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138A -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138A
KR20150117138A KR1020140042537A KR20140042537A KR20150117138A KR 20150117138 A KR20150117138 A KR 20150117138A KR 1020140042537 A KR1020140042537 A KR 1020140042537A KR 20140042537 A KR20140042537 A KR 20140042537A KR 20150117138 A KR20150117138 A KR 20150117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option
adapt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용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7138A/ko
Priority to US14/474,577 priority patent/US9405265B2/en
Priority to EP15153362.7A priority patent/EP2940533B1/en
Publication of KR2015011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7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receiving image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26Multi-job machi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장착부재와,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탑재하고 상기 장착부재의 수용 공간에 착탈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option kit adaptor andf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화상형성장치에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옵션 키트를 탑재하는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프린터,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옵션 키트를 장착함으로써 추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팩스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팩스 키트(fax kit)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 본체를 부분적으로 분해하고, 옵션 키트를 장착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와 옵션 키트와 화상형성장치의 주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구조를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직접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의 내부 구조물들을 파손시키거나 또는 기구적, 전기적 연결구조를 잘못 장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기구적 구조와 옵션 키트와 화상형성장치의 주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적 연결구조를 구비하는 장착부재가 미리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옵션 키트를 장착부재에 장착함으로써 추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추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다수의 장착부재가 마련되어야 한다. 즉, 추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옵션 키트들은 그 기구적 구조와 전기적 연결구조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다수의 장착부재가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옵션 키트의 종류에 따라서 적합한 장착부재를 찾아서 장착하여야 한다.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옵션 키트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간단한 장착 구조를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장착부재;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탑재하고 상기 장착부재의 수용 공간에 착탈되는 어댑터;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유닛; 상기 어댑터가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때에 상기 둘 이상의 옵션 키트와 상기 주제어유닛을 연결하는 옵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둘 이상의 옵션 키트와 각각 연결되는 둘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에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장착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장착구에는 제거 가능한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장착구를 막는 고정 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외부로 연결하는 연결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어댑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옵션 키트는, 팩스 카드, 와이파이 카드,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옵션 키트 어댑터는,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장착구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옵션 키트 어댑터로서,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함께 제1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함께 제2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제2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3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장착구를 막는 고정 브라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옵션 키트 어댑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제2옵션 키트의 접지를 위한 접지 브라켓;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장착부재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하나의 어댑터에 장착하고 이 어댑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함으로써,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간단한 장착 구조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옵션 키트 장착을 위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소형화된 화상형성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의 후측에서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착구와 커버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장착구를 통하여 어댑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어댑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어댑터가 장착되는 장착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두 개의 옵션 키트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유닛(2)을 구비한다. 인쇄유닛(2)은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전자사진방식 등 다양한 인쇄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인쇄유닛(1)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인쇄유닛(2)은 복수의 현상기(10)와 현상제가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를 구비한다. 복수의 현상기(10)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는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1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에 수용된 현상제를 복수의 현상제 공급로(15)를 통하여 복수의 현상기(20)로 각각 공급된다.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와 복수의 현상기(1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칼라 인쇄를 위하여, 복수의 현상기(10)는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을 현상하기 위한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C)(20M)(20Y)(20K)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현상제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수용부(20) 및 현상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와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재(20C)(20M)(20Y)(20K)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를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현상기(10)는 감광체(1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감광체(11)는 표면에 감광층이 형성된 원통형이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전롤러(12)는 감광체(11)가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킨다. 대전롤러(12)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13)는 현상기(10)내의 현상제를 감광체(11)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2)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클리너, 후술하는 중간전사과정 후에 감광체(11)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규제부재(108)는 현상롤러(13)에 의하여 감광체(11)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기(10) 내에는 자성 캐리어가 수용되어 있고, 현상롤러(13)는 감광체(11)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13)는 자기롤러일 수 있으며, 현상 슬리브 내에 자기롤러가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현상제 수용부(20)로부터 현상기(10)로 공급된 현상제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체(11)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13)와 감광체(11)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현상제만이 감광체(11)로 공급되어 감광체(1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롤러(13)는 감광체(11)와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감광체(11)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기(10)는 현상제 수용부(20)로부터 공급된 현상제를 현상기(10) 내의 캐리어와 혼합, 교반하여, 이들을 현상롤러(102)로 운반하는 교반/운반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 현상기(10)는 현상제 수용부(20)로부터 유입된 현상제를 교반하여, 현상롤러(12)로 운반하는 운반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현상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방식에 대하여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광주사유닛(40)은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후술하는 감광체(11)에 조사하여 감광체(1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광주사장치 등이 있다.
