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638A - 푸쉬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638A
KR20150120638A KR1020140046429A KR20140046429A KR20150120638A KR 20150120638 A KR20150120638 A KR 20150120638A KR 1020140046429 A KR1020140046429 A KR 1020140046429A KR 20140046429 A KR20140046429 A KR 20140046429A KR 20150120638 A KR20150120638 A KR 20150120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movable
terminals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435B1 (ko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102014004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43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0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램프발광으로 식별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상부나 하부를 통해 작동부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의 반대측 벽면 내면에 좌우 진자 운동하는 기억자 형태의 걸림구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설치되어 푸쉬/재 푸쉬 작동으로 걸림구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브이자 형태의 걸림부가 후방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설치된 반대측 전방에는 제1,2단자가 상하로 형성된 가동단자가 설치되는 가동케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가동단자에 접촉되는 제1,2고정단자가 일측에 형성된 반대편으로 제1,2연결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노출된 단자케이스로 구성하여, 상기 가동케이스의 푸쉬 작동시 가동단자가 제1,2고정단자에 동시에 접점되고, 상기 가동케이스의 재 푸쉬 작동으로 가동단자가 제1,2고정단자중 하나와 접점이 해제되도록 구성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증대되며, 가동단자를 분리할 수 있어 단자만을 별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푸쉬스위치{Push swich}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램프발광으로 식별이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상부나 하부를 통해 작동부재의 설치 위치에 따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푸쉬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등에는 점, 소등(온,오프)의 작동을 위한 푸쉬 스위치가 결합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푸쉬 스위치는 전방의 노브와; 상기 노브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이 설치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탄발스프링과 함께 내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부로 결합되되 전원의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를 갖는 상부 덮개로 대별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 저면에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에 탄발지지되되 일측단은 회전작동케 지지되고 타측단은 플런저의 캠부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를 갖는 록킹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푸쉬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등(미도시)에 조립되어 노브에 의해 플런저를 밀어주면, 상기 플런저가 탄발스프링을 압축 전진하면서 캠작동바의 타측단이 캠부를 따라 캠작동하여 상기 플런저가 전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플런저의 가동접지판이 덮개의 고정접지판(미도시)에 접지되어 전원을 인가하여 실내등을 온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노브에 의해 플런저를 또 다시 밀어주면, 상기 캠작동바의 타측단이 플런저의 캠부를 따라 원위치로 캠작동함과 동시에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플런저를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플런저의 가동접지판이 상기 덮개의 고정접지판(미도시)과 어긋나면서 전원이 단속되어 실내등을 오프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푸쉬스위치는 대한민국특허 등록번호 제20-0423399호로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의 명칭을 갖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종래의 푸쉬스위치는 전방에 노브가 결합되고 상부에 가동접지판이 설치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가 탄발스프링과 함께 내장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부로 결합되고 저면의 고정접지판과 상부의 연결단자를 갖는 상부 덮개로 구성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 저면에는 플런저의 캠부를 따라 캠작동하는 캠작동바를 판스프링으로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노브를 가압 작동함에 따라 캠작동바의 캠작동으로 플런저가 케이스 내부에서 탄발 안내되며 전진되거나 다시 원위치 복귀하면서 온,오프 작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개구부를 개방 형성하여 상단에 캠작동바를 탄발 지지하는 탄발력을2갖도록 절곡 돌출된 형상의 판스프링을 일체로 성형한 별도의 하부덮개를 개폐가능케 조립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중앙에는 가이더를 돌출 형성하고, 플런저의 전방에는 상기 가이더가 안내되는 안내홈을 형성하여 상기 플런저가 전진되거나 다시 원위치복귀시에 안내 이동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푸쉬스위치는 주간에는 자동차의 실내의 시인성이 확보되지만 야간 주행시나 터널과 같은 빛이 없는 시점이나 곳에 있을 경우 자동차의 실내등을 조작하는 스위치에는 