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787B1 -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787B1
KR101593787B1 KR1020140039433A KR20140039433A KR101593787B1 KR 101593787 B1 KR101593787 B1 KR 101593787B1 KR 1020140039433 A KR1020140039433 A KR 1020140039433A KR 20140039433 A KR20140039433 A KR 20140039433A KR 101593787 B1 KR101593787 B1 KR 10159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
service
securing
image
te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793A (ko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78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00Medical syringes, e.g. enemata; Irrigators
    • A61M3/02Enemata; Irrig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85Electrical and electronic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for physical analysis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est method, e.g. user interface or pow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기 이전에 반드시 이루어지는 대장 정결 과정에서 대장 정결제(PEG 용액)의 복용량을 환자의 배변물의 확인과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별로 대상 정결제 복용량이 적어지거나 많아질 뿐만 아니라 환자별로 가장 최적의 장 정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owel preparation}
본 발명은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가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기 이전에 반드시 이루어지는 대장 정결 과정에서 대장 정결제(PEG 용액)의 복용량을 환자의 배변물의 확인과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장 내시경은 항문으로 내시경이라는 특수한 카메라를 삽입하여, 대장 내부 및 대장과 인접한 소장의 말단 부위까지를 관찰하는 검사방법으로, 효과적인 대장 내시경 검사를 위해서 적절한 대장 정결은 필수불가결한 요건이다.
대장 정결이 부적절한 경우, 맹장 삽입율이 감소하고, 대장내시경 검사상의 맹점이 증가하여 병변을 놓칠 가능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검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환자의 불편감 및 검사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현재 대장내시경의 전 처치제로 흔히 사용되는 PEG 용액은 안전하며 우수한 대장 정결 효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검사를 위해서 많은 양을 복용해야 하며 그 맛도 좋지 않아 환자에게 불편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별로 장 정결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현재에는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양의 장 정결제(PEG 용액)을 복용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공개특허 제 2010-0185055 호[발명의 명칭 : INGESTIBLE EVENT MARKER SYSTEMS] 한국 등록특허 제 10-1274496 호[발명의 명칭 : 복용지도 앱을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 한국 공개특허 제 10-2013-0083063 호[발명의 명칭 : 약 복용 지원 장치, 시스템 및 방법] 미국 공개특허 제 2014-0004492 호[발명의 명칭 : System, Method, and Article to Prompt Behavior Chang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가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기 이전에 반드시 이루어지는 대장 정결 과정에서 대장 정결제(PEG 용액)의 복용량을 환자의 배변물의 확인과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은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변물 검사용 이미지를 생성시켜 제공하고, 상기 배변물 검사용 이미지에 응하여 장 정결제의 복용량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대장 내시경을 검사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회원등록안내 및 배변물 검사를 위한 기준 영상 제공 안내메시지를 제공하고, 회원등록안내에 따라 회원등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식별정보를 발행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기준 영상 제공 안내메시지에 응하여 제공되는 기준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초기 장 정결제 복용량 정보를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장 정결제 복용 후 배변이 이루어지는 경우 배변물 영상을 비교 영상으로 요구하고, 배변물 영상을 제공받아 기준 영상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장 정결도를 분석하고 장 정결제 추가 복용량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배변물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조명, 변기색상에 따른 환경을 인지하여 장 정결도를 확인하기 위한 배변물 영상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보정된 배변물 영상을 통해 장 정결 정도를 분석한 후 장 정결제 복용 여부를 결정하고, 장 정결제 복용이 결정되면 장 정결제 복용량정보와 함께 추가 장 정결제 복용요구 및 추가 배변물 영상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검사할 수 있는 장 정결도를 확보한 경우 장 정결제 복용 완료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변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장 내시경을 비롯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진단 또는 치료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용하는 복수의 정결제 및 정결제 복용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은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가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장치로 기준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기준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장치로 장 정결도 분석을 위한 배변물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배변물 영상을 수신받으면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배변물 영상을 보정한 후 장 정결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장 정결도 분석결과 장 정결제를 추가 복용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로 장 정결제 추가 복용 안내 및 추가 복용 후 배변물 영상을 재수신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대장 내시경 검사를 위한 장 정결도가 확보된 경우 장 정결제 복용 중단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장 내시경을 비롯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진단 또는 치료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용하는 