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485A -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 Google Patents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485A
KR20150122485A KR1020140048814A KR20140048814A KR20150122485A KR 20150122485 A KR20150122485 A KR 20150122485A KR 1020140048814 A KR1020140048814 A KR 1020140048814A KR 20140048814 A KR20140048814 A KR 20140048814A KR 20150122485 A KR20150122485 A KR 20150122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ammer
tank
load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김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환 filed Critical 김일환
Priority to KR102014004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2485A/ko
Publication of KR2015012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6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characterised by the supply of compress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1/00Compressed-gas guns, e.g. air guns; Steam guns
    • F41B11/70Details not provided for in F41B11/50 or F41B11/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10)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된 하우징(210)에 총열(30)이나 베렐(40)과의 간섭없이 소정의 직경(D)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체결시키기 위한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체결홈(218)에 체결되되, 내부의 일측에는 확장형 에어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하는 에어유입관로(12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유입된 에어를 하우징(210)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관로(13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와 에어배출관로(13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유동관로(113)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해머(250)의 타격에 의해 탄성가압되면서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격침(217)이 배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1)과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2)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Airtank Connecter For Air Rifle And, Air Rif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총열체결홈과 탱크체결홈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된 하우징에 총열이나 베렐과의 간섭없이 소정의 직경(D)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를 체결시키기 위한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공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일반적으로 공기총은 에어탱크(10,20)에 저장된 에어가스의 힘을 이용하여 장전된 탄알을 발사하는 총포로서, 몸체를 이루는 하우징(11)의 전단에는 상기 하우징(11) 내부에서 발사된 탄알의 비행경로를 가이드하도록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총열(30)과, 상기 총열(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1)의 내부로 고압의 에어가스를 공급하여 장전된 탄알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에어탱크(10,20)가 각각 체결되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공기총의 경우 휴대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각 구성품을 소형화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총열(30)과 에어탱크(10,20)는 상하로 밀착되게 배치되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 상에서 상기 총열(30)의 후단이 체결되는 총열체결홈(13)과 에어탱크(10,20)의 후단이 체결되는 탱크체결홈(14)은 상하로 근접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총열(30)의 둘레에는 총열(3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내부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베렐(40)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총열(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베렐(40)이 체결되기 위해서는 총열(30)과 베렐(40)이 상호 간섭되지 않기 위해서는 총열(30)과 에어탱크(10,20) 사이에 충분한 배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나, 이를 위해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총열체결홈(13)과 탱크체결홈(14) 간의 상하배치 간격이 보다 이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210)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베렐(40)를 탈거한 상태로 공기총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총열(30)과 에어탱크(10)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어 나뭇가지 등의 외부 장애물이 상기 이격공간에 삽입되면서 사용자의 기동성 및 공기총의 휴대성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에어탱크(10,20)는 일반적으로 저장된 에어가스량에 따라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태로 연장형성된 직관형 에어탱크(10)과,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확장된 형태로 연장형성된 확장형 에어탱크(20)로 구분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여기서,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총열(30)과 확장형 에어탱크(20) 간의 상하배치 간격이 더욱 이격되어야 하기 때문에, 하우징(210)의 전체적인 크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공기총은 장전레버를 전,후방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탄창에 장전된 탄알이 장전되도록 구비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사격에 심취하여 하우징(11) 내에 탄알이 장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전레버를 다시 후방으로 젖히고 접는 장전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두 발의 탄알이 동시에 장전되어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방아쇠를 동작시켜 격발하였을 경우, 정상적인 사거리만큼 탄알이 비행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하우징 내에서 두 발의 탄알이 걸리게 되어 공기총을 정비해야 하는 소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원활한 사격을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7303호(2009.03.17), 공기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총열체결홈과 탱크체결홈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하우징에 총열이나 베렐과의 간섭없이 확장형 에어탱크를 체결시키기 위한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10)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된 하우징(210)에 총열(30)이나 베렐(40)과의 간섭없이 소정의 직경(D)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체결시키기 위한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체결홈(218)에 체결되되, 내부의 일측에는 확장형 에어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하는 에어유입관로(12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유입된 에어를 하우징(210)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관로(13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와 에어배출관로(13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유동관로(113)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해머(250)의 타격에 의해 탄성가압되면서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격침(217)이 배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1)과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2)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10)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내부에는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의해 장전되고 방아쇠뭉치(260)의 격발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탄발이동하는 