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016A -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016A
KR20150124016A KR1020140049909A KR20140049909A KR20150124016A KR 20150124016 A KR20150124016 A KR 20150124016A KR 1020140049909 A KR1020140049909 A KR 1020140049909A KR 20140049909 A KR20140049909 A KR 20140049909A KR 20150124016 A KR20150124016 A KR 20150124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uvb
far
far infrared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너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너스톤
Priority to KR102014004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4016A/ko
Publication of KR20150124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2Irradiating part of the body at a certain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B광 거리조절 스위치(101), 원적외선 거리조절 스위치(102),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 제어부(105), UVB 광원부(106), 그리고 원적외선 광원부(107)를 구성으로 하며, 상기 UVB 광원부(106)의 UVB 램프를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원적외선 광원부(107)의 원적외선 램프를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HEA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POSITION AND INTENSITY}
본 발명은 피부에서 힐링 위치 및 광 세기의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어두운 곳에서 밝히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식물의 성장이나 공기 청정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조명장치는 원적외선이나 레이저 등을 조사하여 환부가 치료되게 하는 의료용 기기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비타민D는 우리 몸에서 칼슘 흡수를 도와서 골다공증을 예방해주고 암발생을 막아주며 면역성 질환을 예방한다. 또한 비타민D는 피부 질환이나 변비 치료나 불면증 등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비타민D(vitamin D)는 피부에 있는 스테롤이 자외선(태양 광선)을 받으면 생긴다.
그런데 종래의 조명장치는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는 비타민D를 신체에서 발생할 수 있게 하는 자외선 특히 UV광을 이용한 의료용 제품이 개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적외선과 자외선을 모두 사용하여 원적외선이 가진 효능과 더하여 자외선을 통한 비타민D 생성 기능을 가지게 하는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적외선과 자외선B(UVB)로 이루어진 다중광을 혼용하여 단일로 사용시보다 더 좋은 시너지 효과를 가지도록 하는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이 피부에 조사되는 위치 및 조사 강도에 대한 조절이 가능한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UVB광 거리조절 스위치(101), 원적외선 거리조절 스위치(102),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 제어부(105), UVB 광원부(106), 그리고 원적외선 광원부(107)를 구성으로 하며, 상기 UVB 광원부(106)의 UVB 램프를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원적외선 광원부(107)의 원적외선 램프를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정에서 외부에서 쉽게 사용이 가능하고 피부에서 쉽게 비타민 D를 생성할 수 있게 하며, 원적외선과 자외선B로 이루어진 다중광을 설정된 다양한 패턴으로 혼용하여 단일로 사용시보다 더 좋은 시너지 효과를 가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서 램프의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서 램프 위치 및 광 세기 조절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서 램프 위치 및 광 세기 조절 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광을 이용한 힐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광을 이용하는 힐링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광을 이용한 힐링 장치는 하부 지지대(10), 수직 지지대(20), 연결 지지대(30), UVB 램프(41), 원적외선 램프(42), 그리고 조명 덮개(43)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대(10)는 책상이나 바닥 등에 밀착되어 힐링 장치의 전체적인 중심을 유지시켜 힐링 장치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한다. 하부 지지대(10)에는 다수의 스위치나 버튼 등이 설치 가능하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 가능하다.
수직 지지대(20)는 하부 지지대(10)의 상면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스위치나 버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지지대(30)는 수직 지지대((20)에 연결되거나 일체화되어 설치되며,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가 지면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적어도 90도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연결 지지대(30)는 휘어지지 않는 소재로 제작되거나 휘어질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된다. 물론 연결 지지대(30)는 조명 덮개(43)가 고정 지지대(20)에 연결되는 경우이면 생략이 가능하다.
UVB 램프(41)는 UVB광을 방출하고, 원적외선 램프(42)는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는 조명 덮개(43)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조명 덮개(43)는 연결 지지대(30)에 연결되며 하부에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서 램프의 배치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가 링(ring) 형태로 구성되고, 원적외선 램프(42)의 내측에 UVB 램프(41)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이거나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는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가 나란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원적외선 램프(42) 외부에 UVB 램프(41)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는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가 각각 막대 형상으로 나란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의 기능적인 구성은 UVB광 거리조절 스위치(101), 원적외선 거리조절 스위치(102),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 제어부(105), UVB 광원부(106), 그리고 원적외선 광원부(107)를 포함한다.
