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349A - 스탠드 북 - Google Patents

스탠드 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349A
KR20150118349A KR1020140044081A KR20140044081A KR20150118349A KR 20150118349 A KR20150118349 A KR 20150118349A KR 1020140044081 A KR1020140044081 A KR 1020140044081A KR 20140044081 A KR20140044081 A KR 20140044081A KR 20150118349 A KR20150118349 A KR 20150118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ine
inlay
binding hole
inner ski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혁
Original Assignee
김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혁 filed Critical 김동혁
Priority to KR102014004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349A/ko
Publication of KR2015011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26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nabling the book to be positioned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6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means for holding books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4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 B42F13/4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combined or formed with other articles, e.g. punches, stands enabling the cover to be positioned upright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 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한 두께로 구비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바인딩 홀이 천공된 속지와, 상기 속지의 일측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인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바인딩홀이 천공되는 내피와 상기 제1바인딩홀 및 제2바인딩홀에 끼워져 상기 속지와 내피를 결속하는 스프링 및 단면이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속지의 타측 외측면과 상기 내피의 일측 외측면 및 상기 속지와 내피가 이루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와 맞닿는 영역 중 상부영역이 상기 내피와 부착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배면방향으로 꺾였을 때 하부영역이며, 상기 속지 및 상기 내피를 지지하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며 바닥에 세워지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으로 연결된 속지 및 내피와 세움 기능을 가지는 외피를, 하나로 결속하고, 외피를 속지 및 내피를 세우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탠드 북{STANDING BOOK}
본 발명은 스탠드 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으로 연결된 속지 및 내피와 세움 기능을 가지는 외피를 하나로 결속하고, 외피를, 속지 및 내피를 세우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 스탠드 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을 읽을 때에는 두 손으로 펼쳐진 책의 양측을 잡고서 한 페이지씩 넘기면서 보게 되는데, 특히 누워서 책을 읽게 되는 경우에는 허공에 양팔을 뻗어 올린 상태로 책을 잡고 읽게 된다. 이런 독서 자세는 독서자가 오랜 시간을 유지할 수 없는 힘든 자세로, 오랫동안 독서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 자세나 앉은 자세에서 독서를 할 때도 책을 오랜시간 동안 들고 있기 힘들어 장시간 독서할 수 없으며, 특히 환자들의 경우에 독서를 하기 위해 장시간 책을 들거나 일정 자세를 유지할 수 없어 독서를 짧은 시간동안 밖에 할 수 없다는 불편이 있었다.
선행기술 한국공개특허 10-2012-0008928호는 크기(판형)에 따라, 책등(spine of book)을 지지하는 등판의 높이와 경사각을 다단으로 조절하여 책을 읽기 좋은 각도로 기대어 놓을 수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책의 부피와 같이 최소부피로 접어서 갖고 다니거나 책꽂이 또는 책장에 보관할 수 있으며, 오목한 요면이나 컷아웃에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페이지넘김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페이지 덮임을 방지하기 위해 페이지 누름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는, 다단 접이식 실용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독서대는 책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책을 읽기 위해서 독서대를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별도로 독서대를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스프링으로 연결된 속지 및 내피와 세움 기능을 가지는 외피를 하나로 결속하고, 외피를, 속지 및 내피를 세우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는 스탠드 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키고, 더 나아가 휴대성을 향상시킨 스탠드 북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책갈피를 구비하여 속지가 외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이지가 임의로 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피에 의해 속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페이지 넘김이 수월하게 행해질 수 있는 스탠드 북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일정한 두께로 구비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바인딩 홀이 천공된 속지와, 상기 속지의 일측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인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바인딩홀이 천공되는 내피와 상기 제1바인딩홀 및 제2바인딩홀에 끼워져 상기 속지와 내피를 결속하는 스프링 및 단면이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속지의 타측 외측면과 상기 내피의 일측 외측면 및 상기 속지와 내피가 이루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와 맞닿는 영역 중 상부영역이 상기 내피와 부착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의 배면방향으로 꺾이며, 상기 외피는,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배면방향으로 꺾였을 때 하부영역이며, 상기 속지 및 상기 내피를 지지하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며 바닥에 세워지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일정한 두께로 구비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바인딩 홀이 천공된 속지와, 상기 속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인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바인딩홀이 천공되는 내피와, 상기 제1바인딩홀 및 제2바인딩홀에 끼워져 