중간전사벨트(30)는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1) 상에 현상된 화상이 일시적으로 전사되는 것이다. 중간전사벨트(3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1)와 대면되는 위치에 복수의 중간전사롤러(50)가 배치된다. 복수의 중간전사롤러(50)에는 감광체(11)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30)로 중간전사시키기 위한 중간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중간전사롤러(40)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60)는 중간전사벨트(30)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60)에는 중간전사벨트(30)에 전사된 화상을 용지(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광체(11) 상에 현상된 화상을 중간전사벨트(30)로 중간전사하고 그 후에 중간전사벨트(30)와 전사롤러(60)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로 전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록매체(P)가 중간전사벨트(30)와 감광체(11) 사이를 직접 통과하여 기록매체(P)로 직접 현상된 화상을 전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전사롤러(60)은 채용되지 않는다.
정착기(80)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용지(P)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광주사유닛(40)은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복수의 광을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1)로 주사하여 감광체(11)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복수의 현상제 수용부(20C)(20M)(20Y)(20K)로부터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로 공급된 C, M, Y, K 현상제에 의하여 복수의 현상기(10C)(10M)(10Y)(10K)의 감광체(11)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화상으로 현상된다. 현상된 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30)로 순차로 중간전사된다. 급지수단(70)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60)와 중간전사벨트(30)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60)에 인가되는 전사바이어스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30) 위에 중간전사된 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부(93)로 배출된다, 양면인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선택기(90)는 정착기(80)를 통과하여 일면에 화상이 인쇄된 기록매체(P)를 양면인쇄경로(92)로 안내한다. 이에 의하여 기록매체(P)는 다시 중간전사벨트(30)와 전사롤러(60) 사이로 공급되며, 기록매체(P)의 배면에 다른 화상이 전사된다. 다시 정착기(80)를 통과한 기록매체(P)는 선택기(90)에 의하여 배출부(93)로 배출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스캐너 유닛(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스캐너 유닛(3)은 원고이송유닛(3-1)과 독취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독취유닛(3-2)에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부재(320)가 마련된다. 독취부재(320)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의 화상을 읽어들인다. 독취부재(320)로서 예를 들어 CIS(contact type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캐너 유닛(3)은 플랫베드 방식 및 원고이송방식이 복합된 복합 방식의 스캐너 장치이다. 독취유닛(3-2)에는 플랫베드 방식으로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하여 원고가 놓여지는 플라텐 글래스(330)가 마련된다. 또한, 독취유닛(3-2)에는 원고이송방식으로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창(340)이 마련된다. 독취창(340)은 예를 들어 투명 부재일 수 있다.
원고이송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320)는 독취창(340)의 아래에 위치된다.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독취부재(320)는 도시되지 않은 이동수단에 의하여 플라텐 글래스(330)의 아래에서 부주사 방향(S), 즉 원고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플랫베드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에 플라텐 글래스(330) 위에 원고를 올려놓기 위하여 플라텐 글래스(330)를 외부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원고이송유닛(3-1)은 독취유닛(3-2)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원고이송유닛(3-1)은 독취부재(320)가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을 수 있도록 원고를 이송시키고,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한다. 이를 위하여, 원고이송유닛(3-1)에는 원고이송경로가 마련되며, 독취 부재(320)는 이송되는 원고로부터 화상을 읽어들인다. 원고이송경로는 예를 들어, 공급 경로(351), 독취 경로(352), 및 배출 경로(353)를 포함할 수 있다. 독취 경로(352)에서는 독취부재(320)가 배치되며, 독취 경로(352)를 통과하는 동안에 원고에 기록된 화상이 독취부재(320)에 의하여 독취된다. 공급 경로(351)는 독취 경로(352)로 원고를 공급하기 위한 경로로서, 공급 트레이(361)에 적재된 원고는 공급 경로(351)를 통하여 독취 경로(352)로 공급된다. 배출 경로(353)는 독취 경로(352)를 통과한 원고를 배출하기 위한 경로이다. 따라서, 공급 트레이(361)에 적재된 원고는 공급 경로(351), 독취 경로(352), 및 배출 경로(353)를 따라 이송되며, 배출 트레이(362)로 배출된다.
