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5872B1 -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5872B1
KR100435872B1 KR1020030037661A KR20030037661A KR100435872B1 KR 100435872 B1 KR100435872 B1 KR 100435872B1 KR 1020030037661 A KR1020030037661 A KR 1020030037661A KR 20030037661 A KR20030037661 A KR 20030037661A KR 100435872 B1 KR100435872 B1 KR 100435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pipe
induction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 년 김
Original Assignee
두 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488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358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두 년 김 filed Critical 두 년 김
Priority to KR1020030037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872B1/ko
Priority to JP2004173838A priority patent/JP3957706B2/ja
Priority to CNB200710147803XA priority patent/CN100549554C/zh
Priority to CNB2004100465908A priority patent/CN100373096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872B1/ko
Priority to US10/866,192 priority patent/US6879780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것으로 난방영역의 바닥에 지그재그로 배치된 온수관의 일단부에 유도관을 통하여 펌프의 토출관에 관접하고 유도관의 측방에 20∼30도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유도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피복 전열선이 연결된 볼형 유도기를 온수관의 내부 단면공간을 유효하게 차폐유지할 수 있게 삽입한 다음 펌프에 의하여 생성된 10∼20㎏/㎠정도의 수압을 온수관의 축심방향으로 가하여 수압에 의하여 볼형 유도기가 온수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하여 피복 전열선을 장척의 온수관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방법과 그 장치이다.

Description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INSERTION METHOD AND THE DEVICE OF THE ELECTRIC HEAT LINE CLOTHING FOR THE HOT WATER PIPE}
본 발명은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 난방용 온수관은 길이가 길고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어서,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관에 공급하여 난방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시공상의 애로가 없으나 보일러 없이 온수관내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여 전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온수관 내에서 열매체를 가열하여 난방하는 경우에는 피복 전열선을 온수관에 삽입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수단이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의 한 예를 들면, 본 출원인 등록을 받은 실용신안등록 제148379호의 난방용 온수관에 피복 동선의 삽입장치는 온수관에 직결된 어댑터에서 피복 동선을 삽입공급하고 어뎁터의 측방에서 펌프에 의하여 물을 공급하여 물의 수압에 의하여 피복 동선이 연결된 유도판이 온수관 내부를 이동하여 피복 동선을 삽입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복수개의 깔대기형 유도판을 사용하여 수압에 의하여 유도판이 이동되면서 피복 동선을 끌게 되어 있으나 깔대기형 유도판은 향하는 방향에 따라 온수관의 내부 단면공간에 대한 차폐기능이 미비하여 수압이 유도판의 주위로 세고 수압의 이용율이 높지 못할 뿐 아니라, 유도판 자체가 온수관의 만곡부를 원활하게 선회하지 못하고 걸리어 온수관의 중간에서 피복 동선의 삽입이 중단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온수관의 중간부에서 유도기가 정지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면 수압공급을 중지하고 일부 삽입된 피복 동선을 온수관에서 뽑아내어 처음부터 다시 삽입시도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여러 선행기술에서 공통된 해결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영역의 바닥에 지그재그로 배치된 온수관의 일단부에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을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관을 관접하고 유도관의 측방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유도공을 통하여 삽입되는 피복 전열선이 연결된 볼형의 유도기를 온수관의 내부 공간 단면이 유효하게 차폐유지되게 삽입히여 펌프의 수압에 의하여 볼형 유도기가 온수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하여 장척의 온수관 내부에 피복 전열선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난방영역의 바닥에 지그재그로 배치된 온수관의 일단부에 관접되어 펌프에 의해 발생된 수압을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 온수관에 삽입할 피복 전열선을 경사방향에서 삽입할 수 있는 유도공이 천공된 유도관과, 온수관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합성수지제의 볼형으로 