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972A - 맨홀 구조물 - Google Patents

맨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972A
KR20150116972A KR1020140041906A KR20140041906A KR20150116972A KR 20150116972 A KR20150116972 A KR 20150116972A KR 1020140041906 A KR1020140041906 A KR 1020140041906A KR 20140041906 A KR20140041906 A KR 20140041906A KR 20150116972 A KR20150116972 A KR 20150116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anhole
manhole cover
hol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218B1 (ko
Inventor
임동택
이은영
Original Assignee
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림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21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18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with implements to assist in lifting, e.g. counterweights,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상에 형성된 맨홀의 입구에 배치되는 맨홀 구조물로서, 원형 링 형태로서 내주면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맨홀의 입구 내측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양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로드가 돌출되는 고정대; 및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로드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의 주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정홀과, 외주측에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고정홀을 구비하는 맨홀 덮개; 를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맨홀 덮개의 개방과 재배치가 용이하고, 맨홀 덮개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맨홀 구조물{Manhole structure}
본 발명은 맨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입구에 배치되어 잠금과 개방이 용이하고 잠금 상태의 유지가 용이한 맨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manhole)은 지하 매설물의 점검, 청소, 수리 등을 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노면에 형성되는 둥근 구멍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보행자가 맨홀 구멍에 빠지거나 주행중인 차량의 바퀴가 빠지는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가 매우 높으므로, 맨홀의 입구에는 항상 덮개와 덮개를 고정하는 맨홀 덮개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맨홀 구조물을 배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맨홀의 형성 후, 맨홀 내부에서의 작업을 위해서는 맨홀 덮개를 개방해야 하고, 작업의 완료 후에는 맨홀 덮개의 재배치가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맨홀 덮개는 원반 형태로 제작되고, 덮개의 개방과 재배치를 위한 홀이 복수개로 형성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맨홀 덮개는 주행중인 차량의 하중에 대하여 내구성을 갖기 위해서 주철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그 중량이 상당하지만, 홀에 철근을 삽입한 후 작업자가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개방과 재배치가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작업 도중에 덮개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맨홀 덮개는 주철로 되어 있어, 고철로서 처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이들에게 도난의 대상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2-0082115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맨홀 입구에 고정 프레임을 배치하고, 맨홀 덮개가 고정 프레임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맨홀 덮개를 회전시켜 맨홀 덮개의 개방과 재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맨홀 덮개의 개방과 재배치가 용이한 맨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덮개가 고정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를 배치하여 맨홀 덮개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맨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면상에 형성된 맨홀의 입구에 배치되는 맨홀 구조물로서, 원형 링 형태로서 내주면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제1 고정홈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스프링 고정구가 돌출되며 상기 맨홀의 입구 내측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양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로드가 돌출되는 고정대; 및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로드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의 주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정홀과, 측면 외주측에 상기 제1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고정홀과, 측면 외주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구비하는 맨홀 덮개; 를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맨홀 덮개가 배치되고 상기 맨홀 덮개의 직경에 대응하는 덮개 고정부와, 상기 덮개 고정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고정구의 배치 공간 확보가 가능하도록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덮개 고정부의 내주면 직경보다 큰 직경이 큰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맨홀 덮개의 상부면은 볼록한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홀은 상기 결합홀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직선 형태의 로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직교하되 일단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 로드를 구비하는 제1 개폐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맨홀 덮개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메인홀과, 상기 메인홀에 직교하고 상기 고정홈을 향하여 형성되는 연결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홀은 상기 제1 고정홀과 중심축이 일치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 측면으로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고정 돌기가 돌출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각형 형상의 동작홈과 상기 동작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2 개폐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맨홀 덮개와 상기 고정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맨홀 덮개에 대하여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맨홀 덮개의 개방과 재배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 덮개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조물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조물(100)은 고정 프레임(110), 고정대(120) 및 맨홀 덮개(130)를 포함함을 알 수 있다.
고정 프레임(110)은 원형의 링 형태로서, 맨홀의 입구 내측으로 배치된다. 고정 프레임(110)의 상단은 후술하는 맨홀 덮개(130)가 배치되는 덮개 고정부로서, 그 직경은 맨홀 덮개의 직경에 대응하고, 높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 프레임(110)의 하단으로는 스프링 고정구(180)의 배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해 내주측의 직경이 상단보다 크게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부가 배치된다.