해머(250)가 구비된 하우징(210);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총열체결홈(216)에 체결되며, 발사된 탄알(B)의 비행경로를 가이드하는 총열(30); 및 일단은 소정의 직경(D)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체결홈(218)에 체결되되, 내부의 일측에는 확장형 에어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하는 에어유입관로(12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유입된 에어를 하우징(210)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관로(13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와 에어배출관로(13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유동관로(113)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내부에는 상기 해머(250)의 타격에 의해 탄성가압되면서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격침(217)이 배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1)과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2)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된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공기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0)의 밀대공간부(215a)에 배치되어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따라 수평이동하여 탄창(300)에 삽탄된 탄알(B)을 장전실(211)에 장전시키며, 상기 장전레버(220)의 레버링크(221)와 함께 해머장전핀(23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밀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머(250)의 상부에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장전핀삽입홈(252)이 형성되고, 상기 해머장전핀(231)은 밀대(2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장전핀삽입홈(252)에 삽입되어, 밀대(230)의 수평이동에 따라 해머장전핀(231)의 하단 측면이 장전핀 삽입홈(252)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0) 상에서 장전실(211)의 후단에 배치된 탄창삽입홈(212)에 끼움결합되되, 회전축공(311)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탄알공(312)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313)이 형성된 삽탄휠(310)과, 상기 삽탄휠(310)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양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체결된 케이스부(320)와, 상기 케이스부(320)와 삽탄휠(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탄휠(310)이 케이스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회전탄성 제공부(330) 및, 상기 케이스부(320) 내에 상향 탄발구동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홈(313)에 삽입되며 삽탄휠(3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턱(343)이 형성되고 가압됨에 따라 상기 지지턱(343)을 걸림홈(313)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가압돌기부(344)가 돌출형성된 걸쇠부(340)를 포함하는 탄창(300); 및 상기 밀대(230)의 일측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밀대(23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탄창(300)의 가압돌기부(344)를 가압하여 상기 탄알공(312)으로 삽입되는 밀대(230)의 삽입 동작과 별도로 상기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제한해제부(240);를 더 포함하는 공기총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하우징(210)에 에어유입관로(121)의 연장축선(L1)과 에어배출관로(131)의 연장축선(L2)이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된 에어탱크 커넥터(100)를 체결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총열(30)이나 베렐(40)과의 간섭없이 장착할 수 있으므로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장착에 따라 하우징(210)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에어탱크 커넥터(100)는 하우징(210)의 탱크체결홈(218)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어, 저장된 에어가스가 소진된 경우 에어탱크 커넥터를 탈거하여 충전된 새로운 에어탱크로 쉽게 교체하거나, 소진된 에어탱크를 재충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셋째, 공기총을 이용하는 용도 및 환경에 따라, 각 연장축선(L1,L2)이 상하로 이격배치되게 'L'자로 절곡형성된 확장형 에어탱크용 커넥터와, 전방을 향해 일자로 연장형성된 직관형 에어탱크용 커넥터 중 임의의 커넥터를 취사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각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더라도 하우징(210)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총열과 에어탱크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어 나뭇가지 등의 외부 장애물이 상기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의 기동성 및 공기총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탱크 커넥터의 격침을 타격하는 해머(250)의 상부에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장전핀삽입홈(252)이 형성되고,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따라 수평이동하는 해머장전핀(231)은 밀대(2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장전핀삽입홈(252)에 삽입되어, 상기 밀대(230)의 수평이동에 따라 해머장전핀(231)의 하단 측면이 장전핀삽입홈(252)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장전핀삽입홈(252)이 수평 연장형성된 길이만큼 하우징(210)의 측방향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총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섯째, 탄창(300)에 구비된 걸쇠부(340)가 탄알(B)의 장전을 위해 탄알공(312)으로 삽입되는 밀대(230)의 삽입 동작과는 별도로 밀대(230)의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제한해제부(240)에 의해 가압되면서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므로, 장전레버(220)를 두 번 이상 후방으로 회동시키더라도 상기 장전실(211) 상에는 한 발의 탄알(B)만이 장전되며, 상기 탄창(300)이 장전실(211)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한해제부(240)가 걸쇠부(340)를 가압하여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이 해제되어 탄창이 회전되므로 탄알(B)이 장전실(211) 내벽에 마찰되며 삽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상기 해머(250)의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해머핀(254)이 배치되며, 하우징(210) 상에서 상기 해머핀(25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홈(219)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250)가 장전 및 격발동작을 위해 수평이동할 때 상기 해머핀(254)이 슬라이딩홈(219)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상기 해머(25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총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를 통해 확장형 에어탱크가 하우징에 체결되는 구성을 나타낸 분리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분리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200)의 이중장전 방지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창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탄창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대가 장전레버의 전방 및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는 동작원리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은,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소형화가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 하우징(210)에 총열(30)이나 베렐(40)과의 간섭없이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체결시킬 수 있는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100)가 구비된 공기총으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 총열(30) 및 에어탱크 커넥터(10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210)은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10)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된 공기총 몸체로서, 내부에는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의해 장전되고 방아쇠뭉치(260)의 격발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탄발이동하는 해머(250)가 구비된다.
