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616A -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616A
KR20150115616A KR1020140175131A KR20140175131A KR20150115616A KR 20150115616 A KR20150115616 A KR 20150115616A KR 1020140175131 A KR1020140175131 A KR 1020140175131A KR 20140175131 A KR20140175131 A KR 20140175131A KR 20150115616 A KR20150115616 A KR 20150115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camera
portable terminal
reflecting mirro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298B1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닛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닛시테크 filed Critical (주)닛시테크
Priority to PCT/KR2015/00104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52515A1/ko
Publication of KR2015011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에 투명 보호창으로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휴대단말기에부착되는 통형의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렌즈 주변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반사경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회전반사경부재를 삽입하여 회전반사경부재의 회전손잡이가 하우징부재의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사용자는 회전손잡이를 조작하여 절개부를 통해 회전시키면 하우징부재 내의 반사경이 회전하여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렌즈의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피사체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손잡이를 이용하여 반사경의 방향을 조절하면 용이하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Control device for the shooting angle of the camera}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폰 등의 휴대단말기의 렌즈 부위에 부착하여 특정 위치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 카메라 렌즈를 피사체를 향하도록 휴대단말기를 움직이지 않고도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는 휴대단말기의 이면의 소정 위치에 카메라 렌즈가 노출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렌즈를 피사체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해서 휴대단말기를 움직여야 한다.
휴대폰에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변경시켜 촬영하도록 한 발명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05658호(공개일 2014년1월15일)의 “촬영각 조절용 프리즘부재 및 이를 갖는 휴대단말기”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렌즈 촬영각을 조절하는 촬영각 조절용 프리즘부재로서, 상기 촬영각 조절용 프리즘 부재는 촬영각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굴절시키는 프리즘; 상기 프리즘을 내부에 수용하며 둘레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프리즘커버;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후방카메라의 렌즈 전면이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의 양측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단말기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공개발명은, 양측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프리즘을 수용하기 위한 프리즘커버와; 렌즈가 노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을 포함하여 장홈의 양측에 상기 프리즘커버의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단말기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프리즘 각도는 고정되어 있고, 프리즘이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기를 항상 피사체의 방향에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고 전용 단말기보호커버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전용 단말기보호커버가 불필요하며, 휴대단말기를 피사체의 방향으로 맞추지 않고, 평상시 사용하던 상태 그대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피사체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움직임으로써 발생되는 손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발명이 요망된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05658호(공개일 2014년1월15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전용 단말기보호커버가 불필요하며, 휴대단말기의 렌즈 방향을 피사체의 방향으로 맞추지 않고 평상시 사용하던 상태 그대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피사체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움직임으로써 발생되는 손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에 투명 보호창으로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통형의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투명 보호창으로 입사된 빛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경은 회전반사경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하가 개방되어 있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소정 높이의 원통형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의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전체 원주 중 일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와; 상기 탈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원주를 따라 소정 높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반사경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바디부의 내측 하단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벽에 인접하는 외경을 갖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의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외벽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기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소정 길이의 회전손잡이와; 상기 차폐부재의 내벽에 고정되고 반사면이 상기 차폐부재의 중심 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반사경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용 단말기보호커버가 불필요하며, 휴대단말기의 렌즈 방향을 피사체의 방향으로 맞추지 않고 평상시 사용하던 상태 그대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피사체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움직임으로써 발생되는 손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실시예 중 주요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실시예 중 주요부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실시예의 사용 상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는 렌즈(20)와 CCD소자(30)를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단말기(10)에 적용되는 것이다.
하우징부재(100)는 원통형의 바디부(110)와 탈부착부(120)를 포함한다. 탈부착부(120)는 상기 렌즈(20)를 내부에 수용하고 휴대단말기(10)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바디부(110)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형으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탈부착부(120)에 연결된다. 탈부착부(120)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에 접착될 수도 있고, 고무밴드에 의해 임시로 휴대단말기(10)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클립 형태의 고정수단에 의해 휴대단말기(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탈부착부(120)는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단말기(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부에는 원주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 소정 길이의 절개부(130)가 마련된다. 바디부(110)의 상부측 개방부는 투명 보호창(300)에 의해 폐쇄된다.
