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875A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875A
KR20170070875A KR1020150177907A KR20150177907A KR20170070875A KR 20170070875 A KR20170070875 A KR 20170070875A KR 1020150177907 A KR1020150177907 A KR 1020150177907A KR 20150177907 A KR20150177907 A KR 20150177907A KR 20170070875 A KR20170070875 A KR 2017007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ntenna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진
신현석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텍
Priority to KR102015017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0875A/ko
Publication of KR2017007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75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inductive coupling
    • H04B5/0081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inductive coupling with antenna coil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10) 및 회로기판(20)을 내장한 테두리 프레임(30)에 백 커버(40)가 결합될 경우 테두리 프레임(30)과 백 커버(40)는 서로 미세한 틈새(T)를 지니게 되는데, 이 틈새(T)를 통해 NFC 안테나(50)의 자기장을 방사토록 하여 리더기(R)의 리딩 안테나(R1)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두리 프레임과 백 커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도록 테두리 프레임의 내주연을 따라 NFC 안테나를 배치시킴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 및 제2전송선로에 접속시켜 루프를 형성토록 하여 슬림화를 실현케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PDA 등이 있고,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배터리의 전원으로 동작된다.
휴대단말기의 선행기술문헌으로서 공개특허 제2013-0113222호(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소개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고,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고,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즉,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도 3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103)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테나(200)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외부 장치 및 서버와 무선 통신을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방송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0)나,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 무선인터넷을 위한 안테나(200),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200)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안테나(200)는 전파의 수신을 위해 넓은 면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전자부품들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표면 쪽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자부품이 실장 되지 않아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후면커버(103)에 안테나(200)를 배치한다.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테나(200)가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커버(103)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선행기술문헌의 안테나(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기판(210), 2가지 종류의 패턴, 자성시트(230)를 주요구성으로 한다.
패턴은 크게 2가지 종류로 고주파용 패턴(220)과 저주파용 패턴(225)으로 구분된다. 즉,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고주파용 패턴(220)은 무선통신에 적합하고, 저주파용 패턴(225)은 주로 배터리의 무선충전에 적합하다.
이동 단말기(100)에 이용되는 무선충전기술은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다.
전자기 유도는 전류를 흘려 자기장을 형성하고, 그 위에 이동 단말기(100)를 놓으면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 저주파용 패턴, 즉 무선 충전용 코일(225)에 전류가 흘러 충전이 된다.
전송하는 전력량에 따라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같은 소형 가전제품에 이용되는 전력은 수백 ㎑이하로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이용한다.
무선통신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전화통화를 위한 전파의 전송 이외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기능을 위해서도 안테나가 필요하다. 특히 무선통신 기술에 따라 이용하는 주파수는 다르며,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 충전에 이용되는 주파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주파를 이용한다.
선행기술문헌의 무선 통신용 안테나(200)가 이용되는 통신 방식의 예로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을 들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약 13.56㎒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모듈이다.
10㎝의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100)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이다. 데이터 읽기와 쓰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처럼 기기간에 설정이 필요 없어 최근 이동 단말기(100)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부가하고 있다.
무선충전을 위해서는 충전장치에 적치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충전이 잘 이루어지도록 이동 단말기(100)에 넓게 무선 충전용 코일(225)이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경우도 통신을 위해 근거리 무선송신기에 근접시키기 때문에 안테나(225)의 위치에 따라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고주파용 패턴(220)이 배치된다.
즉, 무선충전이나 근거리 무선통신 모두 가까운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원거리 통신을 위한 안테나에 비해 넓은 면적에 고르게 분포하여야 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에 배치된다.
