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794A -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794A
KR20150114794A KR1020140039434A KR20140039434A KR20150114794A KR 20150114794 A KR20150114794 A KR 20150114794A KR 1020140039434 A KR1020140039434 A KR 1020140039434A KR 20140039434 A KR20140039434 A KR 20140039434A KR 20150114794 A KR20150114794 A KR 20150114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information providing
prescription
drug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9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794A/ko
Publication of KR20150114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진료 후 복용약을 처방받기 위한 처방전을 병원으로부터 발급받은 경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촬영한 후 복용 약물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하는 경우 복용 약물의 식별정보 및 약품 이름을 추출하여 해당 복용 약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자신이 복용해야 하는 약물의 복용방법, 효능, 부작용에 대해서 잘 알고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Dru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 진료 후 복용약을 처방받기 위한 처방전을 병원으로부터 발급받은 경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촬영한 후 복용 약물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하는 경우 복용 약물의 식별정보 및 약품 이름을 추출하여 해당 복용 약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장 내시경은 항문으로 내시경이라는 특수한 카메라를 삽입하여, 대장 내부 및 대장과 인접한 소장의 말단 부위까지를 관찰하는 검사방법으로, 효과적인 대장 내시경 검사를 위해서 적절한 대장 정결은 필수불가결한 요건이다.
대장 정결이 부적절한 경우, 맹장 삽입율이 감소하고, 대장내시경 검사상의 맹점이 증가하여 병변을 놓칠 가능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검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환자의 불편감 및 검사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현재 대장내시경의 전 처치제로 흔히 사용되는 PEG 용액은 안전하며 우수한 대장 정결 효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검사를 위해서 많은 양을 복용해야 하며 그 맛도 좋지 않아 환자에게 불편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별로 장 정결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현재에는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양의 장 정결액(PEG 용액)을 복용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 특1998-071912 호[발명의 명칭 : 약품정보검색방법] 일본 공개특허 제 2005-128666 호[발명의 명칭 : 실시 투약 정보 체크 시스템]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9-0015415 호[발명의 명칭 : 조제정보 제공/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1-0124931 호[발명의 명칭 : 약품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병원 진료 후 복용약을 처방받기 위한 처방전을 병원으로부터 발급받은 경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촬영한 후 복용 약물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하는 경우 복용 약물의 식별정보 및 약품 이름을 추출하여 해당 복용 약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은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전을 이미지로 생성시켜 제공하고, 처방전에 기록된 복용할 약품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용 약품정보 제공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처방전 이미지 업로드를 요청하고, 업로드된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추출하고, 상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로부터 해당 약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복용 약품 정보를 제공할 때 약품 정보 제공 DB의 웹주소를 링크시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회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번째 약 복용시간을 입력하면 그 다음 약 복용시간에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용 약물정보 제공방법은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용 약물 정보 안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장치로 처방전 이미지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처방전 이미지가 업로드 되면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 명칭을 추출하는 단계,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추출된 약품 식별 전호 및 처방 의약품 명칭을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로 전송하여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에 의해 복용될 약물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복용 약품 정보를 제공할 때 약품 정보 제공 DB의 웹주소를 링크시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회복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번째 약 복용시간을 입력하면 그 다음 약 복용시간에 상기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병원 진료 후 복용약을 처방받기 위한 처방전을 병원으로부터 발급받은 경우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촬영한 후 복용 약물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하는 경우 복용 약물의 식별정보 및 약품 이름을 추출하여 해당 복용 약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환자가 자신이 복용해야 하는 약물의 복용방법, 효능, 부작용에 대해서 잘 알고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용 약물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처방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병원으로부터 처방받은 각각의 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으나, 더 나아가 약을 이루는 물질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약품'과 '약물'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300) 및 통신망(400)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전을 이미지로 생성시켜 제공하고, 처방전에 기록된 복용할 약품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 및 출력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터치패널(110)과, 터치패널(110)을 통해 제공되는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하여 선택되면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쵤영된 처방전 이미지를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고,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로부터 복용 약품과 관련된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아 터치패널(110)을 통해 제공되도록 전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와 통신환경을 구축하는 통신부(13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처방전을 촬영하고, 처방전 이미지를 생성시켜 제어부(120)로 출력하는 카메라(140)로 이루어진다.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요청에 응하여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복용 약품정보 제공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처방전 이미지 업로드를 요청하고, 업로드된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추출하고,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300)로부터 해당 약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복용 약품 정보를 제공할 때 약품 정보 제공 DB(300)의 웹주소를 링크시켜 제공한다.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의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회복정보를 제공한다.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번째 약 복용시간을 입력하면 그 다음 약 복용시간에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업로드되는 처방전 이미지를 수신받아 관리하는 처방전 이미지 수신부(210)와,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약품 식별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정보 추출부(220)와, 정보 추출부(220)로부터 입력되는 약품 식별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정보를 식품 의약품 안전처 DB(300)로 전송하여 해당 의약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는 약품 정보 제공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용 약물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용 약물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용 약물 정보 안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S110)하여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20)한다. 판단 결과 복용 약물 정보 안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처방전 이미지 업로드를 요청(S130)한다.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처방전 이미지가 업로드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40)한다. 판단 결과 처방전 이미지가 업로드되면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업로드된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 명칭을 추출(S150)한다. 즉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처방전에서 붉은 네모박스에 들어 있는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 명칭만 추출한다.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추출된 약품 식별 전호 및 처방 의약품 명칭을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300)로 전송하여 상세 정보를 요청(S160)하고,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에 의해 복용될 약품의 상세 정보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S170)한다.
이때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복용 약품과 관련된 정보가 많은 경우 약품 정보 제공 DB인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300)의 웹주소를 링크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자동으로 약품 정보 제공 DB인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300)로 자동 접속되고, 관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의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회복정보(예를 들면 음식, 식품, 휴식시간, 휴식방법 등등)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약품 정보 제공 서버(200)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번째 약 복용시간을 입력하면 그 다음 약 복용시간에 상기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확한 시간에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약품 정보 제공 서버
300 :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
400 : 통신망

