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615B1 -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615B1
KR101195615B1 KR1020100111958A KR20100111958A KR101195615B1 KR 101195615 B1 KR101195615 B1 KR 101195615B1 KR 1020100111958 A KR1020100111958 A KR 1020100111958A KR 20100111958 A KR20100111958 A KR 20100111958A KR 101195615 B1 KR101195615 B1 KR 101195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pipe
water
hot water
pressur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619A (ko
Inventor
박성근
Original Assignee
박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근 filed Critical 박성근
Priority to KR102010011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56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4Electric heating systems using electric heating of heat-transfer fluid in separate units of th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난방을 위한 온수관(H)에 전열선(E)을 삽입하기 위한 전열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열선삽입공(110)과 급수공(120)이 형성된 급수탱크(100)와; 상기 급수탱크(100)의 열선삽입공(110)에 수밀결합되고, 전열선(E)이 바르게 펴져 삽입되도록 구비된 전열선 가이드(200)와; 상기 급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입 송출하도록 흡입부와 송출부가 구비된 고압펌프(P)와; 상기 급수공(12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결합되고, 외주연 일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흡입부측과 관연결되며,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되는 제1접속부(310)로 형성된 "ㅓ" 형상의 배출유입관(300)과; 상기 열선삽입공(11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결합되고, 외주연 타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송출부측과 관연결되며, 외주연 일측으로 배수드레인(420)이 형성되고, 온수관(H)의 일단과 체결되는 제2접속부(410)로 형성된 "ㅏ" 형상의 송출유입관(400)과; 상기 급수탱크(100)의 급수공(120)을 통해 물의 유입속도를 제어하고, 유입되는 물을 단속하도록 상기 급수공(120)과 상기 배출유입관(300) 사이에 관연결된 제1단속밸브(V1)와; 상기 고압펌프(P)와 상기 송출유입관(400) 사이에 관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이 온수관(H)의 타단측과 결합된 송출유입관(400)으로 송출제어되도록 단속하는 제2단속밸브(V2)와; 일단이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고압펌프(P)사이에 관연결되고, 타단이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된 배출유입관(300)의 말단 외주연측으로 관연결되어 상기 제2단속밸브(V2)의 단속에 따라 송출되는 물이 상기 배출유입관(300)측으로 송출되도록 관연결된 역류관(500)과; 상기 역류관(500) 일단에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반대로 작동되어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단속밸브(V3)와; 상기 역류관(500) 타단이 관연결된 상기 배출유입관(300)과 상기 제1단속밸브(V1) 사이에 관연결되고,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동시에 동일작동되며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정역흐름을 단속하는 제4단속밸브(V4)와; 상기 전열선가이드(200)를 통해 삽입된 전열선(E)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의 정역 흐름에 따른 수압에 의해 관내에서 정역 이송되는 전열선 인출부재(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Insertion apparatus of heating wire for hot water pipe}
본 발명은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일 브러쉬를 통해 온수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여 깨끗한 상태의 온수관 내부에 전열선을 수압만을 이용하여 빠르고 간편하게 삽입이 가능하여 온수에 의한 난방을 전열선의 교체에 의한 난방으로 변경하여 난방효율을 극대화하고, 온수관의 동파, 부식 등의 손상이 없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비가 절감되고, 에너지 절약을 통해 국가산업발전 및 가정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난방은 일반적으로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시켜 열을 발생하는 보일러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생산하고, 생산된 온수를 온수관을 통해 건물 내로 순환시켜 난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온수관에 온수가 