회전반사경부재(200)는 차폐부재(210)와 반사경(240)을 포함한다.
소정 높이의 원통형의 차폐부재(210)는 상기 하우징부재(100)의 바디부(110)의 내측 하단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110)의 내벽에 인접하는 외경을 갖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차폐부재(210) 역시 상부와 하부가 개방(220)되어 있다.
소정 길이의 회전손잡이(230)가 상기 차폐부재(210)의 외벽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부재(100)의 상기 절개부(1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반사경(240)은 상기 차폐부재(210)의 내벽에 고정되고 반사면이 상기 차폐부재(210)의 중심 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하우징부재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절개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우징부재(100)는, 상하가 개방되어 있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소정 높이의 원통형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하단부의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전체 원주의 1/2 길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10) 또는 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120)와; 상기 탈부착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원주를 따라 소정 높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면 부호 300은 상기 바디부(110)의 상측 개구를 폐쇄시키기 위한 투명 보호창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실시예 중 주요부인 회전반사경부재(200)의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부재(210)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벽에 인접하는 외경을 갖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220)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으로서, 상기 하우징부재(100) 바디부(110)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상기 절개부(130)를 차폐시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손잡이(230)는 차폐부재(210)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어 바디부(110)의 절개부(13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반사경(2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240)은 상기 회전손잡이(230)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차폐부재(21)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반사경(240)의 반사면이 상기 차폐부재(210)의 중심부 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경(240)의 높이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재(100)의 내부에 회전반사경부재(200)를 삽입하여 회전반사경부재(200)의 회전손잡이(230)가 하우징부재(100)의 절개부(1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사용자는 회전손잡이(230)를 조작하여 절개부(130)를 통해 회전시키면 하우징부재(100) 내의 반사경(240)이 회전하여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의 렌즈(20)의 방향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피사체(300)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손잡이(230)를 이용하여 반사경(240)의 방향을 조절하면 용이하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반사경(240)을 회전시키는 구성은 선택적 사항이다. 간이한 구성을 위해 반사경(240)은 하우징부재(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피사체(400)로부터 입사된 빛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반사경(240)에 한번 반사되어 진행방향이 바뀐 상태에서 렌즈(20)로 입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10)의 면방향(렌즈(20)의 광축 방향)과 피사체(400)에서 반사경(240)으로 입사되는 빛의 광로는 서로 소정의 각도로 교차하게 된다. 즉 피사체(400)로부터 비스듬한 각도를 통해 렌즈(20)에 빛이 입사되는 것이다.
이는 사진 촬영시 휴대단말기(10)를 피사체(400)를 향하여 수직으로 세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10)를 사용하는 각도(K, 6 참조)로 피사체(400)를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이 각도(K)는 30 ~ 60°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부재(100)에 반사경(240)과 더불어 빛반사기능을 하는 보조경(245)이 더 설치되고 있다. 보조경(245)는 반사경(240)과 투명 보호창(30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투명 보호창(300)으로 입사된 피사체(400)의 빛이 1차적으로 반사된 다음 반사경(240)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2번의 반사에 의해 상이 반전되지 않고 렌즈(20)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반사경(240)과 보조경(245)의 설치 각도는 반사의 원리에 입각하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하우징부재(100)의 바디부(110)하단에 있는 탈부착부(120)는 절곡 형성된 걸림대(105)에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회전 각도는 90° 정도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투명 보호창(300)이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든지 그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보조경(245) 및 반사경(240)을 거쳐 렌즈(20)에 입사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렌즈 방향을 피사체의 방향으로 맞추지 않고 평상시 사용하던 상태 그대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피사체 촬영을 위해 카메라를 움직임으로써 발생되는 손 떨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부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또는 커버의 렌즈 위치에 부착하고,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렌즈 주변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회전반사경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00: 하우징부재 110: 바디부
120: 탈부착부 130: 절개부
200: 회전반사경부재 210: 차폐부재
230: 회전손잡이 240: 반사경
245 : 보조경

Claims (4)

