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192A -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192A
KR20150124192A KR1020140050697A KR20140050697A KR20150124192A KR 20150124192 A KR20150124192 A KR 20150124192A KR 1020140050697 A KR1020140050697 A KR 1020140050697A KR 20140050697 A KR20140050697 A KR 20140050697A KR 20150124192 A KR20150124192 A KR 2015012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abric
circular
core material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688B1 (ko
Inventor
김점석
Original Assignee
김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석 filed Critical 김점석
Priority to KR102014005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68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otherwise than in a plane, e.g. in a tubular wa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34Metal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42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66Natural fibre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H1/425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 벨트나 관체형 구조물의 수리와 보강을 위하여 튜브형 부직포로서, 원주방향으로 내구성이 증강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 부직포를 구성하는 심재는 원형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는 모노 필라멘트사, 위사는 폴리 필라멘트사로 구성되되, 상기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들 사이에 공급된 위사들은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직조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하고 상기 원형직물과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재질로 만들어진 단섬유(카본,화이바,스틸화이바,천연화이바 등)를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서 합포하여 구성된 것이며,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형 부직포의 심재가 되는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위사가 한가닥씩 공급되어 직조되는 것이 아니고,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부가 없어지는 결과로 생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원형직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하는 튜브형 부직포는 이음매 없기 때문에 튜브형 부직포로 구성된 부직포 벨트의 내구성이 증강시키는 효과와, 배관공사시 부실공사의 원인을 해결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Tube type non-woven cloth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at use circle textile as heartwood}
본 발명은 산업용 부직포 벨트로 사용하거나, 또는 관체형 구조물의 수리와 보강을 위하여 사용하는 튜브형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형 부직포가 원주방향으로 내구성이 증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관체형 구조물이 노후 되어 균열이 발생하면 교체하거나 수리를 하게 되는데, 지상의 구조물은 큰 어려움이 없으나, 지중에 매설된 경우에 굴착하여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관체형 구조물이 노후 되어 균열이 발생하면 굴착하여 교체하지 않고, 매설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수를 하는데, 이러한 보수작업시 튜브형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튜브형 부직포의 경우에는 산업현장에서 각종 기계류에 부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용 부직포 벨트로도 사용하고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용도에 사용되는 튜브형 부직포의 제조방식은 부직포 원단을 제조한 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수 목적의 비닐 류를 코팅한다.
그 이후에 완성될 튜브형 부직포의 지름을 계산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절단된 부직포 원단의 양쪽 단부를 서로 연결(미싱)하여 튜브형으로 제조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 원단을 계산된 길이로 절단하고 튜브형으로 말아서 양쪽 단부를 맞대어 꿰매거나 또는 일정부분을 중첩시켜 꿰매거나 접착하여 튜브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부직포 원단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튜브형으로 말아서 양쪽 단부를 중첩시켜 꿰매거나 접착을 하게 되면, 그에 따른 작업공정이 많아지게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원가가 비싸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튜브형 부직포의 이음매로 인한 튜브형 구조의 품질 및 현장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등 제조과정 및 구조에서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튜브형 부직포의 양쪽 단부가 꿰매어지거나 접착되는 구조의 이음매는 단차가 형성되기 때문에 튜브형 부직포가 사용되는 관체형 구조물 수리공사에서 이음매와, 그 외 부분의 두께 차이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거나 이음매가 떨어지는 등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조적으로 단점이 많은 튜브형 부직포로 관체형 구조물 수리공사를 하게 되면 부실 공사의 원인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경제적인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2334호(2009년03월04일.