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698A -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698A
KR20150118698A KR1020140044556A KR20140044556A KR20150118698A KR 20150118698 A KR20150118698 A KR 20150118698A KR 1020140044556 A KR1020140044556 A KR 1020140044556A KR 20140044556 A KR20140044556 A KR 20140044556A KR 20150118698 A KR20150118698 A KR 20150118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active
radioactive waste
waste
pressure
seal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406B1 (ko
Inventor
이세엽
Original Assignee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4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40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2Treating g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파쇄하거나 화학 처리하지 않고 방사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성 물질 제거과정에서의 피폭이나 2차적인 폐기물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방사성 폐기물의 미세한 틈새나 기공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는, 고체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고, 설정된 압력으로 상승 될 때,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급하강시켜 방사성 폐기물을 팽창시킴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의 미세한 틈새나 기공으로부터 방사성 물질을 빼내고, 방사성 폐기물에서 빠져나온 방사성 물질과 팽창공기는 정화필터를 통과시켜 대기로 방출시키고, 방사성 물질이 제거된 방사성 폐기물은 저장통으로 배출시켜 일반 폐기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active Material Removal of Radioactive Waste}
본 발명은 작은 고체형태 방사성 폐기물의 틈새나 기공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을 일반폐기물로 분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은 고체형태의 방사성 폐기물, 예를 들면 원자력시설의 공기정화계통(HVAC)에 사용되는 활성탄은 방출되는 방사성 기체 중 요오드(I) 및 제논(Xe)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흡착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활성탄에 주로 TEDA(Triethylene Diamine)와 KI(Potassium Iodide)가 첨착되어 있다.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된 방사성 물질 중 반감기가 짧은 요오드(반감기:8일)와 제논은 사용 후 장기간 보관 중에 대부분 감쇄되어 방사능이 소멸 되지만 반감기가 긴 방사성 탄소(C-14)나 삼중수소(H-3)는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된다.
국내 원자력발전소나 원자력시설에서 발생되고 있는 폐활성탄에서도 미량이지만 방사성탄소(C-14)와 삼중수소(H-3)가 잔류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폐활성탄에서 국제원자력기구에서 제시하는 규제해제(IAEA, SSNo RS-G-1.7) 농도값인 1 Bq/g과 100 Bq/g을 각각 초과하는 방사성탄소(C-14)와 삼중수소(H-3)가 검출되어 폐활성탄을 원자력발전소에서 자체 처분을 하지 못하고 방사성 고체폐기물로 분류하여 약 1,000 드럼 이상의 폐활성탄을 원자력발전소 내에 저장하면서 관리하고 있다.
더욱이, 발전소의 운전과 더불어 매년 수십 드럼의 폐활성탄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이를 전량 방사성 폐기물로 분류하여 관리할 경우 관리비용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폐활성탄 중에 함유된 방사성 탄소(C-14)와 삼중수소(H-3)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폐활성탄을 일반 고체폐기물로 원자력발전소에서 자체적으로 처분할 수 있게 된다면 비용이 크게 절감될 뿐만 아니라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이 적게 되고 원자력발전소 폐기물 저장공간의 이용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종래에도 폐활성탄에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고, 최근에 알려진 방법으로서, 등록특허 제10-1113706호의 "폐활성탄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방법"과, 등록특허 제10-1233542호의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113706호는, 폐활성탄을 1∼1.5mm의 크기로 파쇄하고, 10-2∼10-5torr의 진공과 200∼5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방사성탄소(C-14)와 삼중수소(H-3)를 추출하는 방법이나, 높은 진공상태를 유지시켜야 하고 별도의 파쇄장치를 사용하므로 파쇄 공정시 비산되는 분진으로 작업자가 피폭될 수 있고 방사능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추출공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정화필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파쇄된 미세가루가 함께 배출되어 정화필터를 막게 되므로 배출가스의 정화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고, 1∼1.5mm 크기로 파쇄된 폐활성탄에도 미세한 틈새와 기공이 존재하게 되므로, 이 미세한 틈새와 기공 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까지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33542호는,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화학제염공정시 폐활성탄을 화학반응조에서 산성도 1∼2 정도의 황산이나 질산의 산성용액에 1~2시간 정도 침지시켜서 폐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무기형 방사성이산화탄소(CO2-14)를 기체방사성이산화탄소(CO2-14)로 분리시켜 제거하도록 된 것이나, 역시 폐활성탄의 미세한 틈새나 기공 내에 존재하는 공기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까지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고, 특히 산성도가 높은 산성용액을 사용하게 되므로, 처리 후의 폐활성탄(고체 폐기물)과는 별개로 산성 액체(액체 폐기물), 즉 2차 폐기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706호(2012.02.27.