상기 총열(30)은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총열체결홈(216)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총강이 형성되어 발사된 탄알(B)의 비행경로를 가이드한다.
상기 에어탱크 커넥터(100)는, 소형화된 구조 즉,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10)가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하우징(210)에 상기 직관형 에어탱크(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D)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총열(30)이나 베렐(40)과의 상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체결홈(218)에 체결되되, 내부의 일측에는 확장형 에어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하는 에어유입관로(12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유입된 에어를 하우징(210)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관로(13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탱크 커넥터(100)의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와 에어배출관로(13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유동관로(113)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해머(250)의 타격에 의해 탄성가압되면서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격침(217)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1)과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2)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렐(40) 또는 총열(30)과의 사이에는 소정 이격거리(d2)가 발생되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를 베렐(40)이나 총열(30)과의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탱크 커넥터(100)의 각 구성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탱크 커넥터(100)는 커넥터바디(110), 탱크체결구(120) 및 하우징체결구(1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커넥터바디(110)는 에어탱크 커넥터(100)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몸체부로서, 상기 하우징(210)과 확장형 에어탱크(20)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에는 제1체결홈(111)과 제2체결홈(112)이 측방향으로 개구되어 각각 형성되며 내부에는 각 체결홈(111,112)과 연통되게 에어유동관로(113)가 형성된다.
상기 탱크체결구(120)는 일단은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체결홈(111)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유동관로(113)와 연통되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상기 커넥터바디(110) 내부로 유입하는 에어유입관로(12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체결구(130)는 일단은 상기 제2체결홈(112)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체결홈(218)에 체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에어유동관로(113)와 연통되어 유입된 에어를 상기 하우징(210)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관로(13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로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해머(250)의 타격에 따라 탄성가압되며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격침(217)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바디(110)는,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1)과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2)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각 체결홈(111,112)이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됨에 따라 상기 탱크체결구(120)가 체결된 부위와 총열(30) 또는 베렐(40)과의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d2)를 마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연장축선(L1)과 에어배출관로(131)의 연장축선(L2)이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된 에어탱크 커넥터(100)를 체결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총열(30)이나 베렐(40)과의 간섭없이 장착할 수 있으므로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장착에 따라 하우징(210)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에어탱크 커넥터(100)는 하우징(210)의 탱크체결홈(218)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어, 저장된 에어가스가 소진된 경우 에어탱크 커넥터를 탈거하여 충전된 새로운 에어탱크로 쉽게 교체하거나, 소진된 에어탱크를 재충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된다.
더불어, 셋째, 공기총을 이용하는 용도 및 환경에 따라, 각 연장축선(L1,L2)이 상하로 이격배치되게 'L'자로 절곡형성된 확장형 에어탱크용 커넥터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일자로 연장형성된 직관형 에어탱크용 커넥터 중 임의의 커넥터를 취사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각 커넥터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더라도 하우징(210)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총열(30)과 에어탱크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되어 나뭇가지 등의 외부 장애물이 상기 이격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사용자의 기동성 및 공기총의 휴대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200)은 하우징(210)에 배치된 해머(250)가 장전될 수 있도록 후방이동시키는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하우징(210)을 보다 소형화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10)의 밀대공간부(215a)에 배치되어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따라 수평이동하여 탄창(300)에 삽탄된 탄알(B)을 장전실(211)에 장전시키며, 상기 장전레버(220)의 레버링크(221)와 함께 해머장전핀(23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밀대(2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머(250)의 상부에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장전핀삽입홈(252)이 형성되고, 상기 해머장전핀(231)은 밀대(2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장전핀삽입홈(252)에 삽입되어, 밀대(230)의 수평이동에 따라 해머장전핀(231)의 하단 측면이 장전핀 삽입홈(252)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장전핀삽입홈(252)이 연장형성된 길이만큼 해머(250)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이 절약되므로, 해머(250)를 장전시키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우징(210)의 전후길이가 불필요하게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총(20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해머(250)의 측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해머핀(254)이 배치되며, 하우징(210) 상에서 상기 해머핀(254)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홈(219)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250)가 장전 및 격발동작을 위해 수평이동할 때 상기 해머핀(254)이 슬라이딩홈(219)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상기 해머(250)가 수평이동하면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200)은 장전레버(220)를 두 번 이상 후방으로 회동시키더라도 상기 장전실(211) 상에는 한 발의 탄알(B)만이 장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200)은 