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992A -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992A
KR20210048992A KR1020200132117A KR20200132117A KR20210048992A KR 20210048992 A KR20210048992 A KR 20210048992A KR 1020200132117 A KR1020200132117 A KR 1020200132117A KR 20200132117 A KR20200132117 A KR 20200132117A KR 20210048992 A KR20210048992 A KR 20210048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smetic composition
lactobacillus
comparative example
appropriat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523B1 (ko
Inventor
정석균
김청경
최치영
김선화
채교성
김정현
김동한
김경준
Original Assignee
(주)리즈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즈케이 filed Critical (주)리즈케이
Publication of KR20210048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양모 촉진을 통해 탈모를 개선시키면서도 모유두 활성 강화를 통한 멜라닌 색소 증가시켜 백모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모발 화장효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hair loss and white hair}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태양광선, 추위 및 외부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며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외형을 중요시하는 현대사회에서 탈모는 외적 표현에 가장 큰 장애요소이며 질병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다방면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서구화된 식생활과 내·외적 원인에 의해 남성의 경우 40-50대의 30% 이상에서 탈모 증세가 나타나고 여성의 탈모 유병율도 5%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탈모 연령이 20-30대까지 낮아지고 있다.
남성형 탈모증은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라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리덕타아제(5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더 강력한 호르몬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 바뀌게 되면, 이 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여 모낭을 성장기 단계에서 퇴화기 단계로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나게 한다. 따라서, 남성형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5 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한 DHT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여성형 탈모증은 주로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양의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원형 탈모증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원형 탈모증은 안드로겐성 탈모증과는 근본적으로 원인이 다르며, 치료법 또한 달라서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인위적으로 환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모발을 만들어내는 신체 내의 생리학적 기관인 모낭(hair follicle)은 출생 후의 발생 과정 동안 모발의 생성 및 생성된 모발이 활발히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phase), 모발이 퇴화하는 퇴행기(catagen phase), 모발 탈락 때까지 유지되는 휴지기(telogen phase), 탈모가 일어나는 탈모기(exogen phase)로 나뉘는 모발성장 주기(hair cycle)를 반복하며 모발의 성장과 유지 및 탈락에 관여한다. 많은 연구에 의해 이 모낭의 활성은 모유두 세포에 의해 일어나며, 특히 모유두 세포의 증식 및 분화가 모발성장 주기의 진행과 모발형성에 일차적으로 관여한다. 활발히 모발이 성장하는 성장기에는 모유두 세포의 활발한 증식 및 분화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모발의 성장이 중단되며 탈모현상이 일어나는 퇴행기, 휴지기, 탈모기에는 이 세포가 사멸된다.
따라서 발모 및 탈모에는 모유두 세포의 증식 및 사멸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므로 이의 증식을 유도함으로써 성장기를 길게 하거나 혹은 세포 사멸을 억제하고 퇴행기, 휴지기, 탈모기를 짧게 하는 것이 탈모를 개선, 치료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모유두 부근의 세포 분열과 이동은 머리카락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데, 성장기에서 모유두로부터 모발이 새롭게 생성되는데,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 호르몬 등에 의해서 세포가 활성화 되어 모유두로 세포의 이동이 나타나 모발의 성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모유두 세포의 증식은 탈모 억제 및 발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인자이다. 
백모는 일반적으로 노화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노령이라는 인상을 강하게 주기 때문에, 생성된 백모를 감추기 위하여 백모를 검게 염색하는 염색제가 많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염색은 일시적인 방법으로 백모의 성장에 의해 다시 염색해야 하고,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형 흑발염색제는 산화제 등의 사용에 의해 피부에 손상을 준다.
