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430A - 소파 - Google Patents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430A
KR20150123430A KR1020140049617A KR20140049617A KR20150123430A KR 20150123430 A KR20150123430 A KR 20150123430A KR 1020140049617 A KR1020140049617 A KR 1020140049617A KR 20140049617 A KR20140049617 A KR 20140049617A KR 20150123430 A KR20150123430 A KR 2015012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rmrest
cushion member
sofa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6503B1 (ko
Inventor
안수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코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코모
Priority to KR102014004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5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3Arm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6Supports for the arm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석지지부(111)와, 상기 방석지지부(111)의 후방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등받이지지부(113)로 이루어져,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방석지지부(111) 상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방석부재(120)와; 상기 등받이지지부(113)의 전방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등받이부재(130)와;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방석부재(1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방석지지부(111) 상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팔걸이부(141)와, 팔걸이부(141)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등받이지지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향연장부(143)로 이루어지는 팔걸이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파(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파{A Sofa}
본 발명은 소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차 관리를 엄격하게 하지 않는 경우에도 방석부의 큐션감이 유지되며, 신체 피부나 분비물과의 접촉이 억제되어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소파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손님을 위해 접객용으로 쓰이는 의자를 통칭한다. 이러한 소파는 사용 환경에 따라 여러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다인용 소파와, 1인이 앉을수 있도록 제작된 1인용 소파가 있다. 소파는 등을 기대는 등받이 부분과 앉는 방석부재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등받이 부분과 방석부재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거실이나 실내 등의 공간에 맞게 적절히 배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르는 소파(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소파를 이루는 방석부재(12, 22)와 등받이부재(16, 26, 36)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는 소파(1)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석부재(12, 22)와, 상기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등받이부재(16, 26, 36)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11, 21)과, 베이스프레임 양측에 위치하는 팔걸이프레임(13, 23)과, 베이스프레임(11, 21)의 후방으로 위치하는 등받이프레임(15, 25)으로 이루어진다. 방석부재(12, 22)는 등받이프레임(15, 25) 전방으로 팔걸이프레임(13, 23)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프레임(11, 2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등받이부재(16, 26, 36)는 등받이프레임(15, 25)의 전방으로 등받이프레임(15, 2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방석부재(12, 22)와 등받이부재(16, 26, 36)는 벨크로와 같은 착탈 수단에 의해서 각각 베이스프레임(11, 21)과 등받이프레임(15, 2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프레임은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내부에 나무나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틀이 형성되어 구비되며, 착석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11, 21)내에 스프링이나 탄성 밴드와 같은 탄성체가 구비되도 하며, 외부는 인조가죽, 천연가죽 또는 천 등으로 감싸서 마감처리가 된다. 방석부재(12, 22)와 등받이부재(16, 26, 3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폼체(Foam)인 스폰지(C1)가 구비되고, 그 외측으로 부직포와 같은 섬유체(B1)가 구비되며, 그 외측으로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과 같은 재질(A1)로 감싸게 된다. 상기 방석부재(12, 22)와 등받이부재(16, 26, 36)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20㎝ 범위로 한다.
소파는 인체의 피부와 접촉되면서 땀과 같은 인체분비물에 의하여 방석부재(12, 21)나 등받이부재(16, 26, 36)를 이루는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방석부재(12, 22)의 양측이 팔걸이프레임(13, 23)에 측방에서 지지되어 접촉됨으로써 착석시 방석부재(12, 22)의 변형량이 충분하게 흡수되지 않아 착석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10-1151700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부 접촉에 의한 손상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되며, 방석부재의 변형이 흡수되는 구조의 방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석지지부와, 상기 방석지지부의 후방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등받이지지부로 이루어져,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방석지지부 상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방석부재와; 상기 등받이지지부의 전방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등받이부재와;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방석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방석지지부 상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팔걸이부와, 팔걸이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등받이지지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향연장부로 이루어지는 팔걸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파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방석지지부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부의 양측으로 상향 돌출된 팔걸이부재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방석부재는 안착홈부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팔걸이부재안착부는 안착홈부에 삽입된 방석부재 양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팔걸이부재의 팔걸이부는 팔걸이안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착홈부의 깊이는 방석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안착홈부에 삽입된 방석부재는 안착홈부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부재안착부보다 상향 돌출되며, 안착홈부에 삽입된 방석부재의 측면의 하부는 안착홈부에 의하여 측방에서 지지되고 팔걸이부재안착부보다 돌출된 방석부재의 측면은 팔걸이안착부에 구비되는 팔걸이부재의 팔걸이부에 의하여 양측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팔걸이부재안착부의 내측의 일부는 방석부재의 상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착홈부에 삽입된 방석부재는 전방 단부가 