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818A - 접이식 자전거 - Google Patents

접이식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818A
KR20150114818A KR1020140039490A KR20140039490A KR20150114818A KR 20150114818 A KR20150114818 A KR 20150114818A KR 1020140039490 A KR1020140039490 A KR 1020140039490A KR 20140039490 A KR20140039490 A KR 20140039490A KR 20150114818 A KR20150114818 A KR 20150114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frame
front wheel
rear wheel
fram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1832B1 (ko
Inventor
김홍진
Original Assignee
아메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메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832B1/ko
Priority to EP14182745.1A priority patent/EP2927106A1/en
Publication of KR2015011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전륜과 핸들이 설치되는 전륜 프레임부, 후륜 및 구동모듈이 설치되는 후륜 프레임부 및 전륜과 후륜이 엇갈려서 중첩되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가 자전거 또는 전체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제작되는 구성을 마련하여, 자전거의 중앙부에 마련된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륜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켜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접이식 자전거를 접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접이식 자전거{FOLDERBLE BICYCLE}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중간부에 마련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근거리 이동수단의 하나로써, 운동 또는 취미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자전거의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 프레임에 장착되는 바퀴, 페달, 손잡이, 안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자전거는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보관 및 운반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프레임을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전거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접이식 자전거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헤드튜브, 시트지주부, 다운튜브에 제1 내지 제4 관절점을 마련하여 평면에 접기가 가능한 접이식 자전거 프레임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전방 프레임, 주 프레임, 후방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자전거에서 주 프레임에 마련된 전방 피봇 로드와 후방 피봇 로드를 중앙의 연결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서 주 프레임,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을 접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후륜프레임과 메인프레임에 힌지 결합부를 형성해서 후륜과 전륜을 중첩시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개시해서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39065호(2012년 4월 30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3-0002283호(2013년 4월 15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43613호(2012년 5월 11일 공고)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평면상에서 프레임을 접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적어도 2 이상의 관절점이나 피봇 로드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프레임을 접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접이 동작 또한 복잡하고 어렵고, 부품수가 증가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특허문헌 3은 하나의 관절점으로 마련된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륜과 전륜을 중첩시킴으로써, 접이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은 전륜과 페달, 안장이 설치되도록 메인프레임을 형성하고,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후륜포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에 따라, 메인프레임의 길이로 인해 접은 상태에서의 부피를 최소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중앙부에 힌지 결합부를 마련하여 접은 상태에서 부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중앙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전륜과 후륜을 엇갈려 중첩시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 중앙부에 마련된 힌지 결합부로 인한 프레임의 강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접이식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전륜과 핸들이 설치되는 전륜 프레임부, 후륜 및 구동모듈이 설치되는 후륜 프레임부 및 전륜과 후륜이 엇갈려서 중첩되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가 자전거 또는 전체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전륜 프레임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 전륜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의 중심선과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일측으로 기울어져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접이 동작시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엇갈려서 중첩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한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의 회전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전륜 프레임부의 후단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 레버 및 상기 잠금 레버의 하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륜 프레임부는 접이식 자전거의 메인 프레임 전단부를 형성하는 전륜 프레임, 전륜이 설치되는 전륜 포크 및 상기 전륜 포크를 전륜 프레임의 선단에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포크는 접이 동작시 상기 후륜 프레임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전륜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튜브의 상단과 상부에 핸들이 결합되는 핸들프레임 사이에는 자전거를 접는 경우 상기 핸들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튜브의 상단에 마련된 제1 결합 플랜지 및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마련된 제2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핸들프레임의 접철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제1 및 제2 결합 플랜지에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와 힌지축은 일측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의 중앙부에는 편심되게 설치되는 편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편심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봉 상단과 핸들프레임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를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륜 프레임부는 자전거의 메인 프레임 후단부를 형성하는 후륜 프레임 및 상기 후륜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구동모듈과 후륜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 프레임부의 후단면과 후륜 프레임부의 선단면에는 각각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에 의하면, 자전거의 중앙부에 마련된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륜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켜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접이식 자전거를 접을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힌지 결합부의 회전축을 일측으로 기울여서 경사지게 설치함에 따라, 전륜과 후륜을 엇갈려 중첩시켜 접을 수 있고, 계단이나 좁은 공간에서 접이식 자전거를 접은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륜 및 후륜 프레임에 각각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마련하여 메인 프레임 중앙부의 강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잠금레버를 회전 동작시키는 한번의 조작으로 전륜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을 중첩되게 접고, 보관시에는 핸들 프레임을 전륜 포크 측으로 접어서 접이식 자전거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성 및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륜 프레임부화 핸들 프레임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륜 프레임부와 핸들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저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 결합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
도 7 및 도 8은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11)과 핸들(12)이 설치되는 전륜 프레임부(20), 후륜(13) 및 구동모듈(14)이 설치되는 후륜 프레임부(20) 및 전륜(11)과 후륜(13)이 엇갈려서 중첩되도록 전륜 프레임부(20)와 후륜 프레임부(3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40)를 포함한다.
