 용도별 팩터값 = 용도별 일피크량 / 용도별 월판매량
11) 용도별 평균유량 = 용도별 일피크량 / 용도별 평균일판매량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배관망 정보 및 GIS 정보 통합 관리서버는, 배관망 정보 및 GIS 정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 속성 데이터, 인덱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데이터는, 배관망 정보 및 GIS 정보를 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이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지도에는 배관, 밸브, 정압기, 등이 설치된 위치에 그래픽으로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그 객체의 표시 방법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속성 데이터는, 배관망 정보 및 GIS 정보의 속성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관망 정보 및 GIS 정보가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의 설치 정보가 될 수 있으므로, 상시 속성 데이터는 저장된 배관망 및 GIS 정보가 어떠한 것에 대한 정보인지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 데이터를 통하여 배관망 정보 및 GIS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인덱스 번호 또는 인덱스 식별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픽 데이터, 속성 데이터 및 인덱스 데이터는 GIS 소스데이터로서, GIS 정보 관리자에 의해서만 열람이 가능하고, 일반 사용자에게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01), 데이터 추출부(102) 및 데이터 변환부(103)는,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다운로드, 데이터 추출,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 분석, 배관망에 매칭된 공간정보 검증, 및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여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배관망 해석데이터(버전파일)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추출은, 배관망 정보 및 GIS 정보 통합 관리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에서 사용되기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추출한다. 추출된 정보는, 시설물 즉,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각 객체의 정보 및 GIS의 공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이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 분석은, 추출된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이 어떠한 정보들인지 분류한다.
분석된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의 연결성(Connectivity)과 종속관계(Ownership)를 기반으로 분석을 하고, 잠재적 에러 요인 분석은 배관망의 구조와 속성값을 종합적으로 분석해서 유추하여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 무결성 검사 후, 검증된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를 데이터 변환부(103)를 통하여 배관망 해석데이터(버전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하여 해석된 결과를 조회, 분석하여 사용자가 배관망을 추가 입력/편집하면,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 무결성 검사 후 해석결과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방법은,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GIS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배관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S101).
또한, 상기 저장된 배관망 데이터에서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S102).
즉,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전부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만 추출하여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한다(S103).
실시 예에 따라,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데이터 변환부에 의하여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즉, 데이터 변환부는, 추출된 데이터의 배관망 정보 및 공간정보의 무결성 검사(S104) 통하여 데이터를 검증하고, 데이터 변환한 후 배관망 해석결과 데이터(S105)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기반 배관망 정보가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S106)한다.
즉, 상기 지도에는 배관, 밸브, 정압기, 등이 설치된 위치에 그래픽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GIS 기반 배관망 정보는, 배관망내의 유체흐름 해석 및 분석을 위한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각 객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는 배관망내의 압력/유량/유속 정보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해석된 결과를 조회, 분석하여 사용자가 배관망을 추가 입력/편집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의 연결성 및 종속관계를 기반으로 해석에러 분석을 할 수 있다.
또한, 배관망의 구조 및 속성 값을 분석하여 잠재적 에러 요인을 유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배관망과 연계하여 공급미달 지역 분포 검색 및 공급미달 지역에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루프구간 검색/분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검색 범위에 따라 GIS 화면 스케일을 조정해서 로케이션 서비스로 표고값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고값을 검색하는 방법은, 범위는 반경 5m 이내에 표고값을 검색해서 배관의 끝점에 가장 가까운 표고값을 찾아서 배관에 적용하고, 반경 5m 이내에 표고값이 없을 경우 15m, 50m, 150m, 순차적으로 표고값을 검색할 수 있고, 상기 표고값을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시간당 가스소비 추정량을 산출하며, 상기 시간당 가스소비 추정량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의 연결 상태를 지도와 함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라, GIS 기반 배관망 정보, 즉,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의 연결성 및 종속관계를 기반으로 해석에러 분석과 배관망의 구조 및 속성 값을 분석하여 잠재적 에러 요인을 유추할 수 있는 무결성 검사를 실시하여,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110: 배관망 정보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서버

Claims (17)

