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506A -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506A
KR20150116506A KR1020140041115A KR20140041115A KR20150116506A KR 20150116506 A KR20150116506 A KR 20150116506A KR 1020140041115 A KR1020140041115 A KR 1020140041115A KR 20140041115 A KR20140041115 A KR 20140041115A KR 20150116506 A KR20150116506 A KR 2015011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contents
content
targ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233B1 (ko
Inventor
박나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코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코플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코플렉스
Priority to KR1020140041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123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선택 결과 체크부, 제2 선택 결과 체크부 및 사용자 단말 선정부를 포함함으로써, 일부 표본 사용자들이 이전에 선택했던 컨텐츠의 이력(히스토리)을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argeting a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컨텐츠(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등)를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검색했던 검색어, 상품 구매 활동에 대한 히스토리,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를 배제하고, 일부 표본 사용자들이 이전에 선택했던 컨텐츠의 이력(히스토리)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만한 타겟팅 기준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한 타겟팅 기준을 복수의 사용자 전체에 적용시킴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웹사이트 등 각종 컨텐츠를 통한 광고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웹사이트 등을 통한 광고는 사용자의 접근성이 뛰어나고 사용자의 실구매로 이어지는 확률이 높아서 광고비 대비 효율이 좋은 광고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웹사이트 등을 통한 광고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광고의 비율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게 되고, 사용자가 웹사이트 이용 시 원하지 않는 광고를 자주 접하게 됨에 따라 광고는 유용한 정보가 아니라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공해가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타겟팅(targeting) 광고 방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리타겟팅(retargeting) 광고 방법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이용한 컨텐츠 이력 정보 즉, 방문한 페이지, 검색한 상품, 클릭한 상품 등을 분석하여 광고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리타겟팅 광고 방법은 사용자 입장에서도 필요한 광고를 접할 수 있게 되고, 광고주 입장에서도 자신들이 제공하는 상품 또는 컨텐츠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해당 광고를 제공할 수 있어 효율적이므로, 최근 사용자의 방문 수가 높은 웹사이트를 위주로 리타겟팅 광고 방법이 많이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타겟팅 광고 방법은 사용자가 이전에 검색했던 검색어, 검색 내역, 쇼핑몰 등에서의 구매 경험,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과 같이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을 어느 정도 수집한 후에야 타겟팅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용자가 이전에 특정 검색 사이트(예를 들어,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에 어떠한 검색 활동을 한적이 없는 경우, 해당 검색 사이트의 히스토리에는 A의 검색 활동에 대한 쿠키 데이터, 로그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A라는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광고, 관심 있어할 만한 컨텐츠 등을 알 수 없다. 또한, A라는 사용자가 이전에 쇼핑몰 사이트에서 어떠한 상품도 구매하지 않은 경우, 해당 쇼핑몰 사이트의 히스토리에는 A의 구매 활동에 대한 쿠기 데이터, 로그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A라는 사용자가 흥미를 가질 만한 상품, 관심 있어할 만한 쇼핑 정보, A라는 사용자가 구매할 의사가 있는 옷의 취향 등을 알 수 없다.