백모의 발생원인으로는 멜라노사이트의 줄기세포 소실, 및 멜라노사이트의 백활성 저하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노화로 인한 백모는 주로 줄기세포의 소실에 의하여 발생하고, 새치를 포함한 백모 발생은 현대 사회의 환경적,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멜라노사이트의 활성 저하에 의한다고 알려져 있다.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합성 활성은 MITF의 활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백모억제제로서, 검정참깨, 호도살, 한련초, 꿀에 보조성분으로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을 배합하여 이용하거나, 적하수오, 측백나무잎, 여정자, 한련초, 석염과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과 함께 검정콩과 함께 용기에 넣은 후 50℃의 온도에서 끓여 약액이 검정콩을 흑모 유지하는 방법, 검정깨, 흑송잎, 다시마를 이용한 것, 오갈피추출 엑기스를 이용한 것, 뇌하수체 호르몬을 이용한 것, cAMP(3'-5'-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를 이용한 것, 비타민 D3을 이용한 것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체감할 수 있는 효과는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백모 방지 및 백모증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 연구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백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0001)공개특허 제10-2015-0124193호 0002)공개특허 제10-2003-005206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원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되는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은 멜라닌 합성 촉진 펩타이드로서, 모발의 색소 침착을 촉진하고 모발이 백발로 변하는 과정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생체 모방 펩타이드이다. 구체적으로,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은 팔미트산과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으로 구성되는 합성 테트라펩타이드의 반응 생성물이며, α-멜라노사이트 자극 호르몬(MSH)의 생체 모방 펩타이드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은 예컨대, 0.00001 중량% 내지 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팔미토일테트라 펩타이드-20의 함량이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탈모 및 백목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0.1 중량% 초과할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라 발현하는 효과가 미비하여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은 L-타이로신(L-Tyrosine)을 포함하는 화합물로 L-타이로신은 멜라닌 생성의 중간체 역할을 담당뿐만 아니라 세포 기능을 조절자로 작용한다. 이들은 특성 수용체에 작용하면서 수용체-매개체 기작으로 세포기능 조절 및 멜라닌 생성의 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수용체는 보통 아미노산 유래 호르몬 수용체이다. 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멜라닌 생성과 멜라닌 생성의 중간체 역할을 통해 세포의 기능을 조절하여 모발의 멜라닌 색소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백모 개선에 유용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N-아세틸 타이로신은 예컨대,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N-아세틸 타이로신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일 경우 탈모 및 백목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0 중량% 초과할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라 발현하는 효과가 미비하여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미만일 경우 탈모 및 백목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0.1 중량% 초과할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라 발현하는 효과가 미비하여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를 탈지분유와 같은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배지 상에서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물의 혼합물(mixture)을 의미한다.
상기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발효물”은 미생물을 배지에서 일정 기간 동안 배양하여 수득한 균주, 그의 대사물, 여분의 영양분 등을 포함하는 배지, 상기 배지로부터 균주를 제거한 배양액을 상기 배지 또는 배양액의 희석물 또는 농축물, 또는 이들의 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의 카르복실기가 모발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큐티클 강화시킴으로써 모유두 새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모유두 세포의 멜라닌 색소 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또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등이 있으며, 이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구체적으로, 0.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이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탈모 및 백목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1.0 중량%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함유량 증가에 따라 발현하는 효과가 미비하여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락토바실러스의 발효는 포도당(글루코오스), 펩톤 배지에서 30 내지 39℃ 온도에서 12 내지 120시간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35℃에서 40 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30℃ 그 미만의 온도에서는 발효가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39℃ 초과의 온도에서는 열에 약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균이 사멸하기 때문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의 발효는 예컨대, 12 내지 120시간동안 또는, 24시간 내지 7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발효시간이 12시간 미만이면 펩톤화된 단백분해물의 분해 시간이 부족해서 저분자량의 펩타이드 함유량이 너무 적을 수 있고, 발효시간이 120시간을 초과 하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은 카르복실기를 다량 함유하는 발효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르복실기는 50 내지 95%로 치환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물의 카르복실기는 모발 내부의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상온 모발 내 외부 반응을 통해 모발의 색을 변화시켜 새치 개선 및 예방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유두 세포 증식 증대를 통해 모발 생성을 촉진시켜 탈모 개선시키며, 멜라닌 생성 촉진에 의한 백모 방지 및 백모증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 에어로졸 무스, 비 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파우더 및 오일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 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때 배합 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덱스판테놀(D-Panthenol), 멘톨(Menthol), 살리실산(Salicylic acid), 징크 피리치온(Zinc Pyrithione),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및 비오틴(Bio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덱스판테놀(D-Panthenol)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덱스판텐올은 0.2 내지 0.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덱스판테놀(D-Panthenol 은 상처 치유를 촉진하고,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모발의 피질에 침투하여 모간을 강화하고, 두피에 침투하여 모근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멘톨(Menthol)은 즉각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두피에 청량감 내지 상쾌함을 부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살리실산(Salicylic Acid)은 항균, 항염 효능, 비듬방지 효능이 있으며, 또한 각질 제거에도 유용하다.
