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485A - Dc-hsupa 동작에서 전력 제한 상태 동안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 결정 - Google Patents

Dc-hsupa 동작에서 전력 제한 상태 동안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485A
KR20150119485A KR1020157027549A KR20157027549A KR20150119485A KR 20150119485 A KR20150119485 A KR 20150119485A KR 1020157027549 A KR1020157027549 A KR 1020157027549A KR 20157027549 A KR20157027549 A KR 20157027549A KR 20150119485 A KR20150119485 A KR 20150119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ritical
critical data
data
transmission
priorit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체탄 고팔라크리쉬난 차크라바티
아르빈드한 쿠마르
루나 사프나 디소자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9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2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in packet switch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7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according to available power supply, e.g. switching off when a low battery condition is detected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 H04W72/569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information or information source or recipient of the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C-HSUPA 동작에서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UE)는 전력 제한 상태일 수도 있다. UE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게 할 수 있다. UE는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막 선택되려고 함을 검출하게 할 수도 있다. UE는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고 우선순위를 기초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할 수 있다. UE는 또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 시간 간격(TTI)과는 다른 TTI 동안,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DC-HSUPA 동작에서 전력 제한 상태 동안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 결정{PRIORITIZING TIME CRITICAL DATA FOR TRANSMISSION DURING POWER-LIMITED STATE IN DC-HSUPA OPERATION}
[0001] 본 특허출원은 "PRIORITIZING TIME CRITICAL DATA FOR TRANSMISSION DURING POWER LIMITED STATE IN DC-HSUPA OPERATION"이라는 명칭으로 2013년 3월 8일자 출원된 가출원 제61/774,88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포함된다.
[0002] 설명되는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양상들은 DC-HSUPA 동작에서 전력 제한 상태 동안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time critical data)의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것이다.
[0003]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폭넓게 전개된다. 대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인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통신들을 지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례는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UTRAN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지원되는 3세대(3G) 모바일 전화 기술인 범용 모바일 전기 통신 시스템(UMTS)의 일부로서 정의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이다.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술들에 대한 계승자인 UMTS는 현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CDMA: Time Division-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시분할-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TD-SCDMA: Time Division-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다양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을 지원한다. UMTS는 또한, 연관된 UMTS 네트워크들에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및 용량을 제공하는, 고속 패킷 액세스(HSPA: High Speed Packet Access)와 같은 향상된 3G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한다. 더욱이, UMTS는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을 통해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와의 동시 네트워크 통신을 허용하는 다중 무선 액세스 베어러(다중 RAB: multiple radio access bearer) 능력을 지원한다. 따라서 일 양상에서, UMTS에서의 다중 RAB 기능은 UE가 패킷 교환(PS: packet-switched) 및 회선 교환(CS: circuit-switched)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고 수신하게 한다.
[0004] UE는 W-CDMA에서 이중 셀(또는 이중 반송파)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DC-HSUPA: Dual Cell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또는 단순히 이중 반송파 업링크(UL)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C-HSUPA로 동작하는 UE는 2개의 업링크(UL) 반송파들: 1차 업링크 반송파 및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UE가 전력 제한 상태라면(예를 들어, UE가 가능한 최소 크기라도 갖는 전송 블록을 형성하는데 이용 가능한 충분한 전력을 갖지 않도록 자신의 최대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면), UE는 UE가 전력 제한 상태라 하더라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 및/또는 명시된, (3GPP 규격들에 기술된) MIN SET E-TFCI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최소 세트 강화된 전용 채널(E-DCH: Enhanced Dedicated Channel)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E-TFCI: E-DCH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에 의존할 수 있다. E-TFCI는 강화된 전용 물리적 데이터 채널(E-DPDCH: Enhanced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들에 대해 코딩된 전송 블록 크기를 수신기(예를 들어, UE)에 알릴 수 있다. 이 정보로부터, 수신기는 얼마나 많은 E-DPDCH들이 동시에 송신되는지를 그리고 확산 인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MIN SET E-TFCI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전력 제한 상태 동안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전송 블록 크기(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양의 데이터)일 수 있다.
[0005] 어떤 경우들에는, 계층 2(L2) 버퍼에 이용 가능한 스케줄링된 패킷 교환(PS)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는, 시간 중요(time critical) 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Signaling Radio Bearer)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다. 계층 2는 UL 반송파에 대한 E-TFCI 선택을 수행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을 포함한다.
[0006] 일반적으로, DC-HSUPA로 동작하는 UE가 계층 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전력 제한 상태일 때, E-TFCI 선택은 우선 2차 UL 반송파를 통한 송신에 대해 수행될 수 있고, 다음에 1차 UL 반송파를 통한 송신에 대해 E-TFCI 선택이 이어질 수 있다. (스케줄링된 PS 데이터와 함께)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SRB 데이터가 L2 버퍼에서 대기하는 경우, 그리고 UE가 전력 제한 상태일 때는, 현재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동안 1차 UL 반송파 상에서의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SRB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충분한 전력 헤드룸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현재 TTI에서는 그리고 잠재적으로는 이후의 TTI들에서도,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SRB 데이터에 대해 시도되는 어떠한 송신도 실패할 수 있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송신에 지연을 야기할 수 있다.
[0007] 이에 따라 UE가 전력 제한 상태일 때 시간 중요 데이터의 송신의 개선들이 바람직할 수 있다.
[0008] 다음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이러한 양상들의 간단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 요약은 고려되는 모든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요가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주요 또는 핵심 엘리먼트들을 식별하지도, 임의의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지도 않는 것으로 의도된다. 그 유일한 목적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일부 개념들을 뒤에 제시되는 보다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간단한 형태로 제시하는 것이다.
[0009] 일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 의한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이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막 선택되려고 함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검출을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0010] 일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서의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막 선택되려고 함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11] 일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서의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설명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 또는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 또는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 또는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막 선택되려고 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 또는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게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 또는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게 할 수 있다.
[0012] 일 양상에서, 사용자 장비(UE)에서의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막 선택되려고 함을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도록 구성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는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0013] 앞서 언급된 그리고 관련된 목적들의 이행을 위해,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은, 이후에 충분히 설명되며 청구항들에서 특별히 지적되는 특징들을 포함한다. 다음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특정 예시적인 특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몇몇을 나타낼 뿐이며, 이러한 설명은 이러한 모든 양상들 및 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14] 이하, 개시되는 양상들은 그 개시되는 양상들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도록 제공되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표기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0015] 도 1은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과 통신하며,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16] 도 2는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의 양상들의 흐름도이다.
