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894B1 - 책자 - Google Patents

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894B1
KR101075894B1 KR1020110019545A KR20110019545A KR101075894B1 KR 101075894 B1 KR101075894 B1 KR 101075894B1 KR 1020110019545 A KR1020110019545 A KR 1020110019545A KR 20110019545 A KR20110019545 A KR 20110019545A KR 101075894 B1 KR101075894 B1 KR 10107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ne
region
fold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열
Original Assignee
최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열 filed Critical 최동열
Priority to KR102011001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2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in which the fillings and covers are connected by end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with at least one foldable or folded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73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5/008Foldable or fold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2Means for enabling the device to be positioned uprigh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자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철 방식으로 노트나 문제집과 같이 얇은 책을 제본하는 경우에, 스테플러 철심으로 인하여 이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 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종이장이 적층된 상태에서 중앙을 가로지로는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내지(10); 상기 내지(10)의 외측표면 가운데 상기 중앙선(13)이 형성되는 부위를 감싸는 마감지(20); 단부들이 상기 내지(10)와 상기 마감지(20)를 통과하여 절곡되어 상기 내지(10)와 상기 마감지(20)를 결합시키는 스테플러 철심(30); 및, 상기 마감지(20)의 외측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지(20)와 함께 상기 내지(10)의 외측표면을 덮는 겉표지(4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책자{BOOKLET}
본 발명은 책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트나 얇은 간행물처럼 두께가 얇아 펼쳐짐이 용이한 중철 제본식 책자에 관한 것이다.
책을 제본하는 방법은 책의 두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하게 된다.
책을 제본하는 방법을 크게 분류해 보면, 무선제본, 스프링제본, 양장제본, 중철제본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무선제본은 일반 책등에 많이 쓰이는 방식으로서, 인쇄지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일 단부에 접착제를 응고시켜 제본하는 방식이다.
스프링제본은 종이장을 적층시킨 후, 일 단부들을 펀칭하여 구멍을 낸 후, 구멍에 스프링이나 링 형태의 연결고리를 끼워넣는 방식이다.
양장제본은 두꺼운 표지의 내측과 인쇄지 사이에 본딩을 시행하는 제본 방식이다.
중철제본은 노트나 문제집 같이 비교적 페이지가 적어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경우, 종이장들을 적층시킨 후 중앙을 기준으로 접은 상태에서 중앙에 철심을 박아 고정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제본 방식 중에서도 중철제본은 중앙 부근 철심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철심은 단부들이 날카로워 이용자들의 손에 상처를 유발하기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철 제본 방식은 종이장들을 적층시킨 후, 중앙을 기준으로 접은 상태로 제본하게 되므로, 책자가 세워지지 않아 책꽃이에 수납시에 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철 제본 방식은 종이장들을 적층시킨 후, 중앙을 기준으로 접은 상태에 제본하게 되므로 접어진 부분이 하나의 선모양의 모서리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중철 제본 방식으로 제본된 책자는 책꽂이에 수납시에 모서리 부분만이 보이게 된다. 즉, 중철 제본 방식의 책자는 측면부분에 제목을 새겨 넣을 수 없는 공간이 없게 되므로, 책꽂이에 수납시에 책자의 제목을 육안으로 보이지 않아 책자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중철 방식으로 노트나 문제집과 같이 얇은 책을 제본하는 경우에, 스테플러 철심으로 인하여 이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 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철 방식으로 노트나 문제집과 같이 얇은 책을 제본하는 경우에, 책꽂이에 세워져 수납될 수 있는 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철 방식으로 노트나 문제집과 같이 얇은 책을 제본하는 경우에, 접철부위의 측부에 제목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책꽃이에 수용시에도 제목을 식별할 수 있는 책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책자는 복수 개의 종이장이 적층된 상태에서 중앙을 가로지로는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내지(10); 