따라서, 광고 제공자는 A라는 사용자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들을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에 A라는 사용자를 타겟팅할 수 없으며, 만약 타겟팅 없이 원치 않는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A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공해가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리타겟팅 광고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컨텐츠(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등)를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검색했던 검색어, 상품 구매 활동에 대한 히스토리,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를 배제하고, 일부 표본 사용자들이 이전에 선택했던 컨텐츠의 이력(히스토리)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만한 타겟팅 기준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한 타겟팅 기준을 복수의 사용자 전체에 적용시킴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24897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컨텐츠(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등)를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검색했던 검색어, 상품 구매 활동에 대한 히스토리,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를 배제하고, 일부 표본 사용자들이 이전에 선택했던 컨텐츠의 이력(히스토리)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만한 타겟팅 기준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한 타겟팅 기준을 복수의 사용자 전체에 적용시킴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표본 사용자에게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한 후, 표본 사용자 각각이 선택하는 컨텐츠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고 해당 표본 사용자 각각이 이전에 선택했던 컨텐츠의 체크 횟수를 산출하여 최다 산출값을 가지는 컨텐츠를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함으로써, 해당 타겟팅 기준 컨텐츠를 한번이라도 선택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들을 모두 타겟팅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하는 경우, 각 제1 컨텐츠 별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제1 선택 결과 체크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에서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게 제2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본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하는 경우, 각 제2 컨텐츠 별로 복수의 표본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제2 선택 결과 체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선택 결과 체크부의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사용자 단말 선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선정부는 상기 복수의 표본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표본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체크하여 기준 사용자 단말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선정부는 상기 기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기준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각 제1 컨텐츠 별로 각각의 체크 횟수를 산출한 후, 최다 산출값을 가지는 제1 컨텐츠를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 선정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설정된 타겟팅 기준 컨텐츠를 선택한 이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에 대해 식별 데이터를 부여하는 식별 데이터 부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방법은 제1 선택 결과 체크부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하는 경우, 각 제1 컨텐츠 별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단계; 제2 선택 결과 체크부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에서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게 제2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본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하는 경우, 각 제2 컨텐츠 별로 복수의 표본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선정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선택 결과 체크부의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표본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표본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체크하여 기준 사용자 단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기준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각 제1 컨텐츠 별로 각각의 체크 횟수를 산출한 후, 최다 산출값을 가지는 제1 컨텐츠를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설정된 타겟팅 기준 컨텐츠를 선택한 이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방법은 식별 데이터 부여부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컨텐츠 각각에 대해 식별 데이터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컨텐츠(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등)를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검색했던 검색어, 상품 구매 활동에 대한 히스토리,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를 배제하고, 일부 표본 사용자들이 이전에 선택했던 컨텐츠의 이력(히스토리)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만한 타겟팅 기준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한 타겟팅 기준을 복수의 사용자 전체에 적용시킴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이 제공될 컨텐츠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표본 사용자 단말에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이때 발생되는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을 타겟팅 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원치 않는 컨텐츠(광고)를 제공 받았다는 심리적 스트레스 등을 주지 않는 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가 검색했던 검색어, 상품의 구매 경험,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를 확인하지 않고도 단순히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광고의 선택 이력 정보, 두 가지만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광고)의 제공 효율 및 타겟팅 대상의 확장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사용자 및 해당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광고의 선택 이력 정보, 두 가지만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타겟팅 대상을 선정하는데 필요한 연산의 범위를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타겟팅 속도 및 타겟팅 추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복수의 사용자(10)가 각각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선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표본 사용자(20)가 제2 컨텐츠(300)를 선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에서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100)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복수의 사용자(10)가 각각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선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복수의 