[0017] 도 3은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18] 도 4는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전기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19] 도 5는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20] 도 6은 사용자 평면 및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21] 도 7은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전기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는 기지국(예를 들어, 노드 B)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0022] 이제 도면들과 관련하여 아래에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의 목적으로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음이 명백할 수도 있다.
[0023] W-CDMA에서 이중 셀(또는 이중 반송파)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DC-HSUPA) 모드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UE)는 2개의 업링크(UL) 반송파들: 1차 업링크 반송파 및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안, UE는 자신이 자신의 이용 가능한 전력 중 상당한 양을 사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임의의 추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가능한(또는 이용 가능한) 최소 크기로라도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전력이 UE의 전력 헤드룸(예를 들어, (UE에 이용 가능한 총 전력) - (현재 송신들에 사용되고 있는 전력))에 남아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UE는 전력 제한 상태에 있다고 불릴 수 있다.
[0024] 시간 중요 데이터는 스케줄링되지 않았더라도 UE에 의해 송신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는 경우들이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는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RB)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스케줄링되지 않은 데이터는 스케줄링된 데이터와 함께 계층 2(L2) 버퍼에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스케줄링된 데이터는 패킷 교환(PS) 데이터일 수도 있다.
[0025] UE가 전력 제한 상태이고 또한 송신될,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있다면, UE가 전력 제한 상태라 하더라도 UE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 또는 명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에 의해 제공되는 것들과 같은 표준 또는 규격에 기술된) MIN SET E-TFCI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최소 세트 강화된 전용 채널(E-DCH) 전송 포맷 결합 표시자(E-TFCI)에 의해 표시될 수 있는 고정된(또는 최소) 전송 블록은 UE에서 여전히 이용 가능한 어떠한 (매우 적은 양의) 전력 헤드룸이라도 사용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MIN SET E-TFCI는 UE가 DC-HSUPA로 동작하고 있을 때,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될 수 있게 한다. 동시에, UE는 UE의 평소 기능에 따라, 버퍼링되어 있는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전송하려는 시도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UE는 이미 전력 제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이 지연될 수 있는 또는 완전히 실패할 수 있는 높은 가능성이 존재한다.
[0026] 대신에, 그리고 본 양상들에 따르면, UE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그리고 일례로, UE는 전체 잔여 전력 헤드룸이 MIN SET E-TFCI로 표시된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을 중단시키거나 지연(stall)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는 이것이 안전하게 그리고 허용할 수 있는 시간 프레임 내에 도착하도록 성공적이고 신속하게 송신될 수 있다.
[0027]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사용자 장비(UE)(110)가 DC-HSUPA에 따라 동작하고 있을 때 전력 제한 상태 동안 기지국(160)으로 송신할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을 갖는 UE(110)를 포함한다. DC-HSUPA로 동작함으로써, UE(110)가 2개의 업링크(UL) 반송파들: 1차 업링크 반송파(140) 및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0028] 일부 양상들에서, UE(110)는 또한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또는 노드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는 기지국(160)은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중계기, 노드 B, 모바일 노드 B, (예를 들어, UE(110)와 피어 투 피어 또는 애드 혹 모드로 통신하는) UE, 또는 무선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UE(110)와 통신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임의의 타입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0029] UE(110)는 UE(110)와 기지국(160) 간의 통신들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통신 컴포넌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170)는 스케줄링된 데이터(114)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 모두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L2 버퍼(1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는 SRB 데이터일 수도 있고,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는 PS 데이터일 수도 있다.
[0030] 통신 컴포넌트(170)는 또한, UE(110)가 전력 제한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추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가능한(또는 이용 가능한) 최소 크기로라도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전력이 UE의 전력 헤드룸(예를 들어, (UE에 이용 가능한 총 전력) - (현재 송신들에 사용되고 있는 전력))에 남아 있지 않을 수도 있게 UE가 현재 자신의 이용 가능한 전력 중 상당한 양을 사용하고 있다면, UE는 전력 제한 상태일 수도 있다. 또한,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는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전력 제한 상태 표시자(131)를 전달하여, 자신이 UE(110)가 전력 제한 상태라고 결정했음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31] 통신 컴포넌트(170)는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로부터 전력 제한 상태 표시자(131)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송신기 컴포넌트(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상 및 비-한정적인 예에서,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또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가 (스케줄링된 데이터(114)와 함께) 송신에 이용 가능함을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자(133)를 L2 버퍼(115)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양상 및 비-한정적인 예에서,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데이터의 송신이 준비되면 (도시되지 않은) L2 버퍼(115)로부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그리고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를 수신할 수 있다. UE(110)가 전력 제한 상태일 때,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반송파(예를 들어,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송신하도록 MIN SET E-TFCI로 식별되며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시에, 예를 들어,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평소 기능에 따라 반송파(예를 들어, 1차 업링크 반송파(140)) 상에서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0032] 통신 컴포넌트(170)는 또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명시 MIN SET E-TFCI에 따른)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막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의해 선택되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상 및 하나의 비-한정적인 예에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송신하도록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의해 막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선택되었음을 검출하기 위해 L2 버퍼(115)와 송신기 컴포넌트(130) 간의 통신들을 및/또는 (도시되지 않은)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 및 다른 비-한정적인 예에서,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송신기 컴포넌트(130)로부터 MIN SET E-TFCI 표시자(135)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송신기 컴포넌트(130)가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송신하기 위한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막 선택하여 이용하려고 함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33] 이러한 검출을 기초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는 임의의 송신들(예를 들어,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의 송신들)을 추가 통지까지 중단 또는 지연시킬 것을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출을 기초로 또한, 또 추가 통지까지 그리고/또는 적어도 현재 송신 시간 간격(TTI)(예를 들어,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의 우선순위가 정해진다면, 이 데이터(112)가 송신될 수 있는 TTI) 동안,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스케줄링된 데이터(114)의 모든 송신들을 중단 또는 지연시킬 것을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스톨(stall) 표시자(137)를 통해 두 통지들 모두를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단일 통신 또는 다수의 통신들일 수 있다.