순환되는 방식은 난방을 하고자 하는 건물내 장소까지 도달하기 전에 상당한 열손실이 발생되어 열효율이 높지 못하고, 동절기 난방을 정지시키게 되면 온수관에 온수가 급격히 냉각되어 동파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온수관에 온수에 의해 온수관의 내부에 스케일이 발생되거나 부식 등이 발생되어 사용수명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온수관에 온수순환을 대신하여 전열선에 의한 발열방식을 택함으로써, 열손실이 적어 높은 열효율과 에너지 절약 그리고, 온수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파, 스케일, 부식 등으로 인한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온수관에 전열선을 삽입하는 장치는 단순히 온수관에서 온수를 배수한 후, 전열선을 삽입하는 것으로, 방법은 전열선이 연결된 볼형상의 유도기를 펌프의 펌핑을 통해 온수관의 내부로 이동시켜 온수관에 전열선을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관에 전열선을 삽입하는 것은 볼형상의 유도기가 온수관에서 삽입시, 온수관 내면과 마찰과 곡선상으로 휘어져 설치된 온수관의 곡선부분으로 인해 온수관 중간에서 정지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특히 볼형상의 유도기가 온수관의 외부요인에 의해 찌그러진 부분이나 만곡지게 설치된 부분에서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게 되어 온수관의 중간에서 전열선의 삽입이 중단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시공시간이 증대되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수관의 중간부에서 볼형상 유도기가 정지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면 펌프의 펌핑을 중지하고 일부 삽입된 전열선을 온수관에서 뽑아내어 처음부터 다시 삽입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전열선 삽입장치는 온수관 내부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지 못한 상태에서 진행함에 따라 볼형상 유도기가 관내에서 원할하게 움직이지 못하고, 스케일로 인해 전열선으로 교체한 기대치만큼의 난방효율을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스케일 브러쉬를 통해 온수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고, 전열선을 수압만으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여 전열선에 의한 난방효율을 극대화하고, 동파, 부식 등의 손상이 없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여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시공비가 절감되고, 에너지 절약을 통해 국가산업발전 및 가정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는 난방을 위한 온수관(H)에 전열선(E)을 삽입하기 위한 전열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열선삽입공(110)과 급수공(120)이 형성된 급수탱크(100)와; 상기 급수탱크(100)의 열선삽입공(110)에 수밀결합되고, 전열선(E)이 바르게 펴져 삽입되도록 구비된 전열선 가이드(200)와; 상기 급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입 송출하도록 흡입부와 송출부가 구비된 고압펌프(P)와; 상기 급수공(12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결합되고, 외주연 일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흡입부측과 관연결되며,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되는 제1접속부(310)로 형성된 "ㅓ" 형상의 배출유입관(300)과; 상기 열선삽입공(11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결합되고, 외주연 타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송출부측과 관연결되며, 외주연 일측으로 배수드레인(420)이 형성되고, 온수관(H)의 일단과 체결되는 제2접속부(410)로 형성된 "ㅏ" 형상의 송출유입관(400)과; 상기 급수탱크(100)의 급수공(120)을 통해 물의 유입속도를 제어하고, 유입되는 물을 단속하도록 상기 급수공(120)과 상기 배출유입관(300) 사이에 관연결된 제1단속밸브(V1)와; 상기 고압펌프(P)와 상기 송출유입관(400) 사이에 관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이 온수관(H)의 타단측과 결합된 송출유입관(400)으로 송출제어되도록 단속하는 제2단속밸브(V2)와; 일단이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고압펌프(P)사이에 관연결되고, 타단이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된 배출유입관(300)의 말단 외주연측으로 관연결되어 상기 제2단속밸브(V2)의 단속에 따라 송출되는 물이 상기 배출유입관(300)측으로 송출되도록 관연결된 역류관(500)과; 상기 역류관(500) 일단에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반대로 작동되어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단속밸브(V3)와; 상기 역류관(500) 타단이 관연결된 상기 배출유입관(300)과 상기 제1단속밸브(V1) 사이에 관연결되고,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동시에 동일작동되며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정역흐름을 단속하는 제4단속밸브(V4)와; 