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840A -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 Google Patents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840A
KR20150120840A KR1020140138124A KR20140138124A KR20150120840A KR 20150120840 A KR20150120840 A KR 20150120840A KR 1020140138124 A KR1020140138124 A KR 1020140138124A KR 20140138124 A KR20140138124 A KR 20140138124A KR 20150120840 A KR20150120840 A KR 20150120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ub
fluid
needl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769B1 (ko
Inventor
이희영
Original Assignee
메디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칸(주) filed Critical 메디칸(주)
Priority to PCT/KR2015/0108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60467A2/ko
Publication of KR20150120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4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3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 A61M5/4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with means for eliminating or preventing injection or infusion of air into body using low-level float-valve to cut off media flow from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생체에 유체를 주입하는 장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에 설치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Valves and its coupling method}
본 발명은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에 유체를 주입시 사공간으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면서 사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사기는, 유체를 생체 조직 내에 주입하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바늘이 결합된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끼움 결합되고, 공간이 마련된 시린지와, 상기 공간에 결합하여 로드바의 당김 또는 미는 동작에 의해 연동하여 공간의 압력을 상승시켜 발생되는 양압 또는 음압을 통해 바늘을 거쳐 약물을 배출하거나 추출하는 로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시린지 끝단과 로드바 끝단에는 플랜지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주사기를 통해 약물을 인체에 투입 또는 추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양손을 이용하여 시린지와 로드를 각각 잡은 상태에서 바늘을 인체에 침투시킨 후 로드를 후방으로 빼내는 동작에 의한 음압을 발생시켜 유체를 흡입하거나, 상기 로드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동작에 의한 양압을 발생시켜 약물을 배출하게 된다.
최근 들어 자가지방, 필러, 보톡스와 같은 물질을 생체에 투입하기 위해 시린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체는 공급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배출만을 위한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기술은 미국특허 제07291134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린지의 선단에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몸체가 설치된 구성이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시린지에 가해지는 압력을 멈췄을 때 유체가 머물러있는 사공간이 크기 때문에 사공간에 머물러 있던 유체가 굳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배출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시린지에 가해지는 압력을 멈췄을 때 유체가 머물러있는 사공간이 크기 때문에 유실되는 유체 양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체에 유체를 주입하는 장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체에 유체를 주입시 사공간으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부에서 바늘로 주입되는 유체가 허브에 남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허브와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브에 밸브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에 설치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도록 한 기능이 포함된 것을 그 기술적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에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바늘을 통해 허브 내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연결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허브에 연통된 바늘로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것을 그 기술적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도록 하고, 상기 바늘을 통해 허브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연결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허브에 연통된 바늘로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것을 그 기술적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연결부 사이에 밸브가 결합되되, 상기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도록 하고, 상기 바늘을 통해 허브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연결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허브에 연통된 바늘로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것을 그 기술적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는, 선단은 좁고 절개선이 형성되어 유체가 공급되면 확개되고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고, 후단은 상기 연결부의 입구에 상응하도록 넓게 개구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밸브 후단으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밸브의 선단이 개구되어 허브로 유체를 공급하고,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선단이 밀착 폐쇄되어 바늘에서 연결부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는, 선단과 후단이 서로 다른 재질을 갖되, 상기 선단은 시린지에 압력이 가해지면 확개되어 유체가 공급되고 압력이 멈췄을 때는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재질이고 후단은 강성재질의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허브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재가 체결되어 밸브 내의 압력으로 인해 허브와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어댑터를 포함하는 밸브.