공개) 한국 등록특허 제10-0130457호(1997년11월18일.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232462호(2013년02월05일.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구성이 증강된 부직포 벨트로 사용하고, 또 관체형 구조물의 수리와 보강을 위하여 튜브형 부직포로 사용할 때 원주방향으로 내구성이 증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원형직물을 튜브형 부직포의 심재로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원형직물에 의해서 이음부가 없고 내구성이 향상된 튜브형 부직포를 간편하게 제공함으로써, 종래 부직포 원단을 재단하고 튜브형으로 말아서 양쪽 단부를 맞대어 꿰매거나 접착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품질이 크게 향상된 튜브형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브형 부직포를 구성하는 심재는 원형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는 모노 필라멘트사, 위사는 폴리 필라멘트사로 구성되되, 상기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들 사이에 공급된 위사들은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직조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하고 상기 원형직물과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재질로 만들어진 단섬유(카본,화이바,스틸화이바,천연화이바 등)를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서 합포하여 구성된 것이 본 발명에 특징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튜브형 부직포의 심재가 되는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위사가 한가닥씩 공급되어 직조되는 것이 아니고,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음부가 없어지는 결과로 생산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원형직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와 같은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하는 튜브형 부직포는 이음매 없기 때문에 튜브형 부직포로 구성된 부직포 벨트의 내구성이 증강시키는 효과와, 배관공사시 부실공사의 원인을 해결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부직포의 심재로 사용하기 위한 원형직물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부직포를 제조하는 예시도
본 발명에 의한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튜브형 부직포는, 튜브형 부직포의 내구성을 위하여 직조된 원단으로 구성된 심재(1)와,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재질로 만들어진 단섬유(카본,화이바,스틸화이바,천연화이바 등)로 구성된 부직포(2)가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서 합포되어 튜브형 부직포(30)로 구성되며,
상기 튜브형 부직포(30)의 내구성을 위하여 직조된 원단으로 구성된 심재(1)는 경사(10)들 사이에 공급된 위사(20)들이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직조된 원형직물로 구성되며,
상기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는 모노 필라멘트사이고, 위사는 폴리 필라멘트사로 구성되어 직조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발명의 튜브형 부직포는, 산업현장에서 각종 기계류에 부품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용 부직포 벨트로도 사용하거나, 또는 관체형 구조물의 수리와 보강을 위하여 튜브형 부직포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튜브형 부직포를 사용할 때 원주방향으로 장력이 크게 미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튜브형 부직포의 원주방향으로 장력이 크게 미치게 되면, 원형직물로 구성된 심재(1)가 응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심재를 구성하는 원형직물은 경사들 사이로 공급되어 직조된 위사가 연결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원형직물의 내구성을 증강시키는 결과로 튜브형 부직포의 원주방향으로 장력에 대응하여 오랜기간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는 모노 필라멘트사이고, 위사는 폴리 필라멘트사로 구성되어 직조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제 1공정( 심재용 원사준비공정)
경사는 모노 필라멘트사로 준비하고, 위사는 폴리 필라멘트사로 준비한다.
제 2공정( 심재용 원형직물 직조공정)
직기는 일반적인 셔틀을 이용하여 위사를 공급하는 직기를 사용하고 원단은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되게 직조하되,위사의 공급은 셔틀을 이용하여 위사(20)가 상판(3)과 하판(4)의 양쪽 단부에서 절단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직조되게 한다.
제 3공정( 심재용 원형직물 준비공정)
상기 제 2공정에 의해서 위사가 절단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직조된 원형직물을 소정의 길이로 재단하여 준비한다.