무선 충전용 코일(225)과 무선 통신용 안테나(225)가 같은 위치에 배치되면 서로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외측의 제1 영역과 내측의 제2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제1 영역에 고주파용 패턴(220)이 제2 영역에 저주파용 패턴(225)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위치가 바뀔 수도 있다. 상기 패턴들은 넓은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 소용돌이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고주파용 패턴(220) 또는 저주파용 패턴(225)이 부여된 연성기판(210)이 후면커버(103)와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연성기판(210)의 두께인 0.15∼0.35㎜만큼 상대적으로 두께가 증가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113222
본 발명의 목적은 테두리 프레임과 백 커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도록 테두리 프레임의 내주연을 따라 NFC 안테나를 배치시킴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 및 제2전송선로에 접속시켜 루프를 형성토록 하여 슬림화를 실현케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NFC 안테나로서 테두리 프레임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 및 제2전송선로에 접속되는 메탈 링 또는 FPCB로 마련하여 조립성 및 슬림화를 보장케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탈 링의 산화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보관성 및 조립성의 극대화시킬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탈재질의 테두리 프레임을 부분 분절시켜 자기장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여 테두리 프레임에 의한 NFC 안테나의 자기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및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테두리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및 회로기판을 보호하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에 틈새를 두고 결합되는 백 커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 및 제2전송선로에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 및 백 커버 사이의 틈새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NFC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테두리 프레임과 백 커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도록 테두리 프레임의 내주연을 따라 NFC 안테나를 배치시킴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 및 제2전송선로에 접속시켜 루프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배터리 및 백 커버 사이에 개재되던 종래의 NFC 안테나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약 0.15∼0.35㎜ 작게)로 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슬림화를 실현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NFC 안테나로서 테두리 프레임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회로기판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 및 제2전송선로에 접속되는 메탈 링 또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하여 조립성 및 슬림화를 보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탈 링의 산화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보관성 및 조립성의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탈재질의 테두리 프레임을 부분 분절시켜 자기장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여 테두리 프레임에 의한 NFC 안테나의 자기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4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안테나가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에 부착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리더기의 리딩 안테나를 포함한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백 커버를 분리한 사시도.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백 커버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의 리딩 안테나 상호간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 방사 모습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의 리딩 안테나 상호간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의 리딩 안테나 상호간의 전자계 방향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의 리딩 안테나 상호간 3㎝ 이격된 상태에서의 NFC 안테나의 이득곡선(S21)을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리더기(R)의 리딩 안테나(R1)를 포함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백 커버(40)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백 커버(40)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 및 회로기판(20)을 내장하는 테두리 프레임(30)과, 배터리(10) 및 회로기판(20)을 보호하면서 테두리 프레임(30)에 틈새(T)를 두고 결합되는 백 커버(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배터리(10) 및 회로기판(20)을 내장한 테두리 프레임(30)에 백 커버(40)가 결합될 경우 테두리 프레임(30)과 백 커버(40)는 서로 미세한 틈새(T)를 지니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틈새(T)를 통해 NFC 안테나(50)의 자기장을 방사토록 하여 리더기(R)의 리딩 안테나(R1)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NFC 안테나(50)(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는 전자태그를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의 일종으로 약 13.56㎒ 저주파대역을 이용하는 비접촉식 무선통신 모듈이라 할 수 있다.
즉, 약 10㎝의 가까운 거리에서 리더기(R)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기술이라 할 수 있고, 데이터 읽기와 쓰기를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처럼 기기간에 설정이 필요 없어 최근 휴대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부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에서는 NFC 안테나(50)의 구조를 제안한 것으로, 특히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회로기판(20)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21) 및 제2전송선로(22)에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면서 테두리 프레임(30) 및 백 커버(40) 사이의 틈새(T)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NFC 안테나(50)를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테두리 프레임(30)과 백 커버(40) 사이의 틈새(T)를 통해 자기장을 방사할 수 있도록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을 따라 NFC 안테나(50)를 배치시킴과 동시에 회로기판(20)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21) 및 제2전송선로(22)에 접속시켜 루프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배터리(10) 및 백 커버(40) 사이에 개재되던 종래의 NFC 안테나(50)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약 0.15∼0.35㎜ 작게)로 할 수 있어 휴대 단말기의 전체적인 슬림화를 실현케 한다.
이때, NFC 안테나(50)는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회로기판(20)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21) 및 제2전송선로(22)에 접속되는 메탈 링(51) 또는 FPCB(52)(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며, 메탈 링(Metal Ring; 51)일 경우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에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FPCB(52)일 경우 더욱 얇게 조립을 가능케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나아가, 메탈 링(51)은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되는 플라스틱 사출물(51a) 속에 인서트 제작하여 메탈 링(51)의 산화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보관성 및 조립성의 극대화를 도모한다.