공급 트레이(361)에 적재된 원고는 ADF(automatic document feed)부(310)에 의하여 한 장씩 분리되어 공급 경로(351)로 공급된다. ADF부(310)는 예를 들어, 서로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제2ADF롤러(31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ADF롤러(311)는 원고를 공급 경로(351)로 이송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ADF롤러(312)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제2ADF롤러(311)(312)는 그 사이로 두 장 이상의 원고가 공급된 경우, 마찰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한 장의 원고만을 분리하여 공급 경로(351)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 경로(351)에는 원고를 이송시키는 공급 롤러(313)(314)가 배치될 수 있다. 독취 경로(352)에는 독취 부재(320)와 대향되어 원고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315)가 배치될 수 있다. 배출 경로(353)에는 독취가 완료된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롤러(316)가 배치된다. 양면 독취를 위하여, 일면의 독취가 완료된 원고는 재공급 경로(354)를 통하여 독취 경로(353)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재공급 경로(354)에는 재공급 롤러(317)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급 롤러(313)(314), 배출롤러(316), 재공급 롤러(317) 각각은 서로 맞물려 회전되면서 원고를 이송시키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롤러 중 하나는 구동 롤러이며, 나머지 하나는 구동 롤러에 가압되어 종동회전되는 종동 롤러이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고 이송 경로에는 원고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의 후측에서 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주제어유닛(210)을 구비한다. 주제어유닛(210)은 인쇄과정과 화상 독취과정 등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 주제어유닛(210)은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주제어유닛(210)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나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회로 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주제어유닛(21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주제어유닛(210)의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나 회로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 기능을 구비하며, 추가적으로 스캐너 기능을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1)에는 옵션 키트가 장착됨으로써 기능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에는 하나 이상의 회선을 사용하는 팩스 기능, 무선 통신에 의하여 외부 기기 또는 외부 호스트와 연결되는 와이파이 통신 기능, 유선 통신에 의하여 외부 기기 또는 외부 호스트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통신 기능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화상형성장치(1)에는 하나 이상의 옵션 키트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옵션 키트를 구입하여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에 따르면, 두 가지 이상의 옵션 키트(도 5: 510, 520)가 하나의 장착구조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둘 이상의 옵션 키트(도 5: 510, 520)가 장착되는 어댑터(400)와, 어댑터(400)가 장착되는 장착부재(230)와, 옵션 키트(도 5: 510, 520)와 주제어유닛(210)과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위한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를 구비한다.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1)에는 어댑터(40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102)가 마련된다. 커버(110)는 장착구(102)를 막는다. 커버(110)는 어댑터(400)를 장착하기 위하여 제거될 수 있다. 도 3은 장착구(102)와 커버(110)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장착구(102)를 통하여 어댑터(4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0)는 다수의 연결돌기(112)에 의하여 장착구(102)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장착구(102)를 막는다. 이 경우, 커버(110)는 하우징(101)과 일체로 형성된다. 어댑터(400)를 장착하기 전에 연결돌기(112)를 절단함으로써 커버(110)를 제거하고, 장착구(102)를 개방할 수 있다. 하우징(101)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사출형성에 의하여 제조되므로, 도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커버(110)에 힘을 가함으로써 커버(110)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거 가능한 커버(110)는 일 예일 뿐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커버(110)는 나사 체결방식 또는 스냅핏 결합방식에 의하여 하우징(101)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110)가 제거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102)가 개방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102)를 통하여 어댑터(400)를 화상형성장치(1) 내부로 밀어넣어 어댑터(40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450)에 마련된 고정구(452)를 통하여 체결부재, 예를 들어 나사(S)를 체결함으로써 어댑터(400)는 화상형성장치(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어댑터(4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어댑터(400)에는 두 개의 옵션 키트(510)(520)가 장착될 수 있다. 어댑터(400)는 제1부재(410)와, 제1부재(410)의 일측(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부재(410)의 아래쪽)에 위치되어 제1부재(410)와 함께 제1옵션키트(510)가 수용되는 제1수용공간(401)을 형성하는 제2부재(420)을 구비한다. 또한, 어댑터(400)는 제1부재(410)의 타측(예를 들어 도 5에서 제1부재(410)의 위쪽)에 위치되어 제1부재(410)와 함께 제2옵션키트(520)가 수용되는 제2수용공간(402)을 형성하는 제3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400)는 제1, 제2옵션 키트(510)(520)의 접지를 위한 접지 브라켓(44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어댑터(400)는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때에 장착구(102)를 막는 고정 브라켓(4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450)은 예를 들어 제2부재(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부재(4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브라켓(450)에는 제1, 제2옵션키트(510)(520)와 외부(예를 들어 국선라인, 네트워크 통신 라인 등)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45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제2부재(410)(420) 사이에 제1옵션키트(510)를 배치하고, 제1, 제3부재(410)(430) 사이에 제2옵션키트(520)를 배치하고, 접지 브라켓(440)을 각각 제1, 제2옵션키트(510)(520)의 회로 패턴의 접지부와 접촉되도록 배치한 후에,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S1)와 스크류(S2)를 체결함으로써, 제1, 제2, 제3부재(410)(420)(430)를 서로 결합하는 동시에 제1, 제2옵션키트(510)(520)를 어댑터(400)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도 6은 어댑터(400)가 장착되는 장착부재(23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장착부재(230)는 어댑터(40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231)과, 화상형성장치(1)에 고정되는 고정 후크(2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에는 주제어유닛(210)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240)이 마련되고, 고정 후크(232)는 주제어유닛(210)을 관통하여 지지 브라켓(240)에 고정될 수 있다.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는 장착부재(230)의 수용 공간(231)에 위치된다.