상기 속지와 내피를 결속하는 스프링 및 단면이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져, 상기 속지의 전면과 상기 내피의 배면 및 상기 속지와 내피가 이루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와 맞닿는 영역 중 상부영역이 상기 내피와 부착되는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탠드 북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힘선; 및 상기 제1접힘선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접힘선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힘선과 상기 제2접힘선에 의해 상기 외피가 절곡되어 상기 속지와 상기 내피의 배면에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속지와 상기 내피가 바닥에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프링으로 연결된 속지 및 내피와 세움 기능을 가지는 외피를, 하나로 결속하고, 외피를 속지 및 내피를 세우는 독서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리함을 극대화시키고, 더 나아가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책갈피를 구비하여 속지가 외피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페이지가 임의로 덮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피에 의해 속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페이지 넘김이 수월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이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지가 제1책갈피 또는 제2책갈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피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의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전면은 사용자가 스탠드 북을 바라보는 정면 즉 앞면을 의미하고, 배면은 전면과 대향하는 면으로, 스탠드 북의 뒷면으로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이 펼치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북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스탠드 북(100)은 별도의 독서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서적의 앞뒤 커버를 이용하여 서적을 독서대를 처럼 세워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 북(100)은 스탠드 북(100)은 속지(10)와, 속지(10)를 감싸는 내피(20) 및 외피(40)로 구성되는 제품, 예를 들면 서적, 노트, 메모수첩, 앨범, 화보집, 명함집, 다이어리, 캘린더, 보험사나 은행에서 사용되는 상품 안내서와 같은 제품이 될 수 있다.
스탠드 북(100)은 속지(10)를 포함할 수 있다.
속지(10)는 수십매의 종이를 포함하여 일정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속지(10)는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1열 구멍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제1바인딩 홀(11)이 천공될 수 있다.
한편 스탠드북은 내피(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피(20)는 속지(10)의 일측 외측면에 구비되고, 속지(10)를 감쌀 수 있는 크기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룰수 있다. 또한 내피(20)는 제1바인딩홀(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바인딩홀(21)이 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내피(20)는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하드보드와 같은 종이, 알루미늄, 나무, MD(Medium Density Fiber boar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스탠드 북(100)은 스프링(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30)은 제1바인딩홀(11) 및 제2바인딩홀(21)에 끼워져 속지(10)와 내피(20)를 결속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30)은 가느다란 봉재를 원형으로 감아 만든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트윈 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30)은 제1바인딩홀(11) 및 제2바인딩홀(12)에 끼워져서 속지(10)가 좌우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탠드 북(100)은 외피(4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40)는 전술한 속지(10) 및 내피(20)가 바닥과 일정각도를 이루며 세워지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피(40)는 속지(10)와 내피(20)가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추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외피(40)는 속지(10)와 내피(20)의 외측면에 씌워질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이 속지(10) 및 내피(20)와 동일하거나, 속지(10) 및 내피(20)보다 넓게 즉, 속지(10) 및 내피(20)의 테두리로부터 약 5-10mm 정도 크게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40)는 단면이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도록 절곡되고, 속지(10)의 타측 외측면과 내피(20)의 일측 외측면 및 속지(10)와 내피(20)가 이루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피(40)는 내피(20)와 맞닿는 영역 중 상부영역이 내피(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외피(40)와 내피(20)는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부착되거나 고주파 열첩착기로 상호 열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40)는 내피(20)와 마찬가지로 속지(10)와 내피(20)를 지지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견고성이 필요하므로, 비교적 견고성이 높으면서도 제조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하드보드와 같은 종이, 알루미늄, 나무, MD(Medium Density Fiber boar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40)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40)는 제1커버부(42), 제2커버부(41), 측면커버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버부(42)는 내피(20)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되어, 내피(20)의 일측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부영역이 내피(20)와 부착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커버부(41)는 제1커버부(42)와 동일한 크기로 절단되어, 제1커버부(42)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속지(10)의 타측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측면커버부(43)는 제1커버부(42)와 제2커버부(4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부(43)의 폭길이는 스프링(30)을 감쌀 수 있도록 스프링(30)의 외경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커버부(42), 제2커버부(41), 측면커버부(43)를 포함하는 외피(40)는 접힘선(44)을 포함할 수 있다.