조명이 없어 시인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푸쉬스위치는 어두운 자동차의 실내에서 실내등을 조작하기 위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손을 실내등 근처를 더듬어 손의 감각에 의존하여 스위치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푸쉬스위치는 걸림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실용신안등록 제20-0423399호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푸쉬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동단자를 분리할 수 있어 단자만을 별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의 반대측 벽면 내면에 좌우 진자 운동하는 기억자 형태의 걸림구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설치되어 푸쉬/재 푸쉬 작동으로 걸림구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브이자 형태의 걸림부가 후방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가 설치된 반대측 전방에는 제1,2단자가 상하로 형성된 가동단자가 설치되는 가동케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가동단자에 접촉되는 제1,2고정단자가 일측에 형성된 반대편으로 제1,2연결단자가 각각 연결되어 노출된 단자케이스로 구성하여, 상기 가동케이스의 푸쉬 작동시 가동단자가 제1,2고정단자에 동시에 접점되고, 상기 가동케이스의 재 푸쉬 작동으로 가동단자가 제1,2고정단자중 하나와 접점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스위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증대되며, 가동단자를 분리할 수 있어 단자만을 별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가동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
도 6에서 도면 a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가동케이스를 나타낸 배면도, 도면 b는 가동케이스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단자의 배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단자케이스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및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고정단자와 연결단자의 사시도 및 일 측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정 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스위치의 작동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스위치는 걸림구(11)가 형성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에 결합되며 걸림부(21)가 후방면에 형성되고, 전방면에는 가동단자(24)가 형성되며 접점을 위한 푸쉬와 재푸쉬 기능을 하는 가동케이스(20), 상기 가동케이스(20)의 작동으로 가동단자(24)가 접점되는 제1,2고정단자(31)(32)가 형성된 단자케이스(30)로 스위치(100)가 구성된다.
먼저, 상기 스위치(100)는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10)의 반대측 벽면(10a) 내면에 좌우 진자 운동하는 디귿자 형태의 걸림구(11)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는 상부면과 일측이 개방된 사각 형태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벽면(10a)에는 걸림구(11)의 일단이 끼워지는 끼움단(10b)이 돌출 형성되며, 걸림구(11)의 타 끝단은 걸림부(21)에 걸림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구(11)가 설치되는 케이스(10)의 일측 벽 내면에는 걸림구(11)의 이탈을 방지하며 걸림부(21) 쪽으로 밀어주는 탄성판(11a)가 결합되어 걸림구(11)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21)는 사각틀홈(21a)의 중앙에 브이자 걸림단(21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21b)의 일측으로 걸림구(11)가 상승 이동하는 제1통로(21c)의 상부측에 걸림구(11)를 걸림단(21b)의 걸림홈(21d)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단(21e)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21d)의 상부에는 걸림구(11)를 걸림홈(21d)에서 이탈을 위해 안내하는 제2안내단(21f)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단(21b)의 타측으로 걸림구(11)가 하강 이동하는 제2통로(21g)가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2통로(21g)가 종료되는 하부에는 걸림구(11)를 사각틀홈(21a)의 중앙 하부로 안내하는 제3안내단(21h)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설치되어 푸쉬/재 푸쉬 작동으로 걸림구(11)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브이자 형태의 걸림부(21)가 후방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1)가 설치된 반대측 전방에는 제1,2단자(22)(23)가 형성된 가동단자(24)가 설치되는 가동케이스(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동단자(24)는 제1,2단자(22)(23)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단(24a)이 가동케이스(20)의 단자홈(20a)에 삽입되고, 상기 제1,2단자(22)(23)는 연결단(24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가동케이스(20)의 하부면에는 스프링(25a)이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25)를 양측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스프링(25a)이 끼움되는 스프링홈(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동단자(24)에 접촉되는 제1,2고정단자(31)(32)가 일측에 형성된 반대편으로 제1,2연결단자(33)(34)가 각각 연결되어 노출된 단자케이스(30)로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1,2연결단자(33)(34)의 상하부 끝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상하부 끝단에 잭을 연결할 수 있는 제1,2단자홈(35)(36)을 각각 형성한다.