공고) "폐활성탄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3542호(2013.02.15.공고)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 예를 들면 사용을 마친 폐활성탄이나 폐이온교환수지와 같이 작은 고체형태 방사성 폐기물의 경우, 방사성 폐기물을 팽창시켜 미세한 틈새나 기공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체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승압단계; 상기 승압단계에서 밀폐용기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급하강시켜 방사성 폐기물을 팽창시킴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의 미세한 틈새나 기공으로부터 방사성 물질을 빼내는 팽창단계; 및 상기 팽창단계를 통해 방사성 폐기물에서 빠져나온 방사성 물질과 팽창공기는 대기로 방출시키고, 방사성 물질이 제거된 방사성 폐기물은 저장통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로 이루어지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단계에서 배출된 방사성 폐기물을 수분에 접촉시키는 수분공급단계와, 상기 수분과 접촉된 방사성 폐기물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상기 승압단계, 팽창단계 및 배출단계를 반복하는 재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승압단계에서 승압 압력은 3~12㎏f/㎠이고, 팽창단계에서의 급하강 압력은 상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체형태 방사성 폐기물을 다수 수용하여 밀폐상태에서 승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팽창공기 및 방사성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구비된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구;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밀폐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팽창공기와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기체배출구와 고체배출구를 구비한 배출통체; 상기 밀폐용기의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 및 상기 배출통체의 기체배출구와 연결된 배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통체의 기체배출구와 고체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안전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통체에는 내부 용적을 확장 가능하게 하는 주름부를 형성한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밀폐용기 내의 압력에 의거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고체형태 방사성 폐기물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승압시킨 후, 압력을 급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방사성 폐기물을 팽창시킬 수 있고, 방사성 폐기물이 팽창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틈새는 더욱 벌어지고 미세한 기공은 터져버리게 되므로, 미세한 틈새와 기공 내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을 빼내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은 고체형태 방사성 폐기물을 팽창시켜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므로, 방사성 폐기물을 분쇄하는 방식에 비해 방사성 물질의 제거효율이 높고, 분진에 의한 정화필터 막힘이나 피폭 등의 피해가 없으며, 화학적 처리 방식에 비해서는 2차 폐기물을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은, 승압단계(S1), 팽창단계(S2), 배출단계(S3)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방사성 폐기물로서, 원자력시설의 공기정화계통(HVAC)에서 사용된 작은 고체형태의 폐활성탄을 예로서 설명한다.
승압단계(S1)는, 폐활성탄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단계로서, 일정량의 폐활성탄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밀폐용기를 외부와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기구로 밀폐용기를 가열함으로써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밀폐용기의 내부 상승 압력은 폐활성탄의 경우, 상압(대기압)의 3~5배인 3~5㎏f/㎠로 설정하는 것이 좋고, 폐활성탄보다 비교적 단단한 폐이온교환수지의 경우는, 9~12㎏f/㎠로 비교적 높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팽창단계(S2)는, 상기 승압단계(S1)에서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상승시켜 설정압력, 예를 들어 4㎏f/㎠에 도달하게 되면, 밀폐용기의 배출구를 개방하여 내부 압력을 예를 들어 상압으로 급하강시켜 폐활성탄을 팽창시키는 단계이다.
폐활성탄이 팽창하게 되면 미세한 틈새는 더욱 벌어지게 되고, 내부에 형성된 미세한 기공은 터져버리게 되므로, 미세한 틈새나 기공에 있는 방사성 물질, 특히 방사성 탄소(C-14)나 삼중수소(H-3)를 빼낼 수 있게 된다.