복수의 정결제 및 정결제 복용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가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기 이전에 반드시 이루어지는 대장 정결 과정에서 대장 정결제(PEG 용액)의 복용량을 환자의 배변물의 확인과정을 통해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별로 대상 정결제 복용량이 적어지거나 많아질 뿐만 아니라 환자별로 가장 최적의 장 정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 및 통신망(300)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변물 검사용 이미지를 생성시켜 제공하고, 배변물 검사용 이미지에 응하여 장 정결제의 복용량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입력 및 출력 기능을 한꺼번에 제공하는 터치패널(110)과, 터치패널(110)을 통해 제공되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터치하여 선택되면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장 정결도 분석을 위한 기준영상을 생성시키고, 배변물 영상을 생성시켜 장 정결도 서비스 서버(200)로 제공하고, 장 정결도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장 정결제 복용 안내 메시지를 터치패널(110)을 통해 제공되도록 전체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20)와,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환경을 구축하는 통신부(13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기준 영상 및 배변물 영상을 생성시키는 카메라(140)로 이루어진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대장 내시경을 검사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회원등록안내 및 배변물 검사를 위한 기준 영상 제공 안내메시지를 제공하고, 회원등록안내에 따라 회원등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식별정보를 발행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기준 영상 제공 안내메시지에 응하여 제공되는 기준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초기 장 정결제 복용량 정보를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장 정결제 복용 후 배변이 이루어지는 경우 배변물 영상을 비교 영상으로 요구하고, 배변물 영상을 제공받아 기준 영상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장 정결도를 분석하고 장 정결제 추가 복용량을 결정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배변물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조명, 변기색상에 따른 환경을 인지하여 장 정결도를 확인하기 위한 배변물 영상을 자동으로 보정한 후 제공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보정된 배변물 영상을 통해 장 정결 정도를 분석한 후 장 정결제 복용 여부를 결정하고, 장 정결제 복용이 결정되면 장 정결제 복용량정보와 함께 추가 장 정결제 복용요구 및 추가 배변물 영상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검사할 수 있는 장 정결도를 확보한 경우 장 정결제 복용 완료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0)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변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장 내시경을 비롯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진단 또는 치료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용하는 복수의 정결제 및 정결제 복용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는 복수개의 기준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기준영상 DB(210)와, 복수개의 배변물 영상을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배변물 영상 DB(220)와,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장 정결제 복용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장 정결제 복용 정보 DB(230)와,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요청이 이루어지는 경우 기준 영상을 요청하여 제공받아 관리하는 기준영상 관리부(240)와, 기준 영상 수신 후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배변물 영상을 요청하여 보정한 후 장 정결도 확인용 배변물 영상으로 저장, 관리하는 배변물 영상 관리부(250)와, 배변물 영상 관리부(250)으로부터 장 정결도 확인용 배변물 영상을 제공받아 장 정결도를 분석하는 장 정결도 판단부(260)와, 장 정결도 판단부(26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장 정결제의 추가 복용 안내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출력하거나, 또는 장 정결제의 복용 완료 안내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출력하는 장 정결제 복용알림부(27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은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메뉴항목이 선택(S110)되어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기준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 화면을 제공(S120)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기준영상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30)하고, 판단 결과 수신되면,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수신된 기준영상을 기준영상 DB(210)에 등록시켜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장 정결도 분석을 위한 배변물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 화면을 제공(S140)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배변물 영상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S150)하고, 판단 결과 배변물 영상이 수신되면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배변물 영상을 보정한 후 장 정결도를 분석(S160)한다.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장 정결도가 확보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170)한다. 판단 결과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대장 내시경 검사를 위한 장 정결도가 확보된 경우 장 정결제 복용 중단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전송(S180)하고, 장 정결도가 확보되지 않아 장 정결제를 추가 복용해야 하는 경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장 정결제 추가 복용 안내 및 추가 복용 후 배변물 영상을 재수신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S190)한다.
또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장 내시경을 비롯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진단 또는 치료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200)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용하는 복수의 정결제 및 정결제 복용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알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
300 : 통신망

