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608A -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608A
KR20150123608A KR1020140050190A KR20140050190A KR20150123608A KR 20150123608 A KR20150123608 A KR 20150123608A KR 1020140050190 A KR1020140050190 A KR 1020140050190A KR 20140050190 A KR20140050190 A KR 20140050190A KR 20150123608 A KR20150123608 A KR 20150123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axis direction
ccd
len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776B1 (ko
Inventor
김명희
박대영
안태준
Original Assignee
(주) 인하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하씨엔티 filed Critical (주) 인하씨엔티
Priority to KR102014005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76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카메라 렌즈를 상대로 주간용 CCD 및 야간용 CCD의 위치와 거리를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는 제1가이드부재(30)에 하나의 렌즈(40)만을 장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부재(50)에 주간 촬영을 위한 제1CCD(71)와 야간 촬영을 위한 제2CCD(72)를 장착하여, 이들 제1가이드부재(30)와 제2가이드부재(50)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렌즈(40)와 제1CCD(71) 및 제2CCD(72)의 위치와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렌즈(40)만으로 주간 촬영과 야간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Camera device capable of playing on day and nigh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카메라 렌즈를 상대로 주간용 CCD 및 야간용 CCD의 위치와 거리를 가이드 수단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는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얻기 위한 장치로서, 기존에는 렌즈를 통하여 들어온 빛을 감지하여 피사체의 상을 필름에 기록하는 필름 카메라가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로 빛을 감지하는 소자들이 집적된 이미지 센서가 필름을 대신하는 디지털 카메라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렌즈 그리고 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는 가장 핵심적인 부품인데, 렌즈는 빛의 굴절 현상을 이용한 도구로서 빛을 모으고 초점에 맞춰 원하는 상을 맺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이며, 이미지 센서는 빛에 반응하는 광다이오드의 집합체로서 광학적인 정보인 빛을 전자적 정보인 전하량으로 변환하여 저장하였다가 변환기를 거쳐 빛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값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보안감시용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의 경우 주간용 CCD와 야간용 CCD를 함께 구비하여 주간에는 컬러로 영상을 재현하고, 야간에는 흑백으로 영상을 재현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주간용 CCD와 야간용 CCD에 대한 세부적인 기술에 대해서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된다.
현재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보안감시용 카메라는 주간용 CCD 및 야간용 CCD와 더불어 고배율 광학 렌즈 또한 한 쌍을 구비하여 각각 주간 촬영과 야간 촬영에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렌즈를 주간용과 야간용으로 구별하여 한 쌍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가격이 상승할 수밖에 없으며, 카메라의 전체 부피도 커지고, 렌즈와 CCD의 제어(예를 들면 포커싱, 줌, 밝기 등의 제어)도 복잡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6664호(명칭 : 자동 스위칭 기능이 구비된 듀얼 IR 카메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3962호(명칭 : 카메라 위치 조절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4267호(명칭 : 카메라 촬영 위치 조절 장치)
전술한 바와 같이, 주간용 CCD 및 야간용 CCD와 더불어 렌즈 또한 한 쌍을 구비하여 각각 주간 촬영과 야간 촬영에 이용하고 있는 종래의 카메라는 두 개의 렌즈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카메라의 전체 부피도 커지며, 렌즈와 CCD의 제어도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나의 렌즈만을 장착하여 주간 촬영과 야간 촬영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가격과 부피 및 제어 면에서 유리한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위한 여유 폭을 갖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가이드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기어 및 이 제1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제1모터와,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가이드홈에 장착되어 제1모터의 구동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1치합부를 저면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렌즈 장착 호울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부재와, 이 제1가이드부재의 렌즈 장착 호울에 장착되는 하나의 렌즈와, 이 렌즈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평행한 상태로 베이스부 상에서 제1가이드부재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저면부에는 제2치합부를 구비하고 제1CCD 장착 호울과 제2CCD 장착 호울이 X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부재와, 상기 렌즈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1CCD 장착 호울에 장착되어 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는 제1CCD 및 상기 렌즈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2CCD 장착 호울에 장착되어 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는 