상기 허브와 연결부에 각각 설치되어 밸브 내의 압력으로 인해 허브와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어댑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공간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정체시 응고되는 용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공간은, 상기 밸브가 결합된 상태의 사공간 용적은 10마이크로리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가 결합된 상태의 사공간 용적은 2 내지 5마이크로리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공간의 용적과 밸브의 부피는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는, 선단이 허브 내측면의 선단부에 맞닿고 후단은 허브내로 삽입되는 연결부 끝단에 맞닿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밸브는, 상기 허브와 연결부 사이에 완전 수용되되, 상기 연결부가 밸브 내부에 끼움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허브와 밸브와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 설치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설치되는 밸브가 하나 이상 포장된 포장패키지를 포함하는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장패키지는, 상기 밸브의 내부 모양과 상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포장패키지의 보호비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포장패키지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허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포장패키지를 외부를 가압하여 허브 내부에 밸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허브에 연결부를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허브에 연결부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 상기 허브와 연결부에 각각 설치된 고정어댑터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를 포함하는 시린지를 기본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는 생체에 유체를 주입하는 장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허브의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밸브는 생체에 유체를 주입시 사공간으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허브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를 수용하여, 바늘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역류를 막고 연결부에서 주입되는 일정량의 유체만이 밸브를 통과하여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밸브는 연결부에서 바늘로 주입되는 유체가 허브에 남지 않도록, 허브와 연결부 사이에 형성된 사공간에 밸브가 완전 수용되어, 생체에 유체를 주입시 사공간을 최소화하여 유체가 굳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밸브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허브와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부에 설치되고 허브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재가 체결되는 고정어댑터를 통해,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밸브는 허브에 밸브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허브의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설치되는 밸브가 하나 이상 포장된 포장패키지를 포함하여, 포장패키지를 외부를 가압하여 허브 내부에 밸브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인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밸브의 포장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밸브의 포장 및 삽입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인 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밸브의 포장패키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밸브의 포장 및 삽입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밸브 100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바늘 200, 상기 바늘 200과 연결되는 허브 300 및 상기 허브 300와 연결되는 연결부 400로 이루어진 기구에 설치되는 밸브 1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바늘 200은 허브 300에 일체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특히, 허브 300는 후방으로 개구된 내부공간 3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내부공간 301의 안쪽에는 바늘 200의 끝단이 노출된 내측면 305이 형성되어 바늘 200로 유체가 흐르게 된다.
나아가, 상기 내부공간 301에서 연결부 400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 303이 형성된다. 이때, 사공간 303은 연결부 40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정체시 응고되는 용적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사공간 303의 용적은 10마이크로리터 이상이다. 즉, 혈액 등과 같은 점액질 유체는 10마이크로리터 이상일 경우 응고된다.
한편, 허브 300의 내부공간 301에 연결부 400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 301에서 연결부 400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 303에 밸브 100가 설치된다.
이처럼, 사공간 303의 용적과 밸브 100의 부피는 상호 동일하다. 즉, 밸브 100가 결합된 상태의 사공간 303 용적은 2 내지 5마이크로리터이다.
이처럼, 밸브 100는 선단 101이 허브 300 내측면 305의 선단 101부에 맞닿고 후단 103은 허브 300내로 삽입되는 연결부 400 끝단 401에 맞닿게 배치된다.
이러한, 밸브 100는 선단 101은 좁고 절개선 110이 형성되어 유체가 공급되면 확개되고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고, 후단 103은 상기 연결부 400의 입구에 상응하도록 넓게 개구된 형상이다.
이때, 밸브 100는 연질의 비금속 고분자 소재 또는 실리콘 재질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한편, 밸브 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101과 후단 103이 서로 다른 재질을 갖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선단 101은 연결부 400에 압력이 가해지면 확개되어 유체가 공급되고 압력이 멈췄을 때는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재질이고 후단 103은 강성재질의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밸브 100는 생체에 유체를 주입하는 장치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허브 300의 내부공간 301에서 연결부 400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 303에 밸브 100가 설치되어, 밸브 100를 통해 사공간 303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 303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 100를 통해 흐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밸브 100는 연결부 400에서 바늘 200로 주입되는 유체가 허브 300에 남지 않도록, 허브 300와 연결부 400 사이에 형성된 사공간 303에 밸브 100가 완전 수용되어, 생체에 유체를 주입시 사공간 303을 최소화하여 유체가 굳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바늘 200, 상기 바늘 200과 연결되는 허브 300 및 상기 허브 300와 연결되는 연결부 400로 이루어진 기구에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1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바늘 200을 통해 허브 300 내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연결부 400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허브 300에 연통된 바늘 200로 일방향으로만 진행한다.
즉,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100는 상기 연결부 400를 통해 밸브 100 후단 103으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밸브 100의 선단 101이 개구되어 허브 300로 유체를 공급하고,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선단 101이 밀착 폐쇄되어 바늘 200에서 연결부 400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본 발명의 밸브 100는 생체에 유체를 주입시 사공간 303으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허브 300 내부에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 100를 수용하여, 바늘 200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역류를 막고 연결부 400에서 주입되는 일정량의 유체만이 밸브 100를 통과하여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덧붙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 300와 연결부 400 사이에 밸브 1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밸브 100는 허브 300와 연결부 400 사이에 완전 수용되되, 상기 연결부 400가 밸브 100 내부에 끼움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허브 300와 밸브 100와 연결부 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밀폐된다. 즉, 허브 300의 내부 공간에 밀착되게 밸브 100를 끼움 결합하여 밀폐될 수도 있고, 연결부 400의 외주면에 밸브 100의 내주면이 밀착되게 끼움 결합하여 밀폐될 수도 있다.