[0034]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의 지연된 또는 실패한 송신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돕기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보다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에 우선순위를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의해 막 선택되려고 하고, 이에 따라,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가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송신될(그리고 아마 지연되고 그리고/또는 적시에 도착하는데 실패할) 것이라는 검출을 기초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가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지연 또는 송신 실패를 야기함으로써) 스케줄링된 데이터(114)의 송신을 희생하더라도,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의 적시의 그리고 완벽한 송신을 보장하는데 도움이 될 방식으로 (송신기 컴포넌트(130)를 통해) 송신되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003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의 우선순위를 정하기로 결정했다면,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우선순위 결정 정보(139)를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전달하여, 송신기 컴포넌트(130)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예를 들어,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보다) 우선순위를 갖고 송신해야 함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36]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로부터의 우선순위 결정 정보(139)의 수신에 응답하여,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예를 들어, 최소 전송 블록을 사용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2차 업링크 반송파(150)보다는 1차 업링크 반송파(140) 상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송신 시간 간격(TTI) 동안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가 송신되고 있는 동안 어떠한 반송파 상에서도 스케줄링된 데이터(114)의 송신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중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의 송신에 사용된 TTI와는 다른 그리고/또는 그 이후의 TTI 동안 반송파(예를 들어, 1차 업링크 반송파(140) 또는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0037] 일 양상에서, 통신 컴포넌트(170), L2 버퍼(11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 및/또는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UE(110) 내에 물리적으로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다른 양상에서, 통신 컴포넌트(170), L2 버퍼(11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 및/또는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들)일 수도 있어, 모듈들 각각에 관해 설명된 기능이 UE(110) 내에 포함되어, 모듈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듈을 실행하는 특수하게 구성된 컴퓨터,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들의 그룹) 및/또는 처리 시스템(예를 들어, 도 3의 프로세서(304))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추가로, 그리고 UE(110)의 모듈들이 소프트웨어 모듈들인 일 양상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예를 들어, 서버 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로부터 UE(110)에 다운로드되고, UE(110) 내부의 메모리 또는 다른 데이터 저장소(예를 들어, 도 3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6))로부터 리트리브되고, 그리고/또는 외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을 통해 액세스될 수도 있다.
[0038] 도 2를 참조하면,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200)의 양상들이 도 1의 UE(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E(110)는 DC-HSUPA에 따라 동작할 때 방법(200)의 양상들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법(200)의 양상들은 통신 컴포넌트(170), L2 버퍼(115),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 및/또는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0039] 210에서, 방법(200)은 UE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가 UE(110)가 전력 제한 상태라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는 UE(110)가 가능한 최소 크기를 갖는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갖지 않는다고 결정함으로써 UE(110)가 전력 제한 상태라고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임의의 추가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가능한(또는 이용 가능한) 최소 크기로라도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전력이 UE의 전력 헤드룸(예를 들어, (UE에 이용 가능한 총 전력) - (현재 송신들에 사용되고 있는 전력))에 남아 있지 않을 수도 있게 UE가 현재 자신의 이용 가능한 전력 중 상당한 양을 사용하고 있다면, UE는 전력 제한 상태일 수도 있다.
[0040] 220에서, 방법(200)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가 모두 송신에 이용 가능함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와 스케줄링된 데이터(114)가 저장되는 L2 버퍼(115)가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데이터 표시자(133)를 제공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와 스케줄링된 데이터(114)가 모두 송신에 이용 가능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응답으로, 그리고 일 양상에서,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L2 버퍼(115)로부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 및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를 리트리브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양상에서, L2 버퍼(115)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 및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를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전달하여, 이러한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함을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는 SRB 데이터일 수도 있고,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는 PS 데이터일 수도 있다.
[0041] 230에서, 방법(200)은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막 선택되려고 함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MIN SET E-TFCI를 통해 네트워크에 의해 표시된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전송하도록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의해 사용하기 위해 막 선택되려고 함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송신기 컴포넌트(130)로의 그리고 송신기 컴포넌트(130)로부터의 통신들 및/또는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기 컴포넌트(130)가 막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선택하려고 할 때 송신기 컴포넌트(130)로부터 MIN SET E-TFCI 표시자(135)를 수신할 수 있다.
[0042] 선택적으로 240에서, 방법(200)은 검출을 기초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될 때까지,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송신기 컴포넌트(130)가 막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선택하려고 한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추가 통지까지 그리고/또는 현재 TTI 동안, 우선 스케줄링된 데이터(114)의 어떠한 송신들도 중단 및/또는 지연시키고, 다음에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의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의 송신을 위한 최소 전송 블록의 형성을 중단 및/또는 지연시키고 그리고/또는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는 이러한 어떤 송신들도 지연시킬 것을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통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스톨 표시자(137)를 전달함으로써 그렇게 할 수 있다.
[0043] 250에서, 방법(200)은 검출을 기초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컴포넌트(130)가 막 최소 전송 블록 크기를 선택하려고 한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예를 들어,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보다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에 우선순위를 둘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평소의 접근 방식에 따라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를 (예를 들어, 송신에 실패하고 그리고/또는 지연시킴으로써) 희생하더라도,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에 우선순위를 둘 수 있다. 우선순위 결정을 기초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는 송신기 컴포넌트(130)에 우선순위 결정 정보(139)를 제공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가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보다 우선순위를 갖고 송신되어야 함을 나타낼 수 있다.
[0044] 260에서, 방법(200)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UL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로부터의 통신에 응답하여,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1차 업링크 반송파(140) 상에서 송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 (예를 들어, MIN SET E-TFCI로 표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에서 잔여 전력 헤드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45] 선택적으로 270에서, 방법(200)은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된 TTI와는 다른 TTI 동안 1차 UL 반송파 또는 2차 UL 반송파 중 어느 하나의 반송파 상에서,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스케줄링된 데이터(114)를 다른 그리고/또는 이후의 TTI 동안 1차 업링크 반송파(140) 또는 2차 업링크 반송파(150) 상에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112)를 송신하는 것은 1차 업링크 반송파(140)와 2차 업링크 반송파(150) 모두 상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0046] 도 3을 참조하면, 장치(300)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일례는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처리 시스템(314)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장치(300)는 통신 컴포넌트(170)를 포함하는 도 1의 UE(110)일 수 있는데, 통신 컴포넌트(170) 자체가 L2 버퍼(115),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 및 송신기 컴포넌트(130)를 포함한다.