전륜 프레임부(20)과 후륜 프레임부(10)는 자전거 또는 전체 프레임의 중앙부에 힌지 결합부(40)가 마련되도록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를 접철 동작시켜 접힌 상태의 자전거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륜 프레임부(20)는 대략 접이식 자전거(10)의 메인 프레임 전단부를 형성하는 전륜 프레임(21), 전륜(11)이 설치되는 전륜 포크(22) 및 전륜 포크(22)를 전륜 프레임(21)의 선단에 연결하는 연결튜브(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륜 프레임(21)은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인 파이프를 이용해서 제작될 수 있다.
전류 포크(22)는 전륜 및 후륜 프레임부(20,30)의 접철 동작시 후륜 프레임부(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전륜(11)의 일측에만 설치되도록 하나의 바 중앙부를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튜브(23)는 단면이 대략 원통 형상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튜브(23)의 상단과 상부에 핸들(12)이 결합되는 핸들프레임(15) 사이에는 자전거를 접는 경우 핸들프레임(15)을 접을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결합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륜 프레임부와 핸들 프레임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륜 프레임부와 핸들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다.
결합부(2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23)의 상단에 마련된 제1 결합 플랜지(241)와 핸들프레임(15) 하단에 마련된 제2 결합 플랜지(242)를 포함하고, 결합부(24)에는 핸들프레임(15)의 접철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수단(25)이 장착될 수 있다.
잠금수단(25)은 결합부(24)의 제1 및 제2 결합 플랜지(241,242)에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26)과 힌지축(26)의 일단에 결합되는 레버(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수단(25)은 레버(27)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핸들프레임(15)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27)를 힌지 회전시하면 핸들프레임(15)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핸들프레임(15)의 접철 작동이 가능하게 하는 QR 레버(Quick Release Lever)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힌지축(26)의 중앙부에는 편심되게 설치되는 편심부재(261)가 마련되고, 편심부재(261)에는 힌지축(26)의 회전운동시 편심부재(261)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연결부재(28)가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28)는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인 사각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튜브(23)의 내부에 전륜포트(22)의 상단과 연결되는 연결봉(221)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28)의 선단에는 연결튜브(23)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봉(221) 상단과 핸들프레임(15)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243,244)에 결합되는 고정부재(29)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29)는 편심부재(261)가 힌지축(26)의 후단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 제1 및 제2 돌출부(243,244)가 서로 접촉된 상태로 고정해서 핸들프레임(15)의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잠금 동작한다.
반면, 고정부재(29)는 편심부재(261)가 힌지축(26)의 전단측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 제1 및 제2 돌출부(243,244)가 분리되도록 전방로 이동해서 핸들프레임(15)의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한편, 연결튜브(23)와 핸들프레임(15)을 결합하는 결합부(24)와 힌지축(26)은 일측,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았을 때, 좌측 하방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α)만큼 기울어져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튜브(23)와 핸들프레임(15)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경사지게 설치된 힌지축(27)에 의해 결합됨에 따라, 핸들(12) 및 핸들프레임(15)은 힌지축(2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륜 프레임부(20)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자전거의 접이 동작시 핸들 및 핸들프레임을 전륜 프레임부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회전시켜 자전거를 접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후륜 프레임부(30)는 자전거의 메인 프레임 후단부를 형성하는 후륜 프레임(31) 및 후륜 프레임(31)에 결합되고 구동모듈(14)과 후륜(13)이 설치되는 하우징(32)을 포함할 수 있다.