나아가, 연결부 400는 유체가 충진되어 바늘 200로 유체를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부 400는 로드 610의 가압으로 유체를 배출하는 시린지 600가 바람직하나 링겔 튜브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 400에 외측으로 이격되게 고정어댑터 410가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어댑터 410는 허브 300의 끝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부재 305가 체결된다.
이러한, 고정어댑터 410를 통해 밸브 100 내의 압력으로 인해 허브 300와 연결부 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본 발명의 밸브 10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허브 300와 연결부 4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결부 400에 설치되고 허브 30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재 305가 체결되는 고정어댑터 410를 통해, 안정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밸브 100는 허브에 밸브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허브 300의 내부공간 301에서 연결부 400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 303에 설치되는 밸브 100가 하나 이상 포장된 포장패키지 500를 포함하여, 포장패키지 500를 외부를 가압하여 허브 300 내부에 밸브 100를 손쉽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100가 하나 이상 포장된 포장패키지 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포장패키지 500는 캡슐형태로 포장되어 있으며 공간을 갖는 가압부재 510 내측면에 밸브 100의 내부 모양과 상응하는 돌출부 5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 510의 공간을 마감하는 보호비닐 5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가압부재 510를 가압하여 보호비닐 530을 제거할 수도 있고 보호비닐 530을 제거한 후 가압부재 510를 조작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100를 허브 300에 결합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포장패키지 500의 보호비닐 530을 제거한다.(보호비닐 제거단계 S10) 그리고 상기 포장패키지 500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 520에 허브 300를 위치시킨다.(허브 배치단계 S20) 또한, 상기 포장패키지 500를 외부를 가압하여 허브 300 내부에 밸브 100를 삽입한다.(밸브삽입단계 S30) 더불어, 허브 300에 연결부 400를 결합한다.(연결부 결합단계 S40)
이때, 포장패키지 500의 외부 즉 가압부재 510의 중앙을 가압하여 밸브 100의 일부를 삽입한 후 가압부재 5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돌출부 520를 상승시켜 허브 300 내의 사공간에 밸브 100가 위치 되도록 한다.
또한, 허브 300에 연결부 400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 상기 허브 300와 연결부 400에 각각 설치된 고정어댑터 410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밸브 101 : 선단
103 : 후단 110 : 절개선
120 : 밀착면 200 : 바늘
300 : 허브 301 : 내부공간
303 : 사공간 305 : 내측면
307 : 걸림부재 400 : 연결부
401 : 끝단 410 : 고정어댑터
500 : 포장패키지 510 : 가압부재
520 : 돌출부 530 : 보호비닐
600 : 시린지 610 : 로드

Claims (21)

  1.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에 설치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도록 한 밸브.
  2.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에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바늘을 통해 허브 내에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연결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허브에 연통된 바늘로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3.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도록 하고,
    상기 바늘을 통해 허브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연결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허브에 연통된 바늘로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4.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 설치하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연결부 사이에 밸브가 결합되되,
    상기 밸브를 통해 사공간의 용적을 최소화시켜 사공간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체가 밸브를 통해 흐름 되도록 하고,
    상기 바늘을 통해 허브 내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고 연결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를 허브에 연통된 바늘로 일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선단은 좁고 절개선이 형성되어 유체가 공급되면 확개되고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고, 후단은 상기 연결부의 입구에 상응하도록 넓게 개구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밸브 후단으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밸브의 선단이 개구되어 허브로 유체를 공급하고,
    유체의 공급이 중단되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선단이 밀착 폐쇄되어 바늘에서 연결부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연질의 비금속 고분자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선단과 후단이 서로 다른 재질을 갖되,
    상기 선단은 연결부에 압력이 가해지면 확개되어 유체가 공급되고 압력이 멈췄을 때는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재질이고 후단은 강성재질의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허브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재가 체결되어 밸브 내의 압력으로 인해 허브와 연결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어댑터를 포함하는 밸브.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공간은,
    상기 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정체시 응고되는 용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공간은,
    상기 밸브가 결합된 상태의 사공간 용적은 10마이크로리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가 결합된 상태의 사공간 용적은 2 내지 5마이크로리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공간의 용적과 밸브의 부피는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선단이 허브 내측면의 선단부에 맞닿고 후단은 허브내로 삽입되는 연결부 끝단에 맞닿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허브와 연결부 사이에 완전 수용되되, 상기 연결부가 밸브 내부에 끼움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밸브와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7.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기구 설치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내부공간에 연결부가 결합되되,
    상기 내부공간에서 연결부가 결합된 부위 이외에 남는 사공간에 설치되는 밸브가 하나 이상 포장된 포장패키지를 포함하는 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패키지는,
    상기 밸브의 내부 모양과 상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19. 제17항의 제조된 물건을 이용한 밸브 결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장패키지의 보호비닐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포장패키지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허브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포장패키지를 외부를 가압하여 허브 내부에 밸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허브에 연결부를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밸브 결합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 연결부를 결합하는 단계 이후,
    상기 허브와 연결부에 각각 설치된 고정어댑터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밸브 결합 방법.