상기 전열선가이드(200)를 통해 삽입된 전열선(E)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의 정역 흐름에 따른 수압에 의해 관내에서 정역 이송되는 전열선 인출부재(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 가이드(200)는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전열선헤드(202)와; 타단으로 상기 전열선 헤드(202)와 동일축선상 직하로 연장형성된 전열선 가이드샤프트(204)와; 상기 전열선 헤드(202) 외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샤프트(204) 축선상 일단으로 관통형성되고, 삽입되는 전열선(E)을 곧게 펼쳐지도록 형성된 전열선 안내공(206);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열선 인출부재(600)는 내부가 중공형성된 "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압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관내이송되도록 상측 일단에 형성된 수압수용부(602)와; 상기 수압수용부(602) 타단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관내이송시, 물속 부력과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된 안내고정헤드부(604)와; 수압에 의해 전열선 인출부재가 관내이송시, 함께 관내이송되도록 전열선(E) 일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마련된 걸이줄(606)과;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 내에 결합되고, 외측에서 가압하여 맞물리도록 구비하여 상기 걸이줄(606) 일단이 고정결합되는 쐐기형 압착판(60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케일 브러쉬를 통해 온수관 내부의 스케일을 제거하고, 전열선을 수압만으로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여 전열선에 의한 난방효율을 극대화하고, 동파, 부식 등의 손상이 없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여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시공비가 절감되고, 에너지 절약을 통해 국가산업발전 및 가정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설치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인출부재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삽입시의 요부 확대 측면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삽입시 물의 정역흐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체 설치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인출부재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삽입시의 요부 확대 측면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의 전열선 삽입시 물의 정역 흐름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는 종래 물을 가열하여 가열된 온수를 온수관(H)으로 순환하여 순환되는 온수를 통해 열교환이 발생되고 이를 통해 난방하는 기존 난방방식에 따른 열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열손실을 현저히 낮춤으로써,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며, 온수의 사용에 따른 기존 난방방식으로 인한 부식 및 관내 스케일, 파손 등에 따른 수명의 단축을 없애도록 전열선(E)을 온수관(H)에 대체 삽입하여 반영구적 사용 및 유지보수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난방방식으로 교체하기 용이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탱크(100), 전열선 가이드(200), 배출유입관(300), 송출유입관(400), 역류관(500), 전열선 인출부재(600), 제1,2,3,4 단속밸브(V1,V2,V3,V4)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탱크(100)는 온수관(H) 내로 요구되는 수압을 발생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하고 공급하는 것으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사각의 함체 바닥면에 열선삽입공(110)과 급수공(120)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선삽입공(110)은 후술되는 전열선 가이드(200)가 수밀되도록 나사결합되고, 상기 급수공(120)은 온수관(H) 내로 일정 수압에 도달하도록 상기 급수탱크(100) 내에 수용된 물이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열선 가이드(200)는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술한 상기 급수탱크(100)의 열선삽입공(110)에 수밀결합되고, 온수관(H) 내로 전열선(E)을 삽입시, 전열선이 구부러져 온수관(H) 내주연에 간섭됨을 최소화하도록 전열선(E)이 바르게 펴져 삽입되도록 구비됨과 함께 전열선 삽입에 따른 관내 수압저하를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선 가이드(200)는 전열선헤드(202), 전열선 가이드샤프트(204), 전열선 안내공(206)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열선 헤드(202)는 상기 열선삽입공(110)에 수밀되어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 