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594B1 -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594B1
KR101990594B1 KR1020160110690A KR20160110690A KR101990594B1 KR 101990594 B1 KR101990594 B1 KR 101990594B1 KR 1020160110690 A KR1020160110690 A KR 1020160110690A KR 20160110690 A KR20160110690 A KR 20160110690A KR 101990594 B1 KR101990594 B1 KR 10199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ever
fixing
groov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453A (ko
Inventor
이예명
Original Assignee
이예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명 filed Critical 이예명
Priority to KR1020160110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5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2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for lock parts held in place before or during mounting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2Casings of latch-bolt or deadbolt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드볼트(deadbolt)의 인출과 인입을 통해 도어 개방이 제한되도록 하는 잠금부 및 면판을 통해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구동수단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는 자물쇠가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는,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1레버, 타측에 상기 제1레버를 작동시키는 핸들 및 상기 제1레버와 핸들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자물쇠; 및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2레버, 타측에 상기 제2레버를 열쇠를 통해 작동시키는 키홈 및 상기 제2레버와 키홈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자물쇠;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는, 상기 제1자물쇠로부터 제2자물쇠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본체를 매개로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통해 유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의 해체 없이 고정핀의 해제만으로 자물쇠의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물쇠의 고정구조를 수직에서 수평으로 전환함으로써, 자물쇠의 분리는 물론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도어의 해체 없이도 자물쇠를 독립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신속한 대응과 더불어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요소로서 존재하며, 주로 출입 제한과 보안이 요구되는 회사 내지는 보안실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아사아블로이(ASSA ABLOY)社에서 MS1861 Series MS® Bottom Rail Deadbolt(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으로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드볼트(11, deadbolt)의 인출과 인입을 통해 도어 개방이 제한되도록 하는 잠금부(10) 및 면판(80)을 통해 상기 잠금부(10)와 결합되고 상기 데드볼트(11)와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11)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는 자물쇠(30)가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수단은 데드볼트와 자물쇠를 연결하는 다수의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구조체이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비특허문헌으로 제시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자물쇠(30)는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1레버(47), 타측에 상기 제1레버(47)를 작동시키는 핸들(41) 및 상기 제1레버(47)와 핸들(41)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홈(4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자물쇠(40) 및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2레버(51), 타측에 상기 제2레버(51)를 열쇠를 통해 작동시키는 키홈(55) 및 상기 제2레버(51)와 키홈(55)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홈(5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자물쇠(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자물쇠(30)는 본체(20)에 마련된 체결공(21)을 통해 결합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웅의 자물쇠(30)는 체결공(21)에 소켓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자물쇠(30)는 체결공(21)과 소켓형태의 결합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유동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자물쇠(30)의 안정적 사용을 위해서는 자물쇠(30)를 구속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레버(47, 51)가 편향되게 설치되어 레버(47, 51)의 위치를 특정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는 레버(47, 51)와 구동수단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물쇠(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17)에 의해 유동이 제한되는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면판(80)에 마련된 결합공(15)을 관통하여 자물쇠(30)의 고정홈(43, 53)을 수직의 형태로 지지함으로써, 자물쇠(3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자물쇠(30)가 훼손될 경우, 교체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대처가 신속하지 못하므로, 사람이 내부에 고립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훼손된 자물쇠(30)의 해체가 요구될 경우, 결합핀의 해제가 선행되어야 하나, 그 상태로는 조작이 어려워 해제가 용이하지 못하므로, 결합핀(17)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도어(D)를 프레임(F)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해제를 진행해야 할 뿐만 아니라, 교체 후, 도어(D)를 프레임(F)에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도어 잠금장치에서 자물쇠에 대한 교체가 용이한 잠금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도어를 프레임으로부 분리시킬 필요가 없이 자물쇠를 교체할 수 있는 잠금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
아사아블로이(ASSA ABLOY, http://www.adamsrite.com)社 MS1861 (http://www.adamsrite.com/en/site/adamsritecom/products/deadlocks/ms1861-series-bottom-rail-deadbol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해체 없이 고정핀의 해제만으로 자물쇠의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잠금장치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시공된 잠금장치에서 자물쇠의 고정구조를 변경시켜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드볼트(deadbolt)의 인출과 인입을 통해 도어 개방이 제한되도록 하는 잠금부 및 면판을 통해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구동수단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는 자물쇠가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는,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1레버, 타측에 상기 제1레버를 작동시키는 핸들 및 상기 제1레버와 핸들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자물쇠; 및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2레버, 타측에 상기 제2레버를 열쇠를 통해 작동시키는 키홈 및 상기 제2레버와 키홈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자물쇠;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는, 상기 제1자물쇠로부터 제2자물쇠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본체를 매개로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통해 유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자물쇠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핀홀 및 상기 핀홀에 대응하게 형성된 본체의 고정구를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제2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를 매개로 상기 자물쇠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홀은, 상기 제1자물쇠 타측을 관통하는 홀인 것이며, 상기 제1고정홈에 연장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핀홀과 동일 선상에 존재하며, 상기 자물쇠가 상기 본체를 매개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핀의 노출영역을 감싸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홀, 상기 고정구, 상기 제1고정홈 및 상기 제2고정홈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과 나사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해체 없이 고정핀의 해제만으로 자물쇠의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자물쇠의 훼손에 의하여 사람이 내부에 고립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잠금장치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시공된 잠금장치에서 자물쇠의 고정구조만을 변경함으로써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2는 종래의 잠금장치에 대한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물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1자물쇠의 상세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적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잠금장치로서 설명되고 있으나, 여닫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미닫이에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여닫이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도이고, 도 4는 자물쇠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100)는 데드볼트(111, deadbolt)의 인출과 인입을 통해 도어 개방이 제한되도록 하는 잠금부(110) 및 면판(180)을 통해 잠금부(110)와 결합되고 데드볼트(111)와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데드볼트(111)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는 자물쇠(130)가 설치된 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면판(180)에 존재하는 결합공(115)은, 본 발명에 대응하여 잠금장치가 신규 제작될 경우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삭제되는 홀인 것이며, 만약 기존 제품을 가공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되지 아니하므로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아니한다.