형성되어 온수관 내부의 단면 공간을 유효하게 차폐할 수 있게 되고 피복 전열선이 연결되는 유도기를, 일조로 구성하여,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을 유도기를 통하여 온수관의 축심의 길이방향으로 유도되게 하는 동시 가압되는 수압에 의하여 볼형 유도기가 온수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되면서 피복 전열선을 온수관에 삽입하게 된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난방영역의 바닥에 지그재그로 만곡되게 배치된 공지의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는 수단에 있어서, 온수관의 일단부에는 유도관을 통하여 펌프의 토출관에 연관하여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이 온수관의 축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작용되게 한다. 또 온수관의 타단부는 펌프의 흡입관이 연결된 수조에 유도하여 펌프에 의한 수압이 온수관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미치도록 하고 온수관의 타단부로 유출된 액체는 외부로 흐르지 않고 단정하게 수조에 담기도록한다.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액체는 처음부터 온수관내에서 발열할 수 있는 발열매체로 하며, 그 종류는 물을 비롯하여 부동성 액체, 인체에 무해성 액체등 공지한 열매체에 적합한 액체가 사용된다. 수조로 부터 온수관으로 펌프에 의하여 소정의 액압을 공급하는 것은 온수관 내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한 유도기를 이동하기 위한 것이며 피복 전열선이 삽입된 후에는 온수관에 차인 액체는 가열매체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이 유도관의 상단부에서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되게 온수관의 축심을 향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유체의 이동에너지가 피복 전열선을 견인하는 유도기의 이동에 유효하게 이용되므로 종래와 같은 높은 수압을 요하지 않으며 수압은 10∼20㎏/㎠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보다 높은 수압으로 펌프를 가동할 수 있으나 전열선의 삽입에 필요한 이상으로 수압을 높이는 것은 에너지의 과잉소모로서 그 만큼 시공비용이 증대될 뿐이다.
온수관에는 온수관의 내경과 같은 지름을 가진 합서수지제 볼형 유도기를 삽입하고 상기 유도기에는 상기 유도관의 측면에 형성된 유도공으로 삽입된 피복 전열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볼형 유도기는 유도기가 어느방향을 향하든지 항상 온수관의 내부 단면공간을 유효하게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펌프의 수압에 의하여 유도기는, 온수관의 굴곡된 만곡부를 용이하게 통과하여 온수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면서 피복 전열선을 끌어 당기어 온수관 내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열선은 볼형 유도기의 이동에 따라 지그재그로 만곡된 온수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하여 삽입된다.
온수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측으로 유도기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온수관내의 공기는 대부분 외부로 배출되지만 전열선이 온수관의 양단부로 관통되게 삽입된 후에도 여분으로 펌프를 가동하여 온수관내에 공기를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펌프의 토출관에 관접된 유도관에 의하여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을 온수관의 일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게 온수관의 축심방향에서 수압을 공급하는 점과, 수압이 작용하는 측방향에서 유도관의 유도공을 통하여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는 점이 종래의 방법과 다르다.
또 피복 전열선을 끌어 당기는 유도기는 온수관의 내부 단면공간을 유효하게 차폐유지되는 볼형으로 되어 있어서, 온수관에 공급하는 수압의 손실이 거의 없이 수압을 효휼적으로 이용하여 볼형 유도기가 특히 온수관의 굴곡된 만곡부에서도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통과하여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장척의 온수관 내부에 난방용 피복 전열선을 보다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삽입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을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관이 온수관의 일단부와 펌프의 토출관 사이에 관접되고 또 유도관의 측면에 전열선이 겨우 통과할 정도의 크기의 유도공이 10∼30도의 경사각도로 천공되어 피복 전열선을 유도관의 측방에서 경사방향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또 전열선을 온수관 내부에 끌어당기는 유도기는 온수관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합성수지제의 볼형으로 형성되어 유도기가 어느방향을 향하든지 항상 온수관의 내부 단면공간을 유효하게 차폐유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유도기는 온수관의 축심으로 작용하는 수압을 받아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온수관의 굴곡된 만곡부에서 볼형 유도기의 방향의 변화에 상관 없이 수압이 유도기의 주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유도기는 온수관의 만곡부를 용이하게 이동하여 전열선을 견인하여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피복 전열선이 유도관의 측방에서 삽입되는 각도는 한정된 것은 아니며 유도관에 대하여 벌어진 각도가 작을수록 견인저항이 작게 된다. 또 피복 전열선이 삽입될 때 유도관의 외부에서 피복 전열선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밀어준다.