탄창(300)과 제한해제부(24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창(300)은, 상기 하우징(210) 상에서 장전실(211)의 후단에 배치된 탄창삽입홈(212)에 끼움결합되되, 회전축공(311)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탄알공(312)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313)이 형성된 삽탄휠(310)과, 상기 삽탄휠(310)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양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체결된 케이스부(320)와, 상기 케이스부(320)와 삽탄휠(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탄휠(310)이 케이스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회전탄성 제공부(330) 및, 상기 케이스부(320) 내에 상향 탄발구동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홈(313)에 삽입되며 삽탄휠(3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턱(343)이 형성되고 가압됨에 따라 상기 지지턱(343)을 걸림홈(313)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가압돌기부(344)가 돌출형성된 걸쇠부(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한해제부(240)는, 상기 밀대(230)의 일측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밀대(23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탄창(300)의 가압돌기부(344)를 가압하여 상기 탄알공(312)으로 삽입되는 밀대(230)의 삽입 동작과 별도로 상기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동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10)의 전단에는 장전된 탄알(B)이 발사되어 이동하고 전단이 상기 총열(30)과 연통되는 장전실(211)이 배치되며, 후단에는 사격시 사용자의 어깨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개머리판(미도시)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에는 밀대(230), 보조밀대(270), 해머(250) 등이 장착되는데, 상기 각 구성들(230,270,250)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독립적인 개별 공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230)는 밀대공간부(215a)에, 보조밀대(270)는 보조밀대공간부(215b)에, 해머(250)는 해머공간부(215c)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부(215a,215b,215c)를 구분하는 격벽에 의해 지지되어 각자의 개별적인 공간 내에서 수평이동할 수 있다.
또한, 장전실(211)의 하부에는 해머(250)에 의해 타격되어 장전실(211) 내부로 순간적인 고압의 에어가스를 방출하는 탱크체결홈(218)이 배치되고 이 탱크체결홈(218)에 에어탱크 커넥터(100)를 통해 확장형 에어탱크(20)가 장착되며, 상기 에어탱크 커넥터(100)에 구비된 격침(217)이 해머(250)에 의해 가압되어 눌리면서 개방되는 출구와 상기 장전실(211)의 내부를 상호 연결하여 장전실(211) 내부로 고압의 에어가스를 전달하는 압축공기 유로(213)가 형성된다.
상기 탄창(300)은, 하우징(210) 상에서 장전실(211)과 밀대(230) 사이의 탄창삽입홈(212)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장전실(211)로 탄알(B)을 공급하는 탄알공급수단으로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탄휠(310), 케이스부(320), 회전탄성 제공부(330) 및 걸쇠부(34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삽탄휠(310)은 다수 개의 탄알(B)이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삽탄되어 탄창(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부재로서, 중앙에 회전축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311)을 중심으로 상기 탄알(B)을 삽탄할 수 있는 다수 개의 탄알공(312)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둘레에는 각 탄알공(312)의 이격간격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다수 개의 걸림홈(313)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걸림홈(313)이 삽탄휠(31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삽탄휠(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삽탄휠(310)의 둘레에는 각 탄알공(312)에 삽탄된 탄알(B)이 탄알공(312) 내에서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고정띠(1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320)는 삽탄휠(310)에 체결된 상태로 하우징(210)의 탄창삽입홈(212)에 삽입되어 상기 삽탄휠(310)이 탄창삽입홈(212) 내에 배치되면서 공기총(200)의 밀대(230)에 의해 삽입된 탄알(B)이 장전실(211)에 공급되도록 하는 커버부재로서, 상기 삽탄휠(310)의 양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공(311)이 관통삽입되는 회전축(323)이 중앙에 형성되어 삽탄휠(310)을 회전가능하게 하며, 상기 회전축(323)의 하측에는 탄알(B)을 탄창(300)에 삽입 및 배출할 수있도록 탄알공(324a,324b)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320)는 삽탄휠(310)의 전면과 하측을 커버하는 전면케이스(321)와, 상기 전면케이스(321)에 체결되어 삽탄휠(310)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탄성 제공부(330)는, 케이스부(320) 내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삽탄휠(310)이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서, 상기 케이스부(320)와 삽탄휠(310) 사이에 배치되어 삽탄휠(310)이 회전축(323)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반발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탄성 제공부(330)는 도면에서와 같이 나선으로 꼬인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비되거나 태엽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탄성 제공부(330)의 양단은 케이스부(320)의 전면케이스(321)의 삽입공(126)과 삽탄휠(310)의 삽입공(114)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며 케이스부(320)의 회전축(323)에 삽입된 삽탄휠(310)이 회전축(323)을 중심으로 회전탄성 제공부(330)가 꼬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삽탄휠(3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는 탄성반발력이 발생하며, 상기 꼬인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외부의 가압력(고정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반발력에 의해 삽탄휠(310)이 회전축(323)을 중심으로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창(300)이 하우징(210)의 탄창삽입홈(212)에 끼움결합됨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탄휠(310)의 양측 위치에는 케이스부(320)의 돌기공(327)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끼움돌기부(315,317)가 배치되며, 상기 끼움돌기부(315,317)가 탄창삽입홈(212)의 내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홈(214a,214b)에 끼워지면서 탄창삽입홈(212) 내에 탄창(3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부(315,317)의 내측에는 각 끼움돌기부(315,317)를 돌기홈(214a,214b) 방향으로 가압하는 돌기스프링(116)이 배치되어, 탄창삽입홈(212)에 끼움결합된 탄창(300)이 지지됨과 동시에 탄창삽입홈(212)으로부터 탄창(300)을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걸쇠부(340)는, 케이스부(320) 내에서 삽탄휠(3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탄성 제공부(33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삽탄휠(3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재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320)의 회동축(325)에 끼움결합되는 축공(341)과 상기 케이스부(320)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향 가압하는 탄성부재(342)가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동축(325)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탄발구동한다.