상기 내지(10)의 외측표면 가운데 상기 중앙선(13)이 형성되는 부위를 감싸는 마감지(20); 단부들이 상기 내지(10)와 상기 마감지(20)를 통과하여 절곡되어 상기 내지(10)와 상기 마감지(20)를 결합시키는 스테플러 철심(30); 및, 상기 마감지(20)의 외측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지(20)와 함께 상기 내지(10)의 외측표면을 덮는 겉표지(4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마감지(20)는 상기 중앙선(13)과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중앙접철선(20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는 제1접철선(20b)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며 상기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철선(20b)과 대향하는 부위에 제2접철선(20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겉표지(40)는 상기 중앙선(13)과 대응하는 부위에 제1겉표지중앙선(40c)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접철선(20b)과 맞닿는 위치에 제1겉표지접철선(40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며 상기 제2접철선(20c)과 맞닿는 위치에 제2겉표지접철선(40b)이 형성되며, 상기 제1겉표지접철선(40a)과 상기 제1겉표지중앙선(40c) 사이에 제1측면영역(43)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겉표지접철선(40b)과 상기 제1겉표지중앙선(40c) 사이에 제2측면영역(44)을 형성하여 상기 제1측면영역(43)과 상기 제2측면영역(44)이 서로 간에 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책자는 상기 마감지(20)와 상기 겉표지(40) 사이에 형성되는 본딩층(50);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지(10)와 마감지(20)를 스테플러 철심(30)으로 결합시킨 후 마감지(20)의 외측표면에 겉표지(40)를 결합시킴으로써, 스테플러 철심(30)이 겉표지(40)의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도록하여 스테플러 철심(30)에 의해 이용자들의 손이 베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플러 철심(30)의 휘어지는 단부가 내지(10)에서 마감지(20)로 통과된 후에 마감지(20)를 덮도록 휘어짐으로써, 스테플러 철심(30)의 구부러지는 단부들이 책자의 전체표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추어져 스테플러 철심(30)에 의해 이용자들의 손이 더욱 베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지(10)를 감싸는 마감지(20)와 겉표지(40)에 다수의 접철선을 형성함으로써, 내지(10)가 펼쳐지는 경우에 겉표지(40)가 내지(10)의 펼쳐짐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내지(10)의 펼쳐짐을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겉표지(40)의 접철부위에 각이 형성되어 책자를 책꽃이에 수납하는 경우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겉표지(40)의 접철부위에 제목을 표기할 수 있는 영역을 마련하므로, 종래의 중철 방식의 책자와는 달리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목을 볼 수 있어 책꽃이등에 보관시 제목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어 책자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자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책자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C영역을 확대하여 본 부분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책자의 내지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겉표지가 서로 간에 마주보도록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지를 반대로 접은 상태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자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책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C영역을 확대하여 본 부분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책자의 내지(10)가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겉표지가 서로 간에 마주보도록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내지를 반대로 접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자는 내지(10), 마감지(20), 스테플러 철심(30) 및, 겉표지(4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본딩층(50)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내지(10)는 복수 개의 종이장이 적층된 상태에서 중앙을 가로지로는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접철된다. 여기서, 내지(10)는 문자, 도형 및 그림과 같은 이미지들이 인쇄되거나 필기를 위한 노트선이 인쇄된 인쇄층이 더 형성된다.
이 경우, 내지(10)는 중앙선(13)을 기준으로 하여 접철되는 면들을 구분하여 볼 때 좌측내지부(11)와 우측내지부(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지(10)는 책자로 이용할 수 있도록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좌측내지부(11)의 내측종이면과 우측내지부(12)의 내측종이면 서로 간에 맞닿아 접어지거나 펼쳐지게 되어 이용자가 내지(10)의 면들에 인쇄된 이미지를 보거나 내지(10)의 면에 필기를 할 수 있다.