고정 프레임(110)은 노면 상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주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 프레임(110)의 내주면으로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제1 고정홈(112)은 내측으로 후술하는 고정 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맨홀 덮개(130)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고정대(120)는 소정의 폭을 갖는 로드 형태로서, 그 양단은 고정 프레임(110)의 하단에 각각 연결된다. 고정대(120)의 길이는 고정 프레임(110)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대(120)의 중앙으로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고정 로드(144)가 상부로 돌출된다. 고정 로드(144)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하는 맨홀 덮개(130)의 결합홀(132)에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도면에 의하면, 고정 로드(144)는 고정 프레임(110)의 내측에 단일개로 배치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맨홀 덮개(130)는 고정 프레임(110)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맨홀을 폐쇄할 수 있다.
맨홀 덮개(13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맨홀 덮개(130)의 직경은 고정 프레임(110)의 내측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맨홀 덮개(130)의 상부면은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맨홀 덮개(130)의 상부면에는 미끄럼 방지 페인트를 도장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맨홀 덮개(130)의 중심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결합홀(132)이 형성된다, 결합홀(132)의 내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 로드(144)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맨홀 덮개(130) 상에는 한 쌍의 제1 고정홀(134)이 형성된다.
한 쌍의 제1 고정홀(134)은 결합홀(132)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고정홀(134)을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홀(134)은 맨홀 덮개(130)의 개방과 재배치 시에 맨홀 덮개(130)가 결합홀(13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고정홀(134) 각각에 소정의 로드를 삽입한 후, 로드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맨홀 덮개(130)가 회전하며 맨홀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맨홀 덮개(130)의 개방 및 재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제1 개폐구(140)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개폐구(140)는 로드 본체(142)와 한 쌍의 고정 로드(144)를 포함한다.
로드 본체(142)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로드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로드 본체(142)의 길이는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제1 고정홀(134)의 이격 거리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고정 로드(144)는 로드 본체(142)에 직교하되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그 단부가 한 쌍의 제1 고정홀(134)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 로드(144)의 이격 거리는 대향하는 제1 고정홀(134)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맨홀 덮개(130)의 외주측을 따라 제2 고정홀(136)이 복수개로 형성된다.
제2 고정홀(136)은 메인홀(136a)과 연결홀(136b)로 구성된다.
메인홀(136a)은 맨홀 덮개(130)를 상하로 관통하며, 원형으로서 소정의 직경을 갖는다.
연결홀(136b)은 메인홀(136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메인홀(136a)에서 제1 고정홈(112)을 향하여 형성된다. 연결홀(136b)은 후술하는 고정돌기(152)의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메인홀(136a)을 기준으로 하는 부채꼴 형태일 수 있다.
제2 고정홀(136)의 내측으로는 고정구(15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정구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고정구(150)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원형 로드로서, 제2 고정홀(136)의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고정구(150)의 직경은 제2 고정홀(136)의 직경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150)의 길이는 제2 고정홀(136)의 길이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50)의 일측으로는 고정 돌기(152)가 돌출된다. 고정 돌기(152)는 고정구(150)의 회전에 의해 연결홀(136b)을 통해 제1 고정홈(112)으로 삽입되어 맨홀 덮개(13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 고정홀(134)과 제2 고정홀(136)은 별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동일축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고정홀(134)과 제2 고정홀(136)의 중심축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제1 고정홀(134)의 하단으로 제2 고정홀(136)이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홀(134)의 직경은 제2 고정홀(136)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맨홀 덮개(130)의 하부와 고정대(120) 사이에는 스프링(170)이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구(150)의 회전에 의해 고정 돌기(152)가 제1 고정홈(112)에서 이탈되면, 스프링(170)은 맨홀 덮개(130)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맨홀 덮개(130)가 들리도록 하여 맨홀 덮개(13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고정구(15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구(150)의 상단부에는 소정 형태(직선, 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의 회전홈을 형성하고, 단부 형상이 회전홈의 형태와 크기에 대응하는 제2 개폐구(160)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개폐구(160)의 타단으로는 개폐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구(160)를 사용하여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만 맨홀 덮개(130)가 개방되므로, 이는 맨홀 덮개(130)의 도난 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맨홀 덮개(130)의 측면 외주 상에는 복수의 제2 고정홈(138)이 형성된다.
제2 고정홈(138)은 후술하는 스프링 고정구(180)의 단부가 삽입되어 맨홀 덮개(130)의 고정 상태 유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고정 프레임(110)의 내주면 하단의 직경이 확장된 부위에는 스프링 고정구(180)가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구(180)는 그 단부가 제2 고정홈(138)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맨홀 덮개(130)의 고정 상태 유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여기서, 스프링 고정구(180)의 단부가 제2 고정홈(138)의 내측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 고정구(180)의 단부상에는 반구 형상의 고정캡(18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 구조물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정 프레임(110)의 도시를 생략하고, 맨홀 덮개(130)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고정 프레임(110)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우선, 맨홀이 개방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2 개폐구(160)를 고정구(150)의 회전홈에 삽입한 후, 고정구(150)를 회전시키면, 제1 고정홈(112)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 돌기(152)가 제1 고정홈(112)에서 이탈된다.
각각의 고정구(150)를 조작하여, 각각의 고정 돌기(152)가 제1 고정홈(112)에서 모두 이탈되면,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구(140)의 고정로드(144)가 결합홀(132)에 삽입되도록 한 후, 제1 개폐구(140)의 양단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 개폐구(140)의 조작에 의해, 맨홀 덮개(130)는 결합홀(13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고정구(180)의 탄성력이 고정캡(182)을 통해 제2 고정홈(138)에 인가되므로, 제1 개폐구(140) 조작 시, 일정 이상의 힘을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170)은 맨홀 덮개(130)에 대하여 탄성력을 인가하여 맨홀 덮개(130)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맨홀의 폐쇄는 상기한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맨홀 덮개의 개방과 재배치가 용이하고, 맨홀 덮개의 도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맨홀 구조물
110: 고정 프레임
120: 고정대
130: 맨홀 덮개
140: 제1 개폐구
150: 고정구
160: 제2 개폐구
170: 스프링

