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142A -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142A
KR20150117142A KR1020140042545A KR20140042545A KR20150117142A KR 20150117142 A KR20150117142 A KR 20150117142A KR 1020140042545 A KR1020140042545 A KR 1020140042545A KR 20140042545 A KR20140042545 A KR 20140042545A KR 20150117142 A KR20150117142 A KR 20150117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heating wire
water
transfer pipe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0631B1 (ko
Inventor
두 년 김
Original Assignee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063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0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0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전열관에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열선 삽입장치 및 삽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회전을 통한 견인력과 수압을 이용해 전열관에 전열선을 자동 삽입하게 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전열선을 강제 통과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전열선을 전열관 내로 강제 견인시키는 전열선 견인수단; 및 전열관 내로 물을 주입하여 수압을 이용해 전열선을 삽입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INSERTION DEVICE OF ELECTRIC HEAT LINE FOR HEATING PIPE AND METHOD OF INSERTING HEAT LINE}
본 발명은 난방용 전열관에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한 전열선 삽입장치 및 삽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의 회전을 통한 견인력과 수압을 이용해 전열관에 전열선을 자동 삽입하게 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난방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난방용 전열관의 경우 실내의 난방면적에 따라 바닥에 다양한 형태로 배열된다. 난방용 전열관 중에는 전열관 내에 전열선을 내장하여 전열선으로부터 발열되는 열에 의해 난방수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있다.
이러한 전열관의 내부에는 전열선이 내장되고 난방수로 충진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전열선의 발열로서 난방수와 열교환되도록 하여 난방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런 구성을 갖는 난방용 전열관을 이용해 난방을 할 경우 보일러와 난방수 순환펌프의 설치가 필요치 않고, 전열관 전체에서 열이 방출되기 때문에 소음이 없이 간편하게 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열선을 전열관에 삽입하고자 할 때, 가늘고 쉽게 휘어지는 전열선의 특성상 손으로 밀어 넣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전열관의 입구에 전열선을 삽입한 상태에서 전열관으로 고압의 물을 주입하여 전열관에 전열선을 삽입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27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3587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75718호 등에 게시되어 있다.
선행문헌들의 경우 공통적으로 펌프를 이용해 고압의 물을 전열관으로 주입함으로써, 수압을 이용해 전열선을 전열관에 삽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삽입방법의 경우 손으로 전열선을 삽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삽입효율이 우수하다.
그러나 선행문헌들에 따른 전열선 삽입방법에 따르면, 수압만으로 전열선을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전열선에는 수압을 받기 위한 볼형 또는 삿갓형상의 유도기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며, 전열선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유도기가 전열관에 막혀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수압만으로 전열선을 삽입하기 때문에 전열선의 삽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627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358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757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열선을 전열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전열선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열선의 삽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전열선을 강제 통과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전열선을 전열관 내로 강제 견인시키는 전열선 견인수단; 및 전열관 내로 물을 주입하여 수압을 이용해 전열선을 삽입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한다.
롤러의 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가 각각 구비되며, 롤러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는, 일측으로 전열선이 삽입되고 타측으로 전열선이 토출되며, 내부에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롤러 케이스의 타측에는 단부에 전열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펌핑수단을 구성하는 물 주입관이 연결되는 중공의 전열관 연결부가 구비된다.
전열관 연결부 중 전열관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 방지부재가 끼워진다.
전열선 견인수단은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조의 상부에는 전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열관 고정부가 구비된다.
수조의 상부에는 전열관의 타단이 수조 내로 위치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전열관 정렬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은,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해 전열선을 전열관 내로 강제 견인시키면서, 전열관 내로 물을 주입하여 수압에 의해 전열선을 전열관 내로 강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에 따르면, 롤러의 회전에 의한 견인력과 수압을 이용해 전열선을 전열관에 삽입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수압만으로 전열선을 삽입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 삽입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전열선의 단부에 유도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열선이 전열관에 삽입되는 도중에 그 삽입이 막힐 염려가 전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롤러 케이스 내에서 한 쌍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전열선 견인수단 및 펌핑수단에 의해 전열선이 전열관에 삽입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전열관 내로 삽입된 전열선이 탈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은, 본 출원인의 제품인 난방용 전열관 규격 [CY-15A 10, CY-15A 15, CY-15A 20, CY-15A 25, CY-15A 30, CY-15A 35, CY-15A 40, CY-15A 45, CY-15A 50, CY-15A 55, CY-15A 60, CY-15A 65, CY-15A 70, CY-15A 75, CY-15A 80] 품에 적용되는 기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는, 수조(10), 전열선 견인수단(20), 펌핑수단(30), 전열관 고정부(40), 전열관 정렬부(50) 및 플로트 부재(60)를 포함한다.