상기 징크 피리치온(Zinc Pyrithione)은 수소펌프(proton pump)를 차단함으로써 세포막 수송 기능을 방해하여, 세포의 에너지 운반을 차단하는 원리로 세포의 분열을 늦춰 피지 분비 및 피부세포의 탈락을 줄여 세균과 진균의 성장을 늦춤으로써, 지루성 피부염에 의한 탈모를 완화하는데 유용하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은 수용성 비타민 B3로서, 멜라민 이동을 감소시켜 깨끗한 피부, 즉 깨끗한 두피를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즉, 멜라민은 기저막에 위치한 멜라노사이트에서 합성된 후에 멜라민을 적재한 멜라노좀(melanosomes) 돌기를 통해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전이되며, 결국은 피부표면으로 멜라민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 멜라노좀의 전이를 억제하는 것이다. 아울러, 지성 트러블 두피의 개선 및 두피 세포를 활성화시켜 콜라겐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로 노화 두피를 개선하는 효과와, 수분손실을 막고 진피의 미세순환을 자극하여 두피의 장벽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비오틴(Biotin)은 황(sulfur)을 함유하고 있는 비타민으로 지방과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한다. 비오틴은 4개의 탈탄산효소(carboxylase)의 필수적인 보조인자로 작용하며, 이 중 3개는 열량과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고 1개는 지방산을 만드는 데 작용한다. 탈탄산효소는 비오틴에 결합하여 기질에 이산화탄소를 첨가해 준다. 비오틴은 모낭 영양성분으로 피부와 두발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탈모를 완화하는데 유용하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모발세럼을 제조한 실시예와 본 발명의 유효성분3가지 유효성분을 모두 포함하지 않고 유효성분중 2가지 만을 사용하여 제조한 모발세럼을 제조한 비교예와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이 탈모 및 백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본 발명은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양모를 촉진 및 멜라닌 색소를 증가 시킴으로써, 탈모를 개선 및 백모를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Palmitoyl Tetrapeptide),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양모 촉진을 통해 탈모를 개선시키면서도 모유두 활성 강화를 통한 멜라닌 색소 증가시켜 백모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탈모 및 백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5. 모발 샴푸의 제조
배합 원료중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 20 및 N-아세틸 타이로신의 중량비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비율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모발 샴푸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정제수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잔량 To 100
EDTA-2Na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PEG-7 Glyceryl cocoate 0.40 0.40 0.40 0.40 0.40 0.40
Cetrimonium chloride 0.50 0.50 0.50 0.50 0.50 0.50
Sodium Citrate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BG 1.20 1.20 1.20 1.20 1.20 1.20
Dex-Panthenol - 0.50 0.50 0.50 0.50 0.50
Citric Acid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Cocamidopropyl betaine 4.50 4.50 4.50 4.50 4.50 4.50
Sodium laureth sulfate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Sodium Lauryl Sulfate 5.00 5.00 5.00 5.00 5.00 5.00
Cocamide DEA 1.00 1.00 1.00 1.00 1.00 1.00
Niacinamide - 0.30 0.30 0.30 0.30 0.30
Biotin - 0.06 0.06 0.06 0.06 0.06
Zinc Pyrithion - 1.00 1.00 1.00 1.00 1.00
Phenoxyethanol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Sensiva SC-5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Sodium Chloride 0.30 0.30 0.30 0.30 0.30 0.30
N-Acetyl Tyrosine - 0.001 0.01 0.1 0.2 1.0
Palmitoyl tetrapeptide 20 - 0.00001 0.0001 0.001 0.01 0.1
LACTOBACILLUS FERMENT - 0.1 0.2 0.5 0.75 1.0
비교예 2, 실시예 6 내지 10. 모발 세럼의 제조