즉, 상기 스위치(100)는 가동케이스(20)의 푸쉬 작동시 가동단자(24)가 제1,2고정단자(31)(32)에 동시에 접점되고, 상기 가동케이스(20)의 재 푸쉬 작동으로 가동단자(24)가 제1,2고정단자(31)(32)중 하나와 접점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1,2연결단자(33)(34)를 보호하기 위한 단자커버(37)가 케이스(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100)는 케이스(10)의 끼움단(10b)에 걸림구(11)의 일단을 끼움한 후 타단은 케이스(10)의 내측을 향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케이스(20)에 가동단자(24)의 연결단(24a)을 가동케이스(20)의 단자홈(20a)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후, 상기 가동케이스(20)의 돌기(25)에 스프링(25a)을 결합하거나 스프링홈(26)에 스프링(25a)을 끼움한 상태로 케이스(10)의 내부로 가동케이스(20)를 결합하면서 걸림구(11)의 타단이 걸림부(21)의 사각틀홈(21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자케이스(30)의 제1,2고정단자(31)(32)가 각각 제1,2단자(22)(23)에 각각 마주보는 위치로 케이스(10)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가동케이스(20)의 내부로는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 상시 점등되는 램프(200)를 삽입시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케이스(20)의 상부로는 푸쉬 조작을 위한 노브(201)를 결합하며, 노브(201)에는 램프(200)의 불빛이 투광되는 것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상기 스위치(100)이 설치되는 지점에서 제1,2연결단자(33)(34)와 각각 연결되어 점등과 소등되는 별도의 발광장치와 연결하는데, 상기 제1,2연결단자(33)(34)에 각각 형성된 제1단자홈(20a)을 통해 일측에서 발광장치의 커넥터를 연결하거나 제2단자홈(20a)을 통해 타측에서 발광장치의 커넥터를 연결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이렇게, 설치된 스위치(100)는 가동케이스(20)의 제1단자(22)가 제1고정단자(31)와 접점되고 제2단자(23)가 제2고정단자(32)는 비 접점상태를 유지하여 발광장치가 점멸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노브(201)를 가압하면 가동케이스(20)가 함께 가압되면서 걸림구(11)가 사각틀홈(21a)내에서 제1통로(21c)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1안내단(21e)에 접촉하면서 이동경로를 변환하게되고, 상기 노브(201)의 가압을 해제하면 걸림구(11)가 걸림단(21b)의 걸림홈(21d)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되어 가동케이스(20)가 스프링(25a)의 탄성력에 의해서도 원위치하지 않고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케이스(20)의 가압 작동으로 제1단자(22)는 제1고정단자(31)에 접점된 상태에서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1단자(22)는 제1고정단자(31)와 접점상태를 유지하고, 제2단자(23)는 제2고정단자(32)에 접점되면서 제1,2연결단자(33)(34)가 통전되어 별도의 발광장치가 점등되는 작동을 한다.
아울러, 상기 노브(201)를 재 가압하면 가동케이스(20)가 함께 가압되면서 걸림단(21b)의 걸림홈(21d)에 걸림되었던 걸림구(11)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제2안내단(21f)에 접촉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제2통로(21g)로 이동하고, 상기 노브(201)를 가압하는 작용력을 해제하면 스프링(25a)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케이스(20)가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걸림구(11)는 제2통로(21g)를 따라 이동한 후 제3안내단(21h)에 접촉하면서 방향이 전환되면서 이동하여 걸림단(21b)의 하부 중앙과 사각틀홈(21a)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가동케이스(20)의 재 가압 작동으로 제1단자(22)는 제1고정단자(31)에 접점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부로 이동하고, 제2단자(23)는 제2고정단자(32)에 접점이 해제되면서 제1,2연결단자(33)(34)가 비 통전되어 별도의 발광장치가 점멸되는 작동을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케이스 10a : 벽면
10b : 끼움단 11 : 걸림구
20 : 가동케이스 20a : 단자홈
21 : 걸림부 21a : 사각틀
21b : 걸림단 21c : 제1통로
21d : 걸림홈 21e : 제1안내단
21f : 제2안내단 21g : 제2통로
21h : 제3안내단 22 : 제1단자
23 : 제2단자 24 : 가동단자
24a : 연결단 25 : 돌기
25a : 스프링 26 : 스프링홈
30 : 단자케이스 31 : 제1고정단자
32 : 제2고정단자 33 : 제1연결단자
34 : 제2연결단자 35 : 제1단자홈
36 : 제2단자홈 37 : 단자커버
100 : 스위치
200 : 램프 201 : 노브

Claims (5)

  1. 푸쉬스위치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10)의 반대측 벽면 내면에 좌우 진자 운동하는 디귿자 형태의 걸림구(11)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설치되어 푸쉬/재 푸쉬 작동으로 걸림구(11)가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브이자 형태의 걸림부(21)가 후방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21)가 설치된 반대측 전방에는 제1,2단자(22)(23)가 상하로 형성된 가동단자(24)가 설치되는 가동케이스(20)를 형성하며,
    상기 가동단자(24)에 접촉되는 제1,2고정단자(31)(32)가 일측에 형성된 반대편으로 제1,2연결단자(33)(34)가 각각 연결되어 노출된 단자케이스(30)로 구성하여,
