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193A -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193A
KR20150124193A KR1020140050701A KR20140050701A KR20150124193A KR 20150124193 A KR20150124193 A KR 20150124193A KR 1020140050701 A KR1020140050701 A KR 1020140050701A KR 20140050701 A KR20140050701 A KR 20140050701A KR 20150124193 A KR20150124193 A KR 2015012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h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924B1 (ko
Inventor
고인순
Original Assignee
고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순 filed Critical 고인순
Priority to KR1020140050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뱀딸기 추출물 70 내지 95 중량부, 및 검은콩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 첨가물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순수 천연 물질만을 이용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Composition Having Promoting Effect on Induction of Black Hair and Inhibitory Effect on Induction of White Hair}
본 발명은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물질을 이용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주성분은 단백질이며, 크게 모표피, 모피질, 모수질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수질을 감싸고 있는 모피질은 모발에서 가장 두터운 부분(80~90 중량%)으로서 멜라닌색소 및 지질막과 TRP-1(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Tyrosinase Related Protein-2) 및 기타단백질로 구성된 멜라노좀이라는 과립을 포함하고 있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사이트내의 소기관인 멜라노좀에서 합성되며, 멜라노사이트의 수지강 돌기를 통하여 주위의 케라티노사이트로 이행한다.
멜라닌의 합성경로를 보면, 먼저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이 산화되어 도파로, 다시 산화하여 도파퀴논이 생성되는 단계에서 타이로시나제가 관여하며, 그 후의 반응은 자동 산화적으로 진행되지만, TRP-1 및 TRP-2와 같은 효소가 관여하여 반응을 가속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발의 색상은 아미노산인 타이로신을 원료로 하여 형성되는 유멜라닌 및 페오멜라닌의 유형과 분포량에 따른 정도 등의 요인에 의해 모발의 밝기를 결정시켜 사람마다 독특한 모발색을 드러낸다. 유멜라닌은 가장 흔하고 제일 진한 색소로서 갈색과 검정 머리의 색을 만들며, 페오멜라닌은 보다 옅은 색의 색조로서 금발의 머리색을 만든다.
백발은 생리적 노화의 한 현상으로 모발 멜라노사이트의 수적 감소 및 멜라노사이트의 기능 저하에 의한 멜라닌 생성의 감소에 의해 유발된다.
백발을 감추기 위한 염색제가 많이 연구되고, 또한 널리 시판되고 있으나, 흑발염색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백발의 성장에 의해 다시 염색하지 않으면 안 되고,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형 흑발염색은 산화제 등의 사용에 의해 피부에 손상을 준다. 따라서, 백발의 발생을 방지하는 백발방지제에 대하여 각종 연구가 행해지고 있음을 한국공개 제2002-0059906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백발 방지제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천연 물질을 이용한 백발 방지제의 경우에는 백모를 방지하고 흑모를 유발함에 있어서의 충분한 효과가 확인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뱀딸기 추출물 70 내지 95 중량부; 및 검은콩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베리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선인장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측백나무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백초 추출물 3 내지 7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수오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녹차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물질을 이용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을 5개월간 사용한 사용자의 모발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사진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구체적으로는 홍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뱀딸기 추출물 70 내지 95 중량부, 검은콩 추출물 3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한다.
-홍삼 추출물-
홍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는 발모촉진에 효능이 있으며, 홍삼 추출물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뱀딸기 추출물과의 배합비 조성에서 발모촉진의 효능이 다소 낮은데 문제가 있고, 홍삼 추출물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전물이 많아지며 그 향이 너무 진해짐에 사용감에 문제가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20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뱀딸기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은 피부세균에 관한 항염에 효능이 있으며, 뱀딸기 추출물을 70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홍삼추출물과의 배합비 조성에서 발모촉진의 효능이 다소 낮은데 문제가 있고, 뱀딸기 추출물이 9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전물이 많아지며 그 향이 너무 진해짐에 사용감에 문제가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뱀딸기 추출물을 70 내지 95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검은콩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은 검은콩에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 중 모발의 성장에 꼭 필요한 성분인 아르니긴은 모발 성장을 촉진 시키는 나이트릭아크사이드의 대사전구 물질이며 모발의 성장 필수 성분인 시스테인은 탈모방지 효과가 있으며 모발을 검게 하는데 효능이 있다.
