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451A -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451A
KR20150122451A KR1020140048723A KR20140048723A KR20150122451A KR 20150122451 A KR20150122451 A KR 20150122451A KR 1020140048723 A KR1020140048723 A KR 1020140048723A KR 20140048723 A KR20140048723 A KR 20140048723A KR 20150122451 A KR20150122451 A KR 20150122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connector
plate
coupling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671B1 (ko
Inventor
추용대
Original Assignee
추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용대 filed Critical 추용대
Priority to KR102014004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6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2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의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들을 연결시켜 주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수관들의 결합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밀착결합되도록 평판상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내측 연결구; 및 플랙시블하게 금속재질의 판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측 연결구를 감싸고 제1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여져서 상기 내측 연결구가 상기 배수관들과 밀착결합되게 하는 외측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교량에 구비된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들을 연결할 때에 내측 연결구 및 외측 연결구를 이용함으로써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고,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관들이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Connector for drainage pipes of drain-outlet installed to bridge}
본 발명은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에 구비된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들을 기밀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용이하게 해체시켜 줄 수 있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등에는 우수 및 오수 등이 집수되어 하천 등으로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한 배수구는 오물이 유입되어 막히지 않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오수는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배수구는 교량 아래쪽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배수관과 연결되어 오수 및 오물을 배출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는 교량의 슬라브에 매립되어 있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관이 하천 등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다수 개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때는 서로 연결작업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 개의 배수관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8373호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량의 배수부결합구조에서와 같이 하부배수관의 선단을 확장하여 상부배수관의 끝단에 삽입시키고, 상기 상,하부 배수관을 서로 가용접한 후 실리콘으로 실링하여 상호결합시켜 왔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부결합구조는 용접기구를 사용하는 것이어서 시공하는데 많은 비용과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교량배수관은 직경 크기가 약 16.5cm 정도로서 직경이 큰 까닭에 직경이 큰 배수관의 내경과 직경이 작은 배수관의 외경에 나사를 가공하여 서로 결합시키고 있는데, 이는 나사내기 작업이 어려웠었을 뿐만 아니라 교량배수라인은 교량공사의 특성상 설계상의 치수보다 현장에서 실측에 의한 치수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서 사전에 배수관의 양단부에 나사내기를 하여서 현장에서 나사이음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914호에는 시공현장의 여건에 맞추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배수관들의 양단부에 나사내기를 하지 않고서도 배수관들을 나사이음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교량배수관용 연결구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는, 배수관들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구를 다수 개로 나누어서 서로 볼트 등의 나사 결합방식을 통한 결합구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배수관에 체결하는 형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들에 있어서는 작업하는데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또한 배수관들의 결합부가 기밀하게 연결되지 못하기 때문에 물이 밖으로 새어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373호
2.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914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에 구비된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들을 연결할 때에 내측 연결구 및 외측 연결구를 이용함으로써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고,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배수관들이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될 수 있게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의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들을 연결시켜 주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는, 상기 배수관들의 결합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밀착결합되도록 평판상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내측 연결구; 및 플랙시블하게 금속재질의 판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측 연결구를 감싸고 제1 볼트 및 너트를 통해 조여져서 상기 내측 연결구가 상기 배수관들과 밀착결합되게 하는 외측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내측 연결구는, 상기 배수관들을 감싸는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의 일측에서 일체로 결합된 철판과, 다수 개의 너트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무판과 상기 철판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결합편과, 상기 너트공에 체결되어서 상기 고무판과 상기 철판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2 볼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무판과 상기 철판을 연결시켜주는 결합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철판에는, 상기 고무판의 타측이 안착되게 하는 안착홈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 연결구는, 양측에 다수 개의 제1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볼트가 삽통하게 하고 삽통된 상기 제1 볼트에 상기 너트가 체결되게 하여 양측이 조여지게 함으로써 상기 내측 연결구를 감싸는 금속판과, 상기 제1 볼트 및 상기 너트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판의 양측을 조여서 결합시키는 결합유도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유도체는, 다수 개의 제1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금속판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상기 제1 결합공에 삽통하여 상기 너트가 체결되게 하는 제1 볼트와, 제2 결합공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볼트와 결합되는 걸이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날개부에는, 상기 걸이구가 결합되어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오목홈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볼트는, 결합봉에 일체형으로 다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판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걸이구와 체결되는 하나의 볼트와, 상기 금속판의 타단부에 결합된 상기 걸이구와 체결되는 두 개의 볼트로 이루어진다.