장착부재(230)는 어댑터(400)가 장착될 때에 어댑터(400)를 장착 방향(A)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지지하여 수용 공간(231)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댑터(400)에는 장착방향(A)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460)이 마련되고, 가이드부(233)는 장착방향(A)으로 연장되어 가이드 레일(460)을 지지하는 홈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부(233)는 예를 들어, 장착부재(230)의 양측벽(234)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고,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제2돌기(233-1)(23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60)의 일면(461)은 제1돌기(233-1)에 지지되고, 타면(462)은 제2돌기(233-2)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는 옵션 키트에 마련된 커넥터(511)(521)와의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223)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는 둘 이상의 옵션 키트(510)(520)를 주제어유닛(210)과 연결한다. 일 예로서, 연결부(223)는 제1, 제2연결부(221)(222)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221)는 제1옵션키트(510)의 커넥터(511)와 연결되며, 제2연결부(222)는 제2옵션키트(520)의 커넥터(521)와 연결된다. 제1, 제2연결부(221)(222)는 커넥터(511)(5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이면 되며, 제1, 제2연결부(221)(222)의 구조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제1, 제2연결부(221)(222)는 커넥터(511)(512)와 자웅 결합방식에 의하여 연결된다.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는 주제어유닛(210)을 구성하는 회로 보드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는 주제어유닛(210)과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고, 신호선에 의하여 주제어유닛(210)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는 제1, 제2연결부(221)(222)를 구비하는 회로 보드의 형태로서, 주제어유닛(2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제2옵션 키트(510)(52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어댑터(400)를 준비한다. 어댑터(400)는 가조립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어댑터(400)는 분해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옵션키트(510)(520)를 각각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부재(410)(420)와 제1, 제3부재(410)(430) 사이에 삽입하고, 나사(S1)(S2)를 체결하여 어댑터(40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400)는 제1, 제2옵션 키트(510)(520)가 장착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장착구(102)를 개방한다. 장착구(102)의 개방은 연결돌기(112)를 절단하거나 또는 나사를 제거하거나 또는 스냅핏 연결구조를 해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장착구(102)를 통하여 어댑터(400)를 화상형성장치(1) 내부로 삽입한다. 어댑터(400)의 가이드 레일(460)은 장착부재(230)의 가이드부(233)에 의하여 지지된다. 어댑터(400)가 장착부재(230)에 삽입되면, 제1, 제2옵션키트(510)(520)의 커넥터(511)(521)가 옵션 인터페이스부(220)의 제1, 제2연결부(221)(222)에 각각 연결된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나사(S) 등을 이용하여 어댑터(400)를 화상형성장치(1)에 고정하면, 어댑터(40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한 종류의 가이드부(233)를 구비하는 장착부재(230)와 두 개의 연결부(221)(222)를 구비하는 옵션 인터페이스부(220)를 화상형성장치(1)에 마련함으로써, 두 개의 옵션 키트(510)(520)를 구비하는 어댑터(40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할 수 있다.