여기서, 상기 삽탄휠(310)의 걸림홈(313)과 대향되는 상부 위치에는 각 걸림홈(31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지지되어 삽탄휠(3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턱(343)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밀대(230)의 일측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제한해제부(240)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지지턱(343)을 하강시켜 걸림홈(313)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탈시키는 가압돌기부(34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탄알공(312)으로 삽입되는 밀대(230)의 삽입 동작과 별도로 제한해제부(240)의 가압에 의해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걸쇠부(340)의 가압돌기부(344) 상에서 제한해제부(240)와의 접촉부위에는 제한해제부(240)와의 접촉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45)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345)이 제한해제부(240)와 측방향으로 접촉되면서 걸쇠부(340)가 하부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제한해제부(240)의 측방가압력으로 걸쇠부(340)를 안정적으로 하향 구동시킬 수 있으며, 걸쇠부(340)와 제한해제부(240)와의 지속적인 마찰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밀대(230)는, 하우징(210)의 밀대공간부(215a)에 배치되며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따라 수평이동하여 상기 탄창(300)에 삽탄된 탄알(B)을 장전실(211)에 장전시키는 가압부재로서, 탄창(300)의 탄알공(312)을 관통하여 장전실(211)의 내부에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삽입되는 부분은 장전실(21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230)의 타측에는 장전레버(220)의 레버링크(221)와 함께 해머장전핀(23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이 통공에 해머장전핀(231)이 삽입되며 끼움결합됨에 따라 상기 장전레버(220)를 후방으로 젖혀지게 회동하는 동작에 의해 밀대공간부(215a) 내에서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며 장전레버(220)를 전방으로 젖혀지게 회동하는 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한해제부(24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밀대(230)의 일측 둘레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밀대(230)의 일측의 연장형성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탄창(300)의 걸쇠부(34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로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대(230)의 일측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밀대(23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탄창(300)의 가압돌기부(344)를 가압하여 탄알공(312)으로 삽입되는 밀대(230)의 삽입 동작과 별도로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해머(250)는, 방아쇠뭉치(260)의 격발동작에 의해 탄발구동하여 방출밸브(216)의 격침(217)을 타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210)의 해머공간부(215c) 내에서 밀대(230)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밀대(230)의 해머장전핀(231)에 의해 지지되면서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며, 후단에는 해머공간부(215c)의 내벽에 지지되게 해머스프링(251)이 장착되어 상기 해머스프링(25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여 방출밸브(216)의 격침(217)을 수평방향으로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머(250)의 상부에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장전핀삽입홈(252)이 형성되고, 상기 해머장전핀(231)은 밀대(2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장전핀삽입홈(252)에 삽입되어, 밀대(230)의 수평이동에 따라 해머장전핀(231)의 하단 측면이 장전핀 삽입홈(252)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된다.