본 발명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또 기능이 양호하여 종래의 피복 동선의 삽입장치에 비하여 보다 경제적이면서 능률적으로 장척의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복 전열선이라 함은 일반 크롬강의 전열선과 달리, 피복 동선으로서 60∼80℃정도로 발열되는 특수 전열선이며, 온수관내에서 온수관에 채워진 액체를 전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가열하여 난방하는 공지한 피복 전열선이다.
본 발명에서는 온수관의 일단부는 펌프의 토출관에 유도관을 통하여 연관되고 온수관의 타단부는 펌프의 흡입관이 설치된 수조에 유도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에 시공된 온수관내에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하여 펌프를 가동하여도 액체가 수조의 외부로 누설되는 일이 없고 단정한 환경에서 용이하게 피복 전열선을 온수관에 삽입하여 난방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는 실시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는 장치의 단면에시도
도3은 볼형유도기에 피복 전열선이 연결된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온수관 2 : 유도관 3 : 펌프 4 : 수조 5 : 유도기 6 : 피복 전열선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난방영역의 바닥에 시공된 온수관(1)의 일단부(1a)는 유도관(2)을 통하여 펌프(3)의 토출관(3a)에 관접하고 상기 온수관(1)의 타단부(1b)는 상기 펌프(3)의 흡입관(3b)이 설치된 수조(4)에 유도하여 펌프(3)에 의한 수압이 온수관(1)의 일단부(1a)에서 타단부(1b)의 축심방향으로 미치도록 한다. 온수관(1)의 내부에는 온수관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합성수지제의 볼형 유도기(5)를 삽입하고 온수관에 삽입할 복수개의 피복 전열선(6)은 상기 유도관(2)의 측면에 소정의 경사각도로 천공된 유도공(2h)을 통하여 삽입하여 상기 유도기(5)의 심선(5a)에 연결한다. 상기 유도기(5)는 온수관(1)의 내부 공간단면을 유효하게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펌프를 가동하여 소정의 수압을 작용하면 그 수압에 의하여 유도기(5)는 온수관(1)의 일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타단부로 빠져 나온다.
이때의 수압은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10∼20㎏/㎠정도이면 충분하고 상기 유도기(5)가 온수관(1)의 타단부로 빠져 나오기 까지 펌프(3)를 가동하면 되기 때문온수관의 길에 따라 펌프의 수압을 가변할 필요는 없다. 즉, 최소한의 수압으로 유도기를 이동시키어 피복 전열선(6)을 온수관(1)의 내부에 관통되게 삽입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피복 전열선의 삽입각도는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유도관에 대하여 10∼30도정도가 바람직하다.
온수관(1)으로 피복 전열선(6)이 관통된 후에도 어느정도 여분으로 펌프(3)를 가동시키어 온수관(1)내의 공기를 모두 제거한다. 그 후 온수관(1)의 양단부를밀봉하고 전열선(6)을 전원 공급부에 연결하는 공정은 종래와 같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온수관(1)의 일단부(1a)와 펌프(3)의 토출관(3a) 사이에 관접하는 유도관(2), 상기 유도관(2)의 일측면에는 복수가닥의 피복 전열선(6)이 겨우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소정의 경사각도, 바람직하기는 유도관(2)에 대하여 10∼30도의 경사각도를 두고 천공된 유도공(2h)이 천공되어 있다. 또 상기 온수관(1)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합성수지제 예컨데 실리콘수지나 발포성 강화수지등으로 형성된 볼형의 유도기(5), 상기 유도기(5)의 중앙부를 관통한 심선(5a)에는 상기 유도관(2)의 유도공(2h)으로 삽입공급되는 전열선(6)이 연결되어 있다. 피복 전열선(6)이 연결된 유도기(2)를 온수관(1)에 삽입한 다음 유도관(2)의 하단부(2a)를 온수관(1)의 일단부(1a)에 적합한 관접수단(C)으로 관접시키고 유도관(2)의 상단부(2b)는 적합한 관접수단(C')을 통하여 상기 펌프(3)의 토출관(3a)에 관접하여 사용한다.