  1. 배관망 정보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배관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배관망 데이터를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기반 배관망 정보가 지도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IS 기반 배관망 정보는,
    배관망내의 유체흐름 해석 및 분석을 위한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각 객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해석된 결과를 조회, 분석하여 사용자가 배관망을 추가 입력/편집하여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5. 제3항 또는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의 연결성 및 종속관계를 기반으로 해석 에러 분석을 하고, 배관망의 구조 및 속성 값을 분석하여 잠재적 에러 요인을 유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결과 리포트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배관망과 연계하여 공급미달 지역 분포 검색 및 공급미달 지역에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루프구간 검색/분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검색 범위에 따라 GIS 화면 스케일을 조정해서 로케이션 서비스로 표고값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값의 검색은,
    반경 5m 이내에 표고값을 검색해서 배관의 끝점에 가장 가까운 표고값을 찾아서 배관에 적용하며,
    반경 5m 이내에 표고값이 없을 경우 15m, 50m, 150m, 순차적으로 표고값을 검색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고값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시간당 유체 소비 추정량을 산출 하고,
    상기 시간당 유체 소비 추정량을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11.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장치의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 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에 있어서,
    GIS 통합 관리서버로부터 배관망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배관망 데이터에서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의 요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배관망 해석에 적합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기반 배관망 정보가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GIS 기반 배관망 정보는,
    배관망내의 유체흐름 해석 및 분석을 위한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 각 객체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석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변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해석된 결과를 조회, 분석하여 사용자가 배관망을 추가 입력/편집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밸브/정압기/수용가의 연결성 및 종속관계를 기반으로 해석에러 분석을 하는 단계; 및
    배관망의 구조 및 속성 값을 분석하여 잠재적 에러 요인을 유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에 기초하여, GIS 배관망과 연계하여 공급미달 지역 분포 검색 및 공급미달 지역에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루프구간 검색/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결과 데이터를 기초하여, 검색 범위에 따라 GIS 화면 스케일을 조정해서 로케이션 서비스로 표고값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제공방법.


KR1020140117865A 2014-04-25 2014-09-04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와 방법 KR101671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0134 2014-04-25
KR1020140050134 2014-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357A true KR20150124357A (ko) 2015-11-05
KR101671867B1 KR101671867B1 (ko) 2016-11-04

Family

ID=54600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865A KR101671867B1 (ko) 2014-04-25 2014-09-04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8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059B1 (ko) * 2018-06-18 2018-09-06 지오로그(주) Gis와 통합된 상수관망 시스템
CN108701335A (zh) * 2016-11-24 2018-10-23 韩国物流网络股份有限公司 通过连接基于s-100的海事数据与大数据来生成标准信息的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020A (ja) * 1998-10-07 2000-04-21 Meidensha Corp 網解析用データの作成方法
KR20010044659A (ko) * 2001-03-14 2001-06-05 김계현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JP2005115526A (ja) * 2003-10-06 2005-04-28 Toho Gas Co Ltd 埋設配管の応力解析システム、および入出力装置
JP2010267076A (ja) * 2009-05-14 2010-11-25 Taiki Survey Corp 管網解析用データ生成方法及び管網解析用データ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020A (ja) * 1998-10-07 2000-04-21 Meidensha Corp 網解析用データの作成方法
KR20010044659A (ko) * 2001-03-14 2001-06-05 김계현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하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및 방법
JP2005115526A (ja) * 2003-10-06 2005-04-28 Toho Gas Co Ltd 埋設配管の応力解析システム、および入出力装置
JP2010267076A (ja) * 2009-05-14 2010-11-25 Taiki Survey Corp 管網解析用データ生成方法及び管網解析用データ生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1335A (zh) * 2016-11-24 2018-10-23 韩国物流网络股份有限公司 通过连接基于s-100的海事数据与大数据来生成标准信息的系统及方法
KR101896059B1 (ko) * 2018-06-18 2018-09-06 지오로그(주) Gis와 통합된 상수관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867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01963A1 (en) Processing data for predicting pipe failure
CN108874919B (zh) 规划用地自动核查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及系统
US202003791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ipeline management
US105800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wat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control
Kim et al. Highway alignment construction comparison using object-oriented 3D visualization modeling
US20190361847A1 (en) Spatial Linking Visual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900862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resource savings
US20130067379A1 (en) Graphical comparis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US8548757B1 (en) Method for calculating maximum allowable operating pressure and maximum operating pressure of a pipeline
KR101671867B1 (ko) Gis 기반 배관망내의 유체 흐름해석 및 분석 장치와 방법
KR102184048B1 (ko) Gis 기반 토지 이용 계획 검토 시스템 및 방법
US200200427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nd displaying real-time information related to natural gas pipelines
CN116431937A (zh) 基于地理信息云平台的时空大数据系统
Ashby et al. Hydroviewer: A web application to localize global hydrologic forecasts
US20230065012A1 (en) Building project management validation product
WO2012162736A1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9582836A (zh) 一种供水计量管理系统
US20150261788A1 (en) Generating Digital Data From Physical Media
Dutt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outh Esk hydrological sensor web: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and semantic linked data approach
JP2002372200A (ja) 管網解析用管網データ作成方法及び管網解析用管網データ作成装置及び管網解析用管網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KR20180001385A (ko) 지하 매설관 정보 통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160048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e Request Entry Configured for Defining Multiple Excavation Sites as Part of a Single Locate Request
CN110597931A (zh) 一种水环境信息采集装置及采集方法
US1182530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of a hydrocarbon system
KR101567538B1 (ko) 위험도 조정형 지아이에스 연계 상수도 자산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