상기 마감지(20)는 내지(10)의 외측표면 가운데 중앙선(13)이 형성되는 부위를 감싼다. 이러한 마감지(20)는 중앙선(13)과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는 중앙접철선(20a)과, 중앙선(13)과 이격되는 제1접철선(20b)과, 중앙선(13)과 이격되며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제1접철선(20b)과 대향하는 부위에 제2접철선(20c)이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지(20)는 제1부착영역(21), 제2부착영역(22), 제1접철영역(23) 및, 제2접철영역(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부착영역(21)은 제1접철선(20b)을 기준으로 제1접철영역(23)과 이어진다. 제1부착영역(21)은 마감지(2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1접철선(20b)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영역이다. 제1부착영역(21)과 겉표지(40) 사이에는 제1본딩층(51)이 형성되어 겉표지(40)의 일 측 내면과 결합됨으로서, 마감지(20)의 일 측과 겉표지(40)와 함께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부착영역(22)은 제2접철선(20c)을 기준으로 제2접철영역(24)과 이어진다. 제2부착영역(22)은 마감지(20)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접철선(20c)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영역이다. 제2부착영역(22)과 겉표지(40) 사이에는 제2본딩층(52)이 형성되어 겉표지(40)의 일 측 내면과 결합됨으로서, 마감지(20)의 타 측과 겉표지(40)와 함께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1접철영역(23) 및, 제2접철영역(24)은 마감지(20)의 중앙접철선(20a)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접철되는 영역으로서, 제1접철영역(23)은 제1접철선(20b)을 기준으로 제1부착영역(21)과 이어지며, 제2접철영역(24)은 제2접철선(20c)을 기준으로 제2부착영역(22)과 이어진다. 이러한 제1접철영역(23) 및, 제2접철영역(24)은 중앙접철선(20a)과 제1접철선(20b) 및 제2접철선(20c)을 기준으로 마감지(20)가 접철되도록 함으로서, 마감지(20)와 연결되는 겉표지(40)와 내지(10)가 오므려졌을 때 완전히 오므려 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테플러 철심(30)은 단부들이 내지(10)와 마감지(20)를 통과하여 절곡되어 내지(10)와 마감지(20)를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스테플러 철심(30)은 두 개로 구성된다.
또한, 스테플러 철심(30)은 내지(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중앙선(13) 부근과 일렬로 형성된 상태에서 서로 간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스테플러 철심(30)은 최초 'ㄷ'형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테플러 철심(30)의 뾰족한 단부들이 내지(10)에서 마감지(20)를 관통한 상태에서 구부러짐으로서, 내지(10)와 마감지(2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스테플러 철심(30)은 단부들의 구부러지는 부위가 마감지(20)의 외측표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테플러 철심(30)의 날카로운 단부들이 내지(10)의 내측면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겉표지(40)는 마감지(20)의 외측표면에 접착되어 마감지(20)와 함께 내지(10)의 외측표면을 덮는다.
이러한 겉표지(40)는 제1덮개영역(41), 제2덮개영역(42), 제1측면영역(43) 및, 제2측면영역(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덮개영역(41)은 제1측면영역(43)과 이어지며, 마감지(20)의 제1부착영역(21)과 결합된다. 이러한 제1덮개영역(41)은 제1부착영역(21)과 결합하여 제1부착영역(21)과 함께 오므려지거나 펼쳐지게 됨으로서, 내지(10)의 외측표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덮개영역(42)은 제2측면영역(44)과 이어지며, 마감지(20)의 제2부착영역(22)과 결합된다. 이러한 제2덮개영역(42)은 제2부착영역(22)과 결합하여 제2부착영역(22)과 함께 오므려지거나 펼쳐지게 됨으로서, 내지(10)의 외측표면을 덮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덮개영역(41)과 제1측면영역(43)이 맞닿는 부위에는 제1겉표지접철선(40a)이 형성되는데, 제1겉표지접철선(40a)은 중앙선(13)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접철선(20b)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겉표지접철선(40a)은 제1덮개영역(41)과 제1측면영역(43)이 접어지거나 펼쳐짐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제2덮개영역(42)과 제2측면영역(44)이 맞닿는 부위에는 제2겉표지접철선(40b)이 형성되는데, 제2겉표지접철선(40b)은 중앙선(13)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접철선(20c)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겉표지접철선(40b)은 제2덮개영역(42)과 제2측면영역(44)이 접어지거나 펼져짐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1측면영역(43)과 제2측면영역(44)은 마감지중앙접철선(40c)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간에 연결되며, 제1겉표지중앙선(40c)을 기준으로 접철된다. 