제 4공정( 심재와 부직포 합포공정 )
제 3공정에 의한 원형직물로 구성된 심재(1)를 니들펀칭기에 투입하고,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재질로 만들어진 단섬유(카본,화이바,스틸화이바,천연화이바 등)로 구성된 부직포(2)를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서 합포하여 튜브형 부직포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튜브형 부직포 제조방법에 의하면, 심재를 구성하는 원형직물은 경사들 사이로 공급되어 직조된 위사가 연결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원형직물의 내구성을 증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심재
2: 부직포
3: 상판
4: 하판
10: 경사
20: 위사
30: 튜브형 부직포

Claims (3)

  1. 튜브형 부직포의 내구성을 위하여 직조된 원단으로 구성된 심재와,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재질로 만들어진 단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서 합포하여 구성된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부직포를 구성하는 심재는 원주방향으로 내구성을 증강시키기 위하여 원단을 구성하는 경사들 사이에 공급된 위사들이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직조된 원형직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2. 제 1항에 있어서, 원형직물을 구성하는 경사는 모노 필라멘트사이고, 위사는 폴리 필라멘트사로 구성되어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3. 경사는 모노 필라멘트사로 준비하고, 위사는 폴리 필라멘트사로 준비하는 원사 준비공정과,
    상기 원사로 셔틀을 이용하여 위사를 공급하는 직기를 사용하고 원단은 상판과 하판으로 분리되게 직조하되, 위사의 공급은 셔틀을 이용하여 위사가 상판과 하판의 양쪽 단부에서 계속적으로 연결되어 직조하는 직조공정과,
    상기 직조공정에서 직조된 원형직물을 준비하여 튜브형 부직포의 심재로 사용하여 니들펀칭기에 투입하고, 합성섬유나 천연섬유의 재질로 만들어진 단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를 니들 펀칭공정에 의해서 합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20140050697A 2014-04-28 2014-04-28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592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97A KR101592688B1 (ko) 2014-04-28 2014-04-28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97A KR101592688B1 (ko) 2014-04-28 2014-04-28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92A true KR20150124192A (ko) 2015-11-05
KR101592688B1 KR101592688B1 (ko) 2016-02-05

Family

ID=5460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697A KR101592688B1 (ko) 2014-04-28 2014-04-28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2296A (zh) * 2018-08-22 2018-11-20 青岛高泰新材料有限公司 多角度碳纤维预制体编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0265A (ja) 2000-04-28 2001-11-06 Fuji Photo Film Co Ltd 不織布ローラ、不織布ローラの製造方法、及び印刷版用金属板の予備研磨方法
KR101232462B1 (ko) * 2012-07-25 2013-02-12 안태영 이음매 없는 튜브형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튜브형 부직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2296A (zh) * 2018-08-22 2018-11-20 青岛高泰新材料有限公司 多角度碳纤维预制体编制方法
CN108842296B (zh) * 2018-08-22 2020-04-28 青岛高泰新材料有限公司 多角度碳纤维预制体编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688B1 (ko) 2016-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99916B2 (en) Method and means for weaving a 3D fabric, 3D fabric items thereof and their use
KR20150016593A (ko) 합성 섬유 로프
KR101592688B1 (ko) 원형직물을 심재로 사용한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232500B1 (ko) 이음매가 없고 직경 및 길이의 제한이 없는 튜브형 부직포 및 그 제조장치
KR101109606B1 (ko) 텍스타일 지오그리드 및 그 제조방법
CN104912052B (zh) 土工管袋及其制作方法
CN101613954A (zh) 一种管道修复用内衬材料及其制造方法
KR101232462B1 (ko) 이음매 없는 튜브형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튜브형 부직포
CN103993403B (zh) 一种双层夹筋织物及织造方法
JP2017128824A (ja) シームループを有する抄紙用フェルト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901005A (en) Pile rugs and rug-bases and composite yarns therefor
JPH02200844A (ja) 複合強化材の編成の為の開閉導糸部付き針
US20010031592A1 (en) Wning cloth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2090264B1 (ko) 투수성, 위킹성 및 인장강도가 향상된 웹을 이용한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그 부직포
CN201531710U (zh) 管道修复用内衬管
JP4524746B2 (ja) 植物繊維糸条、植物繊維含有布帛およびその製造法
CN101280872A (zh) 一种管状非织造布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US446084A (en) Ibis pttebs co
JPH08246288A (ja) 土木用厚織シート
RU2352702C2 (ru) Новые методы сшивания
KR101381945B1 (ko) 위사방향 광폭 토목용 직포
CN110540113B (zh) 一种ptfe纱线的打结方式
KR101136473B1 (ko) 봉제선이 없는 지오텍스타일 튜브 및 그 제조방법
KADIROVA et al. Technical tapes and investigation of their properties
US2414935A (en) Seam for woven wire belt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