접힘선(44)은 외피(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40)는 접힘선(44)을 기준으로 외피(40)의 배면방향으로 꺽일 수 있다.
관련하여 외피(40)는 접힘선(44)을 기준으로 하부영역이 내피(20)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는 접힘선(44)에 의해 외피(40)가 절곡되어 후술할 각도유지부(40a)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때 각도유지부(40a)는 외피(40)의 접힘선을 기준으로 하부영역을 의미한다. 즉 각도유지부(40a)는, 외피(40)가 접힘선(44)을 기준으로 배면방향으로 꺾였을 때 하부영역이며, 속지(10) 및 내피(20)를 지지하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며 바닥에 세워질 수 있다.
즉 외피(40)는 접힘선(44)에 의해 외피(40)의 길이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로 2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40)의 하부가 접힘선(44)에 의해 배면방향으로 꺾여질 경우, 외피(40)에는 속지(10)와 내피(20)와 ?닿는 돌출부(44a)가 형성될 수 있다. 외피(40)의 돌출부(44a)는 속지(10) 및 내피(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맞닿으면서 속지(10) 및 내피(20)를 지지할 수 있다.
관련하여 외피(40)가 바닥에 세워질 때, 각도유지부(40a)의 배면 즉 외피(40)의 하부영역과 바닥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는 N ˚(90〈N〈180)일 수 있다. 따라서 외피(40)는 바닥에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탠드 북(100)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할 경우에 고개를 숙일 필요없이 편안한 상태의 눈높이에서 스탠드 북(100)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외피(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40)의 배면 상부영역에 분절라인에 의하여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5)는 필기구를 올려두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지지부(45)와 외피(40)의 배면사이에 밴드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밴드부재는 지지부(45)가 바닥과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지지부(45)가 외피(4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바닥과 수평을 이룸에 따라 필기구가 떨어지지 않고, 올려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속지가 제1책갈피 또는 제2책갈피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 북(100)은 제1책갈피(5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련하여 내피(20)와 외피(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착될 수 있는데, 제1책갈피(50)를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일부분이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내피(20)와 외피(40) 사이의 일부분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책갈피(50)는 내피(10)와 외피(40) 사이의 공간에 외피(40)의 높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관련하여 제1책갈피(50)는 탄력성과 복원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고, 띠형상으로 이루어진 밴드를 절곡하여 전단과 후단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책갈피(50)의 전단이 속지(10) 및 내피(20)를 가압함으로써, 속지(10) 및 내피(2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1책갈피(5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될 경우에는,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전단이 외피(40)의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속지 및 내피를 가압함과 동시에 속지(10) 및 내피(2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제1책갈피(5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단과 후단이 내피(20)와 외피(4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제1책갈피(50)의 전단이 속지(10) 및 내피(20)를 가압함과 동시에 속지(10) 및 내피(2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속지(10)는 제1책갈피(50)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페이지가 임의로 덮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스탠드 북(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책갈피(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책갈피(51)는 탄력성과 복원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하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피(40)의 제2커버부(42)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책갈피(51)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피(4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외피(40)의 전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혀져 속지(10) 및 내피(20)를 가압함과 동시에 속지(10) 및 내피(2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피의 배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40)는 제1접힘선(1) 및 제2접힘선(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접힘선(1)은 