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851A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851A
KR20130006851A KR1020110061661A KR20110061661A KR20130006851A KR 20130006851 A KR20130006851 A KR 20130006851A KR 1020110061661 A KR1020110061661 A KR 1020110061661A KR 20110061661 A KR20110061661 A KR 20110061661A KR 20130006851 A KR20130006851 A KR 20130006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housing
camera device
terminal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851A/ko
Priority to US13/242,308 priority patent/US20120327296A1/en
Publication of KR20130006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하우징에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촬영용 개구;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내장된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촬영용 개구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반사경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조작하기 편안하게 단말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하므로, 증강 현실 기능 등을 활용함에 있어서 주위 환경에 따른 제약을 해소하기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CAMER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촬영이나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전송과 같은 상대 사용자와의 통신 기능이나, 인터넷, 모바일 뱅킹, 멀티미디어 파일 전송과 같은 데이터 통신 기능, 게임이나 음악, 동영상 재생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기능, 게임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전자 수첩 기능 등 각각의 기능으로 특화된 기기가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전기/전자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도 다양한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에 카메라 장치가 탑재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콤팩트형 디지털 카메라 시장이 점차 잠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는 음성통화를 뛰어 넘어 영상 통화를 가능하게 해 주었고, 스마트 폰을 통해 증강 현실(Argumented Reality)을 구현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에 가상의 물체나 정보를 겹쳐 보이게 하는 기술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카메라 장치를 통해 특정 건물이나 매장을 비추었을 때 해당 건물이나 매장의 다양한 정보를 피사체의 외형과 함께 화면으로 출력하게 하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대표적인 증강 현실의 활용 사례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 촬영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향하게 설치된 카메라 모듈과 화상 통화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나란하게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바, 증강 현실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대향하게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피사체 방향을 향하도록 단말기를 들고 화면을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유동인구가 많은 상가 밀집지역이나 지하철역 등의 공공장소에서 증강 현실 기능의 활용을 위해 카메라 모듈을 피사체 방향으로 향하게 할 경우, 주위 사람들로부터 사생활 침해의 오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따라 증강 현실 기능의 활용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증강 현실 기능의 활용에 있어 사용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 촬영하면서도 단말기의 입력 장치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촬영용 개구;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내장된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촬영용 개구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반사경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댑터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을 감싸게 결속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돌출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속된 때, 상기 안내부가 상기 촬영용 개구에 상응하게 위치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는 자성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어댑터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에서 90도 각도 범위에서 회동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댑터가 평판 형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어댑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면서 상기 어댑터가 회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안내 부재들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반사경은 상기 어댑터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는, 어댑터에 내장된 반사경을 통해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 자체의 촬영 방향을 반드시 피사체를 향하게 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시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조작하기 편안하게 단말기를 위치시키면서도 원하는 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증강 현실 기능 등을 활용함에 있어서, 주위 환경에 따른 제약을 해소하기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주요 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카메라 장치(101)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하우징(111)에 형성된 촬영용 개구(119)와, 반사경(129a)이 내장된 어댑터(102)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터치스크린 기능이 탑재되어, 별도의 문자나 숫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설치될 필요가 없다. 상기 단말기(100)의 후면에는 카메라 장치(101)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11) 내부에 카메라 모듈(113)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113)이 설치된 위치와 상응하게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11)에 상기 촬영용 개구(119)가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13)은 상기 촬영용 개구(119)를 통해 피사체 촬영을 위한 경로를 확보하게 된다. 다만, 상기 촬영용 개구(119)는 유리나 아크릴과 같은 투명한 재질의 윈도우에 의해 폐쇄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상기 어댑터(102)는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11)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어댑터(102)는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11)을 일부분을 감싸게 결합되는 구성을 예시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어댑터(102)는 몸체부(121), 안내부(123) 및 개구부(125)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21)는 상기 단말기(100) 하우징(111)의 후면과 양측면 및 상단면을 감싸게 결합되어 상기 어댑터(102)를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11) 상에 결속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21)가 반드시 상기 하우징(111)의 후면, 양측면, 상단면을 모두 감싸게 결합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몸체부(121)는 상기 어댑터(102)를 상기 하우징(111)에 결속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된다면 반드시 상기 단말기(100) 하우징(111)의 3개 면을 감싸게 결합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21)는 상기 하우징(111)의 후면 상에 위치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21)를 상기 하우징(111)의 후면에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몸체부(121)가 상기 하우징(111)에 결합되면, 상기 어댑터(102),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부(123)는 상기 카메라 모듈(113)과 상응하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안내부(123)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부(121)를 관통하여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개구(127)가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개구부(125)는 상기 안내부(123)의 일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21)가 상기 하우징(11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25)는 상기 단말기(100)의 측방향을 향하게 위치된다.