후륜 프레임(31)은 전륜 프레임(21)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대략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인 파이프를 이용해서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32)의 내부에는 구동모듈(14)을 구성하는 구동 기어(도면 미도시), 종동 기어(도면 미도시), 체인(도면 미도시)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종동 기어에 각각 결합된 페달축과 후륜축에는 페달(16)과 후륜(13)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힌지 결합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이식 자전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힌지 결합부의 단면도이다.
힌지 결합부(40)는 전륜 프레임(21)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41)와 후륜 프레임(31)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2 플랜지(42) 및 제1 플랜지(41)와 제2 플랜지(42)에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의 중심선(O)과 미리 설정된 각도(β)만큼 일측으로 기울어져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을 전륜 프레임 및 후륜 프레임과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설치함에 따라, 전륜 포크와 하우징이 서로 엇갈려서 중첩되게 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의 접은 상태에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41)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제2 플랜지(42)는 하나로 마련되며, 제1 및 제2 플랜지(41,42)의 중앙부에는 각각 회전축(43)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41,42)는 각각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제1 플랜지(41) 사이에 제2 플랜지(42)가 삽입되어 겹쳐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제1 및 제2 플랜지(41,42)를 반원판이나 타원 형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2 플랜지(42)를 한 쌍으로 형성하고, 제1 플랜지(41)를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플랜지를 각각 복수로 형성해서 겹쳐지게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으로 이루어지는 메인 프레임의 강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륜 프레임(21)의 후단면에는 결합돌기(211)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후륜 프레임(31)에 결합돌기(211)에 대응되는 결합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전륜 프레임(21)에 결합홈(311)이 형성되고 후륜 프레임(31)에 결합돌기(211)가 형성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는 힌지 결합부(40)를 중심으로 한 전륜 프레임부(20)와 후륜 프레임부(30)의 회전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 프레임(21)의 후단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 레버(51) 및 잠금 레버(51)의 하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륜 프레임(31)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312)에 삽입되는 잠금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레버(51)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잠금 레버(51)의 전단부는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전륜 프레임(21)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삽입홈(312)은 잠금부재(5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홈(312)의 전측 상단에는 잠금부재(52)의 선단부가 걸리는 걸림턱(3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재(52)와 잠금 레버(51) 사이에는 스프링(도면 미도시)이 설치되고, 잠금부재(52)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부재(52)는 잠금 레버(31)가 전륜 프레임(21) 및 후륜 프레임(31)에 밀착된 상태에서는 삽입홈(312)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혀서 걸림턱(313)에 걸려 고정된다.
이에 따라, 잠금 레버(51)는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22)의 회전 운동이 불가능하도록 잠금 동작한다.
반면, 잠금 레버(51)가 외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면, 잠금부재(52)는 걸림턱(313)에 걸린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운동한다.
이에 따라, 잠금부재(52)와 걸림턱(313)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잠금 레버(51)는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이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한편, 전륜(21)과 후륜(31)에는 서로 겹쳐지는 일면에 각각 접이 동작시 전륜(21)과 후륜(31)을 고정하는 고정수단(도면 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은 전륜(21)과 후륜(31)의 일면에 각각 설치되는 자석(도면 미도시)이나 고정후크와 걸림돌기(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플랜지(41,42)에 회전축(43)을 결합하고, 결합돌기(211)를 결합홈(311)에 결합한다.
이어서, 전륜 프레임(21)에 설치된 잠금 레버(51)를 일측으로 회전운동시켜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 동작시킨다.
이때, 잠금 레버(51)에 힌지 결합된 잠금부재(52)는 삽입홈(312)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혀서 선단이 걸림턱(313)에 걸려 고정된다.
전륜 포크(22)와 하우징(32) 후단부에 각각 전륜(11)과 후륜(13)을 설치하고, 후륜 프레임(31)과 하우징(32) 후측에 각각 구동 기어와 종동 기어를 설치한 후 체인을 설치하고, 하우징(32)의 전단부를 후륜 프레임(31)에 결합한다.