Claims (10)

  1. 노면상에 형성된 맨홀의 입구에 배치되는 맨홀 구조물로서,
    원형 링 형태로서 내주면으로는 일정 간격으로 제1 고정홈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스프링 고정구가 돌출되며 상기 맨홀의 입구 내측으로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양단이 상기 고정 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중앙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고정로드가 돌출되는 고정대; 및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로드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홀의 주위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고정홀과, 측면 외주측에 상기 제1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고정홀과, 측면 외주측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고정구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 고정홈을 구비하는 맨홀 덮개;
    를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맨홀 덮개가 배치되고 상기 맨홀 덮개의 직경에 대응하는 덮개 고정부와,
    상기 덮개 고정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 고정구의 배치 공간 확보가 가능하도록 내주면의 직경이 상기 덮개 고정부의 내주면 직경보다 큰 직경이 큰 스프링 고정부를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덮개의 상부면은 볼록한 곡면 형상인 맨홀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홀은 상기 결합홀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는 맨홀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직선 형태의 로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직교하되 일단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고정 로드를 구비하는 제1 개폐구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홀은,
    상기 맨홀 덮개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메인홀과, 상기 메인홀에 직교하고 상기 고정홈을 향하여 형성되는 연결홀로 구성되는 맨홀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홀은 상기 제1 고정홀과 중심축이 일치하게 형성되는 맨홀 구조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 측면으로는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고정홈으로 삽입되는 고정 돌기가 돌출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각형 형상의 동작홈과 상기 동작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는 제2 개폐구를 더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덮개와 상기 고정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맨홀 덮개에 대하여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맨홀 구조물.
KR1020140041906A 2014-04-08 2014-04-08 맨홀 구조물 KR10163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06A KR101634218B1 (ko) 2014-04-08 2014-04-08 맨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906A KR101634218B1 (ko) 2014-04-08 2014-04-08 맨홀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972A true KR20150116972A (ko) 2015-10-19
KR101634218B1 KR101634218B1 (ko) 2016-06-29

Family

ID=5439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906A KR101634218B1 (ko) 2014-04-08 2014-04-08 맨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516A (zh) * 2018-12-11 2019-05-17 聂小丁 防滑脱井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508A (ja) * 2001-06-27 2003-01-08 Ando Corp マンホール蓋の養生カバー及びその固定具
KR20090071897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케이티 맨홀 뚜껑 조립체
KR101260049B1 (ko) * 2012-09-24 2013-05-06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회전형 맨홀뚜껑 개방장치
KR20130067975A (ko) * 2011-12-15 2013-06-25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맨홀뚜껑 회전식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508A (ja) * 2001-06-27 2003-01-08 Ando Corp マンホール蓋の養生カバー及びその固定具
KR20090071897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케이티 맨홀 뚜껑 조립체
KR20130067975A (ko) * 2011-12-15 2013-06-25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맨홀뚜껑 회전식 잠금장치
KR101260049B1 (ko) * 2012-09-24 2013-05-06 한국주철산업주식회사 회전형 맨홀뚜껑 개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516A (zh) * 2018-12-11 2019-05-17 聂小丁 防滑脱井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218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91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heft resistant fastener
BR112017011132B1 (pt) Combinação de porca de roda e conector para utilização em um aro de roda
KR101326197B1 (ko) 다중 잠금장치를 구비한 밸브 핸들용 안전커버
EA033802B1 (ru) Люк, содержа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дежного запирания и блокирования люка
US9464660B2 (en) Tamper-resistant bicycle axle nut
CA2988887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railcar doors
KR101634218B1 (ko) 맨홀 구조물
CN103526994B (zh) 程控挂锁
KR20150069191A (ko) 캠 기구를 이용한 맨홀 뚜껑 잠금장치
GB2460062A (en) Security device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a pedal vehicle
KR20110126396A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CN203594273U (zh) 程控挂锁
US11524522B2 (en) Wheel locking device
EP3523560B1 (en) Cable lockout assembly
KR20130041538A (ko)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KR100653970B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20120114135A (ko) 맨홀 뚜껑의 열쇠구멍용 폐색마개 잠금장치
WO2015191435A1 (en) Tamper-resistant bicycle axle nut
US662334A (en) Umbrella-lock.
EP2813650B1 (en) Locking device for a gate
KR20150144885A (ko) 맨홀 구조물
RU16543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запасных автомобильных колес и шин
KR101744513B1 (ko) 회전 당김 구조의 잠금 고정 장치
WO2019016758A1 (en) LOCKING DEVICE
JP2007035533A (ja) 柱上開閉器引綱固定装置の操作棒および操作棒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