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742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742A
KR20150117742A KR1020140042877A KR20140042877A KR20150117742A KR 20150117742 A KR20150117742 A KR 20150117742A KR 1020140042877 A KR1020140042877 A KR 1020140042877A KR 20140042877 A KR20140042877 A KR 20140042877A KR 20150117742 A KR20150117742 A KR 20150117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rear case
magnetic fiel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일
정영훈
김민현
장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4004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742A/ko
Publication of KR2015011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안테나를 마련하여 부품 최적화 및 집적화를 가능케 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마련된 안착홈을 통해 무선통신 안테나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무선통신 안테나의 자리를 신속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조립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안테나를 마련하여 부품 최적화 및 집적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를 보면서 인터넷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폰 등을 한 예로 들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서 공개특허 제2013-0113222호(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소개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고,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고,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도 3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후면커버(103)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테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외부 장치 및 서버와 무선 통신을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방송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0),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 무선인터넷을 위한 안테나(200),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200)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안테나(200)는 전파의 수신을 위해 넓은 면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전자부품들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표면쪽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이 실장 되지 않아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후면커버(103)에 상기 안테나(200)를 배치한다.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테나(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커버(103)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의 안테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기판(210), 2가지 종류의 패턴, 자성시트(23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패턴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고주파용 패턴(220)과 저주파용 패턴(225)으로 구분된다. 즉,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주파용 패턴(220)은 무선통신에 적합하고, 저주파용 패턴(225)은 주로 배터리의 무선충전에 적합하다.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무선충전기술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다.
전자기 유도는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동 단말기(100)를 놓으면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저주파용 패턴, 즉 무선 충전용 코일(225)에 전류가 흘러 충전이 된다.
전송하는 전력량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소형 가전제품에 이용되는 전력은 수백 ㎑이하로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무선통신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전화통화를 위한 전파의 전송 이외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기능을 위해서도 안테나가 필요하다. 특히 무선통신 기술에 따라 이용하는 주파수는 다르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 충전에 이용되는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를 이용한다.
선행기술문헌의 무선 통신용 안테나(200)가 이용되는 통신 방식의 예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들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약 13.56㎒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모듈이다.
10㎝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100)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처럼 기기간에 설정이 필요 없어 최근 이동 단말기(100)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무선충전을 위해서는 충전장치에 적치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이 잘 이루어지도록 이동 단말기(100)에 넓게 무선 충전용 코일(225)이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경우도 통신을 위해 리더기에 근접시키기 때문에 안테나(225)의 위치에 따라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고주파용 패턴(22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무선충전이나 근거리 무선통신 모두 가까운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원거리 통신을 위한 안테나에 비해 넓은 면적에 고르게 분포하여야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충전용 코일(225)과 무선 통신용 안테나(225)가 같은 위치에 배치되면 서로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외측의 제1 영역과 내측의 제2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1 영역에 고주파용 패턴(220)이 제2 영역에 저주파용 패턴(225)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상기 패턴들은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된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기술문헌과 같은 고주파용 패턴(220)이나 저주파용 패턴(225)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를 더욱 집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3222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99131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안테나를 마련하여 부품 최적화 및 집적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마련된 안착홈을 통해 무선통신 안테나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무선통신 안테나의 자리를 신속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조립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착홈에 접속단자를 노출시키고, 이 착홈의 접속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터미널을 무선통신 안테나에 구비시켜, 상호간의 최근거리 연결로서 접속에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욱 간소화된 조립 나아가 신속한 조립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안테나로서 루프 안테나를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 속에 인서트 사출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를 지닌 탑 바디와, 상기 탑 바디에 조립되면서 수납부를 지닌 리어 케이스와,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보호하면서 상기 리어 케이스에 조립되는 백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마련되어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안테나를 마련하여 부품 최적화 및 집적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에 마련된 안착홈을 통해 무선통신 안테나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무선통신 안테나의 자리를 신속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조립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안착홈에 접속단자를 노출시키고, 이 착홈의 접속단자에 직접 접속되는 터미널을 무선통신 안테나에 구비시켜, 상호간의 최근거리 연결로서 접속에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욱 간소화된 조립 나아가 신속한 조립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루프패턴으로서 WPT용으로 활용되는 저주파용 패턴 나아가 NFC 또는 RFID용으로 사용되는 고주파용 패턴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안테나로서 루프 안테나가 리어 케이스의 리어 여백 속에 인서트 사출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의 리스크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특히 루프 안테나 특유의 무선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테나가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 해당되는 무선통신 안테나, 리어 케이스 및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B선에 해당되는 무선통신 안테나, 리어 케이스 및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로기판(M)에 연동되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11)를 지닌 탑 바디(10)와, 탑 바디(10)에 조립되면서 수납부(21)를 지닌 리어 케이스(20)와, 수납부(21)에 장착되는 배터리(B)를 보호하면서 리어 케이스(20)에 조립되는 백 커버(30)를 포함한다.