이어서, 전륜 포크(22)의 상단에 연결된 연결봉(221) 상단에 핸들 프레임(15)을 회전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24)에 잠금수단(25)을 설치해서 연결봉(221)과 핸들 프레임(15)이 일직선을 이룬 상태에서 잠금수단(25)을 잠금 상태로 고정한다.
이어서, 핸들 프레임(15)에 핸들(12)을 설치하고, 하우징(32)에 설치된 페달축에 페달(16)을 설치하며, 후륜 프레임(31)에 안장을 설치해서 접이식 자전거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다.
도 6은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의 S10단계에서 잠금부(50)의 잠금 레버(51)를 회전시켜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잠금부재(52)는 후륜 프레임(31)의 삽입홈(313)에 삽입되어 선단이 걸림턱(313)에 걸린 상태에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잠금부재(52)와 걸림턱(313)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잠금 레버(51)는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이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그래서 전륜 및 후륜 프레임(21,31)은 각각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부(40)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서로 겹쳐져서 접철된다(S12).
이때, 전륜(11)과 후륜(13)은 서로 졉쳐저서 고정수단으로 마련된 자석이나 고정후크와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S14).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잠금 레버(51)를 회전시키는 한 번의 동작으로 접이식 자전거의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을 접철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축(43)이 전륜 프레임(21)과 후륜 프레임(31)의 중심선(O)과 미리 설정된 각도(β)만큼 일측으로 기울어져서 설치됨에 따라, 전륜 포크(22)와 하우징(32)가 서로 엇갈려서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의 접은 상태에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이식 자전거를 이용하는 도중에 계단을 통과하거나 좁은 공간에서 접이식 자전거를 접어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자전거(10)를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에는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핸들(12) 및 핸들 프레임(15)을 접어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S16단계에서 핸들 프레임(15)과 전륜 프레임부(20)의 연결봉(221)에 마련된 잠금수단(25)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잠금수단(25)의 레버(27)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힌지축(26)의 편심부재(261)에 결합된 연결부재(28) 및 고정부재(29)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고정부재(29)에 의해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정된 제1 및 제2 돌출부(243,244)가 분리된다.
이에 따라,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핸들 프레임(15)을 회전운동시키면, 핸들 프레임(15)은 전륜 프레임(21)의 일측으로 접철된다(S18).
이후, 핸들 프레임(15)에서 핸들(12)을 분리하거나, 후륜 프레임(31)에서 안장을 분리해서 접이식 자전거(1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접이 상태의 접이식 자전거를 다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이 동작 시와 역순으로, 즉 S18단계부터 S10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접이식 자전거(10)를 본래 상태로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륜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켜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접이식 자전거를 접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륜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켜 접이식 자전거의 부피가 최소가 되도록 접는 접이식 자전거 기술에 적용된다.