    상기 가동케이스(20)의 푸쉬 작동시 가동단자(24)가 제1,2고정단자(31)(32)에 동시에 접점되고, 상기 가동케이스(20)의 재 푸쉬 작동으로 가동단자(24)가 제1,2고정단자(31)(32)중 하나와 접점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케이스(20)의 중앙에는 스프링(25a)이 끼움되는 스프링홈(26)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24)는 제1,2단자(22)(23)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단(24a)이 가동케이스(20)의 단자홈(20a)에 삽입되고, 상기 제1,2단자(22)(23)는 연결단(24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21)는 사각틀홈(21a)의 중앙에 브이자 걸림단(21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단(21b)의 일측으로 걸림구(11)가 상승 이동하는 제1통로(21c)의 상부측에 걸림구(11)를 걸림단(21b)의 걸림홈(21d)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단(21e)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21d)의 상부에는 걸림구(11)를 걸림홈(21d)에서 이탈을 위해 안내하는 제2안내단(21f)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21b)의 타측으로 걸림구(11)가 하강 이동하는 제2통로(21g)가 형성되고, 상기 제2통로(21g)가 종료되는 하부에는 걸림구(11)를 사각틀홈(21a)의 중앙 하부로 안내하는 제3안내단(21h)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스위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단자(33)(34)의 상하부 끝단 중 어느 하나 또는 상하부 끝단에 잭을 연결할 수 있는 제1,2단자홈(35)(36)을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푸쉬스위치.
KR1020140046429A 2014-04-18 2014-04-18 푸쉬스위치 KR101591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29A KR101591435B1 (ko) 2014-04-18 2014-04-18 푸쉬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429A KR101591435B1 (ko) 2014-04-18 2014-04-18 푸쉬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638A true KR20150120638A (ko) 2015-10-28
KR101591435B1 KR101591435B1 (ko) 2016-02-03

Family

ID=5442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429A KR101591435B1 (ko) 2014-04-18 2014-04-18 푸쉬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4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399Y1 (ko) 2006-05-09 2006-08-07 유철상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200457365Y1 (ko) * 2010-01-19 2011-12-20 유철상 양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푸쉬스위치의 전원공급단자구조
KR101154492B1 (ko) * 2011-02-01 2012-06-13 유철상 푸쉬업 스위치의 단자 구조
KR101322365B1 (ko) * 2012-06-11 2013-10-28 유철상 조명 푸쉬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399Y1 (ko) 2006-05-09 2006-08-07 유철상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록 스위치
KR200457365Y1 (ko) * 2010-01-19 2011-12-20 유철상 양 방향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푸쉬스위치의 전원공급단자구조
KR101154492B1 (ko) * 2011-02-01 2012-06-13 유철상 푸쉬업 스위치의 단자 구조
KR101322365B1 (ko) * 2012-06-11 2013-10-28 유철상 조명 푸쉬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435B1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3326A (en) Push lock switch
US4345121A (en) Miniature lighted pivoted actuator switch with integral lock
CN100423152C (zh) 控制开关装置
KR101629451B1 (ko) 푸쉬스위치
US5821490A (en) Push button switch module
KR101591435B1 (ko) 푸쉬스위치
KR101322365B1 (ko) 조명 푸쉬스위치
US2546086A (en) Plate push button
JPS61135009A (ja) 押しボタンスイツチ
KR200486134Y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20150120636A (ko) 푸쉬스위치
KR20150120637A (ko) 푸쉬스위치
US5860516A (en) Electric switch assembly
KR20170088593A (ko) 승강기용 버튼구조체
JP2011210521A (ja) スイッチ部材及び車載用室内照明装置
WO2015122122A1 (en) Switch module, switch, and switch assembly
KR101326762B1 (ko) 조명 푸쉬스위치
KR102076776B1 (ko) 푸쉬 스위치
US4055739A (en) Lighted toggle lever switch
KR101400984B1 (ko) 차량용 실내등
JP2007157737A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3958945B2 (ja) 多連スイッチ装置
KR101835826B1 (ko) 자동차 실내등용 푸쉬 스위치
KR101897779B1 (ko) 자동차용 썬루프 스위치
KR200444175Y1 (ko) 차량용 창문잠금 모듈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