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416A - Push Stick of Absorption Cleaning Fabric - Google Patents
Push Stick of Absorption Cleaning Fabric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1416A KR20150121416A KR1020140047218A KR20140047218A KR20150121416A KR 20150121416 A KR20150121416 A KR 20150121416A KR 1020140047218 A KR1020140047218 A KR 1020140047218A KR 20140047218 A KR20140047218 A KR 20140047218A KR 20150121416 A KR20150121416 A KR 201501214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cleaning cloth
- sides
- main body
- p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청소면의 이물질이 정전기를 활용한 청소포에 잘 흡착되도록 유도하여 청소 효율을 향상시키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type cleaning pad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type cleaning paddle for guiding foreign substances on a cleaning surface to be adsorbed on a cleaning pod utilizing static electricity to improve cleaning efficiency.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주택구조는 주로 바닥에 앉아서 생활하는 좌식 생활 구조이기 때문에 수시로 방이나 거실의 바닥을 청소하게 되며 주로 걸레를 이용하여 쪼그려 앉은 자세로 바닥을 닦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바, 오랜 시일이 지나면 무릎 관절이 시리거나 허리가 아프거나 하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Since the general housing structure of Korea is mainly a sitting style living on the floor, it often cleans the floor of a room or a living room, and the floor is wiped in a squatting position using a mop, and aft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ide effects such as knee joint sore or back pain are caused.
이에 따라, 걸레나 청소포 등을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킨 청소용 밀대가 사용되고 있다. As a result, a cleaning platen to which a mop or a cleaning cloth is detachably attached is used.
이러한 청소용 밀대는 통상 사각 본체의 중앙부에 밀대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본체가 바닥면 상에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바닥면의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무리하게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그 밖의 이물질 등을 닦아냄으로써 청소에 따른 번거로움을 상당히 없애고, 전기 청소기에 비하여 구입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유지에 따른 비용이 적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Such a cleaning plunger is usually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a square body, and the bottom surface is cleaned by reciprocating motion of the main body on the floor surface while the user pushes and pulls the plunger. In this state, Dust and other foreign matters in the cleaning device are wiped off, thereby eliminating the trouble of cleaning considerably, and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is less expensive to purchase than an electric vacuum cleaner, and is less costly to maintain.
최근 청소용 밀대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청소포는 주로 정전기를 활용하기 위해 PP(Polypropylene, PET(Poly EthyleneTerephthalate) 재질의 폴리머(Polymer)로 구성된다.Recently, a cleaning cloth used in combination with a cleaning plunger is mainly composed of a polymer made of polypropylene (PET) (poly ethylene terephthalate) to utilize static electricity.
이러한 청소포는 폴리머 자체의 정전기를 활용하여 바닥에 대고 미는 정도만으로도 먼지나 머리카락 같은 이물질을 흡착시키게 됨으로써 청소 능률이 높고,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청소 후 청소포를 빨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이로운 점이 있다.Such a cleaning cloth absorb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hair only by pushing against the floor by utilizing the static electricity of the polymer itself, thereby enhancing cleaning efficienc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cleaning, and eliminating the trouble of sucking the cleaning cloth after cleaning have.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청소용 밀대의 본체(10)는 청소포가 감싸지는 바닥면이 청소면과 밀착되도록 평평한 면으로 되어 있어 정전기를 발생하는 흡착식 청소포를 사용하여 청소할 때 각종 이물질이 청소포의 앞 부분에만 일자로 띠를 이루며 붙게 되어 이물질이 다시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떨어지는 이물질을 다시 회수하거나 청소면을 다시 닦아야 하는 등 청소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흡착식 청소포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한국등록특허: 10 - 1378947 (공고일 2014. 03. 27)Korea registered patent: 10 - 1378947 (Notification date 2014. 03. 27)
한국등록특허: 10 - 0760645 (공고일 2007. 10. 04)
Korean Registered Patent: 10 - 0760645 (Date of Notification: Oct. 04, 2007)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 이물질을 유도하는 유도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길 때 청소면의 이물질이 유도부에 유도되어 정전기를 활용하는 흡착식 청소포의 저면에 고르게 흡착되게 함으로써 흡착식 청소포의 기능이 제대로 활용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청소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tion unit for guiding foreign matter both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foreign substances on the cleaning surface are guided to the guiding por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plunger and is uniformly adsorb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dsor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ction type cleaning paddle that allows the function of the suction type cleaning pads to be utilized properly and thereby improves the cleaning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청소포 밀대는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 봉이 결합되고,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 이물질을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감싸서 이물질을 흡착하는 청소포;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eaning implement,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handlebar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guide portion for guiding foreign substance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leaning cloth that cover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dsorbs foreign matter.