또한, 해머(250)가 해머장전핀(231)에 의해 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면, 상기 해머(25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방아쇠뭉치(260)의 고정돌기(265)에 해머(250)의 하부에 형성된 걸쇠걸림턱(253)이 지지되어 고정됨으로써, 해머스프링(251)이 해머(250)와 하우징(210)의 벽면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해머(25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방아쇠뭉치(260)의 격발동작에 의해 고정돌기(265)의 지지력이 사라지게 되면, 해머스프링(251)이 팽창하게 되어 해머스프링(251)의 탄성력에 의해 해머(250)가 해머공간부(215c) 내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해머(250)의 전단에 배치되는 방출밸브(216)의 격침(217)을 해머(250)의 단부가 타격함으로써 압축탱크(218)에 저장된 고압의 에어가스가 압축공기 유로(213)를 따라 장전실(2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해머(250)는 상부의 장전핀 삽입홈(252)의 전방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해머장전핀(231)에 의해 후방으로 수평이동하여 방아쇠뭉치(260)의 고정돌기(26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해머장전핀(231)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더라도, 상기 해머장전핀(231)은 개방된 전방부분을 통해 지지됨이 없이 빠져 나가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방아쇠뭉치(260)는 해머(25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시키는 고정수단으로서, 해머(250)의 걸쇠걸림턱(253)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고정돌기(265)가 형성된 해머걸쇠(263) 및 격발동작에 의해 상기 해머걸쇠(263)의 고정돌기(265)가 상기 걸쇠걸림턱(253)에서 이탈되도록 가압하는 방아쇠(26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기(265)는, 전단은 경사지며 타단은 직각으로 각이 진 형태로 형성되어, 해머(250)가 전방으로 수평이동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해머(250)의 후단에 상기 고정돌기(265)의 경사진 전단이 마찰되어 하강하게 되며, 상기 걸쇠걸림턱(253)에 이르러서는 상기 걸쇠걸림턱(253)에 상기 고정돌기(265)의 각이 진 타단이 지지되면서 해머(25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보조밀대(270)는, 제한해제부(240)를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이동시켜 탄창(300)의 걸쇠부(34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밀대(230)와 해머(250) 사이의 보조밀대 공간부(215b)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한해제부(240)와 체결되고 타측에는 해머(250)의 일측에 지지되는 걸림턱(271)이 형성되어,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한해제부(240)와 함께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며, 해머(250)가 전방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턱(271)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제한해제부(240)에 의해 상기 탄창(300)의 걸쇠부(340)를 가압하도록 전방으로 수평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밀대(270)와 제한해제부(240)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삽입되는 해제부연결핀(241)이 배치되어 상기 보조밀대(270)와 제한해제부(240)가 하우징(210)의 내부공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밀대(27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블럭(280) 및 전방스프링(290)이 배치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블럭(280)은 보조밀대(270)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블럭이동홈(272)에 배치되어 블럭이동홈(27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해머장전핀(231)이 관통삽입되어 해머장전핀(231)이 후방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블럭이동홈(272)의 내측 후단을 가압하여 보조밀대(270)를 후방으로 수평이동시킨다.
더불어, 상기 전방스프링(290)은 블럭이동홈(272)의 내측 전단과 슬라이딩 블럭(280)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블럭(280)의 측면에 지지되면서 블럭이동홈(272)의 내측 전단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보조밀대(270)와 제한해제부(240)를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보조밀대(270)의 중앙부에는 상향 개구된 형태로 해머장전핀(231)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전핀 이동홈(273)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장전핀(231)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더라도 보조밀대(270)는 후방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블럭이동홈(272)의 내부에는 블럭이동홈(272)의 내측 후단에 지지되어 슬라이딩 블럭(280)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후방스프링(29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방스프링(291)은 슬라이딩 블럭(280)을 통해 슬라이딩 블럭(280)에 체결된 해머장전핀(231)을 가압하여 장전레버(220)가 후방으로 젖혀지게 회동할 때에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부드러운 회동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장전레버(220)가 전방으로 젖혀지게 회동할 때에는 가압력을 제공하여 장전레버(220)의 전방 회동동작을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블럭(280)이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가압하여 격발되는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장전레버(220)가 의도하지 않게 후방으로 젖혀지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는 도 6, 도 10, 도 12a 내지 도 12d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200)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레버(220)를 후방으로 젖혀지게 회동시킨 상태에서, 각 탄알공(312)에 탄알(B)이 삽탄된 탄창(300)을 탄창삽입홈(212)에 끼움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장전레버(220)가 후방으로 회동함에 따라 밀대(230)가 밀대공간부(215a)를 따라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며, 동시에 해머장전핀(231)에 체결된 슬라이딩 블럭(280)이 보조밀대(270)의 내측 후단을 가압하여 보조밀대(270)와 제한해제부(240)가 함께 후방으로 수평이동한다.