 배합 원료중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 20 및 N-아세틸 타이로신의 중량비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한 비교예 2 및 실시예 6 내지 10의 조성비율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모발 세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2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3-Propandiol 4.00 4.00 4.00 4.00 4.00 4.00
Dex-Panthenol - 0.25 0.25 0.25 0.25 0.25
Sodium Hydroxide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Ethanol 18.00 18.00 18.00 18.00 18.00 18.00
L-Menthol - 0.30 0.30 0.30 0.30 0.30
Salicylic Acid - 0.25 0.25 0.25 0.25 0.25
가용화제 1.10 1.10 1.10 1.10 1.10 1.1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LACTOBACILLUS FERMENT - 0.1 0.2 0.5 0.75 1.0
Palmitoyl tetrapeptide 20 - 0.00001 0.0001 0.001 0.01 0.1
N-Acetyl Tyrosine - 0.001 0.01 0.1 0.2 1.0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 실시예 11의 모발 세럼 제조
배합 원료중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 20 및 N-아세틸 타이로신의 중량비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한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 및 실시예 11의 조성비율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모발 세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비교예 3 실시예 1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3-Propandiol 4.00 4.00 4.00 4.00 4.00
Dex-Panthenol 0.25 0.25 0.25 0.25 0.25
Sodium Hydroxide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Ethanol 18.00 18.00 18.00 18.00 18.00
L-Menthol 0.30 0.30 0.30 0.30 0.30
Salicylic Acid 0.25 0.25 0.25 0.25 0.25
가용화제 1.10 1.10 1.10 1.10 1.10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LACTOBACILLUS FERMENT 0.5 0.5 0.5 0.5 0.5
Palmitoyl tetrapeptide 20 - 0.1 0.1
Palmitoyl tetrapeptide 7 0.1
Palmitoyl tetrapeptide 5 0.1
N-Acetyl Tyrosine 0.1 0.1 0.1 0.1
실험예 1. 탈모 및 백모 개선 종합 평가
비교 평가를 실시 하기 위해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5 샴푸를 미온수를 이용하여 모발을 적신 후 적당량을 덜어 모발과 두피를 마사지하여 충분히 거품을 낸 후 3분간 방치 후 깨끗하게 헹구어 내고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모발을 건조해 준 후에 비교예 2 및 실시예 6 내지 10 모발 세럼을 모발에 충분하게 분사하여 흡수시킨 후 헤어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건조해주었다.
실험 기간은 최소 4주 진행하였으며, 30세에서 60세까지의 백모가 있는 성인 남자 6명 (30세 2명, 40세 2명, 50세 1명, 60세 1명),여자 14명(30세 3명, 40세 4명, 50세 4명, 60세 3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효과 판정은 최종 임상 종료 후 현미경으로 두피 및 모발 상태를 확인하였고, 두피 백모검사, 육안평가, 피험자 개인의 소견을 평가 척도로 선정하여 5단계로 평가하고, 점수를 5점 만점으로 하여 1점 단위로 판정 점수를 메기도록 하였으며(표 4),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판정점수 육안평가 개인소견 백모수 탈모수
1 약화 약화 증가 중가
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3 약간 개선 약간 개선 약간 감소 약간 감소
4 보통 개선 보통 개선 보통 감소 보통 감소
5 많이 개선 많이 개선 많이 감소 많이 감소
판정점수 실시예 3+8 사용군 비교예 1+2 사용군 비고
육안평가 4.6 2.3 50.0%
개인소견 4.2 3.0 28.57%
탈모수 3.8 3.2 15.79%
백모수 4.5 2.0 55.55%
종합 개선 4.275 2.675 37.42%
본 발명의 간이임상 시험 결과는 표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 1 및 2보다 종합적으로 37,42%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비교예와 대비해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 20 및 N-아세틸 타이로신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백모 개선 및 탈모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백모 개선 비교 평가
비교 평가를 실시하기 위해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 및 실시예 11 모발 세럼을 모발에 충분하게 분사하여 흡수시킨 후 헤어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건조해주었다.