Claims (9)

  1.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변물 검사용 이미지를 생성시켜 제공하고, 상기 배변물 검사용 이미지에 응하여 장 정결제의 복용량을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및
    대장 내시경을 검사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기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가 요청되는 경우 회원등록안내 및 배변물 검사를 위한 기준 영상 제공 안내메시지를 제공하고, 회원등록안내에 따라 회원등록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식별정보를 발행하여 사용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상기 기준 영상 제공 안내메시지에 응하여 제공되는 기준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초기 장 정결제 복용량 정보를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고, 상기 장 정결제 복용 후 배변이 이루어지는 경우 배변물 영상을 비교 영상으로 요구하고, 상기 배변물 영상을 제공받아 기준 영상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장 정결도를 분석하고 장 정결제 추가 복용량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배변물 영상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조명, 변기색상에 따른 환경을 인지하여 장 정결도를 확인하기 위한 배변물 영상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보정된 배변물 영상을 통해 장 정결 정도를 분석한 후 장 정결제 복용 여부를 결정하고, 장 정결제 복용이 결정되면 장 정결제 복용량정보와 함께 추가 장 정결제 복용요구 및 추가 배변물 영상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검사할 수 있는 장 정결도를 확보한 경우 장 정결제 복용 완료 메시지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변물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장 내시경을 비롯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진단 또는 치료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용하는 복수의 정결제 및 정결제 복용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7.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기준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기준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기준영상을 저장하는 한편 사용자 단말장치로 장 정결도 분석을 위한 배변물 영상을 제공받기 위한 안내 메시지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배변물 영상을 수신받으면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배변물 영상을 보정한 후 장 정결도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장 정결도 분석결과 장 정결제를 추가 복용해야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장 정결제 추가 복용 안내 및 추가 복용 후 배변물 영상을 재수신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고, 대장 내시경 검사를 위한 장 정결도가 확보된 경우 장 정결제 복용 중단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장 내시경을 비롯하여 내시경을 이용하여 진단 또는 치료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장 정결도 확보 서비스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장 정결도를 확보하기 위해 복용하는 복수의 정결제 및 정결제 복용방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방법.



KR1020140039433A 2014-04-02 2014-04-02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33A KR101593787B1 (ko) 2014-04-02 2014-04-02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433A KR101593787B1 (ko) 2014-04-02 2014-04-02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93A KR20150114793A (ko) 2015-10-13
KR101593787B1 true KR101593787B1 (ko) 2016-02-15

Family

ID=5434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433A KR101593787B1 (ko) 2014-04-02 2014-04-02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00A (ko) 2018-01-19 2019-07-29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장 정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3655A (ko) * 2020-01-15 2022-10-25 다크 캐뇬 라보라토리즈 엘엘씨 대장내시경검사 준비를 평가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600A (ko) 2018-01-19 2019-07-29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장 정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793A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Bioavailability and population pharmacokinetics of voriconazole in lung transplant recipients
Mudie et al. Quantification of gastrointestinal liquid volumes and distribution following a 240 mL dose of water in the fasted state
Spada et al. Colon capsule endoscopy: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ESGE) guideline
Rees et al. Expert opinions and scientific evidence for colonoscopy key performance indicators
Rembacken et al. Quality in screening colonoscopy: position statement of the Europ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ESGE)
Wang et al. Effect of WeChat and short message service on bowel preparation: an endoscopist-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N110100268A (zh) 用于用户的手的消毒和消毒质量控制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设备
Bassotti et al. Linaclotid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Textor et al. Random migration and signal integration promote rapid and robust T cell recruitment
Zeremski et al. Hepatitis C virus–related knowledge and willingness to receive treatment among patients on methadone maintenance
KR101593787B1 (ko) 환자주도형 장 정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2551778B (zh) 用于确定医学成像中的造影剂量的装置
Iacucci et al. Improving the quality of surveillance colonoscopy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JP2007275596A (ja) 医療総合システム
Schmidt et al. Verification bias in diagnostic accuracy studies for fine‐and core needle biopsy of salivary gland lesions in otolaryngology journals: A systematic review and analysis
Munsterman et al. ‘Pico–Bello–Klean study’: effectiveness and patient tolerability of bowel preparation agents sodium picosulphate–magnesium citrate and polyethylene glycol before colonoscopy. A single-blinded randomized trial
Jover et al. Colonoscopy quality requisites for selecting surveillance intervals: A World Endoscopy Organization Delphi Recommendation
Clarke et al. The role of area-level deprivation and gender in participation in population-based faecal immunochemical test (FIT) colorectal cancer screening
Woelfel et al. Systemic and T cell‐associated responses to SARS‐CoV‐2 immunisation in gut inflammation (STAR SIGN study): effects of biologics on vaccination efficacy of the third dose of mRNA vaccines against SARS‐CoV‐2
Jia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adenoma detection in propofol-sedated patients
Sey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igh volume simethicone to improve visualization during capsule endoscopy
Nojkov et al. Is dyssynergic defecation an unrecognized cause of chronic constipation in patients using opioids?
KR20180024455A (ko) 의료 정보 처리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ng et al. Performance of two neutral oral contrast agents in CT enterography
Wen et al. Increased quality of bowel preparation via smartphone WeChat applica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