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832A -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832A
KR20150122832A KR1020140048574A KR20140048574A KR20150122832A KR 20150122832 A KR20150122832 A KR 20150122832A KR 1020140048574 A KR1020140048574 A KR 1020140048574A KR 20140048574 A KR20140048574 A KR 20140048574A KR 20150122832 A KR20150122832 A KR 20150122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easurement
measuring
astigmatic
axial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558B1 (ko
Inventor
이성욱
이선행
김건규
문미영
장영은
김미연
유정곤
박선영
박지연
윤재홍
임상묵
황미선
이영완
박영주
김혜령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존슨앤드존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존슨앤드존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존슨앤드존슨
Priority to KR102014004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5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for testing astigmat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with contact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 몸체, 측정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측정 렌즈, 측정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하여 측정 렌즈 내에 중력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표시되는 표시선,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측정 렌즈 내의 표시선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의 방향을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측정 몸체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와 평행하게 회전시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 렌즈 위에 표시되는 표시선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난시용 렌즈의 난시 축 보정을 위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여 교정 시력의 저하를 보정하기 위해, 난시 렌즈의 회전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휴대가 간편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DEVICE FOR MEASURING OFF-AXIS OF ASTIGMATIC LEN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광학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안과 분야에서 난시 렌즈 교정에 유리하도록 제작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국내 안과 그리고 해외에서는 세극등을 사용하여 난시 렌즈를 보정하고 있지만, 국내 안경원에는 법적으로 세극등 사용이 불가능하고, 보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기기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기 위해 종래 사용되는 검안기는 비용이 높고, 구조가 복잡하고, 휴대가 용이하지 않으며, 측정자 가령, 안경사가 사용하기에 제한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콘택트 렌즈 설계는 많은 단계를 필요로 한다. 렌즈의 후방 표면은 종종 각막의 형상 및 양호한 각막 렌즈 끼움 관계를 우선적으로 기초하여 설계된다. 렌즈의 전방 표면은 안구에 대해 필요한 굴절 교정 및 양호한 렌즈 성능을 얻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성능을 양호한 렌즈 이동, 렌즈 위치 및 렌즈 착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하는 다른 구조적 배려 등을 달성하기 위한 효율적인 눈꺼풀 상호작용을 제공하도록 렌즈 질량 분포를 포함하고,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은 많은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이 요약은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내용의 개념들의 모음을 간단한 형태로 소개하도록 제공된다. 이 요약은 본 발명의 핵심 기능들 또는 핵심 요소들을 식별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의 한정에 목적이 있는 것도 아니다.
난시용 소프트 난시 렌즈는 착용시 종종 안구에서 원하지 않게 회전될 수 있다. 난시용 소프트 난시 렌즈가 회전되었을 경우에는 난시가 교정이 되지 않으면서, 교정시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력을 이용하여 난시렌즈의 축 이탈을 측정함으로써, 교정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보정해 줄 수 있는 장치이다. 난시용 렌즈가 축 이탈이 되어서 교정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보정해 줄 수 있는 장치로서, 안경사(ECP, Eye Care Practitioner), 안과 의사들이 보다 자신있게 모이스트 난시용 렌즈를 판매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난시 렌즈가 몇도 만큼 돌아갔는 지를 알아낸다면, 보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일 양태에 따르면, 측정 몸체;
상기 측정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측정 렌즈; 상기 측정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하여 상기 측정 렌즈 내에 중력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표시되는 표시선;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측정 렌즈 내의 표시선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의 방향을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측정 몸체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와 평행하게 회전시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 렌즈 위에 표시되는 표시선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표시기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측정 렌즈는 볼록 렌즈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볼록 렌즈의 굴절력은 +10 DS 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의 표시기가 배치되는 일 측면과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전등, LE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직접 조명방식과 전구, LED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측정 렌즈 주위를 밝게 하는 간접 조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전등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전원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측정 몸체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등의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표시기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눈금이 있는 반원형 기구이고, 상기 반원형의 볼록부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도 눈금들이 상기 반원형 볼록부의 끝단에 구성된 각도 몸체; 상기 각도 몸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 눈금을 향하는 지침을 가지고, 상기 지침이 지시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측정 몸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 가능한 핸드헬드 측정 몸체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또한,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표시기를 덮는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침이 가리키는 상기 각도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는 방법은 측정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하여 측정 렌즈 내에 중력 방향으로 표시선을 일직선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측정 렌즈 내의 표시선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의 방향을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측정 몸체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와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단계;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 렌즈 위에 표시되는 표시선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측정 렌즈는 볼록 렌즈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볼록 렌즈의 굴절력은 +10 DS 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의 표시기가 배치되는 일 측면과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조명 장치는 전등, LE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직접 조명방식과 전구, LED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측정 렌즈 주위를 밝게 하는 간접 조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전등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전원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측정 몸체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등의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표시기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눈금이 있는 반원형 기구이고, 상기 반원형의 볼록부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도 눈금들이 상기 반원형 볼록부의 끝단에 구성된 각도 몸체; 상기 각도 몸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 눈금을 향하는 지침을 가지고, 상기 지침이 지시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측정 