실험 기간은 최소 4주 진행하였으며, 30세에서 60세까지의 백모가 있는 성인 남자 6명 (30세 2명, 40세 2명, 50세 1명, 60세 1명),여자 14명(30세 3명, 40세 4명, 50세 4명, 60세 3명)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효과 판정은 최종 임상 종료 후 현미경으로 두피 및 모발 상태를 확인하였고, 두피 백모검사, 육안평가, 피험자 개인의 소견을 평가 척도로 선정하여 5단계로 평가하고, 점수를 5점 만점으로 하여 1점 단위로 판정 점수를 메기도록 하였으며(표 6), 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판정점수 육안평가 개인소견 백모수 탈모수
1 약화 약화 증가 중가
2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변화 없음
3 약간 개선 약간 개선 약간 감소 약간 감소
4 보통 개선 보통 개선 보통 감소 보통 감소
5 많이 개선 많이 개선 많이 감소 많이 감소
판정점수 비교예 3 실시예 11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육안평가 3.1 4.5 3.1 3.3 3.3
개인소견 3.5 4.4 3.6 3.0 3.0
탈모수 3.2 4.1 3.5 3.6 3.6
백모수 2.6 4.8 3.3 3.8 2.9
종합 개선 3.100 4.450 3.375 3.350 3.200
본 발명의 간이임상 시험 결과는 표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비교예 3보다 실시예 11이종합적으로 30.33%의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6 비교예 6은 비교예 3과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3 내지 비교예 6과 대비해 락토바실러스 발효물,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 20 및 N-아세틸 타이로신이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백모 개선 및 탈모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모발 굵기 측정
모발 굵기 측정은 포트트리코그램을 시행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기는 고해상도의 디지털 접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모발의 특성을 분석하는 장비인 Folliscope 4.0(Lead M, Korea)을 사용하여 시험 부위를 측정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1+2 0.066 0.072 0.073
실시예1+6 0.082 0.085 0.089
실시예2+7 0.071 0.079 0.083
실시예3+8 0.077 0.087 0.093
실시예4+9 0.076 0.085 0.095
실시예5+10 0.082 0.090 0.097
상기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2 사용보다, 실시예 3+8 사용에서 모발 굵기가 확연히 증가함을 보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4+9, 실시예 5+10은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1+2와 대비해 모든 실시예 조합이 모든 기간에서 모발 굵기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0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1.0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4. 모발 굵기 측정
모발 굵기 측정은 포트트리코그램을 시행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기는 고해상도의 디지털 접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모발의 특성을 분석하는 장비인 Folliscope 4.0(Lead M, Korea)을 사용하여 시험 부위를 측정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 3 0.063 0.069 0.072
실시예 11 0.083 0.086 0.092
비교예 4 0.068 0.071 0.078
비교예 5 0.067 0.073 0.079
비교예 6 0.067 0.070 0.071
상기 표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3 사용보다, 실시예 11 사용에서 모발 굵기가 확연히 증가함을 보였다.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은 비교예 3과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과 대비해 실시예 11이 모발 굵기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0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1.0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5. 모발 밀도 측정
모발 밀도 측정은 포트트리코그램을 시행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기는 고해상도의 디지털 접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모발의 특성을 분석하는 장비인 Folliscope 4.0(Lead M, Korea)을 사용하여 시험부위를 측정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 1+2 83 85 86
실시예 1+6 81 83 87
실시예 2+7 80 84 87
실시예 3+8 74 85 89
실시예 4+9 75 84 90
실시예 5+10 68 71 84
상기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2 사용보다, 실시예 3+8 사용에서 모발 밀도가 확연히 증가됨을 보였으며, 실시예 3+8은 초기대비 약 16.85%나 증가함을 보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4+9, 실시예 5+10은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1+2와 대비해 실시예 1+6, 실시예 2+7, 실시예 3+8 및 실시예 4+9는 6개월 이상 사용시 모발 밀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0.2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0.75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6. 모발 밀도 측정