[0047] 이 예에서, 처리 시스템(314)은 일반적으로 버스(302)로 제시된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302)는 처리 시스템(3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많은 수의 상호 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302)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304)로 제시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도 1의 통신 컴포넌트(170)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통신 컴포넌트들, 그리고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6)로 제시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서로 링크한다. 버스(302)는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그리고 이에 따라 더는 설명되지 않을, 타이밍 소스들, 주변 장치들, 전압 조정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308)는 버스(302)와 트랜시버(3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310)는 송신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312)(예를 들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가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0048] 프로세서(304)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6)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비롯하여 버스(302)의 관리 및 일반적인 처리를 담당한다.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서(304)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시스템(3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리고 도 1에 관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컴포넌트(170), L2 버퍼(11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 및/또는 송신기 컴포넌트(130)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모듈들)일 수 있어, 모듈들 각각에 관해 설명되는 기능은 프로세서(30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9]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6)는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컴포넌트(170), L2 버퍼(11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 및/또는 송신기 컴포넌트(130)로 표현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같은 소프트웨어 실행시 프로세서(3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소프트웨어 모듈들(예를 들어,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30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알고리즘들 또는 기능들) 및/또는 이에 사용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입력들, 파라미터들, 변수들 등)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6)로부터 리트리브될 수도 있다.
[0050]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 시스템은 통신 컴포넌트(170), L2 버퍼(115),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120),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125) 및/또는 송신기 컴포넌트(1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모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306)에 상주하는 그리고/또는 저장되어 프로세서(304)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프로세서(304)에 연결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하드웨어 모듈들, 또는 이들의 어떤 결합일 수도 있다.
[0051] 이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광범위한 전기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에 걸쳐 구현될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도 4에 예시된 본 개시의 양상들은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며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UMTS 시스템(400)에 관련하여 제시된다. UMTS 네트워크는 3개의 상호 작용 도메인들: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404),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402) 및 사용자 장비(UE)(410)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UE(410)는 통신 컴포넌트(170)를 포함하는 도 1의 UE(110)일 수도 있다. 이 예에서, UTRAN(402)은 텔레포니,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들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UTRAN(402)은 RNS(407)와 같은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서브시스템(RNS: Radio Network Subsystem)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RNC(406)와 같은 각각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UTRAN(402)은 본 명세서에 예시된 RNC들(406)과 RNS들(407) 외에도, 많은 RNC들(406) 및 RNS들(407)을 포함할 수 있다. RNC(406)는 무엇보다도, RNS(407) 내에서 무선 자원들의 할당, 재구성 및 해제를 담당하는 장치이다. RNC(406)는 임의의 적당한 전송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직접적인 물리적 접속, 가상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UTRAN(402) 내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RNC들에 상호 접속될 수 있다.
[0052] UE(410)와 도 1의 기지국(160)일 수도 있는 노드 B(408) 사이의 통신은 물리(PHY: physical)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드 B(408)에 의한 UE(410)와 RNC(406) 사이의 통신은 무선 자원 제어(RRC) 계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PHY 계층은 계층 1로 여겨질 수 있고; MAC 계층은 계층 2로 여겨질 수 있고; RRC 계층은 계층 3으로 여겨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기의 정보는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RRC 프로토콜 규격, 3GPP TS 25.331 v9.1.0에서 소개되는 용어를 이용한다.
[0053] RNS(407)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 영역은 각각의 셀을 서빙하는 무선 트랜시버 장치를 갖는 다수의 셀들로 분할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노드 B로 지칭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기지국(BS: base station), 기지국 트랜시버(BTS: 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 extended service set),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도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각각의 RNS(407)에 3개의 노드 B들(408)이 도시되지만, RNS들(407)은 많은 무선 노드 B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노드 B들(408)은 많은 모바일 장치들에 CN(404)에 대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을 제공한다. 모바일 장치의 예들은 셀룰러폰, 스마트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랩톱, 노트북, 넷북, 스마트북,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장치는 일반적으로 UMTS 애플리케이션들에서는 UE로 지칭되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전문용어로도 또한 지칭될 수도 있다. UMTS 시스템에서, UE(410)는 네트워크에 대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포함하는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411)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 목적으로, 하나의 UE(410)가 다수의 노드 B들(408)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순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DL은 노드 B(408)로부터 UE(410)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역방향 링크로도 또한 지칭되는 UL은 UE(410)로부터 노드 B(408)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0054] CN(404)은 UTRAN(402)과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N(404)은 GSM 코어 네트워크이다. 그러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GSM 네트워크들 이외의 다른 타입들의 CN들에 액세스하는 UE들을 제공하도록, RAN 또는 다른 적당한 액세스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0055] CN(404)은 회선 교환(CS) 도메인 및 패킷 교환(PS) 도메인을 포함한다. 회선 교환 엘리먼트들 중 일부는 모바일 서비스 교환 센터(MSC),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및 게이트웨이 MSC이다. 패킷 교환 엘리먼트들은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를 포함한다. EIR, HLR, VLR 및 AuC와 같은 일부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은 회선 교환 도메인과 패킷 교환 도메인 모두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CN(404)은 MSC(412) 및 GMSC(414)와의 회선 교환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GMSC(414)는 미디어 게이트웨이(MGW: media gateway)로 지칭될 수 있다. RNC(406)와 같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RNC들은 MSC(412)에 접속될 수 있다. MSC(412)는 호 셋업, 호 라우팅 및 UE 이동성 기능들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MSC(412)는 또한, UE가 MSC(412)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는 기간 동안 가입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VLR을 포함한다. GMSC(414)는 UE가 회선 교환 네트워크(416)에 액세스하도록 MSC(412)를 통한 게이트웨이를 제공한다. GMSC(414)는 특정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들의 세부사항들을 반영한 데이터와 같은 가입자 데이터를 포함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415)를 포함한다. HLR은 또한, 가입자 특정 인증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증 센터(AuC: authentication center)와 연관된다. 특정 UE에 대해 호가 수신되면, GMSC(414)는 HLR(415)을 조회하여 UE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위치를 서빙하는 특정 MSC로 호를 전달한다.
[0056] CN(404)은 또한 서빙 GPRS 지원 노드(SGSN)(418) 및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420)와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지원한다.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를 의미하는 GPRS는 표준 회선 교환 데이터 서비스들에 이용 가능한 것들보다 더 높은 속도들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GGSN(420)은 패킷 기반 네트워크(422)에 UTRAN(40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패킷 기반 네트워크(422)는 인터넷, 사설 데이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어떤 적당한 패킷 기반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GGSN(420)의 주요 기능은 UE들(410)에 패킷 기반 네트워크 접속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SGSN(418)을 통해 GGSN(420)과 UE들(410) 사이로 전달될 수 있으며, SGSN(418)은 주로, MSC(412)가 회선 교환 도메인에서 수행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들을 패킷 기반 도메인에서 수행한다.