제2CCD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제2가이드부재의 제2치합부와 맞물리는 제2기어 및 이 제2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제2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1가이드부재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렌즈가 제1CCD와 제2CCD 중 어느 하나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2가이드부재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제1CCD와 제2CCD 중 어느 하나가 렌즈와 대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베이스부 상에서 X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Y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상하면에는 각각 X축 방향으로 길게 레일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는 제2가이드부재를 상대로 제1가이드부재가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위한 여유 폭만큼 Y축 방향의 폭을 가지면서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제2가이드부재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양단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연동하되, 상기 제1CCD와 제2CCD 중 어느 하나가 렌즈와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하도록 제2가이드부재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는, 제1가이드부재에 하나의 렌즈만을 장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부재에는 주간용 CCD와 야간용 CCD를 장착하여, 이들 제1가이드부재와 제2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 작동에 따라 렌즈와 제1CCD 및 제2CCD의 위치와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렌즈만으로 주간 촬영과 야간 촬영을 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의 가격과 부피 및 제어 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1작동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2작동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3작동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4작동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주요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조립상태 평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카메라 본체(도시되지 않음) 내에 베이스부(10)가 구비되는데, 이 베이스부(10)는 X축 방향으로 길면서 Y축 방향으로는 X축 방향보다 짧은 길이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면 일측에 하나의 가이드홈(11)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이드홈(11)은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위한 여유 폭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부(10)의 내부에는 제1모터(20)와 이 제1모터(2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기어(21)가 설치되어 있는데, 특히 제1기어(21)는 가이드홈(11)의 하측 코너 부위에 설치된다. 제1모터(20)는 정회전 구동과 역회전 구동을 할 수 있는 모터로서 베이스부(10)의 Y축 방향을 따라 정회전 구동을 하거나 역회전 구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0)에 대해 수직하면서 가이드홈(11)의 X축 방향 길이만큼의 길이를 갖는 제1가이드부재(30)가 구비되며, 이 제1가이드부재(30)는 베이스부(10)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가이드홈(11)에 하단부가 삽입 장착이 된다. 제1가이드부재(30)의 저면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제1치합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치합부(31)는 제1기어(21)와 맞물림으로써 제1모터(20)의 구동시 제1가이드부재(30)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가이드부재(30)에는 Y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하나의 렌즈 장착 호울(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렌즈 장착 호울(32)에는 예컨대 고배율 광학 렌즈와 같은 하나의 렌즈(40)가 장착이 되는데,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는 이처럼 오직 하나의 렌즈(40)만이 구비되고, 다른 렌즈의 장착은 배제하게 된다.
베이스부(10) 상에는 제1가이드부재(30)와 평행한 상태로 제2가이드부재(50)가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2가이드부재(50)는 제1가이드부재(30)의 렌즈 장착 호울(32)에 장착된 렌즈(40)와 대향하게 된다. 제2가이드부재(50)는 베이스부(10) 상에서 제1가이드부재(30)를 상대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이 된다. 예를 들어 제2가이드부재(50)를 베이스부(10) 상에서 X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Y축 방향으로는 고정이 되도록, X축 방향으로 길면서 Y축 방향으로는 이격된 한 쌍의 기다란 부재 형상의 고정 브래킷(60)이 베이스부(10) 상에 설치되어, 이 고정 브래킷(60)에 제2가이드부재(5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재(50)의 저면부에는 기어가 형성된 제2치합부(51)가 구비되고, 제1가이드부재(30)와 대향하는 면에는 제1CCD 장착 호울(52)과 제2CCD 장착 호울(53)이 X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위의 제1CCD 장착 호울(52)과 제2CCD 장착 호울(53)에는 각각 렌즈(40)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1CCD(Charge-Coupled Device : 71)와 제2CCD(72)가 장착이 된다. 즉, 제2가이드부재(50)가 베이스부(10) 상에서 X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됨에 따라 제1CCD(71)와 제2CCD(72) 중 어느 하나는 반드시 제1가이드부재(30)의 렌즈 장착 호울(32)에 장착된 렌즈(40)와 대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CCD(71)는 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는 주간용 CCD이며, 제2CCD(72)는 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는 야간용 CCD이다.