자물쇠(130)는 본체(120)에 마련된 한 쌍의 체결부(121) 중 제1체결부(123)에 결합되는 제1자물쇠(140), 제2체결부(125)와 결합되는 제2자물쇠(150)를 포함하며, 이러한 자물쇠(130)는 고정핀(160)을 통해 본체에 유동이 제한된다.
제1자물쇠(140)는 일측에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1레버(147), 타측에 제1레버(147)를 작동시키는 핸들(141)을 구비하고, 제1레버(147)와 핸들(141)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홈(143)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통상 실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제1자물쇠(140)는 타측을 관통하는 핀홀(145)이 더 형성되며, 이러한, 핀홀(145)은 제1고정홈(143)과 연통되도록 제1고정홈(143)이 형성된 제1자물쇠(140) 타측 테두리 영역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핀홀(1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방사상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핀홀(145)은 고정핀(160)이 관통하는 홀로서, 고정핀(160)의 지름과 같거나, 소폭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핀홀(145) 및 제1고정홈(143)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더 형성되어 고정핀(160)과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2자물쇠(150)는 일측에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2레버(151), 타측에 제2레버(151)를 열쇠를 통해 작동시키는 키홈(155) 및 제2레버(151)와 키홈(155)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면 방사상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홈(153)을 포함하며, 통상 실외측에 설치되어 열쇠 없이는 출입이 제한되도록 한다. 이때, 제2고정홈(153)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20)는 핀홀(145), 제1고정홈(143) 및 제2고정홈(153)에 대응하는 동일선에 고정구(127)가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구(12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21) 일측에 확장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구(127)는 고정핀(160)이 관통하는 영역으로, 지름이 고정핀(160)과 같거나 소정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주에는 나사산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핀(160)은 자물쇠(130)가 본체(120)를 매개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핀홀(145)을 통해 자물쇠(130)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되어, 자물쇠(130)의 유동을 제한하는 것은 물론, 종래와 같이 도어의 해체 없이도 자물쇠(130)의 분리가 가능토록 하였다.
이러한, 고정핀(160)은 핀홀(145)을 통해 자물쇠(130)가 본체(120)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산부(163)와 드라이버, 렌치 및 스패너 등의 공구와 맞물리는 헤드(1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사산부(160)는 핀홀(145)을 통해 적어도 제2고정부(153)와 맞물릴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양단 사이 적어도 일 영역에 산과 골이 연속 반복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산산부(163)는 핀홀(145)을 통해 제1자물쇠(140) 및 고정구(127)를 관통하여 단부가 제2고정홈(153)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핀홀(145)에 나사산이 형성되면, 나사산부(163)의 양단 중 헤드(161)와 근접된 영역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고정홈(143), 고정구(127) 및 제2고정홈(15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될 경우, 그에 대응하는 양단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중 바람직하게는 핀홀(145) 또는 고정구(127)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게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는, 나사산부(163)와의 마찰면이 가장 큰 영역이기 때문에 안정적 체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핀홀(145)의 경우, 삽입과 체결이 용이하므로 핀홀(145)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헤드(161)는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대상(핀홀(145), 제1고정홈(143), 고정구(127) 및 제2고정홈(15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과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부(163)보다 직경이 소폭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드라이버를 통해 체결할 수 있도록 십자 형태의 음각홈이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러나 음각홈은 통상적으로 사용이 용이한 드라이버 형상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마이너스 형태는 물론, 육각, 삼각의 형태뿐만 아니라, 헤드 형상이 육각으로 형성되어 스패너를 통해서도 고정핀의 해체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핀(160)은 본체(1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한 쌍의 판재 사이에 덮개(170)를 설치하여 고정핀(16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덮개(170)는 한 쌍의 판재 사이에 지지체로서 설치되며, 따라서 충격에 의해 본체(120)는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구동수단의 훼손을 방지하거나 최소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70)는 판재로서 양단 사이 즉, 나사산부(163)와 대응하도록 양단 사이 길이방향으로 돌출부(171)가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핀(160)이 커버되도록 하였다.