교량에 구비된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들을 연결할 때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구를 이용하여 배수관들을 연결시키게 되면,
내측 연결구 및 외측 연결구가 이용되기 때문에 결합부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할 수 있어 물의 이동시 결합부를 통해 누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고,
또한, 상기 연결구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결합 및 해체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배수관들의 연결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에서 내외부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의 결합에 대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의 결합에 대한 다른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의 실시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에 구비된 배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1)들을 연결시켜 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는 내측 연결구(10) 및 외측 연결구(20)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연결구(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1)들의 결합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밀착결합되도록 평판상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고무판(11), 철판(13) 및 결합구(1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판(11)은 배수관(1)들을, 특히 결합부를 밀착하는 형태로 감싸서 배수관(1)을 통해 유동하는 물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고무판(11)은, 그를 대체하여 실리콘판 또는 합성수지재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배수관(1)에 밀착하여 결합하여 물이 밖으로 새어나오지 않게 하는 역할만 가능하면 어떠한 재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상기 철판(13)은 고무판(11)의 일측에서 일체로 결합되어 고무판(11)이 배수관(1)에 견고하게 밀착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철판(13)에는, 도 1에서와 같이, 고무판(11)의 타측이 안착되게 하는 안착홈부(13-1)가 구비되게 하여, 외측 연결구(20)에 의해 조여질 때 내측 연결구(10)가 균일하게 배수관(1)에 밀착결합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결합구(15)는 다수 개의 너트공(미도시)을 구비하여 고무판(11)과 철판(13)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결합편(16)과, 상기 너트공에 체결되어서 고무판(11)과 철판(13)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2 볼트(17)로 이루어져서, 고무판(11)과 철판(13)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 연결구(20)는 내측 연결구(10)를 감쌀 수 있게 플랙시블하게 금속재질의 판체로 이루어져서 내측 연결구(10)를 감싸고 제1 볼트(21) 및 너트(23)를 통해 조여져서 내측 연결구(10)가 상기 배수관(1)들과 밀착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하며, 금속판(22) 및 결합유도체(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판(22)은 양측에 다수 개의 제1 결합공(25)을 구비하여 제1 볼트(21)가 삽통하게 하고 삽통된 제1 볼트(21)에 너트(23)가 체결되게 하여 양측이 조여지게 함으로써 내측 연결구(10)를 배수관(1)에 밀착결합될 수 있게 감싼다.
상기 결합유도체(24)는 제1 볼트(21) 및 너트(23)를 이용하여 금속판(22)의 양측을 조여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날개부(24-1), 제1 볼트(21) 및 걸이구(2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부(24-1)는 제1 볼트(21)가 삽통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제1 결합공(25)을 구비하여 금속판(22)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24-1)에는, 다음에 설명될 걸이구(24-2)가 결합되어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오목홈부(24-3)가 구비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볼트(21)는 날개부(24-1)의 제1 결합공(25)에 삽통되어 너트(23)가 체결되게 함으로써 양 날개부(24-1)의 간격이 늘었다 좁혀졌다하여 내측 연결구(10)의 배수관(1)에 대한 밀착력을 조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볼트(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봉(26)에 일체형으로 다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판(22)의 일단부에 결합된 걸이구(24-2)와 체결되는 하나의 볼트와, 상기 금속판(22)의 타단부에 결합된 걸이구(24-2)와 체결되는 두 개의 볼트로 이루어지게 하였다.
상기 걸이구(24-2)는, 제2 결합공(27)을 구비하여 제1 볼트(21)가 삽통하여 결합되게 하여서, 상기 제1 볼트(21)가 외측 연결구(20)의 결합부에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걸이구(2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24-1)의 내측 또는 날개부(24-1)의 외측 오목홈부(24-3)에 위치되어 제1 볼트(21)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에 대한 사용상태를 도 5 및 도 6을 통해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배수관(1)들의 양단부가 서로 맞대어져 접촉되게 한다.
그 다음, 내측 연결구(10)의 고무판(11)을 통해서 배수관(1)들의 결합부를 감싸고, 이때 고무판(11)의 일단부가 고무판(11)의 타단부에 있는 철판(13)의 안착홈부(13-1)에 안착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내측 연결구(10)가 배수관(1)의 결합부를 감싸게 되면, 외측 연결부(20)의 금속판(22)을 내측 연결구(10)의 외측을 감싼다.
상기 외측 결합부(20)의 금속판(22)이 내측 연결구(10)의 외측을 감싸게 되면, 걸이구(24-2)를 날개부(24-1)의 오목홈부(24-3)로 삽입하고 제1 볼트(21)를 제1 결합공(25)과 제2 결합공(27)으로 삽통하게 하여 너트(23)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너트(23)의 체결은 내측 연결구(10)가 배수관(1)의 결합부에 완전히 밀착결합하여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형태로 조여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 연결구는, 비록 교량에 이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배수관(1)이 이용되는 어느 곳, 즉 건축물 등의 배수구에 이용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 배수관
10: 내측 연결구 11: 고무판
13: 철판 13-1: 안착홈부
15: 결합구 16: 결합편
17: 제2 볼트
20: 외측 연결구 21: 제1 볼트
22: 금속판 23: 너트
24: 결합유도체
24-1: 날개부 24-2: 걸이구
24-3: 오목홈부 25: 제1 결합공
26: 결합봉 27: 제2 결합공