베이스부(10) 상에는 제2가이드부재(50)의 제2치합부(51)와 맞물리는 제2기어(81)와 이 제2기어(81)를 회전 구동하는 제2모터(80)가 설치된다. 제2모터(80)는 정회전 구동과 역회전 구동을 할 수 있는 모터로서 베이스부(10)의 X축 방향을 따라 정회전 구동을 하거나 역회전 구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모터(80)에 의해 제2기어(81)가 회전 구동되면 제2가이드부재(50)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제2가이드부재(50)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2가이드부재(50)에 장착되어 있는 제1CCD(71)와 제2CCD(72) 중 어느 하나는 제1가이드부재(30)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렌즈(40)를 상대로 Y축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가이드부재(50)가 제2모터(80)의 구동에 따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2기어(81)의 양측으로 한 쌍 이상의 지지기어(82)들이 베이스상(10)상에 설치되어 제2가이드부재(50)의 저면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의 제1모터(20)와 제2모터(80)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90)가 베이스부(10) 내에 설치된다. 즉,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1모터(20)가 회전 구동되면 제1모터(20)의 제1기어(21)에 제1치합부(31)가 맞물려 있는 제1가이드부재(30)가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가이드부재(30)와 제2가이드부재(50)의 간격이 Y축 방향을 따라 조정이 되고, 이에 따라 제1가이드부재(30)의 렌즈 장착 호울(32)에 결합되어 있는 렌즈(40)는 제2가이드부재(50)에 결합되어 있는 제1CCD(71)와 제2CCD(72) 중 어느 하나와의 초점 거리가 조정이 된다. 또,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2모터(80)가 회전 구동되면 제2모터(80)의 제2기어(81)에 제2치합부(51)가 맞물려 있는 제2가이드부재(50)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제2가이드부재(50)에 장착되어 있는 제1CCD(71)와 제2CCD(72) 중 어느 하나는 제1가이드부재(30)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는 렌즈(40)를 상대로 Y축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하게 된다.
한편, 베이스부(10) 상에는 제2가이드부재(50)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101,10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101,102)는 제2가이드부재(50)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양단측에 설치되어 제어부(90)와 연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2모터(80)가 구동되면 제2가이드부재(50)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만일 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렌즈(40)를 주간용 CCD인 제1CCD(71)와 대향시킬 경우에는 제1CCD(71)가 렌즈(40)와 Y축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하게 되도록 도 6에 보이는 것처럼 X축의 우측단으로 제2가이드부재(50)가 슬라이딩하여야 한다. 이때 우측에 위치한 리미트 스위치(102)에 제2가이드부재(50)의 우측단이 접촉하게 되면 이를 리미트 스위치(102)가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더 이상 제2모터(8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렌즈(40)를 야간용 CCD인 제2CCD(72)와 대향시킬 경우에는 제2CCD(72)가 렌즈(40)와 Y축 방향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하게 되도록 도 8에 보이는 것처럼 X축의 좌측단으로 제2가이드부재(50)가 슬라이딩하여야 한다. 이때 좌측에 위치한 리미트 스위치(101)에 제2가이드부재(50)의 좌측단이 접촉하게 되면 이를 리미트 스위치(101)가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신호를 보냄으로써 더 이상 제2모터(8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한편, 제1가이드부재(30)와 제2가이드부재(50)가 서로를 상대로 정밀하게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이 실시될 수 있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재(50)의 상하면에는 각각 X축 방향으로 길게 레일 홈(54)이 형성되며, 제1가이드부재(30)에는 제2가이드부재(50)를 상대로 제1가이드부재(30)가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위한 여유 폭만큼 Y축 방향의 폭을 가지면서 제2가이드부재(50)의 레일 홈(54)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33)이 구비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1작동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2작동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3작동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제4작동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도 함께 참조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서 제1CCD(71)와 제2CCD(72)가 렌즈(40)를 상대로 중립 상태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중립 상태로부터 카메라 장치를 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모드로 설정할 경우에는 렌즈(40)를 주간용 CCD인 제1CCD(71)와 대향시켜서 초점 거리를 맞추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제어부(90)는 