탑 바디(10) 및 리어 케이스(20) 사이에는 각종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실현토록 하는 CPU 및 회로기판 등이 내장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구동하면서 윈도우(11)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리어 케이스(20)의 수납부(21) 위의 리어 여백(22)에 마련되어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안테나(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nit; 40)를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리어 케이스(20)는 배터리(B)를 장착시키기 위한 수납부(21; 또는 수납홀)가 존재하여야만 하고, 기타 카메라 모듈이나 미 도시된 홈 키 또는 USIM카드가 장착되는 USIM카드 장착부 등이 배치될 수 있어야만 하는데, 그 중 수납부(21) 위에는 리어 여백(22)이 존재하고, 이 리어 여백(22)에 본 발명의 무선통신 안테나(40)를 마련토록 하여 부품 최적화 및 집적화를 실현토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리어 케이스(20)는 무선통신 안테나(40)를 안착시켜 보호할 수 있도록 수납부(21) 위의 리어 여백(22)에 안착홈(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0)의 리어 여백(22)에 마련된 안착홈(23)을 통해 무선통신 안테나(40)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시 무선통신 안테나(40)의 자리를 신속하게 잡을 수 있게 되어 조립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어 특히 바람직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안착홈(23)에 메인회로기판(M)에 연결되는 접속단자(T)를 노출시키고, 무선통신 안테나(40)는 안착홈(23)의 접속단자(T)에 직접 접속되는 터미널(43)을 구비시켜, 상호간의 최근거리 연결로서 접속에러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욱 간소화된 조립 나아가 신속한 조립을 가능케 한다.
도 7은 도 6의 A-A선에 해당되는 무선통신 안테나, 리어 케이스 및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리어 케이스(20) 및 접속단자(T)가 상호 인서트 사출되도록 하여 접속단자(T)의 견고한 고정은 물론이거니와 생산성 향상 나아가 무선통신 안테나(40)의 터미널(43)과의 접속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무선통신 안테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무선통신 안테나(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41)과, 베이스필름(41)에 패터닝되어 터미널(43)에 연결되며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루프패턴(42)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통신 안테나(40)는 전류를 흘러보낼 경우 루프패턴(42)에 의해 자계를 유도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는 터미널(43) 및 단자를 통해 휴대 단말기의 메인회로기판(M)에 접속되면서 미 도시된 CPU를 통해 태그동작 또는 무선충전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루프패턴(42)은 베이스필름(41)에 패터닝되어 유도자계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주파용 패턴일 수 있고, 이 저주파용 패턴은 WPT(Wireless Power Transmission)용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루프패턴(42)은 베이스필름(41)에 패터닝되어 유도자계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주파용 패턴일 수 있고, 이 고주파용 패턴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용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루프패턴(42)은 크게 2가지 종류로서 고주파용 패턴과 저주파용 패턴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고주파용 패턴은 무선통신에 적합하고, 저주파용 패턴은 주로 배터리(B)의 무선충전(WPT)에 적합하다[기타 루프 안테나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휴대 단말기에 이용되는 무선충전 기술은 전자기 유도원리, 즉 유도자계 원리를 이용한다. 전자기 유도는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휴대 단말기를 놓으면 저주파용 패턴, 즉 WPT용 루프패턴(42)에 전류가 흘러 배터리(B)의 충전을 가능케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송하는 전력량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와 같은 소형 가전제품에 이용되는 전력은 수백 ㎑이하로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나아가, 무선통신은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전화통화를 위한 전파의 전송 이외에 NFC, RFID 등의 기능을 위해 루프패턴(42)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무선통신 기술에 따라 이용하는 주파수는 다를 수 있으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충전에 이용되는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고주파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패턴(42)은 통신방식의 예로 근거리 무선통신(NFC)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은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약 13.56㎒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을 적용할 수 있다.