UVB광 거리조절 스위치(101), 원적외선 거리조절 스위치(102),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 그리고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05)에 제공한다.
이때 UVB광 거리조절 스위치(101)는 UVB 램프(41)를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다시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고, 원적외선 거리조절 스위치(102)는 원적외선 램프(42)를 하부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다시 상부측으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는 UVB 램프(41)의 광을 조사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는 원적외선 램프(42)의 광을 조사하는 방향을 조절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UVB 램프(41)의 방향 및 원적외선 램프(42)의 방향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와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가 생략된다.
제어부(105)는 UVB광 거리조절 스위치(101), 원적외선 거리조절 스위치(102), UVB 방향조절 스위치(103), 그리고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UVB 광원부(106) 또는 원적외선 광원부(107)로 출력한다.
UVB 광원부(106)는 UVB 램프(41)와 UVB 램프(41)를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 즉,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부와 동력발생부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원적외선 램프(42)와 연결되어 동력발생부의 구동에 따라 원적외선 램프(42)를 이동시키는 길이조절 샤프트(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가 구성되는 경우이면, UVB 램프(41)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구성(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UVB 광원부(106)는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UVB광을 방출한다. 이때 방출되는 UVB광의 세기는 10㎼에서 500㎼ 범위이므로 피부 깊숙이 도달되지 않고 피부 겉면에 침투하면 비타민D가 생성되게 한다.
그리고 원적외선 광원부(107)는 원적외선 램프(42)와 원적외선 팸프(41)를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성 즉,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 등의 동력발생부와 동력발생부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원적외선 램프(42)와 연결되어 동력발생부의 구동에 따라 원적외선 램프(42)를 이동시키는 길이조절 샤프트(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가 구성되는 경우이면, 원적외선 램프(42)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하는 구성(도 4 및 도 5 참조)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서 램프 위치 및 광 세기 조절 방법을 보인 도면으로, 원적외선 램프(42) 내에 UVB 램프(41)가 위치한 경우이다.
이 경우에 UVB 광원부(106)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UVB 램프(41)를 설정된 이동가능 범위 내에서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UVB 램프(41)와 피부와의 거리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에 작용하는 UVB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원적외선 광원부(107)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원적외선 램프(42)를 설정된 이동가능 범위 내에서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원적외선 램프(42)와 피부와의 거리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에 작용하는 원적외선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B 광원부(106)는 UVB 램프(41)와 길이조절 샤프트와의 접점에 구성된 힌지(41a)를 통해 UVB 램프(41)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원적외선 광원부(107)는 원적외선 램프(42)와 길이조절 샤프트와의 접점에 구성된 힌지(42a)를 통해 원적외선 램프(42)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에서 램프 위치 및 광 세기 조절 방법을 보인 도면으로,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가 나란히 배치된 경우에 대한 것이다.