  1.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에 투명 보호창으로 폐쇄되어 있고 하부가 휴대단말기에 부착되는 통형의 하우징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투명 보호창으로 입사된 빛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렌즈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하가 개방되어 있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의 소정 높이의 원통형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단부의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전체 원주 중 일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 또는 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탈부착부와;
    상기 탈부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원주를 따라 소정 높이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회전반사경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재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회전반사경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바디부의 내측 하단 부위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의 내벽에 인접하는 외경을 갖고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의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외벽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부재의 상기 절개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소정 길이의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경은 상기 차폐부재의 내벽에 고정되고 반사면이 상기 차폐부재의 중심 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에는 상기 반사경과 더불어 빛반사기능을 하는 보조경이 더 설치되되;
    상기 보조경은 상기 반사경과 투명 보호창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투명 보호창으로 입사된 피사체의 빛이 1차적으로 반사된 다음 상기 반사경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KR1020140175131A 2014-04-04 2014-12-08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KR10162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1042 WO2015152515A1 (ko) 2014-04-04 2015-01-30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766 2014-04-04
KR1020140040766 2014-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616A true KR20150115616A (ko) 2015-10-14
KR101627298B1 KR101627298B1 (ko) 2016-06-03

Family

ID=5435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131A KR101627298B1 (ko) 2014-04-04 2014-12-08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5208A (zh) * 2017-04-12 2017-08-18 福建蓝帽子互动娱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设备的投影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73A (ko) * 2003-05-09 2003-06-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회전식 반사판을 이용하여 양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US20110081946A1 (en) * 2009-10-07 2011-04-07 Byron Singh N John Singh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mage-capturing position of a mobile phone camera using a mirror device
KR20130006851A (ko) * 2011-06-24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140005658A (ko) 2012-07-06 2014-01-15 정한결 촬영각 조절용 프리즘부재 및 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873A (ko) * 2003-05-09 2003-06-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회전식 반사판을 이용하여 양방향을 촬영할 수 있는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US20110081946A1 (en) * 2009-10-07 2011-04-07 Byron Singh N John Singh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an image-capturing position of a mobile phone camera using a mirror device
KR20130006851A (ko) * 2011-06-24 201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140005658A (ko) 2012-07-06 2014-01-15 정한결 촬영각 조절용 프리즘부재 및 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5208A (zh) * 2017-04-12 2017-08-18 福建蓝帽子互动娱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子设备的投影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298B1 (ko) 2016-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1151B2 (en) Cases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onfigured to receive auxiliary optical devices
JP3865516B2 (ja) 全方位撮像装置
WO2012139055A3 (en) Mobile device case having an integrated wide-angle lens
KR101173342B1 (ko) 빔 프로젝터의 초점 조절 장치
KR101627298B1 (ko)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US9989833B2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397674B2 (ja) カバー付き撮影装置
JP2016090950A (ja) レンズフード及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
JP6272090B2 (ja) レンズフード及び撮像装置
JP2008076581A5 (ko)
KR20090086753A (ko) 렌즈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렌즈 커버
WO2015152515A1 (ko)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CN205844623U (zh) 一种全息内视镜镜头结构
KR101821412B1 (ko) 촬영 장치
JPWO2016038829A1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6674277B2 (ja) 照明用アダプタ
JP2014041380A (ja) ドーム型カメラ
CN209746327U (zh) 一种带屈光度调节的180度取景器
JP4947615B2 (ja) 撮像装置
CN106933002A (zh) 镜头装置
JP5989133B2 (ja) 水中カメラハウジング
JP6674276B2 (ja) 照明用アダプタ
JP2600590Y2 (ja) シャッタ
JP2001103348A (ja) カメラハウジング
JP5300465B2 (ja) 撮像装置及びレン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