몸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 가능한 핸드헬드 측정 몸체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또한,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표시기를 덮는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침이 가리키는 상기 각도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여 교정 시력의 저하를 보정하기 위해, 난시 렌즈의 회전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휴대가 간편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를 세부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자 가령, 안경사가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를 통하여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의 축 마크를 바라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자 가령, 안경사가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를 통하여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의 축 마크를 바라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기 위하여 측정자 가령, 안경사가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를 통하여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의 축 마크를 바라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정투상도법을 이용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의 일 구현예에 따라, 난시용 렌즈의 난시 축 보정을 위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에 대한 구현예가 제공된다.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는 측정 몸체(160)를 포함한다. 측정 몸체(160)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부타디엔(butadiene), 스틸렌, 충전재로 이루어진 ABS 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들의 배합으로 특성이 가변화되고, 도금도 가능하여 기구 하우징 또는 사무용품에 사용될 수도 있다. ABS 수지로 제작된 측정 몸체는 용이하게 그립 가능하고, 경량이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는 측정 몸체(160)의 상부에 형성되는 측정 렌즈(110)를 포함한다. 측정 렌즈(110)는 볼록 렌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볼록 렌즈의 굴절력은 예를 들어, +8 DS 내지 +12 DS 이고, 바람직하게 +10 DS이다. 굴절력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210)를 확인하는 데 있어 용이한 정도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는 측정 몸체(160)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하여 상기 측정 렌즈 내에 중력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표시되는 표시선(120)을 포함한다. 표시선(120)은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의 방향을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230)의 방향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표시선(120)은 측정렌즈(110)의 내부, 외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고, 일진선의 표시선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는 측정 몸체(16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표시선(120)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표시기(150)를 포함한다. 측정 렌즈(110) 내의 표시선(120)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230)의 방향을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측정 몸체(160)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210)와 평행하게 회전시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 렌즈(110) 위에 표시되는 표시선(120)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표시기(150)를 표시한다.
도 2, 도 3 및 도 4의 일 구현예에 따라, 도 2의 도면 부호 (240)은 측정자 가령, 안경사가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를 통해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210) 축 마크(230)를 확인하기 위해 바라보는 측정자의 시야 방향이다. 도 2에서는 측정자의 시야에 따라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의 표시선(320)의 방향을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230) 방향과 일치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를 우측으로 평행하게 회전시킨다. 도 4에서와 같이,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의 표시선(420)의 방향이 난시 렌즈 축 마크(410)의 방향과 일치하게 되면,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표시기의 지침(430)은 중력의 방향을 유지한다. 이로 인해,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에 일체로 복합되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는 표시기의 각도 눈금은 지침(430)과 각도(θ)를 형성하게 된다. 각도 눈금과 지침(430)이 형성된 각도(θ)는 난시 렌즈 축 마크가 회전된 각도를 가리킨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 원리를 이용하여 측정자, 가령 안경사는 난시 렌즈가 회전된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교정 시력이 저하되는 것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는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230, 310, 410)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의 표시기가 배치되는 일 측면과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장치(130)는 전등, LE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직접 조명방식과 전구, LED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측정 렌즈 주위를 밝게 하는 간접 조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조명 장치(130)는 오로지 측정자 가령, 안경사가 난시 렌즈 착용자가 착용한 난시 렌즈가 어느 정도 회전되었는 지를 확인하기만 하는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므로, 조도가 높은 조명 장치를 설계하여 난시 렌즈 착용자의 시각에 무리를 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난시 렌즈 착용자의 시각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구, LED 등 중 어느 하나를 측정 몸체(160) 내부에 장착하거나, 측정 렌즈(110)를 둘러싼 측정 몸체의 둘레에 장착하여 간접 조명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라,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는 조명 장치(13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측정 몸체(160) 내부에 전원 공급원(도 5의 도면 부호(530) 참조)이 배치되고, 측정 몸체(160)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등의 작동 스위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에 형성된 표시기(150)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눈금이 있는 반원형 기구이고, 반원형의 볼록부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도 눈금들이 반원형 볼록부의 끝단에 구성된 각도 몸체, 상기 각도 몸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에 형성된 표시기(150) 내의 회전체(미도시)는 중심을 기준으로 각도 눈금을 향하는 지침(430)을 가지고, 지침이 지시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이다. 각도 눈금이 표시된 표시기(150)의 표면과 중력 방향으로 향하는 지침(140)을 가지는 회전체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각도 눈금이 정확하게 측정이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표시기(150)와 회전체의 마찰력을 최대한 줄이는 방식으로 표시기(150)를 설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라, 표시기(150)와 지침(140)을 가지는 회전체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표시기(150)와 지침(140)을 구성 요소로 하는 표시부 내부를 공기 대신 물로 채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150)와 지침(140)을 구성 요소로 하는 표시부 내부를 무공기(無氣) 상태로 하여, 표시기(150) 표면과 회전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측정 몸체(160)에 배치되는 표시기(150)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지침(430)이 가리키는 각도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라, 표시기(150), 지침(430), 회전체 및 덮개로 구성되는 표시부를 측정 몸체(160) 내부에 장착하고, 측정 몸체(160)의 외부 표면에 디지털로 표시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100)의 구성요소인 표시기의 설계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다양한 변형물 또는 변경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의 측정 몸체(16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 가능한 핸드헬드 측정 몸체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인, 난시 렌즈 축 이탈을 측정하기 위해 비용이 높고 중량이 큰 기계를 사용하여 비효율적인 측면을 휴대가 간편하고 측정하기 용이하도록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난시용 렌즈의 난시 축 보정을 위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은 측정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하여 측정 렌즈 내에 중력 방향으로 표시선을 일직선으로 표시하는 단계,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측정 