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871A -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 Google Patents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871A
KR20150121871A KR1020140048001A KR20140048001A KR20150121871A KR 20150121871 A KR20150121871 A KR 20150121871A KR 1020140048001 A KR1020140048001 A KR 1020140048001A KR 20140048001 A KR20140048001 A KR 20140048001A KR 20150121871 A KR20150121871 A KR 2015012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urrent
unit
sig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장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논엘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논엘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논엘이디
Priority to KR102014004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1871A/ko
Publication of KR2015012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센서등을 작동시키고자 구성하는 경우,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방출되는 전류를 디지털화하여 센서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사람 또는 동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램프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류를 방출하는 전류방출부와, 상기 전류방출부의 전류량을 디지털화하여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의 점등신호로 형성하는 디지털부와, 상기 디지털부의 점등신호에 따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을 점등시키는 점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의 열감지에 따라 센서등이 작동되도록 하지 않고,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른 전류량의 방출되는 값을 디지털화하여 센서등의 오작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불필요한 센서등의 오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비용 및 설치비용 등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잡한 구성 없이 편리하게 센서등의 구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이를 통한 전체적인 센서등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제어부를 통하여 디지털부로 센서의 감지에 의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도 디지털부로 전달되는 전류량에 저항을 두고, 이를 통하여 나오는 전압값으로 디지털값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센서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SENSOR LAMP USING LEDs}
본 발명은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지나가거나 동물이 지나갈때 이를 센서로 감지하여 방출되는 전류를 통하여 센서등을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방출되는 전류량을 디지털화하여 센서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센서등이란, 구비된 센서가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이러한 감지결과에 따라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센서등은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전류를 방출하여 센서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보통이다.
예컨대, 종래의 센서등은 문헌(1), 문헌(2)에서와 같이, 구비된 센서가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즉 사람이나 동물의 열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제어부가 이러한 신호를 수신하여 전류를 방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센서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문헌(1), 문헌(2)와 같은 종래의 센서등은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센서등을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센서등이 사람이나 동물의 열을 감지하여 센서등의 작동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오감지로 인한 센서등의 불필요한 작동이 일어나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 등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36705(2007.07.02) (2)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20-2009-0010290(2009.10.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센서등의 작동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전류량을 디지털화하여 센서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불필요한 센서등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등의 불필요한 오작동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등의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한 전체적인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람 또는 동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램프를 점등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센서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류를 방출하는 전류방출부와, 상기 전류방출부의 전류량을 디지털화하여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의 점등신호로 형성하는 디지털부와, 상기 디지털부의 점등신호에 따라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을 점등시키는 점등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류를 방출시키는 전류방출부의 아날로그 데이타를 디지털화하여 상기 디지털부에 입력된 전류기준값을 기준으로 변동하는 전류값에 따라 센서등이 점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부는 상기 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방출부가 전류를 방출하는 경우, 전류에 저항을 가해 발생되는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와, 상기 전압측정부의 전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의 점등신호로 형성하는 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측정부는 상기 전류방출부를 통하여 방출되는 전류에 저항을 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저항부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의 열감지에 따라 센서등이 작동되도록 하지 않고,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른 전류량의 방출되는 값을 디지털화하여 센서등의 오작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둘째, 불필요한 센서등의 오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고, 이에 따른 유지비용 및 설치비용 등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복잡한 구성 없이 편리하게 센서등의 구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이를 통한 전체적인 센서등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제어부를 통하여 디지털부로 센서의 감지에 의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도 디지털부로 전달되는 전류량에 저항을 두고, 이를 통하여 나오는 전압값으로 디지털값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센서등의 동작을 제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며에 따른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디지털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어부의 전류흐름이 저항부를 통하여 전압값으로 변환되며 디지털부로 전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회로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1 내지 도 4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사람 또는 동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램프(20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300)로 구성된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310)와, 상기 센서(31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어 센서(3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류를 방출하는 전류방출부(320)와, 상기 전류방출부(320)의 전류량을 디지털화하여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200)의 점등신호로 형성하는 디지털부(330)와, 상기 디지털부(330)의 점등신호에 따라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200)을 점등시키는 점등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한 도 1에서와 같이, 사람이나 동물의 이동을 감지할 수있는 센서(100)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100)는 전선(L)을 통하여 제어부(300)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300) 또는 센서(10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램프(센서등)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 1에서와 같은 센서등의 구성은 종래의 센서등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100)를 통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가 센서의 열감지로만 램프(200)를 작동하도록 구성되지 않고, 상기 센서(100)를 통하여 전달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전류를 방출함과 동시에 상기 전류의 양을 디지털화하여 센서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열감지센서(310)와, 상기 열감지센서(31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 구성되어 상기 열감지센서(3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류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전류방출부(320)와, 상기 전류방출부(320)로부터 방출되는 전류량을 계산하고, 디지털화하여 전선(L)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센서등(200)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부(330)와, 상기 디지털부(330)의 점등신호에 따라 전선(L)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센서등(200)을 점등시키는 점등부(3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시 열감지센서(310)를 통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이러한 감지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어부(300)가 전류를 방출하고, 이에 따라 센서등(200)이 바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제어부(300)의 전류방출부(320), 디지털부(330), 점등부(340)의 구성을 통하여 열감지센서(310)가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방출되는 전류량을 디지털화하고, 이러한 디지털값에 따라 센서등(200)이 작동되도록 하여 센서등(2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전류방출부(320)를 통하여 방출되는 전류값을 디지털화하는 경우 감지되는 전류량의 기준을 2A라고 하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기 입력된 전류량의 구분값에 따라 2A 이하이면 값이 "0"으로 2A 이상이면 값이 "1"과 같이 지정되는 디지털값을 생성하도록 하여 이러한 디지털값에 따라 센서등(200)이 작동되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열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류를 받출시키는 전류방출부(320)의 아날로그 데이타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부(330)에 입력된 전류기준값을 기준으로 변동하는 전류값에 따라 센서등(200)이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부(330)는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열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31)와, 상기 수신부(331)로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방출부(320)가 전류를 방출하는 경우, 전류에 저항을 가해 발생되는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332)와, 상기 전압측정부(332)의 전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200)의 점등신호로 형성하는 신호발생부(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류방출부(320)를 통하여 방출되는 전류를 디지털값으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류방출부(320)가 방출하는 전류를 상기 수신부(331)가 감지한 후에 상기 전류방출부(320)가 방출하는 전류를 상기 전압측정부(332)가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측정하고, 상기 전압측정부(332)의 전압값을 상기 신호발생부(333)가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전선(L)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센서등(200)의 점등신호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부(330)는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전류방출부(320)에서 방출되는 전류에 저항을 전달하고, 이를 통하여 생성되는 전압값을 디지털신호 또는 디지털값으로 변환하여 센서등(200)의 점등신호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보다 정확한 센서등(200)의 제어를 이룰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지털부(330)는 도시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전압측정부(332)의 구성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전류방출부(320)를 통하여 방출되는 전류에 저항을 가하여 이를 전압값으로 원활하게 변환하기 위해 저항부(332a)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며, 더욱 효율적인 전압값의 안정적인 변화를 이루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저항부(332a)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센서(100)를 통하여 사람이나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센서등이 작동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센서의 열감지로만 센서등이 작동되지 않고, 정확한 디지털값 또는 디지털신호를 통하여 센서등이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센서등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센서 200: 엘이디램프
300: 제어부 310: 열감지센서
320: 전류방출부 330: 디지털부
331: 수신부 332: 전압측정부
332a: 저항부 333: 신호발생부
340: 점등부