상기 본체는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 봉이 결합되는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의 양측으로 청소포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청소포와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는 밀착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을 유도하는 유도부는 상기 밀착패드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plate having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cleaning cloth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and a pressing pa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to increas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cleaning cloth, And an inducing part for inducing the foreign matt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ct pad.
여기서, 상기 밀착패드는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dhesion pad is made of a buffer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상기 유도부는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서 전방면 및 후방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guide portion is formed of inclined surfaces inclining upwards from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의 전,후단부로부터 바닥 폭의 10∼40% 지점에서 시작하여 본체 또는 밀착패드 두께의 10∼40% 지점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from 10 to 40% of the bottom width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surface to 10 to 40% of the thickness of the body or the pad.
또한,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서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is selectively formed only in a partial region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 지지면이 형성되도록 일정 폭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except for the edge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여기서, 상기 지지면은 10∼40mm의 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upport surface has a width of 10 to 40 mm.
상기 청소포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Polym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leaning cloth is formed of a polymer that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또한, 상기 청소포는 외력 작용시 면 간의 마찰에 의해 흡착력을 위한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간격 유지용 돌기가 형성된 단위시트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leaning cloth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unit sheets, each having a protrusion for spacing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thereof, to generate static electricity for attraction force due to friction between surfaces in an external force action.
여기서, 상기 단위시트는 부직포이고, 상기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터(PET)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unit sheet is a nonwoven fabric, and the non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us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nd polyester (PET).
이에 더하여 상기 단위시트의 돌기 사이 사이에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groove for receiving a foreign substance is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s of the unit she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길 때 청소면의 이물질이 본체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유도부에 유도되어 청소포의 저면으로 밀려 들어가고 청소포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이물질이 청소포의 저면에 고르게 흡착됨으로써 청소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pushes and pushes the plunger, the foreign matter on the cleaned surface is guided to the guid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us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cloth,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being evenly adsorb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흡착식 청소포의 기능이 제대로 활용되게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unction of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cloth can be utilized properly, and the convenience of cleaning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 청소용 밀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에서 유도부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에서 청소포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1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leaning plunger.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ction type cleaning pa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body shown in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form of the guide portion in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pour plas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cloth in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pad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ction type cleaning pa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uction type cleaning pa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에서 유도부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체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에서 청소포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가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2,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sorbing type cleaning paw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leaning pouch in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pad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padd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Side view.