여기서, 제1측면영역(43)과 제2측면영역(44)은 내지(10)가 오므려진 상태에서 제1겉표지중앙선(40c)을 기준으로 접철된 상태로 형성되고, 내지(10)가 완전히 펼쳐지게 되는 상태에서 제1겉표지중앙선(40c)을 기준으로 서로 간에 평행하도록 펼쳐지게 되어 내지(10)의 접어짐과 펼쳐짐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제1측면영역(43)과 제2측면영역(44)은 내지(10)가 오므려진 경우에 제1덮개영역(41) 및 제2덮개영역(42)과 각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내지(10)를 책상과 같은 평탄한 면에 세우는 경우 겉표지(40)의 각이 형성된 접철된 부위에 책자가 세워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책자를 책꽃이에 수납하는 경우에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한편, 제1측면영역(43)과 제2측면영역(44)은 내지(10)를 덥지 않고 내지(10)의 접철되는 부위의 측면에 형성되므로, 이 부위에는 책자의 제목등을 표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즉, 제1측면영역(43)과 제2측면영역(44)은 책자의 제목등을 표기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되므로, 종래의 중철 방식의 책자와는 달리 측면에 제목을 표기할 수 있어 책꽃이등에 보관시 제목을 보고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딩층(50)은 마감지(20)와 겉표지(40)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본딩층(50)은 제1본딩층(51)과 제2본딩층(5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딩층(50)은 내지(10)가 펼쳐지게 되는 경우에 겉표지(40)가 마감지(20)에 부착된 상태에서 겉표지(40)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1본딩층(51)은 제1부착영역(21)과 제1덮개영역(41) 사이에 형성되어 내지(10)가 중앙선(13)을 기준으로 펼쳐지게 되는 경우에 마감지(20)의 제1부착영역(21)이 겉표지(40)의 제1덮개영역(41)과 부착된 상태에서 내지(10)가 펼쳐지도록 한다.
또한, 제2본딩층(52)은 제2부착영역(22)과 제2덮개영역(42) 사이에 형성되어 내지(10)가 중앙선(13)을 기준으로 펼쳐지게 되는 경우에 마감지(20)의 제2부착영역(22)이 겉표지(40)의 제2덮개영역(42)과 부착된 상태에서 내지(10)가 펼쳐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각각의 접철선들(13, 20a, 20b, 20c, 40a, 40b, 40c)은 각각의 구성들이 압력등에 의해 접어짐으로서 누룸자국이 형성되는 선에 해당한다.
한편, 도 7을 살펴보면, 도 7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내지(10)의 좌측내지부(11)와 우측내지부(12)가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접철되며, 겉표지(40)의 제1덮개영역(41)과 제2덮개영역(42)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접철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겉표지(40)는 제1측면영역(43)과 제2측면영역(44)이 제1겉표지접철선(40a)과 제2겉표지접철선(40b) 및, 제1겉표지중앙선(40c)을 기준으로 접철되어 제1덮개영역(41)과 제2덮개영역(42)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스테플러 철심(30)에 의해 내지지(10)와 결합하는 마감지(20)는 겉표지(40)의 제1측면영역(43)과 제2측면영역(44) 사이에 본딩층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좌측내지부(11)와 우측내지부(12)가 서로 대향하도록 반대로 접어지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표지(40)의 제1덮개영역(41)과 제2덮개영역(42)을 서로 간에 맞닿게 접철하여 이용함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책자의 인쇄 내용을 읽거나 필기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전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내지
20 ; 마감지
30 ; 스테플러 철심
40 ; 겉표지
50 ; 본딩층

Claims (4)

  1. 복수 개의 종이장이 적층된 상태에서 중앙을 가로지로는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내지(10);
    상기 내지(10)의 외측표면 가운데 상기 중앙선(13)이 형성되는 부위를 감싸는 마감지(20);
    단부들이 상기 내지(10)의 중앙선(13)과 상기 마감지(20)를 통과하여 절곡되어 상기 내지(10)와 상기 마감지(20)를 결합시키는 스테플러 철심(30); 및,
    상기 마감지(20)의 외측표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지(20)와 함께 상기 내지(10)의 외측표면을 덮는 겉표지(40); 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마감지(20)는 상기 중앙선(13)과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중앙접철선(20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는 제1접철선(20b)이 더 형성되며,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며 상기 중앙선(13)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철선(20b)과 대향하는 부위에 제2접철선(20c)이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감지(20)는 상기 중앙접철선(20a)과 상기 제1접철선(20b) 