NFC 또는 RFID는 10㎝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이라 할 수 있으며, 데이터 읽기와 쓰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처럼 기기간에 설정이 필요 없어 최근 휴대 단말기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베이스필름(41)은 폴리이미드필름, PET필름 또는 PVC필름이고, 루프패턴(42)은 베이스필름(41)에 증착된 동박을 에칭으로 패터닝시켜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루프패턴(42)은 베이스필름(41)의 상면, 하면 또는 양면에 마련될 수 있고 비아홀(Via Hall) 등을 통해 상하 패터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선에 해당되는 무선통신 안테나, 리어 케이스 및 메인회로기판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무선통신 안테나(4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케이스(20)의 리어 여백(22) 속에 인서트 마련되면서 메인회로기판(M)에 접속되어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루프 안테나(44)일 수 있다.
무선통신 안테나(40)로서 루프 안테나(44)가 리어 케이스(20)의 리어 여백(22) 속에 인서트 사출될 경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파손의 리스크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루프 안테나(44) 역시 미 도시되었지만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에 패터닝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리어 케이스(20)와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은 동일한 재질, 예를 들면 PI(Polyimide) 합성수지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합성수지를 적용하여 인서터 사출시 상호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루프 안테나(44)는 루프패턴(42)의 사용예처럼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고주파용일 수 있고, 이때 고주파용 루프 안테나(44)는 NFC 또는 RFID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루프 안테나(44)는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저주파용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저주파용 루프 안테나(44)는 WPT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테블릿 PC나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탑 바디 11 : 윈도우
20 : 리어 케이스 21 : 수납부
22 : 리어 여백 23 : 안착홈
T : 접속단자 30 : 백 커버
B : 배터리 40 : 무선통신 안테나
41 : 베이스필름 42 : 루프패턴
43 : 터미널 44 : 루프 안테나
M : 메인회로기판

Claims (14)

  1. 메인회로기판(M)에 연동되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11)를 지닌 탑 바디(10)와, 상기 탑 바디(10)에 조립되면서 수납부(21)를 지닌 리어 케이스(20)와, 상기 수납부(21)에 장착되는 배터리(B)를 보호하면서 상기 리어 케이스(20)에 조립되는 백 커버(30)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20)의 리어 여백(22)에 마련되어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무선통신 안테나(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20)는 상기 무선통신 안테나(40)를 안착시켜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부(21) 위의 리어 여백(22)에 안착홈(2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M)에 접속되어 상기 안착홈(23)에 노출된 접속단자(T)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통신 안테나(40)는 상기 접속단자(T)에 접속되는 터미널(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케이스(20) 및 접속단자(T)는 인서트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안테나(40)는
    플렉시블한 베이스필름(41)과,
    상기 베이스필름(41)에 패터닝되어 상기 터미널(43)에 연결되며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루프패턴(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턴(42)은 상기 베이스필름(41)에 패터닝되어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고주파용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용 패턴은 NFC 또는 RFID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턴(42)은 상기 베이스필름(41)에 패터닝되어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저주파용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용 패턴은 WPT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안테나(40)는 상기 리어 케이스(20)의 리어 여백(22) 속에 인서트 사출되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M)에 접속되어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을 가능케 하는 루프 안테나(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44)는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고주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용 루프 안테나(44)는 NFC 또는 RFID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안테나(44)는 유도자계로서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저주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용 루프 안테나(44)는 WPT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40042877A 2014-04-10 2014-04-10 휴대 단말기 KR20150117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77A KR20150117742A (ko) 2014-04-10 2014-04-10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77A KR20150117742A (ko) 2014-04-10 2014-04-10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742A true KR20150117742A (ko) 2015-10-21

Family

ID=5440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877A KR20150117742A (ko) 2014-04-10 2014-04-10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77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8321B2 (en) 2016-03-21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8321B2 (en) 2016-03-21 2018-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tenna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ccessory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6602B2 (en) Mobile terminal and coil antenna module
KR101574322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다중 안테나
CN107026326B (zh) 移动终端
US9363341B2 (en)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ntenna transmitting and receiv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688139B1 (ko) 이동 단말기
KR101554129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101706628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모듈
KR101649259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20170062283A (ko) 이동 단말기
KR101570425B1 (ko) 이동 단말기의 충전 어셈블리
US9854076B2 (en) Mobile terminal
KR101554133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2013002857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9258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101640023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KR20160125831A (ko) 이동 단말기
KR101728800B1 (ko) 이동 단말기용 안테나
KR101465441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fpcb 세트
KR101785295B1 (ko) 휴대단말기용 루프안테나
KR20150117742A (ko) 휴대 단말기
KR101572022B1 (ko)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KR20190105101A (ko) 이동 단말기
KR101723843B1 (ko) 휴대 단말기
KR20170070875A (ko) 휴대 단말기
KR20170032498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