헤드(202)는 후술되는 고압펌프(P)에 의해 관내 높은 수압이 생성되면 온수관 전열삽입장치 관내 전체의 수압이 전열선 삽입에 따라 손실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온수관(H) 내에 일정수압으로 물이 순환되도록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전열선 가이드 샤프트(204)는 상기 전열선 가이드(200) 타단으로 형성되며, 구부러진 전열신이 펼쳐지는 최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열선 헤드(202)와 동일축선상 직하로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 가이드샤프트(204)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후술되는 전열선 안내공(206)이 짧게 형성되어 구부러진 전열선(E)이 올바르게 펴지지 못한 상태로 온수관(H) 내로 이송되어 온수관 내주연에 간섭을 일으키게 되고, 이로 인해 원활한 전열선 삽입공정 수행에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상기 전열선 안내공(206)은 구부러진 전열선이 곧게 펴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열선 헤드(202) 외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샤프트(204) 축선상 일단으로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 안내공(206)은 전열선의 굵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열선의 굵기에 대응되어야만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수압 저하를 최대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압펌프(P)는 전술한 급수공(120)을 통해 물을 유입하여 고압으로 송출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배출유입관(300)과 송출유입관(400) 사이에 위치되어 배출유입관(300)과 송출유입관(400)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물이 고압으로 순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압펌프(P)는 통상적인 구성으로 급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입 송출하도록 흡입부와 송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유입관(300)은 "ㅓ"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입관(300)의 상단은 상기 급수공(12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관결합된다. 그리고, 외주연 일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흡입부측과 관연결된다. 또한, 하단은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되는 제1접속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송출유입관(400)은 "ㅏ"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상기 배출유입관(300)과 마주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송출유입관(400)의 상단은 상기 열선삽입공(11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관결합된다. 그리고, 외주연 타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송출부측과 관연결된다. 또한, 외주연 일측으로 배수드레인(420)이 형성되고, 하단은 온수관(H)의 일단과 체결되는 제2접속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속밸브(V1)는 상기 급수탱크(100)의 급수공(120)을 통해 물의 유입속도를 제어하고, 유입되는 물을 단속하도록 상기 급수공(120)과 상기 배출유입관(300) 사이에 관연결된다.
상기 제2단속밸브(V2)는 상기 고압펌프(P)와 상기 송출유입관(400) 사이에 관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이 온수관(H)의 타단측과 결합된 송출유입관(400)으로 송출제어되도록 단속하도록 관연결된다.
상기 역류관(500)은 전열선(E)을 온수관(H)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온수관(H) 내에 전열선(E)이 걸리게 되면 온수관(H) 내의 정순환되는 물의 흐름을 반대로 역순환되도록 하여 온수관(H) 내에 걸리게 된 전열선(E)을 걸림해제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단이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고압펌프(P)사이에 관연결되고, 타단이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된 배출유입관(300)의 말단 외주연측으로 관연결되어 상기 제2단속밸브(V2)의 단속에 따라 송출되는 물이 상기 배출유입관(300)측으로 송출되도록 관연결된다.
상기 제3단속밸브(V3)는 상기 역류관(500) 일단에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반대로 작동되어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관연결된다.
상기 제4단속밸브(V4)는 상기 역류관(500) 타단이 관연결된 상기 배출유입관(300)과 상기 제1단속밸브(V1) 사이에 관연결되고,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동시에 동일작동되며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정역 흐름을 단속하도록 관연결된다.