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흡착식 청소포 밀대는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 봉(100)이 결합되고 바닥면의 전,후 측에 이물질을 유도하는 유도부가 형성된 본체(200)와, 본체의 바닥면을 감싸서 이물질을 흡착하는 청소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applic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200)는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 봉(100)이 결합되는 결합구(212)가 구비되고, 결합구(212)의 양측으로 청소포(300)를 고정시키는 고정편(214)이 구비되는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2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청소포와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는 밀착패드(220)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200 is provided with a
여기서, 손잡이 봉(100)은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막대로서 하단부가 플레이트(210)의 결합구(2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Here, the
그리고, 고정편(214)은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방사형 또는 Y자로 절개되어 꽂혀지는 청소포(300)를 물어 고정시킬 수 있게 구비된다.The
그리고, 밀착패드(220)는 바닥면을 감싸는 청소포(3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재질로 이루어진다. 완충재질의 밀착패드(220)는 청소포(300)에 탄성을 제공하여 청소포(300)와 청소면과의 밀착력을 높여주는 역할도 한다.The
그리고, 밀착패드(220)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는 이물질을 유도하는 유도부(222)가 구비된다.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유도부(222)는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길 때 청소면의 이물질을 청소포(300)의 저면으로 유도하여 이물질을 흡착하는 청소포(300)의 저면에 고르게 흡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guiding
여기서, 유도부(222)는 밀착패드(220)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서 밀착패드(220) 전방면 및 후방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경사면은 밀착패드(220) 바닥면의 전,후단부로부터 바닥 폭의 10∼40% 지점에서 시작하여 밀착패드(220) 두께의 10∼40% 지점까지 형성된다. The inclined surface starts from 10 to 40% of the bottom width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예를 들어 밀착패드(220)의 바닥면 폭이 120mm이고 두께가 20mm일 경우, 바닥면의 전,후단부로부터 바닥면의 중앙부를 향해 12∼48mm 들어간 지점에서 시작하여 두께의 2∼8mm 지점까지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러한 경사면은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서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se inclined surfaces may be formed longitudinally on bot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S. 2 and 3, but they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only som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surface.
또한,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은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 지지면(224)이 형성되도록 일정 폭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면(224)은 10∼40mm의 폭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inclined surfaces may be formed except for the edge region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여기서, 지지면(224)은 청소포(300)의 지지하는 면을 더 확보하면서도 경사면을 통해 이물질이 청소포(300)의 저면으로 유도되게 한다. Here, the
청소포(300)는 정전기를 활용하기 위해 PP(Polypropylene), PET(Poly EthyleneTerephthalate) 재질의 폴리머(Polymer)로 구성된다.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포(300)는 외력 작용시 면 간의 마찰에 의해 흡착력을 위한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간격 유지용 돌기(312)가 형성된 단위시트(310)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6, the
여기서, 단위시트(310)는 부직포이며,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터(PET)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것이 100% 사용된 것이거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터(PET)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이 일정 비율 혼합되어 제조된다.Here, the
그리고, 단위시트(3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간격 유지용 돌기(312)는 단위시트(310)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 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적층 되거나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 될 수 있다.The
또한 간격 유지용 돌기(312)는 청소면과의 마찰 및 부직포 간의 마찰을 위하여 반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Further, the
이에 더하여, 단위시트(310)의 간격 유지용 돌기(312) 사이 사이에는 단위시트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홈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식 청소포 밀대는 청소포(300)로 밀착패드(220)의 외측을 감싸서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편(214)에 꽂아 청소포(300)를 고정시킨 다음 손잡이 봉(100)을 잡고 본체(200)를 청소면 상에서 밀고 당겨 왕복운동시킴으로써 청소면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7,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paddl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leaning
이때, 청소포(300)가 감싸진 본체(200)와 청소면 사이에는 밀착패드(2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도부(222) 즉 경사면에 의해 유도공간(230)이 형성된다.An