종래에는 두 개의 옵션 키트(510)(520) 각각이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장착구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에 옵션 키트(510)(520) 각각을 장착하기 위한 두 개의 장착구와, 두 개의 장착구 각각을 막는 두 개의 커버, 및 옵션 키트(510)(520) 각각에 대응되는 두 개의 장착부재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옵션 키트(510)(520)의 외형 치수가 다를 경우 두 개의 장착부재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의 구조 또한 달라야 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의 부품 수가 늘어나서 부품 비용과 제조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부품 수를 줄이기 위하여 장착부재가 화상형성장치(1)와 별도로 옵션 키트(510)(520)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에는 옵션 키트(510)(520)를 장착하기 전에 화상형성장치(1)를 부분적으로 분해하고, 두 개의 장착 부재를 먼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하여야 한다. 따라서, 옵션 키트(510)(520)의 장착 과정이 복잡하고, 분해, 조립 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 부품이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에 따르면, 두 개의 옵션 키트(510)(520)를 장착한 어댑터(400)를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를 분해할 필요가 없어 화상형성장치(1)에 둘 이상의 부가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옵션 키트(510)(520)의 장착 작업이 매우 간단하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에는 어댑터(400)를 장착할 수 있는 하나의 장착부재(230)만을 배치하면 되며, 장착부재(230)에는 한 종류의 가이드부(233)만을 마련하면 되므로, 화상형성장치(1)의 부품 수 증가를 최소화하고 옵션 키트 장착을 위한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 공간을 최적화하면서, 둘 이상의 부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1)가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두 개의 옵션 키트(510)(520)가 장착된 화상형성장치(1)의 일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옵션 키트(510)는 싱글 팩스 카드이며, 제2옵션 키트(520)는 듀얼 팩스 카드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두 개의 국선 라인(국선1, 국선2)을 사용하는 팩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주제어유닛(210)은 프로세서(211), 메모리(213),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1)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전기회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11)는 예를 들어 메모리(213)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호스트(4)로부터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구동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미도시),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출력장치(미도시) 등과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4)는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하고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출력 신호를 출력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제2옵션 키트(510)(520)가 탑재된 어댑터(4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면, 제1, 제2옵션 키트(510)(520)는 옵션 인터페이스부(220)의 제1, 제2연결부(221)(222)에 각각 연결되어, 주제어유닛(21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주제어유닛(210)은 장착 감지부(215)를 통하여 제1, 제2옵션 키트(510)(520)의 장착 신호를 수신하며, 장착 신호가 수신되면 주제어유닛(210)은 두 개의 국선 라인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인식한다.
주제어유닛(210)은 호스트(4)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정보를 수신하고, 기록매체(P)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인쇄유닛(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제어유닛(210)은 스캐너유닛(3)을 이용하여 원고로부터 읽어들인 화상정보를 읽어들이고, 독취된 화상정보를 기록매체(P)에 인쇄하도록 인쇄유닛(2)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제어유닛(210)은 독취된 화상정보를 국선1 및/또는 국선2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제1옵션 키트(510) 및/또는 제2옵션 키트(5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주제어유닛(210)은 국선1 및/또는 국선2를 통하여 화상정보를 수신하도록 제1옵션 키트(510) 및/또는 제2옵션 키트(520)를 제어하고, 수신된 화상정보를 기록매체(P)에 인쇄하도록 인쇄유닛(2)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옵션 키트(510)(520)가 각각 싱글 팩스 카드와 듀얼 팩스 카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제2옵션 키트(510)(520)는 싱글 팩스 카드, 와이파이 카드, 및 네트워크 카드의 조합일 수도 있다.
와이파이 카드를 장착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공유기, 즉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파이 카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1)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복합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기들 중의 어느 하나가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수행하고, 나머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기들은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테이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프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 없이도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기들 간의 무선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기들 간의 무선 네트워크가 형성되면, 와이파이 기기와 같은 레거시 무선랜 기기들은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수행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기를 액세스 포인트로 인식하고 이에 무선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카드를 장착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는 인프라 네트워크에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는 네트워크 프린터, 네트워크 스캐너 등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옵션 키트(510)(520)를 구비하는 어댑터(400)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어댑터(400)는 세 개 이상의 옵션 키트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옵션 인터페이스부(220)에는 세 개 이상의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화상형성장치 2...인쇄유닛
3...스캐너 유닛 4...호스트
101...하우징 102...장착구
110...커버 112...연결돌기
210...주제어유닛 215...장착감지부
220...옵션 인터페이스부 221, 222...제1, 제2연결부
230...장착부재 233...가이드부
400...어댑터 410, 420, 430...제1, 제2, 제3부재
460...가이드 레일 510...제1옵션 키트
520...제2옵션 키트

Claims (14)

  1.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로서,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장착부재;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탑재하고 상기 장착부재의 수용 공간에 착탈되는 어댑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유닛;
    상기 어댑터가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때에 상기 둘 이상의 옵션 키트와 상기 주제어유닛을 연결하는 옵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둘 이상의 옵션 키트와 각각 연결되는 둘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에는 가이드 레일이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여 상기 어댑터를 상기 수용 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장착구가 마련된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장착구에는 제거 가능한 커버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장착구를 막는 고정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둘 이상의 옵션 키트를 외부로 연결하는 연결구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어댑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 키트는, 팩스 카드, 와이파이 카드, 네트워크 카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장착구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옵션 키트 어댑터로서,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와 함께 제1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제1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함께 제2옵션 키트를 장착할 수 있는 제2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제3부재;를 포함하는 옵션 키트 어댑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를 막는 고정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옵션 키트 어댑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에는 상기 옵션 키트 어댑터를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마련된 옵션 키트 어댑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옵션 키트의 접지를 위한 접지 브라켓;을 더 구비하는 옵션 키트 어댑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장착부재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하는 옵션 키트 어댑터.