모발 밀도 측정은 포트트리코그램을 시행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기기는 고해상도의 디지털 접사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모발의 특성을 분석하는 장비인 Folliscope 4.0(Lead M, Korea)을 사용하여 시험부위를 측정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 3 83 85 86
실시예 11 81 92 95
비교예 4 81 83 84
비교예 5 80 83 84
비교예 6 78 81 82
상기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3 사용보다, 실시예 11 사용에서 모발 밀도가 확연히 증가됨을 보였으며, 실시예 11은 초기대비 약 17.28%나 증가함을 보였다.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은 비교예 3과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과 대비해 실시예 11이 6개월 이상 사용시 모발 밀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0.2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0.75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7. 모발 탄력 측정
두피가 노화될수록 두피의 탄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이마와 머리의 경계부분인 헤어라인이 처지게 되는 점을 이용하여 두피 탄력을 위한 평가는 헤어라인 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측정기기로는 Cutometer CM580을 사용하였으며, 시험 부위인 이마 끝 헤어라인 부분을 측정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1+2 0.6615 0.6605 0.6611
실시예1+6 0.6998 0.7002 0.7010
실시예2+7 0.6898 0.6901 0.6907
실시예3+8 0.5945 0.6115 0.6322
실시예4+9 0.6992 0.7201 0.7299
실시예5+10 0.6255 0.6445 0.6592
상기 표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2 사용보다, 실시예 1+6 사용에서 헤어라인 탄력도가 확연히 증가됨을 보였으며, 실시예 1+6은 초기대비 약 12.03%나 증가함을 보였다. 실시예 4+9, 실시예 5+10은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1+2와 대비해 실시예 1+6, 실시예 2+7 및 실시예 4+9는 3개월 이상 사용시 모발 탄력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0.2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0.75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8. 모발 탄력 측정
두피가 노화될수록 두피의 탄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이마와 머리의 경계부분인 헤어라인이 처지게 되는 점을 이용하여 두피 탄력을 위한 평가는 헤어라인 탄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측정기기로는 Cutometer CM580을 사용하였으며, 시험 부위인 이마 끝 헤어라인 부분을 측정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 3 0.6613 0.6602 0.6618
실시예 11 0.6965 0.7072 0.7224
비교예 4 0.6898 0.6901 0.6904
비교예 5 0.5945 0.5955 0.5962
비교예 6 0.6992 0.7002 0.7019
상기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3 사용보다, 실시예 11 사용에서 헤어라인 탄력도가 확연히 증가됨을 보였으며, 실시예 11은 초기대비 약 3.585%나 증가함을 보였다.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은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3와 대비해 실시예 11은 3개월 이상 사용시 모발 탄력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0.2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0.75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9. 두피 수분 측정
수분 함유량 측정은 Cutometer CM82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orneomete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Sensor 통해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수분 함유량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1+2 4 5 5
실시예1+6 3 5 6
실시예2+7 5 7 8
실시예3+8 4 7 12
실시예4+9 3 8 10
실시예5+10 5 9 7
상기 표 1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2 사용보다, 실시예 3+8 사용에서 수분함량이 확연히 증가됨을 보였으며, 실시예 3+8은 초기대비 약 400%나 증가함을 보였다. 실시예 3+8, 실시예 4+9, 실시예 5+10은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1+2와 대비해 모든 실시예 조합(1+6, 2+7, 3+8, 4+9)이 모든 기간에서 두피 수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0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1.0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10. 두피 수분 측정
수분 함유량 측정은 Cutometer CM82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orneometer probe를 피부에 접촉시켜 Sensor 통해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피부 수분 함유량 평가 자료로 사용하였다.