[0057] UMTS에 대한 에어 인터페이스는 확산 스펙트럼 직접 시퀀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DS-CDMA: Direct-Sequenc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확산 스펙트럼 DS-CDMA는 칩들로 지칭되는 의사 랜덤 비트들의 시퀀스와의 곱셈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를 확산시킨다. UMTS에 대한 "광대역" W-CDMA 에어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추가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필요로 한다. FDD는 노드 B(408)와 UE(410) 사이의 UL과 DL에 대해 서로 다른 반송파 주파수를 사용한다. DS-CDMA를 이용하며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을 사용하는 UMTS에 대한 다른 에어 인터페이스는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예들이 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관련될 수도 있지만, 기본 원리들은 TD-S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수 있다고 인식할 것이다.
[0058] HSPA 에어 인터페이스는 3G/W-CDMA 에어 인터페이스에 대한 일련의 확장들을 포함하여, 더 큰 스루풋 및 감소된 레이턴시를 가능하게 한다. 이전 릴리스들에 대한 다른 변형들 중에서도, HSPA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공유 채널 송신 그리고 적응적 변조 및 코딩을 이용한다. HSPA를 규정하는 표준들은 고속 다운링크 패킷 액세스(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확장된 업링크 또는 EUL(enhanced uplink)로도 또한 지칭되는) 고속 업링크 패킷 액세스(HSUPA)를 포함한다.
[0059] HSDPA는 그 자신의 전송 채널로서 고속 다운링크 공유 채널(HS-DSCH: high-speed down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한다. HS-DSCH는 3개의 물리 채널들: 고속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HS-PDSCH: high-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고속 공유 제어 채널(HS-SCCH: high-speed shared control channel) 및 고속 전용 물리적 제어 채널(HS-DPCCH: high-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에 의해 구현된다.
[0060] 이들 물리 채널들 중에서, HS-DPCCH는 대응하는 패킷 송신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업링크를 통해 HARQ ACK/NACK 시그널링을 전달한다. 즉, 다운링크와 관련하여, UE(410)는 자신이 다운링크 상에서 패킷을 정확하게 디코딩했는지 여부를 표시하기 위해 HS-DPCCH를 통해 노드 B(408)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0061] HS-DPCCH는 변조 및 코딩 방식과 프리코딩 가중치 선택에 관해 옳은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노드 B(408)를 보조하기 위한 UE(410)로부터의 피드백 시그널링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피드백 시그널링은 CQI 및 PCI를 포함한다.
[0062] "진화형 HSPA(HSPA Evolved)" 또는 HSPA+는 MIMO 및 64-QAM을 포함하여 증가한 스루풋 및 더 높은 성능을 가능하게 하는 HSPA 표준의 진화이다. 즉, 본 개시의 일 양상에서, 노드 B(408) 및/또는 UE(410)는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MIMO 기술의 사용은 노드 B(408)가 공간 도메인을 활용하여 공간 다중화, 빔 형성 및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할 수 있게 한다.
[0063]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은 다중 안테나 기술, 즉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채널에 대한 다수의 입력들)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MIMO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송신 성능을 향상시켜, 다이버시티 이득들이 다중 경로 페이딩을 감소시키고 송신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하고, 공간 다중화 이득들이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0064] 공간 다중화는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들을 동시에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UE(410)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UE들(410)에 송신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한 다음에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다운링크 상에서 서로 다른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신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서로 다른 공간 서명들로 UE(들)(410)에 도달하며, 이는 UE(들)(410) 각각이 해당 UE(410)에 대해 예정된 데이터 스트림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스트림을 복원할 수 있게 한다. 업링크 상에서, 각각의 UE(410)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을 송신하며, 이는 노드 B(408)가 각각의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한다.
[0065] 공간 다중화는 채널 상태들이 양호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채널 상태들이 덜 바람직할 때,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방향들로 송신 에너지를 집중시키기 위해 또는 채널의 특성들을 기초로 송신을 개선하기 위해 빔 형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송신을 위해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 형성 송신이 송신 다이버시티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0066] 일반적으로,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이용하는 MIMO 시스템들의 경우, n개의 전송 블록들이 동일한 채널화 코드를 이용하여 동일한 반송파를 통해 동시에 송신될 수 있다. n개의 송신 안테나들을 통해 전송되는 서로 다른 전송 블록들은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변조 및 코딩 방식들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0067] 다른 한편으로,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MO: Single Input Multiple Output)은 일반적으로 단일 송신 안테나(채널에 대한 단일 입력) 및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채널로부터의 다수의 출력들)을 이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SIMO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반송파를 통해 단일 전송 블록이 전송된다.
[0068] 도 5를 참조하면, 액세스 네트워크(500)는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UTRAN 아키텍처에 있다.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섹터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 셀들(502, 504, 506)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섹터들은 셀의 일부분에서 UE들과의 통신을 담당하는 각각의 안테나를 갖는 안테나들의 그룹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502)에서, 안테나 그룹들(512, 514, 516)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할 수 있다. 셀(504)에서, 안테나 그룹들(518, 520, 522)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한다. 셀(506)에서, 안테나 그룹들(524, 526, 528)은 각각 서로 다른 섹터에 대응한다. 셀들(502, 504, 506)은 각각의 셀(502, 504 또는 506)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섹터들과 통신할 수 있는 여러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또는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들(530, 532)은 노드 B(542)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534, 536)은 노드 B(544)와 통신할 수 있고, UE들(538, 540)은 노드 B(546)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UE들(530, 532, 534, 536, 538 및/또는 540) 중 하나는 도 1의 UE(110)일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노드 B(542, 544, 546)는 각각의 셀들(502, 504, 506) 내의 모든 UE들(530, 532, 534, 536, 538, 540)에 대해 CN(404)(도 4 참조)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양상에서, 노드 B들(542, 544, 546)은 도 1의 기지국(160)일 수도 있다.