상기 전열선 인출부재(600)는 전열선(E)이 온수관(H) 내로 수압을 고르게 받아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내부가 중공형성된 "ㅜ"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전열선가이드(200)를 통해 삽입된 전열선(E)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의 정역 흐름에 따른 수압에 의해 관내에서 정역 이송되다. 여기서, 상기 전열선 인출부재(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압수용부(602), 안내고정헤드부(604), 걸이줄(606), 쐐기형 압착판(608)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압수용부(602)는 상기 고압펌프(P)에 의해 고압으로 송출되는 물의 수압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온수관(H)의 관내에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온수관(H) 내경과 대응되는 반구형상의 접시형태로 상측 일단에 형성된다. 즉, 접시형태로 형성된 것을 관내에서 발생되는 수압을 최대로 전달받아 가장 빠르 시간에 관내 이송되어 전열선(E)이 온수관(H) 내에 삽입되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는 전술한 상기 수압수용부(602) 타단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된 것으로, 온수관(H)의 관내이송시, 관내에 가득 찬 물속 부력과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는 도면에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수압수용부(602) 보다 직경이 축소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원뿔형, 반구형 등 물속 부력과 저항을 최소화하는 구조적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줄(606)은 전열선(E)을 걸어 이송되는 전열선 인출부재(600)와 동일하게 관내 이송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수압에 의해 전열선 인출부재가 관내이송시, 함께 관내이송되도록 전열선(E) 일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마련된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줄(606)은 낚시줄과 같은 인장력이 우수하고, 내화확성, 내구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쐐기형 압착판(608)은 상기 걸이줄(606)을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 내에서 고정하도록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 내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쐐기형 압착판(608)은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 내부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 외측에서 가압하면 상기 쐐기형 압착판(608)이 찌그러져 형태변경이 됨과 함께 맞물리도록 형성하고. 이를 통해 쐐기형 압착판(608)에 걸이줄(606)이 눌려고정됨에 따라 상기 걸이줄(606) 일단이 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보 발명의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E)을 온수관(H) 내에 삽입하기 위해 먼저 전열선 가이드(200)의 전열선 안내공(206)에 전열선(E)을 끼움결합하여 밀어 넣는다. 이후, 전열선 안내공(206)을 통해 노출된 전열선(E)의 일단을 상기 전열선 인출부재(600)의 걸이줄(606)에 걸이고정한 후, 급수탱크(100)의 열선삽입공(110)을 통해 전열선(E)이 결합된 전열선 인출부재(600)를 송출유입관(400) 관내로 밀어넣는다
다음으로, 전열선 가이드(200)의 전열선 가이드 샤프트(204)가 송출유입관(400)의 관내로 삽입됨과 함께 전열선 헤드(202)가 열선삽입공(110)에 수밀되도록 나사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급수탱크(100)에 물을 채운다. 이후, 제1단속밸브(V1)를 조금씩 개방하면서 유속을 조절하고, 고압펌프(P)를 작동하여 급수탱크(100)의 물이 제1단속밸브(V1)을 통해 고압펌프(P)의 흡입부로 흡입된다. 이후, 고압펌프(P)에 의해 흡입된 물은 송출부를 통해 상기 송출유입관(400)으로 높은 수압을 가지면서 송출된다. 이때, 제2단속밸브(V2)는 개방되고, 제3단속밸브(V3)는 폐쇄된다. 그리고, 제4단속밸브(V4)는 개방된다.
다음으로, 최초 급수탱크(100)로부터 물이 공급순환되어 온수관(H)과 송출유입관(400) 및 배출유입관(300)의 관내에 물이 높은 압력의 수압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차게 되면 제1단속밸브(V1)는 폐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속밸브의 개방과 폐쇄를 통해 고압펌프(P)로부터 발생되는 높은 수압으로 온수관(H) 내에서 물을 정순환하게 되면 전열선 가이드(200)를 통해 삽입되는 전열선(E)이 관내이송하게 된다. 이때, 전열선(E)의 관내이송은 전열선 인출부재(600)의 수압수용부(602)에 관내 수압이 직접적으로 전달방아 이송함에 따라 걸이줄(606)에 걸림고정된 전열선(E)이 관내에서 함께 이송하게 되고, 이를 통해 송출유입관(400)에서 배출유입관(300)측으로 전열선 인출부재(600)가 이송되면 전열선(E)도 함께 이송되어 온수관(H)에 전열선(E)이 완전히 삽입이 완료됨으로써, 온수관 전열선 삽입장치와 온수관(H)을 분리한다. 이때 배출유입관(300)의 제1접속부(310)와 송출유입관(400)의 제2접속부(410)의 해제를 통해 온수관(H)이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선 인출부재(600)가 온수관(H) 내에서 이송시, 관내 걸림현상이 발생되면 제2단속밸브(V2)를 폐쇄하고, 제3단속밸브(V3)를 개방하며, 제 4단속밸브(V4)를 폐쇄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밸브의 단속에 의해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은 역류관(500)을 통해 배출유입관(300)의 제1접속부(310)를 통하여 온수관(H)으로 역순환이 된다.