배출단계(S3)는, 상기 팽창단계를 통해 폐활성탄에서 빠져나온 방사성 물질과 팽창공기를 배출하는 단계로서,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팽창공기는 정화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대기로 방출시키고, 방사성 물질이 제거된 폐활성탄은 저장통으로 배출시켜 일반폐기물로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출단계(S3)에서 배출된 폐활성탄을 재처리하기 위한 수분공급단계(S4)와 재처리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분공급단계(S4)는, 상기 배출단계(S3)에서 배출된 폐활성탄에 수분을 접촉시키는 단계로서, 폐활성탄을 습도가 높은 환경에 장시간 두거나, 가습기를 이용하여 폐활성탄에 물을 분무형태로 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폐활성탄에 수분을 함유시킴으로써 재처리시 폐활성탄의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재처리단계(S5)는, 상기 수분공급단계(S4)에서 수분이 함유된 폐활성탄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상기 승압단계(S1), 팽창단계(S2) 및 배출단계(S3)를 반복하는 단계로서, 1차 팽창시 미쳐 벌어지지 않은 미세한 틈새나 파괴되지 않은 기공을 재차 팽창시킴으로써 미세한 틈새나 기공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한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는, 다수의 폐활성탄을 수용하여 밀폐상태에서 승압시키기 위한 밀폐용기(10)와 가열기구(20)를 구비한다.
밀폐용기(10)는 폐활성탄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를 상부에 형성하고, 폐활성탄의 팽창 후 발생하는 팽창공기 및 팽창된 폐활성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를 하부에 형성한 구성이다. 또한 밀폐용기(10)에는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13)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12)에는 배출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30)가 구비되어 있다.
가열기구(20)는 상기 밀폐용기(10)를 가열하여 내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본 실시예에서는 밀폐용기(10)의 바깥둘레에 전열선을 설치한 전열히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밀폐용기(10)의 배출구(12)와 연결되어 밀폐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팽창공기와 팽창된 폐활성탄을 수용하기 위한 배출통체(40)를 구비한다.
배출통체(40)는 밀폐용기(10)로부터 유입되는 팽창공기와 팽창된 폐활성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밀폐용기(10)보다 큰 용적을 가지도록 형성한 것으로, 일측에 기체배출구(41)를 형성하고, 하부에 고체배출구(42)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배출통체(40)에는 내부 용적을 확장 가능하게 하는 주름부(43)를 형성하여 배출통체(40)의 용적을 최대한 작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밀폐용기(10)로부터 팽창공기가 급속히 유입될 때, 주름부(43)가 신장되어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배출통체(40)의 기체배출구(41)는 배기관(50)과 연결되고, 배기관(50)에는 정화필터(60)를 설치하여 배기되는 팽창공기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후 대기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고, 기체배출구(41)와 고체배출구(42)에는 기체배출구(41)와 고체배출구(4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안전밸브(44,45)를 설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폐용기(10)의 압력센서(13), 가열기구(20), 개폐밸브(30) 및 배출통체(40)의 제1 및 제2 안전밸브(44,45)와 연결하여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를 구비한다. 이를 위해 개폐밸브(30)와 제1 및 제2 안전밸브(44,45)는 전자제어가 가능한 버터플라이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70)는 압력센서(13)로부터 측정된 밀폐용기(10) 내의 압력을 입력받아 가열기구(20), 개폐밸브(30), 제1 및 제2 안전밸브(44,45)를 제어하여 폐활성탄의 승압단계(S1), 팽창단계(S2) 및 배출단계(S3)가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미리 프로그램하여 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용기(10)의 개폐밸브(30)와 배출통체(40)의 제1 및 제2 안전밸브(44,45)는 폐쇄하고, 밀폐용기(10) 내에 일정량의 폐활성탄을 넣고 밀폐시킨 상태에서 가열기구(20)를 가동하여 밀폐용기(10)를 가열하게 되면, 밀폐용기(10) 내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밀폐용기(10)에 구비된 압력센서(13)는 밀폐용기(10)의 내부 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제어부(70)로 출력하고, 밀폐용기(10)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설정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70)는 개폐밸브(30)를 제어하여 배출구(12)를 신속히 개방함으로써 밀폐용기(10)의 내부 압력을 급격히 하강시킨다.