유도관(2)에 관접된 펌프(3)의 가동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은 유도관(2)을 통하여 온수관(1)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며 이 수압에 의하여 유도기(5)는 온수관(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관통하면서 피복 전열선(6)을 견인하여 삽입한다.
유도기(5)가 볼형으로 되어 온수관(1)의 내부 단면공간을 항상 유효하게 차페하고 있기 때문에 수압의 손실이 없어 유체에너지의 이용율이 높게 되어 수압이 별로 높지 않어도 유도기의 이동이 가능하다. 또 유도기는 볼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도기가 어느 방향으로 향하든지, 또 수압이 유도기의 어느면에 작용하든지 유도기는 수압에 의하여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특히 유도기의 곡면과 온수관의 굴록된 곡면의 유도에 의하여 온수관의 만곡부를 용이하게 관통하여 온수관의 중간에서 정지되는 일이 전혀 없다. 또 유도관(2)의 외부에서는 피복 전열선이 유도관(2)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밀어 넣어주면, 유도기는 더욱 용이하게 온수관의 내부롤 관통하여 피복 전열선을 온수관 내부에 삽입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의 개소가 거의 없으며, 사용하는데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으므로 인력이 부족한 때에 누구라도 사용하여 난방시공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이 유도관에 의하여 온수관의 축심방향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급된 수압이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작용되는 동시 온수관의 내부 단면공간을 항상 유효하게 밀페유지하는 유도기가 펌프에 의하여 공급되는 수압에 의하여 온수관을 용이하게 관통하여 난방영역의 바닥에 에 배치된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보다 능률적으로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온수관의 양단부가 수조에 연관되어 있어서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기 위한 펌프의 가동시 유체가 수조 외부로 누츨되는 일이 없어, 보다 단정한 환경에서 안전하게 난방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을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관의 측면에 전열선을 삽입하는 유도공이 소정의 경사방향으로 천공되고 온수관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볼형의 유도기를 일조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조가간단하고 저렴하며, 펌프의 수압만 걸면 유도기가 온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작동이 확실하며, 인력이 부족한 때에 특별한 기술이 없는자라도 용이하게 사용하여 장척의 온수관 내부에 피복 전열선을 신속하게 삽입하여 난방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종래 온수관내에 전열선을 매입하여 난방하게 되어 이 기술분야에서 해결할 관제로 된 전열선이 온수관의 중간에서 삽입정지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되어 보다 편리하게 단번에 전열선을 온수관에 삽입하여 난방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난방영역의 바닥에 시공된 온수관(1)의 일단부(1a)는, 유도관(2)을 통하여 펌프(3)의 토출관(3a)에 관접하고 상기 온수관(1)의 타단부(1b)는 상기 펌프(3)의 흡입관(3b)이 설치된 수조(4)에 유도하며, 상기 유도관(2)의 측면에 형성된 유도공(2h)을 통하여 삽입되는 복수개의 피복 전열선(6)이 연결된 볼형 유도기(5)를 온수관(1)의 내부 단면공간이 항상 차폐가능하게 삽입하여, 펌프에 의하여 발생된 수압에 의하여 유도기(5)가 온수관(1)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전열선(6)을 끌어 당기어 관통되게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2. 온수관(1)의 일단부(1a)와 펌프(3)의 토출관(3a)에 관접하는 유도관(2)의 일측면에 한가닥 또는 복수가닥의 전열선(6)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유도공(2h)을 유도관(2)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로 천공하고 상기 전열선(6)을 끌어 당기는 유도기(5)는 상기 온수관(1)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볼형으로 형성하여 유도기의 중앙부를 관통한 심선(5a)에 상기 피복 전열선을 연결하여, 유도관(2)으로 유도된 펌프의 수압에 의하여 유도기(5)가 피복 전열선을 끌고 온수관(1)을 관통하여 피복 전열선을 삽입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온수관(1)에 관접된 유도관(2)에 가하는 펌프의 수압은 10∼20㎏/㎠인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유도관(2)의 측면에 천공된 전선이 삽입되는 안내공(2h)의 경사각도는 10∼30도인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장치.