우선 제2모터(80)를 정회전 구동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2모터(80)가 정회전 구동되면 제2기어(81)와 제2치합부(51)에 의해 맞물려 있는 제2가이드부재(50)가 도 6에 보이는 것처럼 X축 방향의 우측단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제1CCD(71)가 렌즈(40)와 정위치에서 대향하게 되는 거리만큼 베이스부(10)의 우측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102)에 제2가이드부재(50)의 우측단이 접촉하게 되면 제어부(90)는 제2모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도 6의 그림과 같이 제1CCD(71)는 제1가이드부재(30)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40)와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90)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제1CCD(71)와 렌즈(40)의 초점 거리를 맞추기 위하여 제1모터(20)를 정회전 구동하게 된다. 즉,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1모터(20)가 정회전 구동되면 제1기어(21)와 제1치합부(31)에 의해 맞물려 있는 제1가이드부재(30)가 도 7에 보이는 것처럼 Y축 방향을 따라 제2가이드부재(50)를 향해 전진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제1가이드부재(30)가 결합된 베이스부(10)의 가이드홈(11)은 도 5에 보이는 것처럼 제1가이드부재(30)의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가능한 거리만큼 여유 폭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카메라 사용자가 원하는 초점 거리만큼 제1가이드부재(30)가 전진 슬라이딩하여 렌즈(40)와 제1CCD(71) 간의 거리가 달성되면 제어부(90)는 제1모터(2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도 7의 그림과 같이 렌즈(40)의 제1CCD(71) 간의 거리가 확정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다시 제1CCD(71)와 제2CCD(72)가 렌즈(40)를 상대로 중립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려면,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순서와는 역순으로 제1모터(20)와 제2모터(80)를 역회전 구동시키면 된다.
한편, 중립 상태로부터 카메라 장치를 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모드로 설정할 경우에는 렌즈(40)를 야간용 CCD인 제2CCD(72)와 대향시켜서 초점 거리를 맞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90)는 우선 제2모터(80)를 역회전 구동하게 된다. 즉,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제2모터(80)가 역회전 구동되면 제2기어(81)와 제2치합부(51)에 의해 맞물려 있는 제2가이드부재(50)가 도 8에 보이는 것처럼 X축 방향의 좌측단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때 제2CCD(72)가 렌즈(40)와 정위치에서 대향하게 되는 거리만큼 베이스부(10)의 좌측단 측에 설치되어 있는 리미트 스위치(101)에 제2가이드부재(50)의 좌측단이 접촉하게 되면 제어부(90)는 제2모터(8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도 8의 그림과 같이 제2CCD(72)는 제1가이드부재(30)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40)와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하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90)는 서로 대향하고 있는 제2CCD(72)와 렌즈(40)의 초점 거리를 맞추기 위하여 제1모터(20)를 정회전 구동하게 되는데,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제1CCD(71)와 렌즈(40)의 초점 거리를 맞추기 위한 과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는 제1가이드부재(30)에 하나의 렌즈(40)만을 장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2가이드부재(50)에 주간 촬영을 위한 제1CCD(71)와 야간 촬영을 위한 제2CCD(72)를 장착하여, 이들 제1가이드부재(30)와 제2가이드부재(50)의 슬라이딩 작동에 의해 렌즈(40)와 제1CCD(71) 및 제2CCD(72)의 위치와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하나의 렌즈(40)만으로 주간 촬영과 야간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 베이스부 11 : 가이드홈
20 : 제1모터 21 : 제1기어
30 : 제1가이드부재 31 : 제1치합부
32 : 렌즈 장착 호울 33 : 가이드 레일
40 : 렌즈 50 : 제2가이드부재
51 : 제2치합부 52 : 제1CCD 장착 호울
53 : 제2CCD 장착 호울 54 : 레일홈
60 : 고정 브래킷 71 : 제1CCD
72 : 제2CCD 80 : 제모터
81 : 제2기어 82 : 지지기어
90 : 제어부 101,102 : 리미트 스위치

Claims (3)

  1. 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위한 여유 폭을 갖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홈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기어와 이 제1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제1모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에 장착되고, 상기 제1모터의 구동시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1치합부를 저면부에 구비하며, 렌즈 장착 호울이 형성되어 있는 제1가이드부재;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렌즈 장착 호울에 장착되는 하나의 렌즈;