Claims (7)

  1. 배수구의 물을 밖으로 배수시켜주는 배수관(1)들을 연결시켜 주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1)들의 결합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되 밀착결합되도록 평판상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내측 연결구(10); 및
    플랙시블한 금속재질의 판체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측 연결구(10)를 감싸고 제1 볼트(21) 및 너트(23)를 통해 조여져서 상기 내측 연결구(10)가 상기 배수관(1)들과 밀착결합되게 하는 외측 연결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결구(10)는,
    상기 배수관(1)들을 감싸는 고무판(11)과,
    상기 고무판(11)의 일측에서 일체로 결합된 철판(13)과,
    다수 개의 너트공을 구비하여 상기 고무판(11)과 상기 철판(13)의 결합부에 설치되는 결합편(16)과, 상기 너트공에 체결되어서 상기 고무판(11)과 상기 철판(13)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제2 볼트(17)로 이루어져서, 상기 고무판(11)과 상기 철판(13)을 연결시켜주는 결합구(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철판(13)에는, 상기 고무판(11)의 타측이 안착되게 하는 안착홈부(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결구(20)는,
    양측에 다수 개의 제1 결합공(25)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볼트(21)가 삽통하게 하고 삽통된 상기 제1 볼트(21)에 상기 너트(23)가 체결되게 하여 양측이 조여지게 함으로써 상기 내측 연결구(10)를 감싸는 금속판(22)과,
    상기 제1 볼트(21) 및 상기 너트(23)를 이용하여 상기 금속판(22)의 양측을 조여서 결합시키는 결합유도체(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도체(24)는,
    다수 개의 제1 결합공(25)을 구비하여 상기 금속판(22)의 양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날개부(24-1)와,
    상기 날개부(24-1)의 상기 제1 결합공(25)에 삽통하여 상기 너트(23)가 체결되게 하는 제1 볼트(21)와,
    제2 결합공(27)을 구비하여 상기 제1 볼트(21)와 결합되는 걸이구(2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24-1)에는, 상기 걸이구(24-2)가 결합되어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오목홈부(2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볼트(21)는, 결합봉(26)에 일체형으로 다수 개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판(22)의 일단부에 결합된 상기 걸이구(24-2)와 체결되는 하나의 볼트와, 상기 금속판(22)의 타단부에 결합된 상기 걸이구(24-2)와 체결되는 두 개의 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KR1020140048723A 2014-04-23 2014-04-23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KR101580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723A KR101580671B1 (ko) 2014-04-23 2014-04-23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723A KR101580671B1 (ko) 2014-04-23 2014-04-23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51A true KR20150122451A (ko) 2015-11-02
KR101580671B1 KR101580671B1 (ko) 2015-12-28

Family

ID=5459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723A KR101580671B1 (ko) 2014-04-23 2014-04-23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459B1 (ko) * 2020-05-25 2020-11-30 하정훈 교량 배수관 분기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18B1 (ko) * 2020-03-16 2020-09-03 김은정 교량 집수구 및 배수구용 청소이음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85B1 (ko) * 2011-03-07 2011-06-13 벽진산업 주식회사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KR101193412B1 (ko) * 2011-05-17 2012-10-24 주식회사 빌드넷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685B1 (ko) * 2011-03-07 2011-06-13 벽진산업 주식회사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KR101193412B1 (ko) * 2011-05-17 2012-10-24 주식회사 빌드넷 집수구의 배관파이프용 밀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4459B1 (ko) * 2020-05-25 2020-11-30 하정훈 교량 배수관 분기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671B1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671B1 (ko) 교량 배수구의 배수관 연결구
KR200381579Y1 (ko) 분기관 이음 소켓
KR100772683B1 (ko) 연결소켓 및 방향전환용 조립식 pc맨홀
KR200403877Y1 (ko) 맨홀의 관접속장치
KR20090011547A (ko) 관 이음장치
KR100975944B1 (ko) 관체결합수단을 갖는 인버터맨홀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JP2007063908A (ja) 排水管継手
JP2020153224A (ja) 配管構造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20170127619A (ko) 하수분기관 수밀캡
RU2485361C1 (ru) Крепежная сборно-разборная стойка
KR20130029493A (ko) 교량용 집수구
AU2014101243A4 (en) Pipe clamp
RU2287733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стеклопластиков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ремонт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7247170A (ja) 消火設備の配管接続装置
KR101323342B1 (ko) 수압 시험용 커플링 장치
JP2011038397A (ja) 建物の排水管配管構造
KR200216512Y1 (ko) 조립식 관로구
KR200301192Y1 (ko) 건축물 입상배관의 압력시험용 조립식 수압 캡
JP2002115279A (ja) 水道本管漏水修繕継手
KR200375104Y1 (ko) 관로연결구
CN220273244U (zh) 一种快接mpp电力管
KR200352056Y1 (ko) 하수도관 연결구
CN205090129U (zh) 一种固定式水管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029

Effective date: 2015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