표본 사용자(20)가 제2 컨텐츠(300)를 선택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에서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100)은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 및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을 소지한 복수의 사용자(10) 각각에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사용자(10)는 각각 사용자 단말(11)을 소지한 사람을 의미할 수 있고 제1 컨텐츠(200)는 예를 들어, 광고와 같은 컨텐츠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제1 컨텐츠(200)는 새로이 제공될 컨텐츠가 아닌 기 제공된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광고는 PC 상의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광고 배너, 광고 팝업 메시지 혹은 모바일 기기의 앱페이지에 표시되는 광고 배너, 광고 팝업 메시지 등을 모두 포함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제공한다 함은 다양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10)가 각각 소지한 사용자 단말(11)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선택하는 경우,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는 각 제1 컨텐츠 별로 복수의 사용자(10)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는 복수의 표본 사용자(20)가 각각 소지한 사용자 단말(11)에 제2 컨텐츠(300)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표본 사용자(20)는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사용자(10) 전체 중에서 일부를 군집화하여 모은 그룹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복수의 표본 사용자(20)의 수는 따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며 5명, 10명, 100명, 1000명 등과 같이 임의의 수로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제2 컨텐츠(300)는 예를 들어, 광고와 같은 컨텐츠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컨텐츠(300)는 새로이 제공될 컨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 컨텐츠(200) 및 제2 컨텐츠(300)의 내용은 자체적으로 유사하지만, 복수의 사용자 단말(11)에 이미 제공되었는지, 아니면 새로이 제공될 것인지 등과 같이 제공 시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표본 사용자(20)가 각각 소지한 사용자 단말(11)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컨텐츠(300)를 선택하는 경우,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는 복수의 표본 사용자(20)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상술한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 및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의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12) 전체 중에서 제2 컨텐츠(300)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는 도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를 살펴보면, 복수의 사용자(10)는 A1부터 A10까지 10명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10) 각각이 소지한 복수의 사용자 단말(11) 또한 T1부터 T10까지 10개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T1부터 T10까지의 복수의 사용자 단말(11)에는 각각 제1 컨텐츠(200)가 3개씩 제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에 각각 3번의 광고가 제공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각각의 칸에는 X 표시가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해당 칸에 해당하는 사용자(10)가 해당 제1 컨텐츠(200)를 선택하여 광고를 시청하였거나 혹은 광고와 연결된 서비스에 접속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1이라는 사용자(10)가 자신의 T1 사용자 단말(11)에 제공된 3개의 제1 컨텐츠(200) 중에서 첫번째, 세번째 제1 컨텐츠(200)를 선택한 경우,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는 A1이라는 사용자(10)의 선택에 대하여 [X, -, X]로 체크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A2라는 사용자(10)가 자신의 T2 사용자 단말(11)에 제공된 3개의 제1 컨텐츠(200) 중에서 첫번째 제1 컨텐츠(200)를 선택한 경우,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는 A2 라는 사용자(20)의 선택에 대하여 [X, -, -]로 체크하게 된다.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A3부터 A10까지를 체크하면 도 2와 같은 표가 완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는 도 2에 도시된 표를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10)의 수를 10명으로 예를 들었지만, 이는 10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얼마든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표에서 제2 컨텐츠(300)가 일부의 표본 사용자(20)에게 새로이 제공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에서는 일부의 표본 사용자(20)를 A1부터 A5까지 5명으로 설정하였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임의로 설정하였으며 5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얼마든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A1 사용자(10)부터 A5 사용자(10)가 각각 소지한 T1 사용자 단말(11)부터 T5 사용자 단말(11)까지 제2 컨텐츠(300)가 제공되었으며, 이때 A1 사용자(10)부터 A5 사용자(10)가 전부 표본 사용자(20)로 설정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그 중에서 A2라는 사용자(10)와 A3라는 사용자(10)가 각각 제2 컨텐츠(300)를 선택하여 광고를 시청한 경우,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는 A2라는 사용자(10) 및 A3라는 사용자(10)의 선택에 대하여 X로 체크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는 도 3에 도시된 표를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하여 복수의 표본 사용자(20)의 수를 5명으로 예를 들었지만, 이는 5명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얼마든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4를 살펴보면, 제2 컨텐츠(300)의 체크 칸 우측에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에서 타겟팅 사용자 단말의 선정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칸이 표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겟팅 사용자 단말이라 함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 전체 중에서 제2 컨텐츠(300)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10)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 전체에 제2 컨텐츠(300)를 제공한 것이 아니라 일부의 표본 사용자 단말(20)에게만 제2 컨텐츠(300)를 제공하였기 때문에, 도 3에서의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먼저, 도 3에서의 체크 값 중에서 X가 체크된 표본 사용자(20)의 사용자 단말(11)을 기준 사용자 단말로 설정하게 되고, 또한 기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사용자(10)를 기준 사용자로 설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A2 사용자(10) 및 A3 사용자(10)가 각각 제2 컨텐츠(300)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T2 사용자 단말(11) 및 T3 사용자 단말(11)이 각각 기준 사용자 단말로 설정될 수 있고, 또한 A2 사용자(10) 및 A3 사용자(10)가 각각 기준 사용자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A2 사용자(10)와 A3 사용자(10)가 이전에 선택했던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각 제1 컨텐츠(200) 별로 각각의 체크 횟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2 사용자(10)는 이전에 첫번째 제1 컨텐츠(200)만을 선택하였기 때문에 체크 상태가 [X, -, -]가 되고, A3 사용자(10)는 이전에 첫번째 제1 컨텐츠(200), 두번째 제1 컨텐츠(200) 및 세번째 제1 컨텐츠(200)를 모두 선택하였기 때문에 체크 상태가 [X, -, -]가 된다.