외피(4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외피(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접힘선(2)은 제1접힘선(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제1접힘선(1)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피(40)는 제1접힘선(1)과 제2접힘선(2)에 의해 절곡되어 접혀짐으로써, 속지(10)와 내피(20)의 배면 하부에 구비됨에 따라 속지(10)와 내피(20)가 바닥에 세워지도록 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외피(40)는 외피(40)의 하단으로부터 제1접힘선(1) 사이에 제1구획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1접힘선(1)으로부터 제2접힘선(2) 사이에 제2구획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접힘선(2)으로부터 외피(40)의 상단 사이에 제3구획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획부는 제1접힘선(1)에 의해 내피(20)에 부착되고, 제2구획부는 제1접힘선(1) 및 제2접힘선(2)에 의해 제1구획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며, 제3구획부는 제2접힘선(2)에 의해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외피(40)는 제1접힘선(1)과 제2접힘선(2)에 의해 외피(40)의 길이방향으로 하단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제1구획부, 제2구획부 및 제3구획부로 3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40)는 제1접힘선(1)과 제2접힘선(2)이 각각 절곡되어, 제1구획부와 제2구획부 및 제3구획부의 측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며, 속지(10)와 내피(20)를 지지하여 바닥에 세울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탠드 북 10: 속지
20: 내피 30: 스프링
40: 외피 50: 제1책갈피
51: 제2책갈피

Claims (12)

  1. 일정한 두께로 구비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바인딩 홀이 천공된 속지;
    상기 속지의 일측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인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바인딩홀이 천공되는 내피;
    상기 제1바인딩홀 및 제2바인딩홀에 끼워져 상기 속지와 내피를 결속하는 스프링; 및
    단면이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속지의 타측 외측면과 상기 내피의 일측 외측면 및 상기 속지와 내피가 이루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와 맞닿는 영역 중 상부영역이 상기 내피와 부착되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상기 외피의 배면방향으로 꺾이며,
    상기 외피는,
    상기 접힘선을 기준으로 배면방향으로 꺾였을 때 하부영역이며, 상기 속지 및 상기 내피를 지지하면서 일정각도를 이루며 바닥에 세워지는 각도유지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내피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내피의 일측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영역이 상기 내피와 부착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는 제1커버부;
    상기 제1커버부와 동일한 크기로 절단되어, 상기 제1커버부와 서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속지의 타측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를 서로 연결하는 측면커버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가 바닥에 세워질 때, 상기 각도유지부의 배면과 상기 바닥이 이루는 모서리의 각도는,
    N ˚(90〈N〈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접힘선에 의해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로 2분할되고, 상기 접힘선에 의해 상기 외피의 하부가 배면방향으로 꺽여질 경우, 상기 외피에는 상기 속지와 상기 내피와 ?닿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속지, 상기 내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맞닿으면서 지지하는, 스탠드 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및 외피는,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하드보드와 같은 종이, 알루미늄, 나무, MD(Medium Density Fiber boar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스탠드 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외피의 배면 상부측에 분절라인에 의하여 접힘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탠드 북.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부의 폭길이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경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 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북은,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띠형상의 밴드를 절곡하여 전단과 후단의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피와 상기 외피 사이의 공간에 상기 외피의 높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단이 상기 외피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속지 및 내피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1책갈피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북.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부는,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커버부의 배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상기 외피의 전면을 향해 접혀져 상기 속지 및 상기 내피를 고정하는 제2책갈피를 더 포함하는, 스탠드 북.