또한, 덮개(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대향 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핀홀(145), 고정구(127) 및 고정핀(160)이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에 대응하는 한 쌍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핀(160)은 핀홀(145)과 나사결합 하되, 헤드(16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머리 형태를 가지며, 이에 대응하는 핀홀(145) 입구에 접시머리에 대응하도록 테이퍼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자물쇠의 고정구조를 수직에서 수평으로 전환하고, 실내측에서의 자물쇠(130) 분리가 가능토록 하였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해체 없이 제1자물쇠(140)가 설치된 실내영역에서 고정핀(160)의 해제만으로 자물쇠(130)의 교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훼손에 의한 고립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잠금장치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시공된 잠금장치에서 자물쇠(130)의 고정구조를 변경시켜 유지보수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00 : 잠금장치 10, 110 : 잠금부
11, 111 : 데드볼트(deadbolt) 13, 113 : 브래킷
15, 115 : 결합공 17 : 결합핀
20, 120 : 본체 21, 121 : 체결공
23, 123 : 제1체결공 25, 125 : 제2체결공
127: 고정구 30, 130 : 자물쇠
40, 140 : 제1자물쇠 41, 141 : 핸들
43, 143 : 제1고정홈 145 : 핀홀
47, 147 : 제1레버 50, 150 : 제2자물쇠
51, 151 : 제2레버 53, 153 : 제2고정홈
55, 155 : 키홈 160 : 고정핀
161 :헤드 163 : 나사산부
170 : 덮개 171 : 돌출부
80, 180 : 면판

Claims (6)

  1. 데드볼트(deadbolt)의 인출과 인입을 통해 도어 개방이 제한되도록 하는 잠금부 및 면판을 통해 상기 잠금부와 결합되고 상기 데드볼트와 구동수단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데드볼트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는 자물쇠가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는,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1레버, 타측에 상기 제1레버를 작동시키는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1레버와 핸들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의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홈이 형성된 제1자물쇠; 및
    일측에 상기 구동수단과 맞물리는 제2레버, 타측에 상기 제2레버를 열쇠를 통해 작동시키는 키홈 및 상기 제2레버와 키홈 사이 외주가 나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주의 방사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홈이 형성된 제2자물쇠;를 포함하며,
    상기 자물쇠는,
    상기 제1자물쇠로부터 제2자물쇠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자물쇠와 제2자물쇠를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통해 유동이 제한되고,
    상기 고정핀은,
    상기 제1자물쇠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핀홀 및 상기 핀홀에 대응하게 형성된 본체의 고정구를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제2고정홈에 안착되어, 상기 본체를 매개로 상기 자물쇠의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며,
    상기 핀홀은,
    상기 제1자물쇠 타측을 관통하는 홀이고, 상기 제1고정홈에 연장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도어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핀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핀홀과 동일 선상에 존재하며, 상기 자물쇠가 상기 본체를 매개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핀의 노출영역을 감싸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핀홀, 상기 고정구, 상기 제1고정홈 및 상기 제2고정홈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과 나사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160110690A 2016-08-30 2016-08-30 도어 잠금장치 KR10199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90A KR101990594B1 (ko) 2016-08-30 2016-08-30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690A KR101990594B1 (ko) 2016-08-30 2016-08-30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53A KR20180024453A (ko) 2018-03-08
KR101990594B1 true KR101990594B1 (ko) 2019-06-18

Family

ID=6172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690A KR101990594B1 (ko) 2016-08-30 2016-08-30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5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89B1 (ko) * 2007-12-28 2009-05-14 박동인 도어정의 괘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489B1 (ko) * 2007-12-28 2009-05-14 박동인 도어정의 괘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53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99716B (zh) 门安全装置
US10305268B2 (en) Utility enclosure having attached cover latching mechanism
US9290965B2 (en) Lock assembly having quick release double fire plate
US20090127874A1 (en) Door latch assembly
US10100552B2 (en) Lock assembly with an interchangeable lock core
US11725436B2 (en) Electrical panelboard guard with coupled members
US5794382A (en) Fire rated removable mullion
WO2020087085A3 (en) Emergency deadbolt device
US20180371810A1 (en) Door Barricade System
KR101990594B1 (ko) 도어 잠금장치
RU2509854C2 (ru) Зам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лотна пассивной двери двупольной двери
CN109720543B (zh) 进出口盖
US9663216B2 (en) Locking channel latch
US20150097383A1 (en) Safety latch
KR20160003747U (ko) 도어의 축조절이 가능한 패닉도어
US11187007B2 (en) Pull handle assembly and door cover
CN204386426U (zh) 一种快速逃生防盗窗
CN109250612B (zh) 闭锁装置
US20180291647A1 (en) Door with Door Fitting
US20090183658A1 (en) Vault cover with vault door and spring-biased support arm
KR101634218B1 (ko) 맨홀 구조물
JP2006097360A (ja) 両面シリンダー面付け錠のシリンダーと錠ケース取り付け機構。
RU2570780C2 (ru) Установо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амка
AU2017200599A1 (en) Improvements in door handle assemblies
AU2015252030A1 (en) Micro-switch box with adjustable support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