한편, 검은콩 추출물을 3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 효과 발현의 유효성에 문제가 있고, 검은콩 추출물이 7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인 홍삼 추출물과 뱀딸기 추출물의 약리 효과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검은콩 추출물을 3 내지 7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홍삼 추출물, 뱀딸기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 이외에도, 블루베리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백초잎/뿌리 추출물, 하수오뿌리/줄기 추출물, 녹차 추출물, 창포 추출물, 헤나 추출물, 금송 추출물, 고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해조 추출물, 감초 추출물, 에스피노질리아, 위치헤이즐, 오배자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부평초 추출물, 자전차 추출물, 니코틴산 아마이드, 이의인 추출물, 및 소팔미토를 추가로 혼합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 블루베리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은 머리카락을 튼튼히 하는 데에 효능이 있으며, 블루베리 추출물을 10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 효과 발현의 유효성 문제가 있고, 블루베리 추출물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인 홍삼 추출물과 뱀딸기 추출물의 약리 효과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블루베리 추출물을 10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선인장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은 염증에 효능이 있으며, 선인장 추출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 효과 발현의 유효성 문제가 있고, 선인장 추출물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인 홍삼 추출물과 뱀딸기 추출물의 약리 효과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선인장 추출물을 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측백나무잎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은 탈모예방과 두피 치료에 효능이 있으며, 측백나무잎 추출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 효과 발현의 유효성에 문제가 있고, 측백나무잎 추출물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인 홍삼 추출물과 뱀딸기 추출물의 약리 효과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측백나무잎 추출물을 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삼백초잎/뿌리 추출물-
삼백초잎/뿌리 추출물은 염증과 혈행개선에효능이 있으며, 삼백초잎/뿌리 추출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 효과 발현의 유효성에 문제가 있고, 삼백초잎/뿌리 추출물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인 홍삼 추출물과 뱀딸기 추출물의 약리 효과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삼백초잎/뿌리 추출물을 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 하수오뿌리 /줄기 추출물-
하수오뿌리/줄기 추출물은 흑모유발에 효능이 있으며, 하수오뿌리/줄기 추출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 효과 발현의 유효성에 문제가 있고, 하수오뿌리/줄기 추출물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인 홍삼 추출물과 뱀딸기 추출물의 약리 효과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수오뿌리/줄기 추출물을 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녹차 추출물-
녹차 추출물은 두피를 깨끗하게 하는데 효능이 있으며, 녹차 추출물을 1 중량부 미만으로 하는 경우에는 약리 효과 발현의 유효성에 문제가 있고, 녹차 추출물이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요 성분인 홍삼 추출물과 뱀딸기 추출물의 약리 효과의 발현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녹차 추출물을 1 내지 3 중량부로 혼합하였다.
-창포 추출물-
창포 추출물은 머리카락을 튼튼하고 부드럽게 하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창포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헤나 추출물-
헤나 추출물은 두피의 열을 진정시켜 주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헤나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금송 추출물-
금송 추출물은 두피 트러블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금송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고삼 추출물-
고삼 추출물은 염증을 가라앉히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고삼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당귀 추출물-
당귀 추출물은 염증을 완화하고 혈행을 개선하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당귀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해조 추출물-
해조 추출물은 머리카락을 탄력있게 하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해조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감초 추출물-
감초 추출물은 지루성 피부염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초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에스피노질리아 -
에스피노질리아는 비듬을 줄여주고 탈모예방, 발모촉진, 지루성두피 완화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에스피노질리아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위치헤이즐 -
위치헤이즐은 피지 조절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위치헤이즐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오배자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은 피지조절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오배자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자작나무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은 두피를 깨끗하게 하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자작나무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평초 추출물-