이러한 역순환으로 인해 온수관(H) 내에 걸림된 전열선 인출부재(600)는 최초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수압을 인가받게 되어 걸림된 온수관(H)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다시 제2단속밸브(V2)를 개방하고, 제3단속밸브(V3)를 폐쇄하며, 제4단속밸브(V4)를 개방하여 정순환함으로써, 이와 같은 밸브의 개방 및 폐쇄의 반복작동을 통해 원활하게 온수관(H) 내에 전열선(E)을 빠르게 삽입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즉, 이와 같이 전열선 삽입 시공이 밸브의 조작에 따라 간편하고 빠르게 이루어짐에 따라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이로 인해 시공비가 절감되며, 빠르고 정확한 전열선 시공을 통해 원하는 난방효과를 최대로 얻을 수 있어 소비자에게 높은 만족감과 기존 온수관(H)을 해체하지 않고 시공이 가능하여 폐기물 발생없이 반영구적으로 난방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급수탱크 110 : 열선삽입공
120 : 급수공 200 : 전열선 가이드
202 : 전열선 헤드 204 : 전열선 가이드 샤프트
206 : 전열선 안내공 300 : 배출유입관
310 : 제1접속부 400 : 송출유입관
410 : 제2접속부 420 : 배수드레인
500 : 역류관 600 : 전열선 인출부재
602 : 수압수용부 604 : 안내고정헤드부
606 : 걸이줄 608 : 쐐기형 압착판
H : 온수관 E : 전열선
P : 고압펌프 V1 : 제1단속밸브
V2 : 제2단속밸브 V3 : 제3단속밸브
V4 : 제4단속밸브

Claims (3)

  1. 난방을 위한 온수관(H)에 전열선(E)을 삽입하기 위한 전열선 삽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열선삽입공(110)과 급수공(120)이 형성된 급수탱크(100)와;
    상기 급수탱크(100)의 열선삽입공(110)에 수밀결합되고, 전열선(E)이 바르게 펴져 삽입되도록 구비된 전열선 가이드(200)와;
    상기 급수탱크(100)로부터 유입된 물을 흡입 송출하도록 흡입부와 송출부가 구비된 고압펌프(P)와;
    상기 급수공(12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결합되고, 외주연 일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흡입부측과 관연결되며,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되는 제1접속부(310)로 형성된 "ㅓ" 형상의 배출유입관(300)과;
    상기 열선삽입공(110)과 동일축선상 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관결합되고, 외주연 타측으로 상기 고압펌프(P)의 송출부측과 관연결되며, 외주연 일측으로 배수드레인(420)이 형성되고, 온수관(H)의 일단과 체결되는 제2접속부(410)로 형성된 "ㅏ" 형상의 송출유입관(400)과;
    상기 급수탱크(100)의 급수공(120)을 통해 물의 유입속도를 제어하고, 유입되는 물을 단속하도록 상기 급수공(120)과 상기 배출유입관(300) 사이에 관연결된 제1단속밸브(V1)와;
    상기 고압펌프(P)와 상기 송출유입관(400) 사이에 관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이 온수관(H)의 타단측과 결합된 송출유입관(400)으로 송출제어되도록 단속하는 제2단속밸브(V2)와;
    일단이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고압펌프(P)사이에 관연결되고, 타단이 온수관(H)의 타단과 체결된 배출유입관(300)의 말단 외주연측으로 관연결되어 상기 제2단속밸브(V2)의 단속에 따라 송출되는 물이 상기 배출유입관(300)측으로 송출되도록 관연결된 역류관(500)과;
    상기 역류관(500) 일단에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반대로 작동되어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제3단속밸브(V3)와;
    상기 역류관(500) 타단이 관연결된 상기 배출유입관(300)과 상기 제1단속밸브(V1) 사이에 관연결되고, 상기 제2단속밸브(V2)와 동시에 동일작동되며 상기 고압펌프(P)로부터 송출되는 물의 정역흐름을 단속하는 제4단속밸브(V4)와;
    상기 전열선가이드(200)를 통해 삽입된 전열선(E)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고압펌프(P)의 정역 흐름에 따른 수압에 의해 관내에서 정역 이송되는 전열선 인출부재(6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 가이드(200)는 "T"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전열선헤드(202)와;
    타단으로 상기 전열선 헤드(202)와 동일축선상 직하로 연장형성된 전열선 가이드샤프트(204)와;