UVB 광원부(106)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UVB 램프(41)를 설정된 이동가능 범위 내에서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UVB 램프(41)와 피부와의 거리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에 작용하는 UVB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원적외선 광원부(107)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원적외선 램프(42)를 설정된 이동가능 범위 내에서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원적외선 램프(42)와 피부와의 거리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피부에 작용하는 원적외선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예로는 UVB 램프(41)와 원적외선 램프(42)의 이동 거리를 서로 다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VB 광원부(106)는 UVB 램프(41)와 길이조절 샤프트와의 접점에 구성된 힌지(41a)를 통해 UVB 램프(41)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원적외선 광원부(107)는 원적외선 램프(42)와 길이조절 샤프트와의 접점에 구성된 힌지(42a)를 통해 원적외선 램프(42)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UVB 광원부(106)는 길이조절 샤프트의 고정 지점(즉, 길이가 늘어나지 않는 지점)에 구성된 힌지(41b)를 통해 UVB 램프(41)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원적외선 광원부(107)는 길이조절 샤프트의 고정 지점에 구성된 힌지(42b)를 통해 원적외선 램프(42)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램프에 설치되는 힌지는 하나(41a와 41b 중 하나, 42a와 42b 중 하나)이거나 2개((41a와 41b, 42a와 42b)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체결부 120 : 가이드부
130 : 분쇄부 140 : 분쇄 동력부
150 : 부패실

Claims (1)

  1. UVB광 거리조절 스위치(101), 원적외선 거리조절 스위치(102), UVB광 방향조절 스위치(103), 원적외선 방향조절 스위치(104), 제어부(105), UVB 광원부(106), 그리고 원적외선 광원부(107)를 구성으로 하며,
    상기 UVB 광원부(106)의 UVB 램프를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원적외선 광원부(107)의 원적외선 램프를 하부측 또는 상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KR1020140049909A 2014-04-25 2014-04-25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KR20150124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909A KR20150124016A (ko) 2014-04-25 2014-04-25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909A KR20150124016A (ko) 2014-04-25 2014-04-25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016A true KR20150124016A (ko) 2015-11-05

Family

ID=5460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909A KR20150124016A (ko) 2014-04-25 2014-04-25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40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969A (ko) * 2019-09-23 2021-03-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Uvb led 전반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24140A1 (de) * 2021-04-21 2022-10-27 Jk-Holding Gmbh Vorrichtung zur stimulation der biosynthese von vitamin d 3
CN116447567A (zh) * 2023-03-06 2023-07-18 广东光阳电器有限公司 一种近视防控护眼的台灯及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969A (ko) * 2019-09-23 2021-03-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Uvb led 전반 조명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24140A1 (de) * 2021-04-21 2022-10-27 Jk-Holding Gmbh Vorrichtung zur stimulation der biosynthese von vitamin d 3
CH718557A1 (de) * 2021-04-21 2022-10-31 Jk Holding Gmbh Vorrichtung zur Stimulation der Biosynthese von Vitamin D3.
CN116447567A (zh) * 2023-03-06 2023-07-18 广东光阳电器有限公司 一种近视防控护眼的台灯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488B1 (ko) 테라피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20102717A (ko) 조명장치
US20180043176A1 (en) Capsule with whole body led photo-therapy
JP2015522315A (ja) 医療用の処置室で使用するための装置
KR20150124016A (ko) 위치 및 세기 조절이 가능한 힐링 장치
US9167192B2 (en) Display system
WO2007053701A3 (en) Optical devices and methods for selective and conventional photocoagulation of the retinal pigment epithelium
KR101917809B1 (ko) 휴대용 자외선 살균장치
KR20140024612A (ko) 훈증기겸용 온열치료기
KR20170120772A (ko) Uvb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KR20190023890A (ko) 거리 측정 기반 시력 보호 기능을 구비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KR20160057501A (ko) 비타민d 생성을 위한 자외선 방출 장치
KR20150095099A (ko) 원적외선과 자외선을 제공하는 자동 돔 사우나 베드
KR20150024718A (ko) 조명 스탠드
KR20120112795A (ko) 저준위 레이저 치료 또는 다른 광원 치료를 위한 스캐닝 메커니즘 및 처리 방법
KR20150014818A (ko) 네일 코팅재 경화 장치
KR101609068B1 (ko) 적외선 발산장치용 열선 조사 패널
KR102029453B1 (ko) 비타민 디 생성을 위한 회전형 자외선 조명장치
KR20150124017A (ko) 다중광을 이용하는 힐링 장치 및 방법
KR20190105845A (ko) 비타민 디 생성을 위한 자외선이 조사되는 조명스탠드
JP6392039B2 (ja) 有機el照明装置高照度光療法補助器具
KR20150028157A (ko) Uv led를 이용한 살균 장치
RU2637744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модулируемый фитоосветитель растений
JP2020140858A (ja) 足元灯、トイレシステム及び誘導方法
EP4181969A1 (de) Vorrichtung zur körperlichen entspannung eines mensch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