그리고, 청소면의 이물질은 본체(200)를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유도부(222) 즉, 경사면을 타고 청소포(300)의 저면으로 잘 밀려 들어가 정기기를 발생하는 청소포(300)의 저면에 흡착되게 된다. 즉, 유도부인 경사면이 이물질을 안내하여 경사면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으로 들어가게 하고 바닥면이 이물질을 눌러서 잡아주며 청소포(30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청소포(300)에 흡착됨으로써 청소면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회수하게 된다. The foreign matter on the cleaning surface is suck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특히, 간격 유지용 돌기(312)가 형성된 단위시트(310)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청소포(300)의 경우, 외력이 가해질 때 간격 유지용 돌기(312)가 적층되는 단위시트(310)의 이동성을 높여 단위시트(310) 간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고, 단위시트(310) 간의 마찰력은 정전기를 발생시켜 이물질 흡착력을 더욱 높이게 된다. 즉, 청소면과의 마찰로 발생되는 정전기와 단위시트(310) 간의 마찰로 발생되는 정전기가 합해져서 이물질의 흡착력을 더욱 높이게 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또한, 청소포(300)에 가해지는 외력은 청소를 하는 동안 꾸준히 작용하기 때문에 단위시트(310) 간의 마찰이 꾸준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정전기의 발생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청소 면적이 넓고 청소시간이 길어지더라도 이물질의 흡착력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또한, 단위시트(310)의 홈부(314)에 이물질이 수용되어 포집되므로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고, 단위시트(310)로부터 이물질이 이탈하여 다시 청소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foreign matter is received and collected i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밀대를 밀고 당길 때 청소면의 이물질이 본체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유도부에 유도되어 청소포의 저면으로 밀려 들어가고 청소포에서 발생되는 정전기에 의해 이물질이 청소포의 저면에 고르게 흡착됨으로써 청소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착식 청소포의 기능이 제대로 활용되게 하여 청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pushes and pushes a plunger, the foreign matter on the cleaned surface is guided to the guid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pus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ing cloth. By adsorption, clea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Further, the function of the adsorption type cleaning cloth can be utilized properly, and the convenience of cleaning can be improv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손잡이 봉 200: 본체
210: 플레이트 212: 결합구
214: 고정편 220: 밀착패드
222: 유도부 224: 지지면
230: 유도공간 300: 청소포
310: 단위시트 312: 간격 유지용 돌기
314: 홈부100: handle bar 200: body
210: plate 212:
214: Fixing piece 220: Clamping pad
222: guiding portion 224: supporting surface
230: Induction space 300:
310: unit sheet 312: spacing projection
314: Groove
Claims (13)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감싸서 이물질을 흡착하는 청소포;
를 포함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A main body having a handle bar coupled to a cent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guide portion for guiding foreign substances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And
A cleaning cloth which cover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dsorbs foreign matter;
A suction-type swab cover.
상기 본체는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 봉이 결합되는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의 양측으로 청소포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되어 청소포와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키는 밀착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을 유도하는 유도부는 상기 밀착패드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plate having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cleaning cloth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hole, and a pressing pad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to increase frictional resistance with the cleaning cloth, And,
Wherein the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ct pad.
상기 밀착패드는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hesion pad is made of a buffer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e.
상기 유도부는 바닥면의 전,후 양측에서 전방면 및 후방면을 향해 상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uiding portion comprises an inclined surface inclining upwards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front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의 전,후단부로부터 바닥 폭의 10∼40% 지점에서 시작하여 본체 또는 밀착패드 두께의 10∼40% 지점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from 10 to 40% of the bottom width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ottom surface to 10 to 40% of the thickness of the body or the pad.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서 일부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selectively formed only on a partial area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상기 경사면은 바닥면의 좌,우 양측에 지지면이 형성되도록 일정 폭의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하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as to have a support surfac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surface except for the edge region having a constant width.
상기 지지면은 10∼40mm의 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upport surface has a width of 10 to 40 mm.
상기 청소포는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폴리머(Polym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cloth is made of a polymer that generates static electricity.
상기 청소포는 외력 작용시 면 간의 마찰에 의해 흡착력을 위한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일면 또는 양면에 간격 유지용 돌기가 형성된 단위시트가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cloth is formed by laminating a plurality of layers of unit sheets having protrusions for maintaining spacing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cleaning cloth to generate static electricity for adsorption force due to friction between surfaces during an external force action.
상기 단위시트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nit sheet is a nonwoven fabric.
상기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터(PET)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nonwoven fabric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nd polyester (PET).