10: 접이식 자전거 11: 전륜
12: 핸들 13: 후륜
14: 구동모듈 15: 핸들프레임
16: 페달 20: 전륜 프레임부
21: 전륜 프레임 211: 결합돌기
22: 전륜 포크 221: 연결봉
23: 연결튜브 24: 결합부
241,242: 제1, 제2 결합 플랜지 243,244: 제1, 제2 돌출부
25: 잠금수단 26: 힌지축
261: 편심부재 27: 레버
28: 연결부재 29: 고정부재
30: 후륜 프레임부 31: 후륜 프레임
311: 결합홈 312: 삽입홈
313: 걸림턱 32: 하우징
40: 힌지 결합부 41: 제1 플랜지
42: 제2 플랜지 43: 회전축
50: 잠금부 51: 잠금 레버
52: 잠금부재

Claims (7)

  1. 전륜과 핸들이 설치되는 전륜 프레임부,
    후륜 및 구동모듈이 설치되는 후륜 프레임부 및
    전륜과 후륜이 엇갈려서 중첩되도록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는 상기 힌지 결합부가 자전거 또는 전체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동일하거나 유사한 길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는 상기 전륜 프레임부의 후단에 연결되는 제1 플랜지,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전단에 연결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에 전륜 프레임과 후륜 프레임의 중심선과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일측으로 기울어져 관통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접이 동작시 상기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엇갈려서 중첩되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3. 제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한 전륜 프레임부와 후륜 프레임부의 회전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전륜 프레임부의 후단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 레버 및
    상기 잠금 레버의 하면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후륜 프레임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 프레임부는 접이식 자전거의 메인 프레임 전단부를 형성하는 전륜 프레임,
    전륜이 설치되는 전륜 포크 및
    상기 전륜 포크를 전륜 프레임의 선단에 연결하는 연결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 포크는 접이 동작시 상기 후륜 프레임부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전륜의 일측에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튜브의 상단과 상부에 핸들이 결합되는 핸들프레임 사이에는 자전거를 접는 경우 상기 핸들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튜브의 상단에 마련된 제1 결합 플랜지 및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마련된 제2 결합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핸들프레임의 접철 동작을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제1 및 제2 결합 플랜지에 관통 결합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와 힌지축은 일측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기울어져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중앙부에는 편심되게 설치되는 편심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편심부재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튜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봉 상단과 핸들프레임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를 서로 겹쳐진 상태로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 프레임부는
    자전거의 메인 프레임 후단부를 형성하는 후륜 프레임 및
    상기 후륜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구동모듈과 후륜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 프레임부의 후단면과 후륜 프레임부의 선단면에는 각각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자전거.
KR1020140039490A 2014-04-02 2014-04-02 접이식 자전거 KR101621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90A KR101621832B1 (ko) 2014-04-02 2014-04-02 접이식 자전거
EP14182745.1A EP2927106A1 (en) 2014-04-02 2014-08-29 Foldable bicycle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90A KR101621832B1 (ko) 2014-04-02 2014-04-02 접이식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818A true KR20150114818A (ko) 2015-10-13
KR101621832B1 KR101621832B1 (ko) 2016-05-17

Family

ID=5434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490A KR101621832B1 (ko) 2014-04-02 2014-04-02 접이식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161A (ko) * 2020-12-11 2022-06-20 심중욱 로드뷰 맵을 연동한 실내 스마트 싸이클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565B2 (ja) * 1991-04-26 2001-03-1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話システム
WO2010048723A1 (en) * 2008-10-29 2010-05-06 Peter Boutakis Folding bicycle
JP5904464B2 (ja) * 2012-02-21 2016-04-13 ブリヂストンサイクル株式会社 折り畳み二輪車用フレーム及び二輪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161A (ko) * 2020-12-11 2022-06-20 심중욱 로드뷰 맵을 연동한 실내 스마트 싸이클 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1832B1 (ko) 201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85B1 (ko) 접이식 자전거
KR20160033582A (ko) 접이식 킥보드
RU2750757C2 (ru) Складное персональ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MX2012015230A (es) Ensamble y metodo de traba de articulacion.
KR20140038027A (ko) 접이식 자전거
JP2017047892A (ja) 折り畳み式自転車
KR101621832B1 (ko) 접이식 자전거
WO2017008411A1 (zh) 一种折叠机构及折叠车
JP2006193059A (ja) ハンドルバーの折り畳み・固定機構
KR20150116759A (ko) 컴팩트 접이식 자전거
JP5368496B2 (ja) 折り畳み自転車
EP2927106A1 (en) Foldable bicycle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KR20150114819A (ko) 접이식 자전거의 접이 방법
KR101876174B1 (ko) 접이식 자전거
FR2894929A1 (fr) Velo pliable
US20170190374A1 (en) Engagement Mechanism Assembly for a Scooter
CN104210598B (zh) 一种折叠自行车
US20160185372A1 (en) Front wheel folding structure of three-wheeled cart
KR101537923B1 (ko) 접이식 자전거
AU2020372446B2 (en) Foldable bicycle
CN111038636B (zh) 自行车收折结构及自行车收折方法
CN210101917U (zh) 一种自行车曲柄旋转式快速折叠装置
JP2018034574A (ja) 複輪車両
KR20170001075U (ko) 킥보드용 폴딩 장치
KR102437885B1 (ko) 접이식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