따라서, 첫번째 제1 컨텐츠(200)의 X 체크 횟수가 2개, 두번째 및 세번째 제1 컨텐츠(200)의 X 체크 횟수가 각각 1개로 산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이렇게 산출된 결과 중에서 X의 최다 산출값을 가지는 제1 컨텐츠(200)를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첫번째 제1 컨텐츠(200)의 X 체크 횟수가 2개이므로, 첫번째 제1 컨텐츠(200)가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첫번째 제1 컨텐츠(200)가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되었기 때문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10) 전체 중에서 첫번째 제1 컨텐츠(200)를 한번이라도 선택하였던 사용자 단말(10)을 모두 타겟팅 사용자 단말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T1, T2, T3, T5, T6, T8, T10 사용자 단말(11)을 이용하는 A1, A2, A3, A5, A5, A8, A10 사용자(10)가 각각 첫번째 제1 컨텐츠(200)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T1, T2, T3, T5, T6, T8, T10 사용자 단말(11)을 전부 타겟팅 사용자 단말로 선정한 후 제2 컨텐츠(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1) 및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 및 제2 컨텐츠(300)에 대하여 식별 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는 식별 데이터 부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컨텐츠(200) 및 제2 컨텐츠(300)마다 각각 유니크한 ID값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2 내지 도 4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11)을 각각 T1 내지 T10이라는 식별 데이터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첫번째 제1 컨텐츠(200)는 B1, 두번째 제1 컨텐츠(200)는 B2, 세번째 제1 컨텐츠(200)는 B3, 그리고 제2 컨텐츠(300)는 B4 등과 같이 식별 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통해 상술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100)의 동작 순서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100)의 동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T1 내지 T4)(11)에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제공한다(S501).
그 다음, T1 내지 T4 사용자 단말(11)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각각 선택 또는 미 선택하고, 그에 대한 체크 결과를 제1 선택 결과 체크부(110)에서 확인하게 된다(S502 내지 S505).
그 다음,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T1 내지 T3)(11)을 임의로 설정한 후(S506), 설정된 표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T1 내지 T3)(11)에게 제2 컨텐츠(300)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S507).
그 다음, T1 내지 T3 사용자 단말(11) 각각이 제2 컨텐츠(300)를 각각 선택 또는 미 선택하고, 그에 대한 체크 결과를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에서 확인하게 된다(S508 내지 S510).
그 다음,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에서는 제2 선택 결과 체크부(120)에서 확인한 체크 결과를 기준으로 T1 내지 T3 사용자 단말(11) 중에서 기준 사용자 단말을 설정하게 된다(S511).
그 다음,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기준 사용자 단말이 이전에 선택했던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200)를 각 제1 컨텐츠(200) 별로 각각의 체크 횟수를 산출한 후, 최다 산출값을 가지는 제1 컨텐츠를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하게 된다(S512).