부평초 추출물은 항염, 두피 진정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부평초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자전차 추출물-
자전차 추출물은 항염, 두피 진정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자전차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니코틴산 아마이드 -
니코틴산 아마이드는 비타민 B3의 복합체이며 탈모방지, 발모촉진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니코틴산 아마이드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의인 추출물-
이의인 추출물은 두피 트러블개선에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의인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소팔미토 -
소팔미토는 혈행을 개선하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소팔미토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은행 추출물-
은행 추출물은 탈모와 백모를 방지하는데 효능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은행 추출물 0.1 내지 0.5 중량부를 추가함으로써,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보여지듯이, 건조한 뱀딸기 전초(全草)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각 추출물에 대하여, B16F10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살펴본 결과, 무처리군인 대조군에 비해 물 추출물은 32.5%, 70% 에탄올 추출물은 26.3%의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세포 실험 결과는 동물실험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상기 뱀딸기 물 추출물과 홍삼 물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두피 영양제를 이용하여 수행한 임상평가에서 있어서도 뚜렷한 흑모 유발 촉진 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뱀딸기 추출물"이란 추출 방법을 불문하고 추출 대상인 뱀딸기를 증류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에 침지시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과 그 조추출물을 상기 열거된 용매로 분획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되며, 또 추출 방법을 불문하므로, 추출 대상을 추출 용매에 침지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추출되는 한, 추출 방법은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등 임의의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뱀딸기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홍삼 추출물, 검은콩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백초잎/뿌리 추출물, 하수오뿌리/줄기 추출물, 녹차 추출물, 창포 추출물, 헤나 추출물, 금송 추출물, 고삼 추출물, 당귀 추출물, 해조 추출물, 감초 추출물, 오배자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부평초 추출물, 자전차 추출물, 이의인 추출물도 그 추출 대상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뱀딸기 추출물"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명세서 상의 홍삼 추출물에서의 "홍삼"은 수삼을 증숙시킨 후 건조시켜 얻어진 붉은 인삼을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삼을 증숙시킨 후 수분 함량이 10∼15 중량% 정도가 되도록 양지 또는 음지에서 건조시켜 얻어진 것을 말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는 뱀딸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였지만, 당업자에게 뱀딸기 분말과 홍삼 분말을 사용한 경우도 유사한 효과를 보일 것임이 자명하므로, 뱀딸기 추출물/홍삼 추출물을 대신하여 또는 뱀딸기 추출물/홍삼 추출물과 함께 뱀딸기 분말/홍삼 분말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에 있어서, 뱀딸기 추출물은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70 중량부 내지 75 중량부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를 촉진시킬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모발 화장품(Hair cosmetics)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이 모발 화장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품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분말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뱀딸기 추출물 이외에 모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콜,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방부제,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희석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몇 가지를 예시하여 보면, 알콜로서는 고급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소르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의 수용성 다가 알콜 등을 들 수 있고, 오일로서는 아보가드유, 팜유, 우지, 호호바유 등을 들 수 있고, 방부제로서는 에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을 들 수 있으며, 보습제로서는 히알론산, 황산콘드로이친(chondroitin sulfate), 피롤리돈카복실산염 등을 들 수 있으며, 희석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샴푸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이 샴푸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뱀딸기 추출물 이외에 샴푸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그러한 담체로서는 계면활성제, 기포증진제, 유화제, 점증제, 향수(向水)제(hydrotrope), 방부제, pH 조절제, 살균제, 비듬방지제, 토닉제, 보습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기포 증진제, 유화제, 점증제, 향수(向水)제(hydrotrope), 방부제, pH 조절제, 살균제, 비듬방지제, 토닉제 