또한, 상기 해머장전핀(231)의 단부가 해머(250)의 장전핀삽입홈(252)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하며, 해머(250)는 방아쇠뭉치(260)의 고정돌기(265)에 걸쇠걸림턱(253)이 지지되어 해머스프링(251)이 압축된 상태에서 방아쇠뭉치(260)에 의해 고정되고, 보조밀대(270)는 후단의 걸림턱(271)이 해머(250)의 후단에 지지되면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레버(220)를 전방으로 젖혀지게 회동시키면, 밀대(230)가 함께 전방으로 수평이동하면서 탄알공(312)에 삽입되어 해당 탄알공(312)에 삽탄된 탄알(B)을 가압하여 장전실(211) 내부로 삽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머장전핀(231)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더라도, 해머장전핀(231)에 체결된 슬라이딩 블럭(280)은 블럭이동홈(272) 내에서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기 때문에 보조밀대(270)는 후방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해제부연결핀(241)을 통해 보조밀대(270)의 일측에 체결된 제한해제부(240)는 밀대(23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전레버(220)를 통해 장전실(211)에 하나의 탄알(B)이 장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격이나 사냥 등의 스포츠를 즐기면서 장전실(211) 내에 탄알(B)이 장전되어 있는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고 장전레버(220)를 다시 후방으로 젖히고 접는 장전동작을 수행하게 되더라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해제부(240)가 전방이동하지 않음으로 인해 탄창(300)은 걸림홈(313)에 삽입된 지지턱(343)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두 발의 탄알(B)이 장전실(211)의 내부에 장전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아쇠(261)를 후방으로 당기는 격발동작에 의해 방아쇠뭉치(260)의 고정돌기(265)가 해머(250)의 걸쇠걸림턱(253)에서 이탈되어 해머(250)는 해머스프링(251)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격침(217)을 타격함에 따라 압축공기 유로(213)을 통해 유입된 고압의 에어가스에 의해 장전실(211)의 내부에 장전된 탄알(B)은 장전실(211)을 따라 발사된다.
여기서, 상기 해머(25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보조밀대(270)의 걸림턱(271)에 의해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며, 밀대(230)가 전방에 위치하여 해머장전핀(231)에 체결된 슬라이딩 블럭(28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블럭(280)의 측면에 지지된 전방스프링(290)이 블럭이동홈(272)의 내측 전단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보조밀대(270)와 제한해제부(240)를 전방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한해제부(240)는 보조밀대(270)와 체결된 해제부연결핀(241)에 의해 가압되면서 밀대(230)의 둘레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보조밀대(27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탄창(300)의 걸쇠부(340)의 가압돌기부(344)를 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가압돌기부(344)가 가압되면서 걸쇠부(340)가 하부로 이동하여 지지턱(343)이 걸림홈(313)으로부터 이탈되어 걸쇠부(340)에 의한 삽탄휠(310)의 회전제한 상태는 해제되며, 상기 탄알공(312)에 삽입된 밀대(230)의 둘레와 탄알공(312)의 내측면 간의 간격으로 인해 삽탄휠(310)은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후, 도 10 및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레버(220)를 후방으로 젖히면서 밀대(23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창(300)의 삽탄휠(310)은 회전탄성 제공부(330)의 탄성반발력에 의해 회전하며, 동시에 걸쇠부(340)의 탄성부재(342)의 가압력에 의해 걸쇠부(340)가 상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전 걸림홈(313)과 인접된 다음 걸림홈(313)에 지지턱(343)이 삽입되면서 삽탄휠(310)은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총(200)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탄창(300)에 구비된 걸쇠부(340)가 탄알(B)의 장전을 위해 탄알공(312)으로 삽입되는 밀대(230)의 삽입 동작과는 별도로 밀대(230)의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된 제한해제부(240)에 의해 가압되면서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므로 장전레버(220)를 두 번 이상 후방으로 회동시키더라도 상기 장전실(211) 상에는 한 발의 탄알(B)만이 장전되며, 상기 탄창(300)이 장전실(211) 내에 삽입된 후에 상기 제한해제부(240)가 걸쇠부(340)를 가압하여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이 해제되어 탄창이 회전되므로 탄알(B)이 장전실(211) 내벽에 마찰되며 삽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직관형 에어탱크 20...확장형 에어탱크
30...총열 40...베렐
100...에어탱크 커넥터 110...커넥터바디
120...탱크체결구 130...하우징체결구
200...공기총 210...하우징
230...밀대 240...제한해제부
250...해머 260...방아쇠뭉치
270...보조밀대 280...슬라이딩 블럭
290...보조밀대 전방스프링 300...탄창
310...삽탄휠 320...케이스부
330...회전탄성 제공부 340...걸쇠부
B...탄알

Claims (4)

  1.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10)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된 하우징(210)에 총열(30)이나 베렐(40)과의 간섭없이 소정의 직경(D)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를 체결시키기 위한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체결홈(218)에 체결되되, 내부의 일측에는 확장형 에어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하는 에어유입관로(12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유입된 에어를 하우징(210)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관로(13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와 에어배출관로(13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유동관로(113)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210)의 해머(250)의 타격에 의해 탄성가압되면서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격침(217)이 배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1)과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2)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2. 총열체결홈(216)과 탱크체결홈(218)이 상하로 근접배치되어 직관형 에어탱크(10)가 체결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내부에는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의해 장전되고 방아쇠뭉치(260)의 격발동작에 의해 전방으로 탄발이동하는 해머(250)가 구비된 하우징(210);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총열체결홈(216)에 체결되며, 발사된 탄알(B)의 비행경로를 가이드하는 총열(30); 및