그 다음, 사용자 단말 선정부(13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 전체 중에서 해당 타겟팅 기준 컨텐츠를 한번이라도 선택한 이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T1 내지 T3)(11)을 제2 컨텐츠(300)을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고 제2 컨텐츠(300)를 제공하게 된다(S513).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에 복수의 컨텐츠(예를 들어, 온라인 광고 등)를 제공함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각각이 검색했던 검색어, 상품 구매 활동에 대한 히스토리, 사용자의 성별, 나이 등)를 배제하고, 일부 표본 사용자들이 이전에 선택했던 컨텐츠의 선택 이력(히스토리)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만한 타겟팅 기준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한 타겟팅 기준을 복수의 사용자 전체에 적용시킴으로써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새로운 컨텐츠를 제공 받을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사용자
11 : 사용자 단말
20 : 표본 사용자
100 :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110 : 제1 선택 결과 체크부
120 : 제2 선택 결과 체크부
130 : 사용자 단말 선정부
200 : 제1 컨텐츠
300 : 제2 컨텐츠

Claims (10)

  1.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하는 경우, 각 제1 컨텐츠 별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제1 선택 결과 체크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에서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게 제2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본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를 각각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표본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제2 선택 결과 체크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선택 결과 체크부의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사용자 단말 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선정부는,
    상기 복수의 표본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표본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체크하여 기준 사용자 단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선정부는,
    상기 기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기준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각 제1 컨텐츠 별로 각각의 체크 횟수를 산출한 후, 최다 산출값을 가지는 제1 컨텐츠를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선정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설정된 타겟팅 기준 컨텐츠를 선택한 이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컨텐츠 각각에 대해 식별 데이터를 부여하는 식별 데이터 부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6. 제1 선택 결과 체크부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각각 선택하는 경우, 각 제1 컨텐츠 별로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단계;
    제2 선택 결과 체크부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에서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게 제2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일부 표본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본 사용자가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를 각각 선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표본 사용자 각각의 선택 결과를 체크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선정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선택 결과 체크부의 체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표본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공된 제2 컨텐츠를 선택하는 표본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을 체크하여 기준 사용자 단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사용자 단말에 대응하는 기준 사용자가 이전에 선택했던 하나 이상의 제1 컨텐츠를 각 제1 컨텐츠 별로 각각의 체크 횟수를 산출한 후, 최다 산출값을 가지는 제1 컨텐츠를 타겟팅 기준 컨텐츠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전체 중에서 상기 설정된 타겟팅 기준 컨텐츠를 선택한 이력을 가지는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제2 컨텐츠를 제공 받을 타겟팅 사용자 단말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식별 데이터 부여부에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컨텐츠 각각에 대해 식별 데이터를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KR1020140041115A 2014-04-07 2014-04-07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 KR10156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15A KR101561233B1 (ko) 2014-04-07 2014-04-07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15A KR101561233B1 (ko) 2014-04-07 2014-04-07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506A true KR20150116506A (ko) 2015-10-16
KR101561233B1 KR101561233B1 (ko) 2015-10-19

Family

ID=5436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115A KR101561233B1 (ko) 2014-04-07 2014-04-07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1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3130B2 (en) 2019-02-13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797B1 (ko) 2017-11-09 2022-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전자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810B1 (ko) 2010-05-26 2011-04-25 (주) 라이브포인트 광고 대상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3130B2 (en) 2019-02-13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1233B1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8035B2 (en) Promoting products on a social networking system based on information from a merchant site
US20160063537A1 (en) Updating promotions provided to social media groups
KR20150126016A (ko) 페어링된 식별자에 기반한 광고 기회를 위한 사용자의 식별
CN102804216A (zh) 定向图像广告
WO2010138861A2 (en) Contextual content targeting
CN104765758A (zh) 用于搜索结果定向的系统和方法
WO20161550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elevant advertisements
US20130066708A1 (en) Online advertis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300067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comparative advertising
JP6320258B2 (ja) 抽出装置、抽出方法及び抽出プログラム
JP2015075887A (ja) 広告情報共有システム
KR20180062629A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장치
KR101561233B1 (ko) 사용자 단말 타겟팅 시스템 및 방법
JP2017091054A (ja) 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配信方法
US201900574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KR20170011070A (ko) 키워드 광고 랜딩 페이지 설정 방법, 키워드 광고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3218369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商品紹介支援システム
US20140280119A1 (en) Search results modific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593929B1 (ko) 파라미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16254A (ko) 전시회 사이트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KR20150107496A (ko) 어플리케이션간 사용자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는 단말 및 서버
JP6941544B2 (ja) 広告媒体アプリにより表示するコンテンツ上のクリックされたリンク先記述を所定の広告主要件に照らして要件適合であればaspシステムに通知すること
JP6487204B2 (ja) コメント文章から人の心理状態に影響した場所を検知する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20150034547A (ko) 애플리케이션간 사용자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2152A (ko) 인터넷 광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