등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계면활성제로는 알킬에테르황산염S(Alcohol Ethoxy Sulfate; Sodium Lauryl Ethoxylated Sulfate), 알킬황산염(Alcohol Sulfate), 아실싸르코신산염, 아실그루타민산염, 인산에스테르, 슈크로스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포 증진제로는 알카놀아미드와 아민옥사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점증제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전분, 텍스트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향수제로는 에칠알콜, 부칠알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모 유발 또는 백모 방지용 조성물은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그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 연화제 등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국소형 제형 예컨대 크림, 로션, 연고(반고형의 외용약), 마이크로로에멀젼, 젤, 페이스트, 경피제제(TTS)(예컨대 패치제, 붕대 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뱀딸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제조
< 실시예 1>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1-1>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예 1
건조한 뱀딸기 전초 1kg에 물 5ℓ를 넣고 70~90℃의 온도로 약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뱀딸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뱀딸기 추출물의 제조예 2
건조한 뱀딸기 전초 1kg를 70% 에탄올 2ℓ에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뱀딸기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홍삼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2-1> 홍삼 추출물의 제조예 1
홍삼 세절물 1kg에 물 5ℓ를 넣고 70~90℃의 온도로 약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홍삼 추출물의 제조예 2
홍삼 세절물 1kg를 70% 에탄올 2ℓ에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검은콩 추출물의 제조
<실시예 3-1> 검은콩 추출물의 제조예 1
검은콩 세절물 1kg에 물 5ℓ를 넣고 70~90℃의 온도로 약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검은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2> 검은콩 추출물의 제조예 2
검은콩 세절물 1kg를 70% 에탄올 2ℓ에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침지시켜 추출액을 얻고, 그 추출액을 2㎛의 여과지로 여과한 후 그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검은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흑모 유발 촉진 효과 실험
<실험예 1>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 실험
<실험예 1-1> 멜라닌 생성 촉진율 측정 실험
마우스 유래 B16F10 세포를 10% PBS(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24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1×105 세포/웰의 농도로 세포를 18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 배양액에 아래의 [표 1]과 같이 시료(상기 각 실시예의 추출물 또는 상기 실시예 추출물의 동량의 혼합물)을 100㎍/mL의 농도로 처리하고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NaOH로 세포를 녹여 40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아래의 식에 따라 시료의 멜라닌 생성 촉진 정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 촉진율(%)=(각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
시료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
대조군(무처리군) 100
<실시예 1-1>의 추출물 132.5±4.3**
<실시예 1-2>의 추출물 126.3±2.5**
<실시예 1-1>,<실시예 2-1>,<실시예 3-1>의 각 추출물의 혼합물 147.2±3.7**
<실시예 1-2>,<실시예 2-2>,<실시예 3-2>의 각 추출물의 혼합물 143.9±5.2**
- 모든 실험 결과는 Mean±SD 값으로 나타냈으며, Student's t-test로로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p<0.05, ** p<0.01)
상기 [표 1]의 결과는 뱀딸기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이 있음을 보여주며, 뱀딸기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 및 검은콩 추출물과 혼합 처리될 경우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이 더 높아짐을 보여준다.
<실험예 1-2> 세포 증식 촉진 평가 실험
상기 멜라닌 생성 촉진 활성이 세포 증식 촉진에 따른 결과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증식율을 평가하였다.
B16F10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105 cells/mL로 조절한 후 24웰 플레이트드에 접종하고, 18시간 전 배양 후 상기 [표 1]의 시료를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농도로 처리하여 3일간 37℃, 10% CO2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여기에 PBS 2㎎/㎖의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200 ㎕를 첨가하고 동일한 배양 조건으로 4 시간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당 DMSO 200 ㎕를 가하여 57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증식율을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고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세포 증식 촉진율(%)=(각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세포 증식 촉진 활성(%)
시료 세포 증식 촉진 활성(%)
대조군(무처리군) 100
<실시예 1-1>의 추출물 97.5
<실시예 1-2>의 추출물 98.7
<실시예 1-1>,<실시예 2-1>,<실시예 3-1>의 각 추출물의 혼합물 102.4
<실시예 1-2>,<실시예 2-2>,<실시예 3-2>의 각 추출물의 혼합물 99.2
상기 [표 2]의 결과는 상기 [표 1]의 결과가 세포 증식 촉진 활성에 따른 결과가 아님을 보여준다.