한편, 테두리 프레임(30) 및 백 커버(40)는 메탈재질로 이루어지고, 나아가 테두리 프레임(30)은 NFC 안테나(50)를 향하여 분절라인(31)을 가지도록 한다.
메탈재질의 테두리 프레임(30)일 경우 LTE, Wi-Fi, GPS 등의 안테나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러할 경우 NFC 안테나(50)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간 간섭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메탈재질의 테두리 프레임(30)을 부분 분절시켜 자기장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호간의 간섭을 극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R)의 리딩 안테나(R1) 상호간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신호전력 방사 모습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R)의 리딩 안테나(R1) 상호간의 근거리무선통신을 위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R)의 리딩 안테나(R1) 상호간의 전자계 방향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리더기(R)의 리딩 안테나(R1) 상호간 3㎝ 이격된 상태에서의 NFC 안테나(50)의 이득곡선(S21)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도 6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 프레임(30)과 백 커버(40) 사이의 틈새(T)로 NFC 안테나(50)의 자기장이 방사되면서 13.56㎒의 주파수대역에서부터 20㎒에 이르는 대역에서 -36.6023dB 내지 -38.5204dB의 이득이 나타나 양호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실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 테블릿 PC, 노트북, PDA 및 각종 가전제품 등에 쓰여지는 무선통신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R : 리더기 R1 : 리딩 안테나
10 : 배터리 20 : 회로기판
21 : 제1전송선로 22 : 제2전송선로
30 : 테두리 프레임 31 : 분절라인
T : 틈새 40 : 백 커버
50 : NFC 안테나 51 : 메탈 링
51a : 플라스틱 사출물 52 : FPCB

Claims (4)

  1. 배터리(10) 및 회로기판(20)을 내장하는 테두리 프레임(30)과, 상기 배터리(10) 및 회로기판(20)을 보호하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30)에 틈새(T)를 두고 결합되는 백 커버(40)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20)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21) 및 제2전송선로(22)에 접속되어 루프를 형성하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30) 및 백 커버(40) 사이의 틈새(T)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NFC 안테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FC 안테나(50)는 상기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회로기판(20)에 연결된 제1전송선로(21) 및 제2전송선로(22)에 접속되는 메탈 링(51) 또는 FPCB(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링(51)은 상기 테두리 프레임(30)의 내주연을 따라 배치되는 플라스틱 사출물(51a)에 인서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프레임(30) 및 백 커버(40)는 메탈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30)은 상기 NFC 안테나(50)를 향하여 분절라인(3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150177907A 2015-12-14 2015-12-14 휴대 단말기 KR20170070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07A KR20170070875A (ko) 2015-12-14 2015-12-14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907A KR20170070875A (ko) 2015-12-14 2015-12-14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875A true KR20170070875A (ko) 2017-06-23

Family

ID=5928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907A KR20170070875A (ko) 2015-12-14 2015-12-1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0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20A1 (ko) 2017-06-07 2018-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5920A1 (ko) 2017-06-07 2018-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518B1 (ko)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KR101574322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다중 안테나
CN107026326B (zh) 移动终端
KR101554129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101759994B1 (ko) 이동 단말기
KR101863924B1 (ko) 이동 단말기
KR101240273B1 (ko) 이동 단말기
KR101706628B1 (ko) 휴대단말기용 무선 충전모듈
US9294871B2 (en) Electronic mobile device
KR101649259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101554133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US9854076B2 (en) Mobile terminal
KR2013002857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509782A (ja) 移動端末のアンテナ
KR101649258B1 (ko) 무선통신용 플렉시블 회로기판
KR101640023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이중 안테나
KR101728800B1 (ko) 이동 단말기용 안테나
KR101785295B1 (ko) 휴대단말기용 루프안테나
KR20170070875A (ko) 휴대 단말기
KR101465441B1 (ko) 휴대 단말기용 무선통신 fpcb 세트
KR101572022B1 (ko)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휴대 단말기
US20210144240A1 (en) Mobile terminal
CN104538740A (zh) 天线及其电子设备
KR1017238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873406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