    일단은 소정의 직경(D)을 갖는 확장형 에어탱크(20)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탱크체결홈(218)에 체결되되, 내부의 일측에는 확장형 에어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내부로 유입하는 에어유입관로(12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내부의 타측에는 유입된 에어를 하우징(210)으로 배출하는 에어배출관로(131)가 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와 에어배출관로(131)를 상호 연통시키는 에어유동관로(113)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내부에는 상기 해머(250)의 타격에 의해 탄성가압되면서 상기 에어배출관로(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격침(217)이 배치되며, 상기 에어유입관로(12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1)과 상기 에어배출관로(131)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L2)이 상기 확장형 에어탱크(20)의 직경(D)에 따라 상하로 일정거리(d1)가 이격되어 배치된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100);를 포함하는 공기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의 밀대공간부(215a)에 배치되어 장전레버(220)의 회동동작에 따라 수평이동하여 탄창(300)에 삽탄된 탄알(B)을 장전실(211)에 장전시키며, 상기 장전레버(220)의 레버링크(221)와 함께 해머장전핀(23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밀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머(250)의 상부에는 전방과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장전핀삽입홈(252)이 형성되고, 상기 해머장전핀(231)은 밀대(23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장전핀삽입홈(252)에 삽입되어, 밀대(230)의 수평이동에 따라 해머장전핀(231)의 하단 측면이 장전핀 삽입홈(252)을 후방으로 가압하여 해머(250)가 후방으로 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0) 상에서 장전실(211)의 후단에 배치된 탄창삽입홈(212)에 끼움결합되되, 회전축공(311)을 중심으로 복수 개의 탄알공(312)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둘레에는 복수 개의 걸림홈(313)이 형성된 삽탄휠(310)과, 상기 삽탄휠(310)이 내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양측을 커버하는 형태로 체결된 케이스부(320)와, 상기 케이스부(320)와 삽탄휠(3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탄휠(310)이 케이스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탄성반발력을 제공하는 회전탄성 제공부(330) 및, 상기 케이스부(320) 내에 상향 탄발구동하게 장착되며 상기 걸림홈(313)에 삽입되며 삽탄휠(310)의 회동을 제한하는 지지턱(343)이 형성되고 가압됨에 따라 상기 지지턱(343)을 걸림홈(313)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가압돌기부(344)가 돌출형성된 걸쇠부(340)를 포함하는 탄창(300); 및
    상기 밀대(230)의 일측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고, 상기 밀대(230) 상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탄창(300)의 가압돌기부(344)를 가압하여 상기 탄알공(312)으로 삽입되는 밀대(230)의 삽입 동작과 별도로 상기 삽탄휠(310)의 회전제한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제한해제부(240);를 더 포함하는 공기총.
KR1020140048814A 2014-04-23 2014-04-23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KR20150122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14A KR20150122485A (ko) 2014-04-23 2014-04-23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814A KR20150122485A (ko) 2014-04-23 2014-04-23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85A true KR20150122485A (ko) 2015-11-02

Family

ID=5459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814A KR20150122485A (ko) 2014-04-23 2014-04-23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248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145B2 (en) Semiautomatic bullet firing mechanism and toy gun using it
JP6106496B2 (ja) 玩具銃及び玩具銃用ガスカートリッジ取付装置
US10145647B2 (en) Multi-bullet shooting electric gun
TWI390173B (zh) 玩具槍
TWI331208B (ko)
TWI522154B (zh) 玩具槍及玩具槍用氣筒安裝裝置
KR101401834B1 (ko) 탄알의 이중장전이 방지되는 공기총
KR101401865B1 (ko) 탄알의 이중장전이 방지되는 탄창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EP1939576B1 (en) Air gun
KR101956108B1 (ko) 반자동 공기총
KR20180031129A (ko) 공기총용 자동탄창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JP2017106675A (ja) 玩具銃
KR20150122485A (ko) 공기총용 에어탱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총
KR20120056072A (ko) 공기총
JP2007511736A (ja) 撃針アセンブリ
KR101763240B1 (ko) 탄환의 장착이 용이한 최루탄 발사기
KR102068417B1 (ko) 장난감 총용 탄환
KR101717506B1 (ko) 직분사 방식 압축 공기총
TWI460389B (zh) 玩具槍及安裝器具
JP2003269895A (ja) 玩具ガス銃の給弾装置
CN213100783U (zh) 一种气动射击枪
JP2963964B2 (ja) 電動式エアーガン
TW202300855A (zh) 氣槍用彈藥筒及使用所述彈藥筒之氣槍
US20190152035A1 (en) Powder actuated tool
US10101113B2 (en) Bullet supply port opening-closing device in simulation gu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