사이에 형성되는 제1접철영역(23), 상기 중앙접철선(20a)과 상기 제2접철선(20c)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접철영역(24), 상기 제1접철선(20b)을 기준으로 제1접철영역(23)과 이어지는 제1부착영역(21) 및, 상기 제2접철선(20c)을 기준으로 제2접철영역(24)과 이어지는 제2부착영역(22)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부착영역(21)과 상기 겉표지(40)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1본딩층(5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부착영역(22)과 상기 겉표지(40) 사이를 결합시키는 제2본딩층(52)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겉표지(40)는 상기 중앙선(13)과 대응하는 부위에 제1겉표지중앙선(40c)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접철선(20b)과 맞닿는 위치에 제1겉표지접철선(40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중앙선(13)과 이격되며 상기 제2접철선(20c)과 맞닿는 위치에 제2겉표지접철선(40b)이 더 형성되며,
    상기 겉표지(40)는 상기 제1겉표지접철선(40a)과 상기 제1겉표지중앙선(40c) 사이에 제1측면영역(43)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겉표지접철선(40b)과 상기 제1겉표지중앙선(40c) 사이에 제2측면영역(44)이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영역(43)과 상기 제2측면영역(44)은 서로 간에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19545A 2011-03-04 2011-03-04 책자 KR10107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45A KR101075894B1 (ko) 2011-03-04 2011-03-04 책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45A KR101075894B1 (ko) 2011-03-04 2011-03-04 책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894B1 true KR101075894B1 (ko) 2011-10-25

Family

ID=4503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545A KR101075894B1 (ko) 2011-03-04 2011-03-04 책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8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9332A (en) 1977-03-30 1978-10-10 Merrill Arthur A Assembling method and apparatus
US4741655A (en) 1986-11-24 1988-05-03 James Fritz C Pamphlet bind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and attaching to a pamphlet
KR200216818Y1 (ko) 2000-09-05 2001-03-15 김필생 출석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9332A (en) 1977-03-30 1978-10-10 Merrill Arthur A Assembling method and apparatus
US4741655A (en) 1986-11-24 1988-05-03 James Fritz C Pamphlet binder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and attaching to a pamphlet
KR200216818Y1 (ko) 2000-09-05 2001-03-15 김필생 출석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3195B2 (en) Notebook with portfolio cover
CA2541113C (en) Dual notebook
US20120267265A1 (en) Multi-media storage and business card blank
KR101075894B1 (ko) 책자
KR20120004779U (ko) 접착식 메모지를 구비한 수첩
KR101392421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0411690Y1 (ko) 본책과 분리가능한 별책의 제본구조
US20180201041A1 (en) Notebook system capable of replacing stacks of one -side-bound inner paper sheets
KR200484307Y1 (ko) 노트 및 노트의 연결끈 결속방법
JP3144740U (ja) 卓上カレンダー
KR200415835Y1 (ko) 물품 지지구
US20070031182A1 (en) Adhesive bracelets
KR20150118349A (ko) 스탠드 북
JP5622503B2 (ja) 集冊ファイル用別冊、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表紙部及び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綴じ込み方法
JP3243889U (ja) 製本構造
JP3734083B2 (ja) 小冊子付き無線綴じ本
KR101417756B1 (ko) 분리된 용지의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노트
JP5095028B1 (ja) 冊子体
JP3081039U (ja) 折り畳み式絵本及び記録媒体収納ホルダ−付きの折り畳み式絵本
KR200200799Y1 (ko) 앨범대지
KR20100065960A (ko) 책갈피 일체형 책 표지 제조방법
JP3086115U (ja) 無線中綴じ冊子
KR20080088762A (ko) 병풍식 제본 구조
JP6695621B2 (ja) 並製本または上製本
KR100863537B1 (ko) 리플릿 일체형 팸플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