방석지지부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방석부재가 방석지지부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5∼11㎝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팔걸이부재의 상향연장부의 상단은 등받이지지부의 상단보다 낮게 되어, 전방으로 등받이지지부의 상단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파(100)는 방석부재(120)의 측방의 일부는 견고하게 지지되고 나머지 일부는 내부에 스폰지가 구비된 팔걸이부재(140)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착석시 착석감이 유지되고, 방석부재(120)가 방석지지부(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방석지지부(111)의 전방면에 피부가 직접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돌출된 길이가 일정 범위로 됨으로써 돌출된 방석부재(120) 부분의 하향 처짐도 방지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안정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파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소파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다르는 소파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소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다르는 소파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의 A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일부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소파(100)는 프레임(110)과, 방석부재(120)와, 하나 이상의 등받이부재(130)와, 복수의 팔걸이부재(140)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도면부호 115는 다리를 도시한 것으로 프레임(110)의 하부오 복수의 다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지지체로서 작용하며, 방석지지부(111)와, 상기 방석지지부(111)의 후방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등받이지지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나무나 금속으로 뼈대가 형성되고, 뼈대의 외부는 섬유, 천연가죽 또는 인조 가죽으로 덮어져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의 방석지지부(111)나 등받이지지부(113)를 이루는 내부에는 뼈대에 연결된 탄성밴드나 스프링이 구비되어 큐션감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10)을 이루는 상기 방석지지부(111)에는 오목하게 안착홈부(111a)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부(111a)의 양측으로 상향 돌출된 팔걸이부재안착부(111c)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부(111a)는 상향 개구되며 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부(111a)의 하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은 외향 경사지게 상향 연장된다. 상기 팔걸이부재안착부(111c)의 상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석부재(120)는 방석지지부(111)의 안착홈부(111a)에 삽입되어 방석지지부(111) 상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안착홈부(111a)와 방석부재(120)는 벨크로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부(111a)의 깊이(H2)는 방석부재(120)의 두께(H1)보다 작게 형성되어, 안착홈부(111a)에 삽입된 방석부재(120)는 안착홈부(111a)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부재안착부(111c)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된다. 안착홈부(111a)에 삽입된 방석부재(120)의 측면의 하부 일부는 안착홈부(111a)에 의하여 양측에서 측방에서 지지된다. 그리고 팔걸이부재안착부(111c)의 상면보다 상향 돌출된 부분은 팔걸이부재(140)의 팔걸이부(141)에 의하여 측방에서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부재(140)의 팔걸이부는 방석부재(120)보다 상부로 위치하여, 방석부재(120)는 팔걸이부에 의하여 측방에서 지지되면서 하향 가압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방석부재(120)가 안착홈부(111a)로부터 돌출되어 하부 일부는 안착홈부(111a)에 의하여 측방 지지되고, 상부 일부는 내부가 폼체인 팔걸이부재(140)의 팔걸이부(141)에 의하여 측방으로 그리고 하향 지지되므로, 방석부재(120)는 안정되게 안착되는 한편, 측방으로의 변형이 가능하여 착석시 변형되어 착석감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부(111a)에 삽입된 방석부재(120)는 전방 단부가 방석지지부(111)보다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방석부재(120)가 방석지지부(111)의 전면보다 돌출되므로써, 착석시 지지체 역할을 하는 방석지지부(111)가 인체 피부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피부와의 접촉에 의한 방석지지부(111)의 손상 발생이 방지된다.
돌출된 부분에 의하여 상기 방석부재(120)는 사용자에 의하여 압축 변형되는데 더하여 굽힘 변형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방석부재(120)의 돌출길이(L1)는 5㎝보다 크고 11㎝보다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길이(L1)를 5㎝보다 작게하는 경우에는 압축 변형에 의하여 방석지지부(111)의 전방면에 피부가 접촉될 수 있으며, 착석시 방석지지부(111)의 전방면 하단 부분에 피부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11㎝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착석 하중에 의하여 도 5의 A로 도시한 부분에서 굽힘 변형이 발생하고 반복됨으로써 돌출된 부분이 하향 굽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방석부재(120)의 교체 주기를 길게 하는 한편 방석부재(120)만 교체하고 지지체인 프레임(110)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방석부재(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폰지인 폼체(Foam)가 구비되고, 차례로 부직포와 같은 섬유와 외피가 폼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외피로는 천연가죽이 사용될 수 있다. 외피는 여러개의 조각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석부재(120)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략 모서리가 라운딩된 육면체를 이룬다.
상기 팔걸이부재(140)는 절곡된 형태를 이루어, 상기 방석부재(1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방석지지부(111)의 팔걸이부재안착부(111c)의 상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팔걸이부(141)와, 팔걸이부(141)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등받이지지부(113)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향연장부(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팔걸이부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폰이인 폼체(Foam)가 구비되고, 차례로 부직포와 같은 섬유와 외피가 폼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외피로는 천연가죽이 사용될 수 있다. 외피는 여러개의 조각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석부재(120)의 전체적인 형상은 모서리가 라운딩된 길이를 가지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팔걸이부재(140)는 벨크로에 의하여 방석지지부(111)의 팔걸이부재안착부(111c)와 등받이부재(113)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부재(140)의 상향연장부(143)의 상단은 등받이지지부(113)의 상단보다 낮게 되어, 등받이지지부(113)의 상단 일부는 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지지부의 상단 일부가 전방으로 노출됨으로써 등받이부재(130)를 포함한 등받이지지부(113)의 크기를 크게 하여도 시각적으로 하부가 작게 보여져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등받이부재(130)는 등받이지지부(113)의 전방에 벨크로와 같은 착탈 수단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등받이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스폰이인 폼체(Foam)가 구비되고, 차례로 부직포와 같은 섬유와 외피가 폼체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등받이부재(130)는 모서리가 라운딩된 판상의 형태를 이루며, 분할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재(130)의 하단은 방석부재(120)의 상부로 위치한다.