<실험예 2> 흑모 유발 촉진 활성에 대한 동물실험
실시예 추출물 또는 실시예 추출물의 혼합물의 백모 발모 억제 및 흑모 유발 촉진 효과를 C3H/Hej 마우스를 대상으로 변형된 Furuichi 방법(Biosci. Biotechnol. Biochem., 69(5):873(2005))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4주령 암컷 C3H/Hej 마우스(SLC, Japan)를 구입하여 1주일 동안 적응기를 거친 후, 마우스를 5마리씩 4개의 시험군과 1개의 대조군으로 나누고 Ketamin(Huons, Korea)과 Rompun(Bayer, Germany)의 7:3의 혼합물을 주사하여 마취시킨 다음 등 부위의 털을 wax hair removal kit(Reckitt Benckiser, England)로 제거하였다. 상기 [표 1]의 시료를 vehicle (AOO, acetone : olive oil = 4 : 1)에 5.0%(w/v)로 녹여 준비한 후 12주 동안 등 부위에 도포하였다. 도포 완료 후 등 부위의 털을 채취하여 10% DMSO + 1 NNaOH 용액으로 멜라닌을 용해시키고, microplate reader로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아래의 식에 따라 시료의 멜라닌 생성 촉진 정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생성 촉진율(%)=(각 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증가율
시료 멜라닌 생성 증가율(%)
대조군(무처리군) 100
<실시예 1-1>의 추출물 121.7±5.3**
<실시예 1-2>의 추출물 114.4±4.3**
<실시예 1-1>,<실시예 2-1>,<실시예 3-1>의 각 추출물의 혼합물 129.4±2.9**
<실시예 1-1>,<실시예 2-1>,<실시예 3-1>의 각 추출물의 혼합물 125.5±4.2**
- 모든 실험 결과는 Mean±SD 값으로 나타냈으며, Student's t-test로로 유의차를 검증하였다(* p<0.05, ** p<0.01)
상기 [표 3]의 결과는 상기 [표 1]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뱀딸기 추출물에 홍삼 추출물과 검은콩 추출물을 혼합 사용할 경우에 더 높은 멜라닌 생성 증가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3> 흑모 유발에 대한 임상평가
상기 실시예의 추출물의 흑모 유발 촉진 효과를 임상에서 확인하고자 아래와 같이 임상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아래의 [표 4]와 같이 <실시예 1-1>의 뱀딸기 추출물과 <실시예 2-1>의 홍삼 추출물이 함유된 두피 영양제 조성물을 제조하고, 백모 증상을 가지는 60대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샴푸 후 5개월 동안 1일 1회 내지 2회 두피에 적량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사용 전후의 사진으로 나타내었는데 이를 통하여 사용 전후에 현저하게 흑모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피 영양제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1> 뱀딸기 추출물 7.0
<실시예 2-1> 홍삼 추출물 3.0
정제수 잔량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홍삼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뱀딸기 추출물 70 내지 95 중량부; 및
    검은콩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를 포함하는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블루베리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선인장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측백나무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백초 추출물 3 내지 7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하수오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녹차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 조성물.
KR1020140050701A 2014-04-28 2014-04-28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KR101849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01A KR101849924B1 (ko) 2014-04-28 2014-04-28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01A KR101849924B1 (ko) 2014-04-28 2014-04-28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93A true KR20150124193A (ko) 2015-11-05
KR101849924B1 KR101849924B1 (ko) 2018-04-18

Family

ID=5460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701A KR101849924B1 (ko) 2014-04-28 2014-04-28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2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2969A1 (en) * 2014-12-23 2016-06-30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Inhibition of hair growth
KR20190010482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보타메디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JP2019210245A (ja) * 2018-06-05 2019-12-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Cxcl12発現促進剤
KR20210008799A (ko) 2019-07-15 2021-01-25 박준형 흑모제
KR20210048992A (ko) 2019-10-24 2021-05-04 (주)리즈케이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993A (ko) 2019-10-24 2021-05-04 (주)리즈케이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660B1 (ko) * 2021-02-19 2021-11-17 우지안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2969A1 (en) * 2014-12-23 2016-06-30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Inhibition of hair growth
KR20190010482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보타메디 플로로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모 방지 및 흑모 촉진용 조성물 및 제품
JP2019210245A (ja) * 2018-06-05 2019-12-12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Cxcl12発現促進剤
KR20210008799A (ko) 2019-07-15 2021-01-25 박준형 흑모제
KR20210048992A (ko) 2019-10-24 2021-05-04 (주)리즈케이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993A (ko) 2019-10-24 2021-05-04 (주)리즈케이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924B1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924B1 (ko)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KR101393007B1 (ko) 람부탄 및 리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1233910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70136958A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38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233944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086227B1 (ko) 나도개감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61722B1 (ko) 연호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80060611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57A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9541A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78536A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1150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496500B1 (ko)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2386B1 (ko) 진귤 종자 가공물을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98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