따라서, 폐활성탄은 급격한 압력 하강에 의해 팽창하게 되므로, 폐활성탄의 미세한 틈새가 더욱 확장되어 미세한 틈새에 잔존하고 있던 방사성 물질, 예를 들면 탄소(C-14)나 삼중수소(H-3)를 폐활성탄으로부터 빼낼 수 있고, 또한 폐활성탄 내의 미세한 기공도 팽창에 의해 파괴되어 터져버리게 되므로, 터진 틈새를 통해 탄소(C-14)나 삼중수소(H-3)를 빼낼 수 있게 된다. 폐활성탄으로부터 빠져나온 방사성 물질은 팽창공기와 함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통체(40)로 유입되고, 팽창된 폐활성탄도 배출구(12)를 통해 배출통체(40)로 유입된다.
배출통체(40)는 밀폐용기(10)보다 큰 용적을 가지도록 제작된 것이므로, 밀폐용기(10)로부터 유입된 팽창공기와 팽창된 폐활성탄을 수용할 수 있고, 특히 배출통체(40)에 구비된 주름부(43)에 의해서는 팽창공기의 압력을 흡수하여 유입시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70)는 배출통체(40)의 제1 및 제2 안전밸브(44,45)를 개방하여 팽창공기는 기체배출구(41)를 통해 방사성 물질과 함께 배기관(50)으로 배출하고, 팽창된 폐활성탄은 고체배출구(42)를 통해 배출하여 저장통(80)에 담는다. 배기관(50)을 통해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팽창공기는 정화필터(60)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한 후, 대기로 방출시킨다.
이때, 제어부(70)는 제1 안전밸브(44)를 먼저 개방하여 팽창공기를 배출시킨 다음, 제2 안전밸브(45)를 개방하여 폐활성탄을 배출하도록 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기관(50)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팽창공기의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폐활성탄을 팽창시켜 미세한 틈새와 기공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을 빼내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폐활성탄을 일반폐기물로 처리할 수 있고, 팽창된 폐활성탄에 수분을 접촉시킨 후, 밀폐용기(10) 내에 넣고 재차 팽창시키는 경우, 폐활성탄으로부터 방사성 물질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폐활성탄 외에도, 원자력시설에서 사용을 마친 작은 알갱이 형태의 폐이온교환수지에도 적용할 수 있고, 이로써 폐이온교환수지에 잔존하는 스트론튬(Sr) 이나 세슘(Cs) 동위원소를 제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밀폐용기 11 : 투입구
12 : 배출구 13 : 압력센서
20 : 가열기구 30 : 개폐밸브
40 : 배출통체 41 : 기체배출구
42 : 고체배출구 43 : 주름부
44,45 : 제1 및 제2 안전밸브 50 : 배기관
60 : 정화필터 70 : 제어부

Claims (6)

  1. 고체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승압단계;
    상기 승압단계에서 밀폐용기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할 때, 밀폐용기 내의 압력을 급하강시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팽창시킴으로써 방사성 폐기물의 미세한 틈새나 기공으로부터 방사성 물질을 빼내는 팽창단계; 및
    상기 팽창단계를 통해 방사성 폐기물에서 빠져나온 방사성 물질과 팽창공기는 대기로 방출시키고, 방사성 물질이 제거된 방사성 폐기물은 저장통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단계에서 배출된 방사성 폐기물을 수분에 접촉시키는 수분공급단계와, 상기 수분과 접촉된 방사성 폐기물을 밀폐용기 내에 넣고, 상기 승압단계, 팽창단계 및 배출단계를 반복하는 재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단계에서의 승압 압력은 3~12㎏f/㎠이고, 팽창단계에서의 급하강 압력은 상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활성탄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4. 고체형태의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여 밀폐상태에서 승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방사성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팽창공기 및 방사성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구비된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기구;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밀폐용기로부터 배출되는 팽창공기와 방사성 폐기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기체배출구와 고체배출구를 구비한 배출통체;
    상기 밀폐용기의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 및
    상기 배출통체의 기체배출구와 연결된 배기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체의 기체배출구와 고체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안전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통체에는 내부 용적을 확장 가능하게 하는 주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와 연결되어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밀폐용기 내의 압력에 의거하여 상기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장치.