  10. 일정한 두께로 구비되고,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1바인딩 홀이 천공된 속지;
    상기 속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바인딩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바인딩홀이 천공되는 내피와, 상기 제1바인딩홀 및 제2바인딩홀에 끼워져 상기 속지와 내피를 결속하는 스프링 및 단면이 " ㄷ "자 형태의 구조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져, 상기 속지의 전면과 상기 내피의 배면 및 상기 속지와 내피가 이루는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피와 맞닿는 영역 중 상부영역이 상기 내피와 부착되는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탠드 북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접힘선; 및
    상기 제1접힘선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접힘선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제2접힘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힘선과 상기 제2접힘선에 의해 상기 외피가 절곡되어 상기 속지와 상기 내피의 배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속지와 상기 내피가 바닥에 세워지도록 하는, 스탠드 북.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외피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제1접힘선 사이에 형성된 제1구획부;
    상기 제1접힘선으로부터 상기 제2접힘선 사이에 형성된 제2구획부; 및
    상기 제2접힘선으로부터 상기 외피의 상단 사이에 형성된 제3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획부는,
    상기 제1접힘선에 의해 상기 내피에 부착되고,
    상기 제2구획부는,
    상기 제1접힘선 및 상기 제2접힘선에 의해 상기 제1구획부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3구획부는,
    상기 제2접힘선에 의해 바닥면에 배치되는, 스탠드 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제1접힘선과, 상기 제2접힘선에 의해 상기 외피의 길이방향으로 하단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상기 제1구획부, 상기 제2구획부 및 상기 제3구획부로 3분할되고, 상기 제1접힘선과, 상기 제2접힘선이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제1구획부와 상기 제2구획부 및 상기 3구획부의 측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며, 상기 속지와 상기 내피를 지지하는 스탠드 북.
KR1020140044081A 2014-04-14 2014-04-14 스탠드 북 KR20150118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081A KR20150118349A (ko) 2014-04-14 2014-04-14 스탠드 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081A KR20150118349A (ko) 2014-04-14 2014-04-14 스탠드 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349A true KR20150118349A (ko) 2015-10-22

Family

ID=5442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081A KR20150118349A (ko) 2014-04-14 2014-04-14 스탠드 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83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22B1 (ko) * 2019-03-20 2020-09-17 장석천 책갈피
KR102466566B1 (ko) 2022-02-10 2022-11-14 황정임 액자기능을 가지는 스탠드형 북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122B1 (ko) * 2019-03-20 2020-09-17 장석천 책갈피
KR102466566B1 (ko) 2022-02-10 2022-11-14 황정임 액자기능을 가지는 스탠드형 북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530B1 (en) Bookmark and stand
US20050153270A1 (en) Note board apparatus and kit
KR20150118349A (ko) 스탠드 북
US20030001063A1 (en) Book holding device
JP3165771U (ja) 折畳式携帯書見台
KR101392421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0476994Y1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KR200410630Y1 (ko) 스탠드 겸용 표지를 구비한 제본물
KR200318576Y1 (ko) 책표지 구조
KR101822994B1 (ko) 북커버
US11484115B2 (en) Deployable stand assemblies with folding hinges and related methods
JP7338232B2 (ja) 書見台
JP3218888U (ja) 書見台
JP2020090079A (ja) 読書補助器具
US20170182831A1 (en) Self-supporting book
KR20180000596U (ko) 휴대용 독서대
KR200494801Y1 (ko) 필기구 꽂이를 구비한 서책
KR20100065960A (ko) 책갈피 일체형 책 표지 제조방법
KR20100006470U (ko) 세움기능을 가지는 다용도 판형지지대
JP3166158U (ja) 折畳式簡便書見台
JP2011031602A (ja) 冊子カバー
JP2018176436A (ja) インデックス及びファイル
RU55684U1 (ru) Полиграф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KR101651036B1 (ko) 독서대 겸용 파일 케이스
KR101075894B1 (ko) 책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