  2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밸브를 포함하는 시린지.
KR1020140138124A 2014-04-18 2014-10-14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KR10170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838 WO2016060467A2 (ko) 2014-10-14 2015-10-14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6543 2014-04-18
KR1020140046543 2014-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840A true KR20150120840A (ko) 2015-10-28
KR101709769B1 KR101709769B1 (ko) 2017-02-24

Family

ID=5442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124A KR101709769B1 (ko) 2014-04-18 2014-10-14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7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65B1 (ko) * 2017-04-12 2018-06-20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KR102175581B1 (ko) * 2019-09-18 2020-11-09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588A (en) * 1986-07-25 1990-10-30 H. G. Wallace Limited Device suita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a therapeutic substance
KR101008476B1 (ko) * 2010-10-05 2011-01-14 김정재 카테타 허브와 연결관의 결합구조
KR101222881B1 (ko) * 2011-07-11 2013-01-17 김근배 필터 니들
JP2013513461A (ja) * 2009-12-15 2013-04-22 クック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丈ワンウェイバル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588A (en) * 1986-07-25 1990-10-30 H. G. Wallace Limited Device suitable for the administration of a therapeutic substance
JP2013513461A (ja) * 2009-12-15 2013-04-22 クック メディカ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低丈ワンウェイバルブ
KR101008476B1 (ko) * 2010-10-05 2011-01-14 김정재 카테타 허브와 연결관의 결합구조
KR101222881B1 (ko) * 2011-07-11 2013-01-17 김근배 필터 니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65B1 (ko) * 2017-04-12 2018-06-20 (주)풍림파마텍 재사용 방지 구조를 갖는 주사바늘 캡
KR102175581B1 (ko) * 2019-09-18 2020-11-09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WO2021054667A1 (ko) * 2019-09-18 2021-03-25 주식회사 메디사랑 혈소판 풍부 혈장 추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추출방법
CN114423395A (zh) * 2019-09-18 2022-04-29 株式会社美迪爱 用于提取富血小板血浆的装置及利用其的提取方法
US11660253B2 (en) 2019-09-18 2023-05-30 Medisarang Co., Ltd. Device for extracting platelet rich plas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769B1 (ko) 201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1463T3 (es) Conector tipo luer macho autosellante con tapón de válvula desviado
RU2531647C2 (ru) Закрытое охватываемое люэров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безыголь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доступа
JP2944409B2 (ja) 針の隔離装置を備えた注射器組立体
JP5162255B2 (ja) バルブを備えた液体コネクタ
KR20130007576A (ko) 새로운 무바늘 액세스 커넥터 및 그 이용 방법
JP2017515603A (ja) 一方弁を備えた医療用カートリッジ
EP2679274B1 (en) Needle-free medicine injection connector without experiencing non-positive and non-negative pressure
JP2012501742A (ja) 接続および分離中の流体の漏出を最小化する閉鎖雄型ルアー装置
JP2006500161A (ja) 使い捨て注射器
US20200338260A1 (en) Flushing apparatus for injection of hazardous medicinal liquid, and hazardous medicinal liquid injection apparatus
ES2862318T3 (es) Aparato de inyección de medicamento líquido capaz de inyectar líquido adicional después de finalizar la inyección de un medicamento líquido
RU2674282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узел инъекционной иглы для шприца
KR20160045739A (ko) 주사기용 루어 연결 어댑터
KR101491953B1 (ko) 스틱인저리와 감염 방지기능을 갖는 수액 주사니들 유닛
JP6945641B2 (ja) 密閉システム調剤投薬装置
KR101709769B1 (ko) 밸브 및 이의 결합 방법
KR101536584B1 (ko) 의료용 주사 바늘 및 이를 이용한 주사기
US20200330698A1 (en) Outer cap of liquid medicine-injecting device
KR101419839B1 (ko) 주사기용 필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US10994117B2 (en) Multi-cap for connecting catheter
KR101443687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안전주사기
KR101810888B1 (ko) 슬립방지 체결구조를 갖는 주사기 캡
KR20180026494A (ko) 개선된 의료용 커넥터
JP4600280B2 (ja) 薬液供給制御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薬液投与セット
KR101479258B1 (ko) 일회용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