KR1020140044556A 2014-04-15 2014-04-15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KR102107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56A KR102107406B1 (ko) 2014-04-15 2014-04-15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556A KR102107406B1 (ko) 2014-04-15 2014-04-15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698A true KR20150118698A (ko) 2015-10-23
KR102107406B1 KR102107406B1 (ko) 2020-05-07

Family

ID=5442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556A KR102107406B1 (ko) 2014-04-15 2014-04-15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69A1 (ko) * 2018-07-06 2020-01-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697A (ja) * 1999-04-27 2000-11-07 Fuji Electric Co Ltd 固体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KR101113706B1 (ko) 2011-04-13 2012-02-27 김진길 폐활성탄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방법
KR101233542B1 (ko) 2012-12-21 2013-02-15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1305241B1 (ko) * 2012-09-27 2013-09-06 김진길 폐활성탄 중 삼중수소와 방사성탄소 분석을 위한 전처리 장치
US20130313227A1 (en) * 2011-02-15 2013-11-28 Fuji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reducing volume of resin containing radio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0697A (ja) * 1999-04-27 2000-11-07 Fuji Electric Co Ltd 固体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20130313227A1 (en) * 2011-02-15 2013-11-28 Fuji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reducing volume of resin containing radioactive materia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apparatus
KR101113706B1 (ko) 2011-04-13 2012-02-27 김진길 폐활성탄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방법
KR101305241B1 (ko) * 2012-09-27 2013-09-06 김진길 폐활성탄 중 삼중수소와 방사성탄소 분석을 위한 전처리 장치
KR101233542B1 (ko) 2012-12-21 2013-02-15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69A1 (ko) * 2018-07-06 2020-01-0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방법
KR20200005341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원자로 압력 용기의 폐기물 처리 방법
JP2021528657A (ja) * 2018-07-06 2021-10-21 コリア ハイドロ アンド ニュークリアー パワ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原子炉圧力容器の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原子炉圧力容器の廃棄物処理方法
EP3819915A4 (en) * 2018-07-06 2022-04-06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WASTE TREATMENT METHOD
US11682496B2 (en) 2018-07-06 2023-06-20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of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of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406B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883B1 (ko) 이슬점 온도 측정에 기초하여 하이레벨 폐기물을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233542B1 (ko)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
RU2568184C2 (ru) Способ детритирования мягки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569700B1 (ko) 원자력 발전소로부터의 유해한 가스 유출물의 여과 방법
KR20160002921A (ko)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배기 시스템의 방출 감시 시스템
KR20150069089A (ko) 방사성 폐건조제의 삼중수소와 방사성탄소 제거시스템
KR101682782B1 (ko) 산업 시설로부터의 가스 유출물의 여과 방법
KR102009998B1 (ko) 감압가열 방식을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장치
JP2018119960A (ja) 廃棄物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687461B1 (ko) 산업 시설로부터의 가스 유출물의 여과 방법
KR20150118698A (ko) 방사성 폐기물에 잔존하는 방사성 물질 제거방법 및 장치
JP2018169252A (ja) 格納容器保全設備および格納容器保全方法
KR101583056B1 (ko) 원자로 계통의 압력용기 내에 잔류하는 방사성 기체 포집장치
KR100956694B1 (ko) 고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방법
CN110491540B (zh) 一种放射性废物的处理方法
TWI537981B (zh) Mo-99放射性廢液之處理方法
KR20120055233A (ko) 이동형 삼중수소 제거 시스템
KR101495546B1 (ko)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JP3820503B2 (ja) トリチウム汚染金属の除染方法および装置
JP6234033B2 (ja) 焼却飛灰中に含まれる放射性物質の抽出装置及び抽出方法
JP2002071895A (ja) 放射性廃棄物減容システム
JP2000206290A (ja) 金属元素吸着剤の処理装置
JP6498701B2 (ja) 放射性物質からの汚染水を浄化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5283415A (ja) 放射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11158374A (ja) トリチウム汚染物の除染方法およびその除染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