100: 소파 110: 프레임
120: 방석부재 130: 등받이부재
140: 팔걸이부재

Claims (7)

  1. 방석지지부(111)와, 상기 방석지지부(111)의 후방에서 상향 연장되어 구비되는 등받이지지부(113)로 이루어져,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방석지지부(111) 상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방석부재(120)와; 상기 등받이지지부(113)의 전방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등받이부재(130)와;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방석부재(1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방석지지부(111) 상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팔걸이부(141)와, 팔걸이부(141)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등받이지지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향연장부(143)로 이루어지는 팔걸이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소파(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지지부(111)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부(111a)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부(111a)의 양측으로 상향 돌출된 팔걸이부재안착부(111c)가 형성되며; 상기 방석부재(120)는 안착홈부(111a)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팔걸이부재안착부(111c)는 안착홈부(111a)에 삽입된 방석부재(120) 양측으로 위치하며, 상기 팔걸이부재(140)의 팔걸이부(141)는 팔걸이안착부(111c)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100).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부(111a)의 깊이는 방석부재(1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어, 안착홈부(111a)에 삽입된 방석부재(120)는 안착홈부(111a) 양측에 형성된 팔걸이부재안착부(111c)보다 상향 돌출되며, 안착홈부(111a)에 삽입된 방석부재(120)의 측면의 하부는 안착홈부(111a)에 의하여 측방에서 지지되고 팔걸이부재안착부(111c)보다 돌출된 방석부재(120)의 측면은 팔걸이안착부(111c)에 구비되는 팔걸이부재(140)의 팔걸이부(141)에 의하여 양측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재안착부(111c)의 내측의 일부는 방석부재(120)의 상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100).
  5. 제2 항 내지 제4 항에 있어서, 안착홈부(111a)에 삽입된 방석부재(120)는 전방 단부가 방석지지부(111)보다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부재(120)가 방석지지부(111)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5∼11㎝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10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재(140)의 상향연장부(143)의 상단은 등받이지지부(113)의 상단보다 낮게 되어, 전방으로 등받이지지부(113)의 상단 일부가 노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100).
KR1020140049617A 2014-04-24 2014-04-24 소파 KR10156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617A KR101566503B1 (ko) 2014-04-24 2014-04-24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617A KR101566503B1 (ko) 2014-04-24 2014-04-24 소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201A Division KR20150123753A (ko) 2015-05-26 2015-05-26 소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30A true KR20150123430A (ko) 2015-11-04
KR101566503B1 KR101566503B1 (ko) 2015-11-06

Family

ID=5459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617A KR101566503B1 (ko) 2014-04-24 2014-04-24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877B1 (ko) * 2016-04-20 2016-11-18 조상희 시트 변형 방지 구조를 갖는 쿠션 쇼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128B1 (ko) 2020-01-09 2020-05-14 (주)아모스아인스가구 쿠션간 마찰 소음이 방지되게 한 가죽 소파
KR102371519B1 (ko) 2021-10-01 2022-03-07 주식회사 에싸 세라믹 코팅된 지지 구조부를 구비한 소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877B1 (ko) * 2016-04-20 2016-11-18 조상희 시트 변형 방지 구조를 갖는 쿠션 쇼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503B1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25096A (ko) 자세 유지구
US8668270B2 (en) Removable head and neck support for reclining salon chair
KR101566503B1 (ko) 소파
KR200425803Y1 (ko) 시트쿠션체가 슬라이딩되는 쇼파
KR20150123753A (ko) 소파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US20150021971A1 (en) Internal support for a backrest for a chair
US20060272084A1 (en) Bath pillow
KR200453289Y1 (ko) 의자
US3095239A (en) Chair
KR102200425B1 (ko) 자립형 등받이 쿠션
KR20170123155A (ko) 탄성보강부재가 구비된 소파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20110091631A (ko) 앉음부가 이격된 방석
KR200432191Y1 (ko) 통기공을 갖는 탄성 패드를 이용한 의자
KR102110128B1 (ko) 쿠션간 마찰 소음이 방지되게 한 가죽 소파
CN204970419U (zh) 组合式沙发
KR200280489Y1 (ko) 스프링이 삽입된 힙 쿠션체로 이루어진 소파
KR20140001628U (ko) 요추지지 더블접착방식 쿠션
KR101151700B1 (ko) 분리 가능한 소파
KR101210489B1 (ko) 사무용 의자
KR200442745Y1 (ko) 소파
JP3199515U (ja) ヘッドレスト取付け構造
KR200405669Y1 (ko) 쿠션체를 갖는 장의자
KR20160139425A (ko) 높낮이가 다른 쿠션재가 구비된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