[0069] UE(534)가 셀(504) 내의 예시된 위치로부터 셀(506)로 이동할 때, 서빙 셀 변경(SCC: serving cell change) 또는 핸드오버가 일어날 수 있으며, 여기서는 UE(534)와의 통신이, 소스 셀로 지칭될 수 있는 셀(504)로부터 타깃 셀로 지칭될 수 있는 셀(506)로 천이한다. 핸드오버 프로시저의 관리는 UE(534)에서, 각각의 셀들에 대응하는 노드 B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406)(도 4 참조)에서, 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적당한 노드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셀(504)과의 호 도중, 또는 임의의 다른 시점에, UE(534)는 소스 셀(504)의 다양한 파라미터들뿐만 아니라 셀들(506, 502)과 같은 이웃 셀들의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품질에 따라, UE(534)는 이웃 셀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셀과의 통신을 유지할 수 있다. 이 시간 동안, UE(534)는 활성 세트, 즉 UE(534)가 동시에 접속되는 셀들의 리스트를 유지할 수 있다(즉,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DPCH: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 또는 부분적 다운링크 전용 물리 채널(F-DPCH: fractional downlink dedicated physical channel)을 UE(534)에 현재 할당하고 있는 UTRA 셀들이 활성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0070] 액세스 네트워크(500)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은 전개되는 특정 전기 통신 표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로서, 표준은 최적화된 에볼루션 데이터(EV-DO: Evolution-Data Optimized) 또는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를 포함할 수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표준군의 일부로서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반포된 에어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CDMA를 이용하여 이동국들에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표준은 대안으로, 광대역-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 예컨대 TD-SCDMA를 이용하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TDMA를 이용하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및 진화형 UTRA(E-UTRA: Evolved 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및 OFDMA를 이용하는 플래시-OFDM일 수도 있다. UTRA, E-UTRA, UMTS, LTE, LTE 어드밴스드 및 GSM은 3GPP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이용되는 다중 액세스 기술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좌우될 것이다.
[0071]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이제 도 6과 관련하여 HSPA 시스템에 대한 일례가 제시될 것이다.
[0072]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600)는 서로 통신하며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는 사용자 장비(UE) 또는 노드 B/기지국의 사용자 평면(602) 및 제어 평면(604)과 관련된다. 일 양상에서, 아키텍처(600)는 도 1의 UE(110)와 같은 UE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아키텍처(600)는 도 1의 기지국(160)과 같은 기지국에 포함될 수도 있다. UE 및 노드 B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처(600)가 3개의 계층들: 계층 1(606), 계층 2(608) 및 계층 3(610)으로 도시된다. 계층 1(606)은 최하위 계층이며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한다. 이에 따라, 계층 1(606)은 물리 계층(607)을 포함한다. 계층 2(L2 계층)(608)는 물리 계층(607)보다 위에 있고 물리 계층(607) 위에서 UE와 노드 B 사이의 링크를 담당한다. 계층 3 (L3 계층)(610)은 무선 자원 제어(RRC) 하위 계층(615)을 포함한다. RRC 하위 계층(615)은 UE와 UTRAN 사이에서의 계층 3의 제어 평면 시그널링을 다룬다.
[0073] 사용자 평면에서, L2 계층(608)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하위 계층(609),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 하위 계층(611) 및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하위 계층(613)을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측의 노드 B에서 종결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의 PDN 게이트웨이에서 종결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어, IP 계층), 및 접속의 다른 종단(예를 들어, 원단(far end) UE, 서버 등)에서 종결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비롯하여 L2 계층(608) 위의 여러 상위 계층들을 가질 수 있다.
[0074] PDCP 하위 계층(613)은 서로 다른 무선 베어러들과 로직 채널들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한다. PDCP 하위 계층(613)은 또한, 무선 송신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한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대한 헤더 압축, 데이터 패킷들의 암호화에 의한 보안, 및 노드 B들 사이의 UE들에 대한 핸드오버 지원을 제공한다. RLC 하위 계층(611)은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분할 및 리어셈블리, 유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전송,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으로 인해 비순차적(out-of-order) 수신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정렬을 제공한다. MAC 하위 계층(609)은 로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한다. MAC 하위 계층(609)은 또한 하나의 셀에서의 다양한 무선 자원들(예를 들어, 자원 블록들)을 UE들 사이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하위 계층(609)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0075] 도 7을 참조하면, 노드 B(710)는 UE(750)와 통신하며 전력 제한 상태 동안 송신을 위해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도록 구성된 양상들을 갖고 있다. 일 양상에서, 노드 B(710)는 도 4의 노드 B(408) 및/또는 도 1의 기지국(160)일 수도 있다. 일 양상에서, UE(750)는 도 4의 UE(410) 및/또는 도 1의 UE(110)일 수도 있다. 다운링크 통신에서, 송신 프로세서(720)는 데이터 소스(71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74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720)는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뿐만 아니라, 기준 신호들(예를 들어, 파일럿 신호들)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송신 프로세서(720)는 에러 검출을 위한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들, 순방향 에러 정정(FEC: forward error correc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 binary phase-shift keying), 직각 위상 시프트 키잉(QPSK: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M-위상 시프트 키잉(M-PSK: M-phase-shift keying), M-직각 진폭 변조(M-QAM: 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을 기반으로 한 신호 성상도(constellation)들에 대한 맵핑,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들에 의한 확산, 및 일련의 심벌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들과의 곱을 제공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720)에 대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결정하기 위해 채널 프로세서(744)로부터의 채널 추정들이 제어기/프로세서(74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추정들은 UE(75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UE(750)로부터의 피드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720)에 의해 생성된 심벌들은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730)에 제공되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한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730)는 제어기/프로세서(740)로부터의 정보와 심벌들을 다중화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야기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한다. 그 다음, 프레임들은 송신기(732)에 제공되며, 송신기(732)는 안테나(734)에 의한 무선 매체를 통한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프레임들의 증폭, 필터링 및 반송파 상에서의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조정 기능들을 제공한다. 안테나(734)는 예를 들어, 빔 조향 양방향 적응성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다른 유사한 빔 기술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76] UE(750)에서, 수신기(754)는 안테나(752)를 통해 다운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송신을 처리하여 반송파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한다. 수신기(754)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760)에 제공되며,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760)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여,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794)에 그리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770)에 제공한다. 그 다음, 수신 프로세서(770)는 노드 B(710)의 송신 프로세서(720)에 의해 수행된 처리의 역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 프로세서(770)는 심벌들을 디스크램블링하고 역확산한 다음, 변조 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노드 B(710)에 의해 송신된,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한다. 이러한 소프트 결정들은 채널 프로세서(794)에 의해 계산된 채널 추정들을 기초로 할 수 있다. 그 다음, 소프트 결정들이 디코딩되고 디인터리빙되어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복원한다. 그 다음, 프레임들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CRC 코드들이 검사된다. 그 다음,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가 데이터 싱크(772)에 제공될 것이며, 데이터 싱크(772)는 UE(750) 및/또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낸다.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제어 신호들은 제어기/프로세서(790)에 제공될 것이다. 프레임들이 수신기 프로세서(770)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못하면, 제어기/프로세서(790)는 또한 확인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러한 프레임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77] 업링크에서, 데이터 소스(778)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790)로부터의 제어 신호들이 송신 프로세서(780)에 제공된다. 데이터 소스(778)는 UE(750) 및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예를 들어, 키보드)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낼 수 있다. 노드 B(710)에 의한 다운링크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과 마찬가지로, 송신 프로세서(780)는 CRC 코드들, FEC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신호 성상도들에 대한 맵핑, OVSF들에 의한 확산, 및 일련의 심벌들을 생성하기 위한 스크램블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들을 제공한다. 노드 B(710)에 의해 송신된 기준 신호로부터 또는 노드 B(710)에 의해 송신된 미드앰블(midamble)에 포함된 피드백으로부터 채널 프로세서(794)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들이 적절한 코딩, 변조, 확산 및/또는 스크램블링 방식들을 선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780)에 의해 생성된 심벌들은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782)에 제공되어 프레임 구조를 생성할 것이다. 송신 프레임 프로세서(782)는 제어기/프로세서(790)로부터의 정보와 심벌들을 다중화하여 일련의 프레임들을 야기함으로써, 이러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한다. 그 다음, 프레임들은 송신기(756)에 제공되며, 송신기(756)는 안테나(752)에 의한 무선 매체를 통한 업링크 송신을 위해 프레임들의 증폭, 필터링 및 반송파 상에서의 변조를 포함하는 다양한 신호 조정 기능들을 제공한다.