구분 초기 3개월 6개월
비교예 3 4 5 5
실시예 11 3 8 11
비교예 4 3 3 4
비교예 5 4 5 5
비교예 6 5 6 7
상기 표 1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3 사용보다, 실시예 11 사용에서 수분함량이 확연히 증가됨을 보였으며, 실시예 11은 초기대비 약 366%나 증가함을 보였다.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은 비교예 3과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비교예 3 내지 비교예 6과 대비해 모든 실시예 11이 두피 수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0001 내지 0.1 중량%,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1.0 중량%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 본 발명이 양모 촉진을 통한 탈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암시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10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 N-아세틸 티이로신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모두 포함하여야 탈모, 모발굵기, 모발 밀도, 모발 탄력, 두피 수분 함량 향상 및 백모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 20을 포함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20(Palmitoyl Tetrapeptide-20), N-아세틸 타이로신(N-Acetyl Tyrosine) 및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미토일 테트라펩타이드는 0.00001내지 0.1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아세틸 타이로신은 0.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두유 세포 증식 증대를 통해 모발 생성을 촉진시켜 탈모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촉진에 의한 백모 방지 및 백모증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劑形)은,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 리퀴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 무스, 트리트먼트, 비 에어로졸 무스, 비 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비누, 파우더 및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덱스판테놀(D-Panthenol), 멘톨(Menthol), 살리실산(Salicylic acid), 징크 피리치온(Zinc Pyrithione),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및 비오틴(Bio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유효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덱스판테놀(D-Panthenol)을 유효성분으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모발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모발 및 두피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탈모 및 백모를 개선하는 것인 화장 방법.
KR1020200132117A 2019-10-24 2020-10-13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552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32990 2019-10-24
KR1020190132990 2019-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992A true KR20210048992A (ko) 2021-05-04
KR102552523B1 KR102552523B1 (ko) 2023-07-11

Family

ID=7591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117A KR102552523B1 (ko) 2019-10-24 2020-10-13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5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365A (ko) 2021-11-03 2023-05-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새치 및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066A (ko)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조성물
KR20150124193A (ko) 2014-04-28 2015-11-05 고인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KR101607437B1 (ko) * 2015-08-19 2016-04-04 주식회사 성보네츄럴시스템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닉, 샴푸 및 트리트먼트
KR20180057330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066A (ko) 2001-12-20 2003-06-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버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조성물
KR20150124193A (ko) 2014-04-28 2015-11-05 고인순 흑모 유발 및 백모 방지용 조성물
KR101607437B1 (ko) * 2015-08-19 2016-04-04 주식회사 성보네츄럴시스템 하이드로라이즈드 복합아미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토닉, 샴푸 및 트리트먼트
KR20180057330A (ko) * 2016-11-22 2018-05-30 주식회사 트루자임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발효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4365A (ko) 2021-11-03 2023-05-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새치 및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523B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4693A (zh) 含有二裂酵母发酵产物溶胞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化妆品中的应用
KR101196523B1 (ko) 천연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US20090041875A1 (en) Anti-wrinkle composition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3164797B (zh) 聚伞岩蔷薇提取物的新型化妆品和皮肤病学用途
US20050153003A1 (e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2026800B1 (ko)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091162A (ko) 녹차잎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56B1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552523B1 (ko) 탈모 및 백모 개선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12236201B (zh) 红木(bixa orellana)提取物的用途
KR102150680B1 (ko) 천연 항산화 컴플렉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0587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06333916B (zh) 一种处理脱发和促进头发生长的头皮滋养液
KR20140126891A (ko) 진세노사이드 Rf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9040097B2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appearance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1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01163762A (ja) スリミング剤
KR102223447B1 (ko)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FR3008890B1 (fr) Extrait de chene, composition comprenant ledit extrait et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CN115120549B (zh) 一种贻贝头皮养护精华液及其制备方法
EP4282398A1 (en) Hair car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