Claims (4)

  1. 사람 또는 동물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100)와, 상기 센서(10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램프(200)를 점등시키는 제어부(300)로 구성된 센서등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310)와,
    상기 센서(31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어 센서(31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전류를 방출하는 전류방출부(320)와,
    상기 전류방출부(320)의 전류량을 디지털화하여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200)의 점등신호로 형성하는 디지털부(330)와,
    상기 디지털부(330)의 점등신호에 따라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200)을 점등시키는 점등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330)는
    상기 열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전류를 받출시키는 전류방출부(320)의 아날로그 데이타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부(330)에 입력된 전류기준값을 기준으로 변동하는 전류값에 따라 센서등(200)이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부(330)는
    상기 열감지센서(10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31)와,
    상기 수신부(331)로 수신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류방출부(320)가 전류를 방출하는 경우, 전류에 저항을 가해 발생되는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332)와,
    상기 전압측정부(332)의 전압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된 센서등(200)의 점등신호로 형성하는 신호발생부(3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부(332)는
    상기 전류방출부(320)를 통하여 방출되는 전류에 저항을 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저항부(332a)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KR1020140048001A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KR20150121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001A KR20150121871A (ko)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001A KR20150121871A (ko)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871A true KR20150121871A (ko) 2015-10-30

Family

ID=5443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001A KR20150121871A (ko) 2014-04-22 2014-04-22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18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5064A (zh) * 2017-12-22 2018-06-08 宁波奇巧电器科技有限公司 识别人畜的自动感应安防探照灯及其控制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5064A (zh) * 2017-12-22 2018-06-08 宁波奇巧电器科技有限公司 识别人畜的自动感应安防探照灯及其控制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597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ed LED lighting
US20130221859A1 (en) Lighting Device Having Phototransistor with On/Off Control Circuitry
ATE475955T1 (de) Gefahrenmelder mit led
JP2015524150A5 (ko)
PH12017501411A1 (en) Electroluminescent status display
JP2011151630A (ja) センサ装置およびセンサ装置を用いた負荷制御システム
JP2019053052A5 (ko)
KR20150121871A (ko)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US9832834B1 (en) Toilet seat lighting apparatus
KR20080085710A (ko) 열선 무선 송신기 및 무선 수신기
KR100815016B1 (ko) 교통신호제어기 다기능 압버튼
JP2020507180A5 (ko)
JP2012252793A (ja) 人感センサ装置、人感センサシステム及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2006269407A (ja) 2線式負荷制御装置
KR20190124557A (ko) 전압제어 전류원을 이용한 주소형 화재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탐지 시스템
JP2015065080A (ja) スイッチ
RU2426281C1 (ru)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й драйвер светодиодного светильника
JP2015023456A5 (ko)
JP2011502781A5 (ko)
EP2278419A1 (en) Motion detector and load control unit
KR102224289B1 (ko) 전원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210064621A (ko) 화재 감지기 및 그 화재 감지기를 포함하는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934429B1 (ko) 센서등 조명제어장치
KR102021290B1 (ko) 구역별 선택 점등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US20120274220A1 (en) Display led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l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