    상기 전열선 헤드(202) 외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샤프트(204) 축선상 일단으로 관통형성되고, 삽입되는 전열선(E)을 곧게 펼쳐지도록 형성된 전열선 안내공(206);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 인출부재(600)는 내부가 중공형성된 "ㅜ"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압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관내이송되도록 상측 일단에 형성된 수압수용부(602)와;
    상기 수압수용부(602) 타단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관내이송시, 물속 부력과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된 안내고정헤드부(604)와;
    수압에 의해 전열선 인출부재가 관내이송시, 함께 관내이송되도록 전열선(E) 일단이 걸려 고정되도록 마련된 걸이줄(606)과;
    상기 안내고정헤드부(604) 내에 결합되고, 외측에서 가압하여 맞물리도록 구비하여 상기 걸이줄(606) 일단이 고정결합되는 쐐기형 압착판(60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1020100111958A 2010-11-11 2010-11-11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101195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58A KR101195615B1 (ko) 2010-11-11 2010-11-11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958A KR101195615B1 (ko) 2010-11-11 2010-11-11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19A KR20120050619A (ko) 2012-05-21
KR101195615B1 true KR101195615B1 (ko) 2012-10-29

Family

ID=4626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958A KR101195615B1 (ko) 2010-11-11 2010-11-11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026B1 (ko) * 2014-10-29 2016-11-23 주식회사 햇빛난방 열선 삽입 장치
KR101652201B1 (ko) * 2015-06-30 2016-08-30 김상철 난방배관 내부에 히팅케이블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72B1 (ko) 2003-06-11 2004-06-12 두 년 김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KR200423119Y1 (ko) 2006-03-08 2006-08-03 임희섭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872B1 (ko) 2003-06-11 2004-06-12 두 년 김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KR200423119Y1 (ko) 2006-03-08 2006-08-03 임희섭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619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615B1 (ko)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101165284B1 (ko) 절수형 순환 배관시스템
CN212298575U (zh) 一种给水管道防冻系统
JP6128674B2 (ja) ブロー排水の熱交換装置
CN104067066B (zh) 锅炉附着型热水箱
CN211228840U (zh) 一种热力井自动排水系统
CN215166105U (zh) 一种便于安装维护的循环供水系统
KR100875718B1 (ko)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CN113216330A (zh) 一种便于安装维护的循环供水系统
CN102989216A (zh) 智能自洁除污器
KR20110057820A (ko) 히터파이프의 열선삽입장치
CN210688763U (zh) 一种pp-r热水安全循环系统
CN211474531U (zh) 一种引风机油站用冷却水装置
EP2239524A2 (en) Heat Exchanger
CN216744560U (zh) 一种及热及冷管网优化装置
CN208551322U (zh) 排水组件及冷罐
CN111486502B (zh) 一种供水系统及其控制方法
CN219103211U (zh) 一种新风空调的加湿装置
CN220135570U (zh) 一种商用热水供热循环系统
KR20130003596A (ko) 자동 실링 결합형 온수 난방 단위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온수 난방 시스템
KR101630631B1 (ko)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CN201729986U (zh) 一种加热管道防堵装置
CN207501128U (zh) 一种锅炉间歇补水控制系统
CN202834490U (zh) 水空调热交换器进出水管的连接结构
EP3298332A1 (en) System for generating fluid circulation in a cond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