    상기 렌즈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제1가이드부재에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면부에는 제2치합부를 구비하고, 제1CCD 장착 호울과 제2CCD 장착 호울이 X축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제2가이드부재;
    상기 렌즈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CCD 장착 호울에 장착되어 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는 제1CCD 및 상기 렌즈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CCD 장착 호울에 장착되어 야간 촬영 영상을 재현하는 제2CCD;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제2치합부와 맞물리는 제2기어 및 이 제2기어를 회전 구동하는 제2모터;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재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렌즈가 상기 제1CCD와 상기 제2CCD 중 어느 하나와 근접하거나 이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상기 제1CCD와 상기 제2CCD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렌즈와 대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X축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Y축 방향으로는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브래킷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상하면에는 각각 X축 방향으로 길게 레일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는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상대로 제1가이드부재가 Y축 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을 위한 여유 폭만큼 Y축 방향의 폭을 가지면서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양단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되, 상기 제1CCD와 제2CCD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렌즈와 정확한 위치에서 대향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부재가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거리를 제한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KR1020140050190A 2014-04-25 2014-04-25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KR10160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90A KR101609776B1 (ko) 2014-04-25 2014-04-25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190A KR101609776B1 (ko) 2014-04-25 2014-04-25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608A true KR20150123608A (ko) 2015-11-04
KR101609776B1 KR101609776B1 (ko) 2016-04-06

Family

ID=5460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190A KR101609776B1 (ko) 2014-04-25 2014-04-25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778B1 (ko) 2017-12-12 2019-08-16 (주)토핀스 360도 주야간 영상 촬영 및 파노라마 구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76B1 (ko) 2007-01-04 2007-06-13 (주)바로텍 무인관측카메라 및 이의 백 포커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776B1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1965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taking apparatus
US7164855B2 (en) Optical apparatus
KR101203294B1 (ko) 렌즈 배럴 및 촬상 장치
US9170395B2 (en) Lens apparatus, optical apparatus and camera
US20060056831A1 (en) Digital camera
US7699546B2 (en)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and image capture apparatus
WO2008005172A3 (en) Autofocusing still and video images
KR20060047197A (ko) 접을 수 있는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JP4310309B2 (ja) 光学装置および光学装置の制御方法
JP2003172868A5 (ko)
US7995099B2 (en) Blur correction mechanism and image capture apparatus
US20140293111A1 (en) Optical viewfinder
KR101609776B1 (ko) 주야간 겸용 카메라 장치
KR20050070076A (ko) 광학 유닛 및 촬상 장치
KR102327730B1 (ko) 카메라 모듈
JP4120940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20080170301A1 (en) Sensor mounting structure and image capture apparatus
US6937817B2 (en) Camera including cam member for interlocking image-taking optical system and view finder optical system of the camera
JP2007010725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08076581A (ja) レンズ鏡胴および撮像装置
JP4683795B2 (ja) レンズ移動装置
JPH0588068A (ja) 撮像装置
JP2011102857A (ja) レンズ装置
JP2008039976A (ja) 撮像装置
KR101605447B1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