[0078] 업링크 송신은 UE(750)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드 B(710)에서 처리된다. 수신기(735)는 안테나(734)를 통해 업링크 송신을 수신하고 송신을 처리하여, 반송파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한다. 수신기(735)에 의해 복원된 정보는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736)에 제공되고, 수신 프레임 프로세서(736)는 각각의 프레임을 파싱하여 프레임들로부터의 정보를 채널 프로세서(744)에 그리고 데이터, 제어 및 기준 신호들을 수신 프로세서(738)에 제공한다. 수신 프로세서(738)는 UE(750)의 송신 프로세서(780)에 의해 수행된 처리의 역을 수행한다. 그 다음, 성공적으로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의해 전달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이 데이터 싱크(739) 및 제어기/프로세서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프레임들 중 일부가 수신 프로세서에 의해 성공적으로 디코딩되지 않았다면, 제어기/프로세서(740)는 또한 확인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러한 프레임들에 대한 재전송 요청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79] 제어기/프로세서들(740, 790)은 각각 노드 B(710) 및 UE(750)에서의 동작을 지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프로세서들(740, 790)은 타이밍, 주변 인터페이스들, 전압 조정, 전력 관리 및 다른 제어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들(742, 792)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은 각각 노드 B(710) 및 UE(750)에 대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노드 B(710)에서의 스케줄러/프로세서(746)는 UE들에 자원들을 할당하고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송신들을 스케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80] 본 출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의 용어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와 같은, 그러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닌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시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컴퓨팅 디바이스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컴포넌트들이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가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들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컨대,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데이터 패킷들(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 시스템에서,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해 다른 시스템들과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0081]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는 단말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단말은 또한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국,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셀룰러 전화, 위성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진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다른 처리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과 관련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의 통신에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또는 다른 어떤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0082] 더욱이,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또는"보다는 포괄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맥락상 명확하지 않다면,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문구는 당연히 포괄적 치환들 중 임의의 치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문구는 X가 A를 이용하는 경우; X가 B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X가 A와 B를 모두 이용하는 경우 중 임의의 경우에 의해 충족된다. 또한,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맥락상 단수 형태로 지시되는 것으로 명확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0083] W-CDMA 시스템을 참조로 전기 통신 시스템의 여러 양상들이 제시되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쉽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은 다른 전기 통신 시스템들, 네트워크 아키텍처들 및 통신 표준들로 확장될 수 있다. 예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과 "네트워크"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또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진화형 UTRA(E-UTRA: Evolved 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Figure pct00001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은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OFDMA를 그리고 업링크에 대해서는 SC-FDMA를 이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릴리스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추가로,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흔히 언페어드(unpaired) 비허가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블루투스, 그리고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를 들어, 모바일-투-모바일) 애드 혹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0084]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들에 관하여 다양한 양상들 또는 특징들이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은 추가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되는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의 전부를 포함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고 이해 및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접근 방식들의 결합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0085]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위에서 설명한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것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86]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추가로,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추가로, 일부 양상들에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 통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또는 기계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코드들 및/또는 명령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또는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87]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disc)들은 보통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88] 앞서 말한 개시는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을 논의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더욱이,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엘리먼트들은 단수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로의 한정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다수가 고려된다. 추가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Claims (30)

  1.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 의한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time critical)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는 단계;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선택되려고 한다는 것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을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두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희생하여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을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될 때까지,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연(stall)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에 의해 MIN SET E-TFCI로 명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 상기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임의의 잔여 전력 헤드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 시간 간격과는 다른 송신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1차 업링크 반송파와 상기 2차 업링크 반송파 모두 상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방법.
  9. 사용자 장비(UE)에서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단;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선택되려고 한다는 것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를 두기 위한 수단은,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희생하여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기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을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될 때까지,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임의의 잔여 전력 헤드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해, 네트워크에 의해 MIN SET E-TFCI로 명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 시간 간격과는 다른 송신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1차 업링크 반송파와 상기 2차 업링크 반송파 모두 상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15. 사용자 장비(UE)에서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 내에 포함된 프로세서 또는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게 하고;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게 하고;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선택되려고 한다는 것을 검출하게 하고;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게 하고; 그리고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우선순위를 두게 하는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희생하여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될 때까지,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연시키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는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임의의 잔여 전력 헤드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해, 네트워크에 의해 MIN SET E-TFCI로 명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 시간 간격과는 다른 송신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는 코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하여금, 상기 1차 업링크 반송파와 상기 2차 업링크 반송파 모두 상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게 하는 코드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1. 사용자 장비(UE)에서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와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컴포넌트; 및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선택되려고 한다는 것을 검출하고, 그리고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보다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에 우선순위를 두도록 구성된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는 상기 우선순위를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1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가 전력 제한 상태임을 결정하도록 상기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가 구성되는 것은, 상기 사용자 장비가 가능한 또는 이용 가능한 최소 크기를 갖는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갖지 않는다고 결정하도록 상기 전력 제한 상태 결정 컴포넌트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가 우선순위를 두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가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희생하여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중요 데이터 우선순위 결정 컴포넌트는, 최소 전송 블록 크기가 2차 업링크 반송파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선택되려고 한다는 검출을 기초로,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될 때까지,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의 송신을 지연시키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임의의 잔여 전력 헤드룸의 적어도 일부를 사용하여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명시된 상기 고정된 전송 블록 크기는 MIN SET E-TFCI로 표시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는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가 송신된 송신 시간 간격과는 다른 송신 시간 간격 동안 상기 스케줄링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상기 스케줄링되지 않은 시간 중요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송신기 컴포넌트가 상기 1차 업링크 반송파와 상기 2차 업링크 반송파 모두 상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여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정하기 위한 장치.