렌즈 내의 표시선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의 방향을 일직선이 되도록 측정 몸체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와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단계,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측정 렌즈 위에 표시되는 표시선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은 측정 렌즈가 볼록 렌즈이고, 볼록 렌즈의 굴절력은 +10 DS 일 수 있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은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 몸체의 표시기가 배치되는 일 측면과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조명 장치는 전등, LE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직접 조명방식과 전구, LED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측정 렌즈 주위를 밝게 하는 간접 조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조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측정 몸체 내부에 전원 공급원이 배치되고, 측정 몸체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의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은, 표시기가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눈금이 있는 반원형 기구이고, 반원형의 볼록부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도 눈금들이 반원형 볼록부의 끝단에 구성된 각도 몸체와 각도 몸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고, 회전체는 중심을 기준으로 각도 눈금을 향하는 지침을 가지고, 지침이 지시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이다.
또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은, 측정 몸체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 가능한 핸드헬드 측정 몸체이고,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표시기를 덮는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지침이 가리키는 각도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논의된 기술들은 많은 측면에서 차이를 두고 발명될 수 있고, 어떤 일부 변경안들은 추가적인 장점들이 있을 수 있고 및/또는 다른 변화들과 비교해서 단점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부 변경안들은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일부 조합들은 추가적인 장점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및/또는 시너지적인 협조를 통해 단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변경안들은 그 와 같은 실시예들한테 개별적 및/또는 시너지적인 장점들을 부여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포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어 "예시적"은 예시 또는 도해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여기서 예시적으로 서술된 측면이나 디자인이 다른 요소들 또는 다른 디자인들보다 반드시 유리하다고 해석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예시적이라는 단어는 개념들을 좀 더 명확하게 보여준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술된 설명 및 첨부된 도면 내에 제시된 개시 내용의 이점을 가지면서 본 명세서에 제시된 본 발명의 여러 수정 및 다른 실시예를 생각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되어 있는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수정 및 다른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에 속하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상술된 설명 및 연관된 도면은 구성 요소 및/또는 기능의 특정한 예시적인 조합과 관련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에 의해 구성 요소 및/또는 기능의 상이한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예를 들면, 위에 명확히 설명되어 있는 것과는 상이한 구성 요소 및/또는 기능의 조합은 또한 첨부된 청구항 중 몇몇 청구항 내에 제시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들은 오로지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에 불과하고 제한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측정 렌즈
120, 220, 320, 420 : 표시선
130, 510 : 전구
140, 430 : 지침
150 : 표시기
160, 540 : 측정 몸체
230, 310, 410 : 축 마크

Claims (20)

  1. 난시용 렌즈의 난시 축 보정을 위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장치에 있어서,
    측정 몸체,
    상기 측정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측정 렌즈,
    상기 측정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하여 상기 측정 렌즈 내에 중력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표시되는 표시선,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표시선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의 방향이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측정 몸체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와 평행하게 회전시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선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표시기,
    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렌즈는 볼록 렌즈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렌즈의 굴절력은 +10 DS 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의 표시기가 배치되는 일 측면과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전등, LE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직접 조명방식과 전구, LED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측정 렌즈 주위를 밝게 하는 간접 조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전원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측정 몸체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등의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눈금이 있는 반원형 기구이고, 상기 반원형의 볼록부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도 눈금들이 상기 반원형 볼록부의 끝단에 구성된 각도 몸체;
    상기 각도 몸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 눈금을 향하는 지침을 가지고,
    상기 지침이 지시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몸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 가능한 핸드헬드 측정 몸체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표시기를 덮는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침이 가리키는 상기 각도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11. 난시용 렌즈의 난시 축 보정을 위한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에 있어서,
    측정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의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하여 측정 렌즈 내에 중력 방향으로 표시선을 일직선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측정 렌즈 내의 표시선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의 방향을 일직선이 되도록 상기 측정 몸체를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와 평행하게 회전시키는 단계,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측정 렌즈 위에 표시되는 표시선이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렌즈는 볼록 렌즈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렌즈의 굴절력은 +10 DS 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안구에 착용된 난시 렌즈 축 마크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의 표시기가 배치되는 일 측면과 다른 측면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전등, LE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직접 조명방식과 전구, LED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측정 렌즈 주위를 밝게 하는 간접 조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측정 몸체 내부에 전원 공급원이 배치되고, 상기 측정 몸체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상기 전등의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눈금이 있는 반원형 기구이고, 상기 반원형의 볼록부가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각도 눈금들이 상기 반원형 볼록부의 끝단에 구성된 각도 몸체;
    상기 각도 몸체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회전체를 포함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 눈금을 향하는 지침을 가지고,
    상기 지침이 지시하는 방향은 중력 방향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몸체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그립 가능한 핸드헬드 측정 몸체인,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20. 제 11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몸체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상기 표시기를 덮는 덮개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침이 가리키는 상기 각도 눈금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 방법.