KR1020030037661A 2003-06-11 2003-06-11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KR100435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61A KR100435872B1 (ko) 2003-06-11 2003-06-11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JP2004173838A JP3957706B2 (ja) 2003-06-11 2004-06-11 放熱管への電熱線挿入方法とその装置、及びその端部の密閉装置
CNB200710147803XA CN100549554C (zh) 2003-06-11 2004-06-11 密封设备
CNB2004100465908A CN100373096C (zh) 2003-06-11 2004-06-11 将涂覆电加热线插入热水管中的方法和装置
US10/866,192 US6879780B2 (en) 2003-06-11 2004-06-14 Method and device of inserting a coated electric heating wire into a hot water tube and a sealing apparatus for the open en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661A KR100435872B1 (ko) 2003-06-11 2003-06-11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5872B1 true KR100435872B1 (ko) 2004-06-12

Family

ID=37348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661A KR100435872B1 (ko) 2003-06-11 2003-06-11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35872B1 (ko)
CN (1) CN100549554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22B1 (ko) 2004-08-24 2007-03-02 장찬식 난방 파이프용 발열전선 삽입장치
KR100706819B1 (ko) 2006-02-28 2007-04-13 박철우 관 내 와이어 삽입 장치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101195615B1 (ko) 2010-11-11 2012-10-29 박성근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20150117142A (ko) 2014-04-09 2015-10-19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22B1 (ko) 2004-08-24 2007-03-02 장찬식 난방 파이프용 발열전선 삽입장치
KR100706819B1 (ko) 2006-02-28 2007-04-13 박철우 관 내 와이어 삽입 장치
KR100875718B1 (ko) 2008-07-01 2008-12-26 이춘서 펌프를 이용한 온수관 발열선 삽입장치
KR101195615B1 (ko) 2010-11-11 2012-10-29 박성근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장치
KR20150117142A (ko) 2014-04-09 2015-10-19 천열에너지 주식회사 난방용 전열관 전열선 자동삽입 장치 및 전열선 자동삽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13843A (zh) 2008-01-30
CN100549554C (zh)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4343B (zh) 一种体腔封堵装置
KR100435872B1 (ko) 온수관에 피복 전열선의 삽입방법 및 그 장치
US2010010831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situ extraction of a hydrocarbon-containing substance, while reducing the viscosity thereof, from an underground deposit
US6530439B2 (en) Flexible hose with thrusters for horizontal well drilling
CN106223916A (zh) 电阻丝式煤层加热装置
AU2001251251A1 (en) Flexible hose with thrusters for horizontal well drilling
CN207612012U (zh) 波纹管穿线工具
AU594185B2 (en) Downhole electric heating generator for producing steam or hot water
US6879780B2 (en) Method and device of inserting a coated electric heating wire into a hot water tube and a sealing apparatus for the open end(s) thereof
KR100805702B1 (ko) 온수관의 전열선 및 압력조절볼 삽입장치 및 그 삽입방법
CN107210555A (zh) 引线连接器及包括其的电磁阀
KR101179053B1 (ko) 무동력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KR890701336A (ko) 내장용 경질 플라스틱관의 관로내 삽입공법
ATE306731T1 (de) Verfahren zum installieren eines hoch- oder mittelleistungskabels im boden
CN206310146U (zh) 输液管道集肤电伴热装置
KR200148379Y1 (ko) 난방용 온수관에 피복동선의 삽입장치
JPS57187557A (en) Apparatus for heat exchange of water with ground utilizing double pipe
CN211964723U (zh) 一种用于长管内部的喷涂设备
KR20220038598A (ko) 액체유도 코튼 무화유닛
KR101061999B1 (ko) 온수관의 전열선 삽입 장치 및 방법
CA2099584A1 (en) Lining of pipelines or passageways
CN209115061U (zh) 一种井用排污装置
CN112484509A (zh) 一种便于维护的高效节能电感加热炉组件
EP1369519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continuous wet treatment of yarns, particularly for their mercerization under tension
CN206191881U (zh) 一种超导即热式电磁加热组件及其热水器、液体加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023

Effective date: 200804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0519

Effective date: 2009020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225

Effective date: 20090514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624

Effective date: 2011090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11006

Effective date: 2012020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