KR1020157027549A 2013-03-08 2014-02-27 Dc-hsupa 동작에서 전력 제한 상태 동안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 결정 KR20150119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74880P 2013-03-08 2013-03-08
US61/774,880 2013-03-08
US14/057,699 US9066362B2 (en) 2013-03-08 2013-10-18 Prioritizing time critical data for transmission during power limited state in DC-HSUPA operation
US14/057,699 2013-10-18
PCT/US2014/019096 WO2014137753A1 (en) 2013-03-08 2014-02-27 Prioritizing time critical data for transmission during power-limited state in dc-hsupa op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485A true KR20150119485A (ko) 2015-10-23

Family

ID=5148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549A KR20150119485A (ko) 2013-03-08 2014-02-27 Dc-hsupa 동작에서 전력 제한 상태 동안의 송신을 위한 시간 중요 데이터의 우선순위 결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6362B2 (ko)
EP (1) EP2941849B1 (ko)
JP (1) JP5964523B2 (ko)
KR (1) KR20150119485A (ko)
CN (1) CN105027517A (ko)
WO (1) WO2014137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2299B1 (en) * 2014-12-09 2018-01-16 Marvell International Ltd. Optimized transmit-power allocation in multi-carrier transmission
US9749970B2 (en) * 2015-02-27 2017-08-29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and power headroom for component carrier
CN112087801B (zh) * 2015-08-10 2023-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数据传输的方法、基站和终端
WO2018063054A1 (en) * 2016-09-30 2018-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carrier oper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106713009B (zh) * 2016-11-14 2020-04-10 北京临近空间飞行器系统工程研究所 一种飞行器关键数据通信系统和方法
CN106454971B (zh) * 2016-12-13 2019-08-0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小区切换的方法及装置
US11337113B2 (en) * 2020-08-05 2022-05-17 Sprint Spectrum L.P. Use of uplink communication quality as basis to control split-uplink operation for dual-connectivity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402260D0 (sv) 2004-09-15 2004-09-15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6279577A (ja) 2005-03-29 2006-10-12 Fujitsu Ltd デュアルモード通信方法およびデュアルモード通信端末
EP1949721B1 (en) * 2005-10-07 2010-08-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for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36678B2 (en) 2006-09-13 2011-05-03 Nokia Corporation Energy aware early detection
EP2089987B9 (en) 2006-11-02 2011-09-0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e-tfc restriction for hsupa channels
KR100962037B1 (ko) * 2007-03-14 2010-06-08 이노베이티브 소닉 리미티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전송블록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 및장치
JP4884402B2 (ja) * 2008-01-10 2012-02-29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中継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5127588B2 (ja) * 2008-06-23 2013-01-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EP2359557B1 (en) * 2008-10-31 2017-08-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transmissions using multiple uplink carriers
KR101235323B1 (ko) * 2008-10-31 2013-02-19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중 업링크 캐리어들을 이용한 업링크 전송들의 처리
KR20120023833A (ko) * 2008-11-21 2012-03-1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통신에서 다중 캐리어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771463B (zh) * 2009-01-05 2012-12-1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发送上行探测参考信号的方法、装置和系统
US8457056B2 (en) * 2009-02-09 2013-06-04 Qualcomm Incorporated Non-scheduled grants in multi-carrier enhanced uplink
JP5342022B2 (ja) 2009-02-27 2013-11-13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アップリンクキャリアに優先順位を付け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N101600245B (zh) * 2009-06-30 201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载波hsdpa中辅载波激活与去激活方法及装置
CN102006623B (zh) * 2009-09-02 2013-11-06 华为技术有限公司 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WO2011137408A2 (en) * 2010-04-30 2011-11-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termination of carriers and multiplexing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US9124614B2 (en) 2011-02-15 2015-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tility meters or other devices with communications prioritization
EP2742749B1 (en) * 2011-08-12 2020-10-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ower control and timing advance
US9008047B2 (en) * 2012-01-18 2015-04-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a multi-RAB minimum TFC determination algorithm based on transmit power
ES2427716B1 (es) 2012-04-24 2015-06-16 Vodafone España, S.A.U. Procedimiento para optimizar la transmisión de datos en una red de comunicación celular
US20140036967A1 (en) * 2012-08-03 2014-0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247561B2 (en) * 2012-09-2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ioritizing non-schedule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GB2496733B (en) 2012-10-31 2013-11-13 Renesas Mobile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useful data can be transmitted without exceeding a maximum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41849B1 (en) 2016-09-07
CN105027517A (zh) 2015-11-04
JP2016513909A (ja) 2016-05-16
WO2014137753A1 (en) 2014-09-12
JP5964523B2 (ja) 2016-08-03
US9066362B2 (en) 2015-06-23
US20140254505A1 (en) 2014-09-11
EP2941849A1 (en)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11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r equipment-based enhancements of radio link control for multi-point wireless transmission
JP6184598B2 (ja) アップリンクデータ送信における電力スケーリングを回避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302849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signaling radio bearer transmissions at a user equipment
JP5964523B2 (ja) Dc−hsupa動作中の電力制限状態での送信のためのタイムクリティカルデータの優先
US953149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requests
EP2898619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status retransmission
US94082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RLC PDU transmission techniques
EP3210356B1 (en) Cell update message management
US20150271083A1 (en) Techniques for window size configuration
US908428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lving a serving grant deadlock at a mobile station configured for enhanced uplink (EUL)
EP2805569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mplementing a multi-rab minimum tfc determination algorithm based on transmit power
EP302286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transmission of retransmission requ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