KR1020140048574A 2014-04-23 2014-04-23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KR101702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74A KR101702558B1 (ko) 2014-04-23 2014-04-23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574A KR101702558B1 (ko) 2014-04-23 2014-04-23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832A true KR20150122832A (ko) 2015-11-03
KR101702558B1 KR101702558B1 (ko) 2017-02-13

Family

ID=5459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574A KR101702558B1 (ko) 2014-04-23 2014-04-23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6846A (ja) * 2017-09-29 2019-04-2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トーリ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の回転安定性を評価する方法及び手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905A (ja) * 1992-12-24 1994-07-12 Canon Inc 眼光学測定装置
US5650839A (en) * 1993-08-03 1997-07-22 Sims; Clinton N. Retinoscope assembly with scale
JP2012073084A (ja) * 2010-09-28 2012-04-12 Fujifilm Corp レンズ検査装置及び方法
JP2012152361A (ja) * 2011-01-26 2012-08-16 Topcon Corp 乱視軸測定装置、及び眼科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9905A (ja) * 1992-12-24 1994-07-12 Canon Inc 眼光学測定装置
US5650839A (en) * 1993-08-03 1997-07-22 Sims; Clinton N. Retinoscope assembly with scale
JP2012073084A (ja) * 2010-09-28 2012-04-12 Fujifilm Corp レンズ検査装置及び方法
JP2012152361A (ja) * 2011-01-26 2012-08-16 Topcon Corp 乱視軸測定装置、及び眼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6846A (ja) * 2017-09-29 2019-04-2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ビジョン・ケ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トーリックコンタクトレンズの回転安定性を評価する方法及び手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558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47347Y (zh) 一种头戴式显示器
WO2015070672A1 (zh) 一种手持视力检测装置及视力检测方法
JP6232287B2 (ja) 累進焦点眼鏡用レンズを選択する方法
ES2346175B1 (es) Instrumento para la simulacion de correcciones oftalmicas multifocales.
JP6319860B2 (ja) 双眼ルーペ
JP2005103039A (ja) 瞳孔距離測定方法および測定器
ES2556472T3 (es) Soporte de lente oftálmica para dispositivo de centrado
AU20062311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eye's rotation center
KR101702558B1 (ko) 난시 렌즈 축 이탈 측정장치 및 이의 측정방법
US2938426A (en) Refractors
KR20130023143A (ko) 안과 분석 기구 및 방법
GB0805176D0 (en) Subnormal vision contact lens
JPS60233526A (ja) 光学レンズを眼鏡フレ−ムに取付ける際に必要なパラメ−タ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JP6274586B2 (ja) 双眼ルーペ
FR2536180A1 (fr) Lentille ophtalmique a puissance focale progressivement variable, determinee en tenant compte de la convergence
JP2010521700A (ja) 非球面レンズを有する拡大ルーペ
ES2310128B2 (es) Dispositivo para el estudio de radios y potencias queratometricas.
ES2761499T3 (es) Dispositivo indicador de medida, particularmente manómetro
ES2900406T3 (es) Lentes oftálmicas progresivas
KR100984550B1 (ko) 누진다초점렌즈의 안구 회선도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회선도 측정방법
US2715852A (en) Eye testing instruments
US5926252A (en) Ophthalmic instrument that measures rotation of a toric contact lens
US20190246894A1 (en) Subjective refraction apparatus
US1169699A (en) Apparatus for testing muscles of the eye.
KR102142097B1 (ko) 시력검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