수조(10)에는 전열선(1) 삽입을 위해 전열관(2)으로 주입되는 물이 채워진다. 수조(10)의 상부에는 전열선 견인수단(20)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제1 설치대(11)와, 전열관 고정부(40)를 설치하기 위한 제2 설치대(12)가 구비된다.
전열선 견인수단(20)은 보빈(70)에 감긴 전열선(1)을 전열관(2) 내로 강제 견인시키는 것으로, 구동모터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해 전열선(1)을 전열관(2) 내로 강제 견인시키게 된다. 전열선 견인수단(20)은, 내부에 한 쌍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 케이스(21), 내부에 구동모터가 설치되는 구동모터 케이스(22), 롤러 케이스(21)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열선(1)이 유입되는 중공의 전열선 유입부(23), 및 롤러 케이스(21)의 타측에 구비되어 롤러를 통과한 전열선(1)이 토출되며 전열관(2)의 일단이 연결되는 중공의 전열관 연결부(24)를 포함한다.
전열관(2)의 일단은 전열관 연결부(24)의 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전열관(2)의 일단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부분에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수 방지부재(80)가 끼워진다. 누수 방지부재(80)는 신축성을 갖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전열관(2) 연결 후 연결부분에 탈거 가능하게 끼워진다.
펌핑수단(30)은 전열관 내로 고압의 물을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조(10)의 물을 펌핑하는 모터펌프(31)와, 모터펌프(31)와 전열관 연결부(24)에 연결되어 고압의 물을 전열관 연결부(24)로 주입하는 물 주입관(32)을 포함한다. 물 주입관(32)에는 물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33)가 구비된다.
전열관 고정부(40)는 제2 설치대(12) 위에 설치되어 전열관(2)의 일단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해준다. 이러한 전열관 고정부(40)는, 전열관(2)의 일단이 안착되는 안착대(41), 및 전열관(2)의 일단을 클램핑하는 클램프(42)를 포함한다. 안착대(41)의 상부에는 전열관(2)이 안착되도록 라운딩된 안착면이 형성되며, 클램프(42)는 제2 설치대(12) 위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클램프(42a), 하부 클램프(42a)의 상면에 고정볼트(42b)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 클램프(42c)를 포함한다. 하부 클램프(42a)의 상면과 상부 클램프(42c)의 저면에는 전열관(2)이 삽입되는 라운딩된 전열관 삽입홈이 각각 형성된다.
전열관 정렬부(50)는 수조(10)의 상부 앞부분에 복수 개가 좌우로 이격 설치되어 전열관(2)의 타단이 수조(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전열관(2)의 타단을 통과시키면서 그 위치를 잡아준다. 이러한 전열관 정렬부(50)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되며 라운딩되게 벤딩 형성되어 그 내부를 관통하는 전열관(2) 타단이 수조(10)의 내부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전열관 정렬부(50)를 통해 전열관(2)의 타단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자연스럽게 수조(10)로 모이게 되며, 수조(10)에 모인 물은 펌핑수단(30)을 통해 전열관(2) 내로 다시 주입된다.
플로트 부재(60)는 수조(1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수조(10) 내로 물이 일정 수위 차게 되면 물에 뜨면서 수조(10)로 물을 채우기 위한 모터펌프의 작동을 자동으로 정지시키는데 관여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롤러 케이스 내에서 한 쌍의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롤러 케이스(21) 내에는 한 쌍의 롤러(25)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두 롤러(25) 사이에는 전열선(1)이 통과될 수 있도록 미세 간극이 형성되며, 두 롤러(25)의 축에는 서로 맞물리면서 두 롤러(25)의 회전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는 기어(26)가 각각 구비된다.
두 롤러(25) 중 상부 롤러(25)의 축은 구동모터 케이스(22)에 내장되는 구동모터(27)의 구동축과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7)가 일방향으로 구동하면 그 구동력이 축과 기어(26)를 통해 두 롤러(25)에 전달되고, 두 롤러(25)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전열선을 강제로 통과시킨다.
구동모터(27)는 정역구동되도록 이루어지며, 구동모터(27)의 구동방향에 따라 두 롤러(25)의 회전방향이 변환된다. 두 롤러(25)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열선(1)이 전열관 내로 강제 견인될 수도 있고, 전열관에 삽입된 전열선(1)이 전열관으로부터 탈거될 수도 있다.
도 4는 전열선 견인수단 및 펌핑수단에 의해 전열선이 전열관 내로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전열관 내로 삽입된 전열선이 탈거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 쌍의 롤러(25) 사이로 전열선(1)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5)를 회전시키면, 보빈에 감긴 전열선(1)은 롤러 케이스(21)의 전열선 유입부(23), 롤러(25) 및 전열관 연결부(24)를 통해 전열관(2) 내로 강제 견인되면서 연속해서 삽입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전열관 연결부(24)를 통해 전열관(2) 내로 고압의 물이 주입되므로, 전열선(1)은 롤러(25)를 통한 견인력과 수압을 더한 힘에 의해 전열관(2) 내로의 삽입이 더욱 촉진된다. 전열선(1)의 단부에는 별도의 유동기를 연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전열선(1)의 삽입이 중간에 정지될 염려가 없다.