상기 단위시트의 돌기 사이 사이에는 이물질을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 청소포 밀대.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groove portion for receiving a foreign substance is formed between the projections of the unit she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7218A KR101649787B1 (en) | 2014-04-21 | 2014-04-21 | Push Stick of Absorption Cleaning Fabric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7218A KR101649787B1 (en) | 2014-04-21 | 2014-04-21 | Push Stick of Absorption Cleaning Fabric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1416A true KR20150121416A (en) | 2015-10-29 |
KR101649787B1 KR101649787B1 (en) | 2016-08-19 |
Family
ID=5443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7218A KR101649787B1 (en) | 2014-04-21 | 2014-04-21 | Push Stick of Absorption Cleaning Fabric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9787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6105A (en) * | 2016-07-08 | 2018-01-1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Mop apparatus |
JP2022163450A (en) * | 2021-04-14 | 2022-10-26 | 晶子 伊藤 | mop hea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72308A (en) * | 1989-11-30 | 1991-07-25 | Mitsui Petrochem Ind Ltd | Cyclic olefin random copolymer |
JPH05305049A (en) * | 1992-05-01 | 1993-11-19 | Duskin Co Ltd | Cleaning tool |
KR100760645B1 (en) | 2006-08-04 | 2007-10-04 | 주식회사 영일비젼 | Push stick with a duster for cleaning a floor |
KR101378947B1 (en) | 2012-10-29 | 2014-03-27 | 유경수 | Clean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72308B2 (en) * | 1992-01-22 | 2001-06-0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Metal layer for solder connection, electronic component or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and electronic circuit device using the same |
-
2014
- 2014-04-21 KR KR1020140047218A patent/KR10164978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72308A (en) * | 1989-11-30 | 1991-07-25 | Mitsui Petrochem Ind Ltd | Cyclic olefin random copolymer |
JPH05305049A (en) * | 1992-05-01 | 1993-11-19 | Duskin Co Ltd | Cleaning tool |
KR100760645B1 (en) | 2006-08-04 | 2007-10-04 | 주식회사 영일비젼 | Push stick with a duster for cleaning a floor |
KR101378947B1 (en) | 2012-10-29 | 2014-03-27 | 유경수 | Clean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6105A (en) * | 2016-07-08 | 2018-01-1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Mop apparatus |
JP2022163450A (en) * | 2021-04-14 | 2022-10-26 | 晶子 伊藤 | mop hea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9787B1 (en) | 2016-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269134A1 (en) | Cleaning cloth | |
US8528150B1 (en) | Foot operated scrubbing device | |
TWI297599B (en) | ||
DK1653842T3 (en) | Flat mop cover for a mop device, especially for floor cleaning | |
US10172505B2 (en) | Cleaning pad for a robot cleaner | |
KR101649787B1 (en) | Push Stick of Absorption Cleaning Fabric | |
KR102061799B1 (en) | Mop | |
US5575032A (en) | Sponge shower cleaner | |
JP6765168B2 (en) | Cleaning tools | |
KR100831619B1 (en) | Floor-cloth fixing structure | |
KR200428580Y1 (en) | Pad for steam cleaner | |
US20150040940A1 (en) | Cleaning Pad | |
TW200538079A (en) |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 |
US2540768A (en) | Sponge mop and holder therefor | |
TWM509126U (en) | Wiping device | |
US20150201819A1 (en) | Surface cleaning device | |
JP2005144111A (en) | Slipper to which dust adsorption sheet is attached | |
JP3801280B2 (en) | Cleaning tool | |
JP5787528B2 (en) | Cleaning pad | |
JP2015205140A (en) | Face cleaning tool | |
KR20200114067A (en) | Magic soft hook mop plate pad for disposable nonwoven cleaning cloth | |
JP2004208941A (en) | Cleaning sheet | |
CN203736126U (en) | Ground cleaning robot | |
CN221888154U (en) | Cleaning system | |
JPH1033445A (en) |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