Claims (8)

  1.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방전을 이미지로 생성시켜 제공하고, 상기 처방전에 기록된 복용할 약품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복용 약품정보 제공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처방전 이미지 업로드를 요청하고, 업로드된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추출하고, 상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의 명칭을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로부터 해당 약품의 상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약품 정보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복용 약물 정보 제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복용 약품 정보를 제공할 때 약품 정보 제공 DB의 웹주소를 링크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회복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번째 약 복용시간을 입력하면 그 다음 약 복용시간에 상기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5.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용 약물 정보 안내 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장치로 처방전 이미지 업로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처방전 이미지가 업로드 되면 처방전 이미지로부터 약품 식별 번호 및 처방 의약품 명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추출된 약품 식별 전호 및 처방 의약품 명칭을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로 전송하여 상세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식품 의약품 안전처에 구비된 DB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에 의해 복용될 약물의 상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복용 약품 정보를 제공할 때 약품 정보 제공 DB의 웹주소를 링크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처방전에 포함된 약품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회복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첫번째 약 복용시간을 입력하면 그 다음 약 복용시간에 상기 복용 약품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알람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용 약물정보 제공방법.


KR1020140039434A 2014-04-02 2014-04-02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4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34A KR20150114794A (ko) 2014-04-02 2014-04-02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34A KR20150114794A (ko) 2014-04-02 2014-04-02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94A true KR20150114794A (ko) 2015-10-13

Family

ID=5434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434A KR20150114794A (ko) 2014-04-02 2014-04-02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7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408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필로시스 건강 정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8614B1 (ko) * 2021-11-16 2023-04-06 강재민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408A (ko) * 2019-07-04 2021-01-13 주식회사 필로시스 건강 정보 공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18614B1 (ko) * 2021-11-16 2023-04-06 강재민 복약지도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는 복약지도 방법 및 복약지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te et al. Evaluation of intussusception after monovalent rotavirus vaccination in Africa
US10342410B2 (en) Automated system for medical video recording and storage
US9280888B2 (en) Systems and methods of notifying a patient to take medication
US20150046183A1 (en) Remote, virtual physical exam acquisition and distribution
US202101525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iving communications and providing alerts
KR20140028929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 의료 진료 방법 및 장치
WO2007138489A2 (en) Remote health care system with treatment verification
US20140310024A1 (en) Wifi cloud electronic vital-sign monitoring system
Chauhan et al. Breaking Barriers for Accessible Health Programs: The Role of Telemedicine in a Global Healthcare Transformation
Sabesan et al. Practical aspects of telehealth: are my patients suited to telehealth?
Tarantini et al. The impact of CHA2DS2-VASc and HAS-BLED scores on clinical outcomes in the Amplatzer Amulet Study
KR20150114794A (ko) 복용 약물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WO2019067234A1 (en) DISPLAY DISTRIBUTION TRANSMITTED FOR MEDICAL DEVICES
US11151517B2 (en) Method to determine, remind and validate medication usage
Thomason et al. Home telehealth and hospital readmissions: a retrospective OASIS-C data analysis
Wand et al. Ambulatory management of worsening heart failure: Current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s
KR101593787B1 (ko)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100211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ser Data Received by an Authorized Approver
Pinsky et al. Introducing care management to Brazil’s alcohol and substance use disorder population
Konrad et al. Identification and early treatment of dehydration in home parenteral nutrition and home intravenous fluid patients prevents hospital admissions
KR20230173710A (ko) 자가 샘플링 관리용 전자 장치, 자가 샘플링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uili et al. Emerging roles of telemedicine in dementia treatment and care
CN109481310A (zh) 医护信息的处理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Stansfield Considerations in the management of ulcerative colitis
Rivero-Sanchez et al. Bowel preparation for colonoscopy. Any significant progress on the horiz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