한편, 전열관(2)에 삽입된 전열선을 탈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5)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견인력에 의해 전열선(1)은 전열관(2)으로부터 자동으로 탈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열관(2)의 일단이 연결된 부분에는 누수 방지부재(80)가 끼워지기 때문에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 : 전열선 2 : 전열관
10 : 수조 11 : 제1 설치대
12 : 제2 설치대 20 : 전열선 견인수단
21 : 롤러 케이스 22 : 구동모터 케이스
23 : 전열선 유입부 24 : 전열관 연결부
25 : 롤러 26 : 기어
27 : 구동모터 30 : 펌핑수단
31 : 모터펌프 32 : 물 주입관
33 : 밸브 40 : 전열관 고정부
41 : 안착대 42 : 클램프
50 : 전열관 정렬부 60 : 플로트 부재
70 : 보빈 80 : 누수 방지부재

Claims (8)

  1.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사이로 전열선을 강제 통과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여 전열선을 전열관 내로 강제 견인시키는 전열선 견인수단; 및
    전열관 내로 물을 주입하여 수압을 이용해 전열선을 삽입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축에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롤러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일측으로 전열선이 삽입되고 타측으로 전열선이 토출되며, 내부에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케이스의 타측에는 단부에 전열관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펌핑수단을 구성하는 물 주입관이 연결되는 중공의 전열관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 연결부 중 전열관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연결부분에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 방지부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 견인수단은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수조의 상부에는 전열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전열관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전열관의 타단이 수조 내로 위치되도록 위치를 잡아주는 전열관 정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8. 한 쌍의 롤러를 이용해 전열선을 전열관 내로 강제 견인시키면서, 전열관 내로 물을 주입하여 수압에 의해 전열선을 전열관 내로 강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KR1020140042545A 2014-04-09 2014-04-09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KR101630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45A KR101630631B1 (ko) 2014-04-09 2014-04-09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45A KR101630631B1 (ko) 2014-04-09 2014-04-09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42A true KR20150117142A (ko) 2015-10-19
KR101630631B1 KR101630631B1 (ko) 2016-06-15

Family

ID=5439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545A KR101630631B1 (ko) 2014-04-09 2014-04-09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063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723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승합차량의 루프 캐리어 구조
KR100435872B1 (ko) 2003-06-11 2004-06-12 두 년 김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20090008309U (ko) * 2008-02-14 2009-08-19 김용권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20100046578A (ko) * 2008-10-27 2010-05-07 김기환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120118728A (ko) * 2011-04-19 2012-10-29 전태규 난방관 내에 전열선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723A (ko)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승합차량의 루프 캐리어 구조
KR100435872B1 (ko) 2003-06-11 2004-06-12 두 년 김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08309U (ko) * 2008-02-14 2009-08-19 김용권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20100046578A (ko) * 2008-10-27 2010-05-07 김기환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120118728A (ko) * 2011-04-19 2012-10-29 전태규 난방관 내에 전열선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0631B1 (ko)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865B2 (en) Heat recovery system for use with a washing appliance
WO2008008734A3 (en) Water heater with passive automatic hot water circulation through a home or building
US7000626B1 (en) Instantaneous and constant fluid delivery system
KR101630631B1 (ko)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KR100622312B1 (ko) 온수가열수단을 가지는 온수순환펌프 및 상기온수순환펌프를 이용한 온수매트 구조
EP3089771B1 (en) Dialysis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infection operation of the dialysis machine
KR20180122841A (ko) 지열관 연결구
KR101195615B1 (ko)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CN216692298U (zh) 一种单向阀组件及其热水循环系统
KR20140005676A (ko) 온수파이프의 전열선 삽입방법 및 장치
CN104019368A (zh) 一种管线内循环装置
KR100875718B1 (ko)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20130003596A (ko)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CN208952465U (zh) 一种用于地源热泵的水力模块
KR102146970B1 (ko) 예열 기능을 가지는 전기 보일러
KR101061999B1 (ko)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 장치 및 방법
KR200413768Y1 (ko) 온수순환펌프 및 온수매트에 구비된 온수관과온수순환관의 연결부재
KR101244064B1 (ko) 온수매트용 컨트롤러
KR101983583B1 (ko) 피스톤 펌프에 의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
CN220135570U (zh) 一种商用热水供热循环系统
KR200422725Y1 (ko) 온열 매트용 마그네틱 밸브
WO2016144250A1 (en) System for generating fluid circulation in a conduit
CN220060862U (zh) 一种用于水暖床垫主机的自封水进出插接头
KR20150004531A (ko) 열교환기
CN218424593U (zh) 一种多方位的保温管加工用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