KR1020140042537A 2014-04-09 2014-04-09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20150117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37A KR20150117138A (ko) 2014-04-09 2014-04-09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4/474,577 US9405265B2 (en) 2014-04-09 2014-09-02 Option kit adap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15153362.7A EP2940533B1 (en) 2014-04-09 2015-01-30 Option kit adap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537A KR20150117138A (ko) 2014-04-09 2014-04-09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138A true KR20150117138A (ko) 2015-10-19

Family

ID=5244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537A KR20150117138A (ko) 2014-04-09 2014-04-09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05265B2 (ko)
EP (1) EP2940533B1 (ko)
KR (1) KR201501171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5155B2 (ja) * 2015-12-25 2019-02-27 株式会社沖データ 基板取付機構、現像剤収容器、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551299B2 (ja) * 2016-05-18 2019-07-3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8010A (en) 1980-12-31 1983-06-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nt module for matrix printer
US4730947A (en) 1985-08-19 1988-03-15 Citizen Watch Co., Ltd. Printer having a control circuit section of cassette type
US4908637A (en) * 1989-01-30 1990-03-13 Acer Incorporated Font cartridge adapter
JP2853908B2 (ja) * 1990-12-04 1999-02-03 株式会社リコー プリンタの拡張オプションボード
US5481656A (en) 1993-06-18 1996-01-02 Seiko Epson Corporation Accessory contro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H07304231A (ja) * 1994-05-09 1995-11-21 Hewlett Packard Co <Hp> 画像形成装置
JPH118025A (ja) 1997-06-16 1999-01-12 Amp Japan Ltd 回路装置
US6412749B1 (en) * 1998-04-30 2002-07-02 Ati Technologies, Inc. Bracket for mounting an expansion card and method therefore
US6282099B1 (en) * 1998-05-15 2001-08-28 Hewlett-Packard Company Structure for mounting and method for installing a circuit card
KR20020089744A (ko) 2001-05-24 2002-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팩스 데이터의 선택적 인쇄가 가능한 팩시밀리 겸용프린터 및 팩스 데이터의 선택적 인쇄방법
US7143940B2 (en) * 2002-11-15 2006-1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that accepts an accessory card, and design methodology therefor
CN103105909B (zh) * 2011-11-14 2016-04-27 河南农业大学 具有扩展卡模组的服务器
EP3509224B1 (en) * 2012-05-04 2020-12-02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memory cards
CN104281230A (zh) * 2013-07-08 2015-01-14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扩展卡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3491A1 (en) 2015-10-15
US9405265B2 (en) 2016-08-02
EP2940533A3 (en) 2016-02-10
EP2940533B1 (en) 2021-03-10
EP2940533A2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8026B1 (en) Imaging forming apparatus using independent modules
US73697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development unit
KR101505092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3105141A (ja) 原稿カバ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CN110632837B (zh) 处理盒、以及具备处理盒的图像形成装置
AU201020096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893481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tructure body and attachment method
KR20150117138A (ko) 옵션 키트 어댑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9609161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0613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86380A (ja) 電装基板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72289A (ja) 画像形成装置
WO2013008988A1 (en) Scanner device and multifunc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20095166A (ja) 画像形成装置
JP453830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54583A (ja) センサモジュール、電子機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34799A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ユニット
CN205039899U (zh) 图像形成装置
CN104423218B (zh) 消耗品盒以及图像形成装置
JP2015018254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1216981A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2206553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436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06156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24628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