상기 반사경(129a)은 상기 안내부(123)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내부(123)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안내부(123) 내측에는 회동핀(129b)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경(129a)은 상기 회동핀(129b)에 고정되어, 상기 회동핀(129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내부(123)의 내측에서 회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13)의 촬영 방향에 대하여 상기 반사경(129a)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102)가 상기 단말기(100)에 결합되면, 상기 하우징(111)의 후면 방향을 향하는 상기 카메라 모듈(113)의 촬영 경로는 상기 안내부(123)와 간섭되며, 상기 단말기(100)의 측방향을 향하는 상기 개구부(125)를 통해서만 촬영 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경(129a)은 상기 촬영용 개구(119), 개구(127)와 상기 개구부(125) 사이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13)의 촬영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어댑터(102)가 상기 단말기(100)에 결합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113)의 촬영 방향은 반사경(129a)에 의해 전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부(123)를 상기 몸체부(121)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00)의 후면에 수직 방향,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21)의 일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R)을 중심으로 상기 안내부(123)를 회전 가능하게 한다면, 상기 카메라 모듈(113)의 촬영 방향을 더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반사경(129a)이 상기 안내부(123)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113)의 촬영 방향을 더욱더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 모듈(113)이 피사체를 향하지 않더라도 피사체의 촬영이나 증강 현실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카메라 모듈과 촬영용 개구는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하게 구성되지만, 어댑터의 구성에서 선행 실시 예와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나 상세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어댑터(221)는 평판 형상으로서, 그 일단의 가장자리가 단말기(100)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O'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어댑터(221)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경로를 개방하게 된다. 즉, 상기 어댑터(221)는 상기 단말기(100) 상에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이때, 상기 어댑터(221)가 상기 단말기(100)의 후면으로부터 90도까지 개방된다면, 상기 카메라 모듈은 최초 설치된 방향, 즉, 상기 단말기(100)의 후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상기 어댑터(221)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후면이 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촬영용 개구를 완전히 폐쇄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어댑터(221)의 내측면에는 반사경이 배치되어 상기 어댑터(221)의 개방각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P)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221)의 내측면에 설치된 반사경에 의한 촬영 경로가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어댑터(221)의 양측에는 각각 안내 부재(223)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 부재(223)들은 각각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221)가 회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10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반사경을 내장한 어댑터를 단말기에 결합한 경우, 카메라 모듈에 결상되는 이미지는 상하, 좌우가 반전된 상태로 결상되기 때문에, 이를 실제 사용자의 시선으로 보이는 피사체와 일치시키기는 보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기는 촬영 이미지의 상하, 좌우를 반전시키는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 등을 내장하고 있음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01: 카메라 장치
102: 어댑터 121: 몸체부
123: 안내부 125: 개구부
129a: 반사경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의 촬영 경로를 제공하는 촬영용 개구;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제공되는 어댑터; 및
    상기 어댑터에 내장된 반사경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촬영용 개구 상에 제공되며, 상기 반사경은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을 전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적어도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을 감싸게 결속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돌출된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가 상기 하우징에 결속된 때, 상기 안내부가 상기 촬영용 개구에 상응하게 위치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방향을 향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몸체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자성체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부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하우징에 출몰 가능하게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평판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밀착된 상태에서 90도 각도 범위에서 회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어댑터가 회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기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안내 부재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상기 어댑터 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영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 조절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20110061661A 2011-06-24 2011-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1300068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661A KR20130006851A (ko) 2011-06-24 2011-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US13/242,308 US20120327296A1 (en) 2011-06-24 2011-09-23 Camer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661A KR20130006851A (ko) 2011-06-24 2011-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851A true KR20130006851A (ko) 2013-01-18

Family

ID=4736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661A KR20130006851A (ko) 2011-06-24 2011-06-24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327296A1 (ko)
KR (1) KR201300068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616A (ko) * 2014-04-04 2015-10-14 (주)닛시테크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WO2016093424A1 (ko) * 2014-12-08 2016-06-16 (주)닛시테크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앵글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6364B2 (en) * 2013-08-27 2015-11-03 Dan Vance Deployable storable mirror
US20150189158A1 (en) * 2013-12-28 2015-07-02 Connor Hailey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presenting a field of view from a camera of a device on a display of the device in the background of non-camera functionality
US10116776B2 (en) 2015-12-14 2018-10-30 Red.Com, Llc Modular digital camera and cellular phone
WO2020034996A1 (zh) * 2018-08-16 2020-02-20 深圳市派虎科技有限公司 用于移动电子设备的辅助摄像装置及其组装方法
JP7197215B2 (ja) * 2021-05-10 2022-12-27 株式会社ノビタス 携帯端末ケース及び監視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616A (ko) * 2014-04-04 2015-10-14 (주)닛시테크 카메라 촬영 각도 조절 장치
WO2016093424A1 (ko) * 2014-12-08 2016-06-16 (주)닛시테크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렌즈 앵글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327296A1 (en)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85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100617675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KR100454965B1 (ko)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개방수단을 구비한휴대용 통신장치
KR100678189B1 (ko) 삼각 거치가 가능한 와이드 타입 휴대 통신 장치
KR100532334B1 (ko)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7702096B2 (en) Self-cradling type portable terminal
EP1777923A1 (en)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liding and slanting housing carrying a display and loudspeakers
KR100663422B1 (ko) 휴대 통신 장치
CN101841584B (zh) 支撑结构及具该支撑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US7869840B2 (en) Semi-automatic swing device for sw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4128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005564A (ja) 携帯電話装置
EP1650934A2 (en) Foldable phone with a 3d ginge and a camera in the hinge
KR100703496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장치
KR100762671B1 (ko) 수광 패널을 이용한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KR2005000978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50075561A (ko)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0658207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100557079B1 (ko) 슬라이딩/회전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39507B1 (ko) 더블 폴더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57418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9703B1 (ko)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KR100675174B1 (ko) 회전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