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194A -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194A
KR20150114194A KR1020140038466A KR20140038466A KR20150114194A KR 20150114194 A KR20150114194 A KR 20150114194A KR 1020140038466 A KR1020140038466 A KR 1020140038466A KR 20140038466 A KR20140038466 A KR 20140038466A KR 20150114194 A KR20150114194 A KR 2015011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server
patient care
dent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1024B1 (ko
Inventor
강민정
권지민
권지용
Original Assignee
강민정
권지민
권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정, 권지민, 권지용 filed Critical 강민정
Priority to KR102014003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0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OOTH INFORMATION SERVICE}
본 발명은 치아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효율적으로 치과 이용 환자의 치아 관리를 돕기 위한 치아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자가 치과를 이용하는 경우 다양한 정보가 필요할 수 있다. 치과의사는 처음으로 환자를 진료하는 경우에 종래 치료 정보가 필요할 수 있는 것이며, 환자 역시 자신이 언제, 어디서 치료를 받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할 때가 있다.
예컨대, 환자가 여러가지 이유(ex. 거리, 시간 등)로 치과를 변경하는 경우 새로이 방문한 치과 입장에서는 환자의 이전 치료 데이터가 없어 새로 진료를 해야하고 환자 입장에서는 일관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는 치과 진료를 받은 이후에 언제쯤 방문하는 것이 바람직한 시점인지를 알기 어렵고, 특정 진료(ex. 임플란트, 교정 등)의 경우 어느 치과를 방문하는 것이 안전한지를 알기가 용이하지 않다.
종래의 경우 치과치료와 환자관리가 분리되어 불편함이 존재하였고, 통합관리를 하는 경우더라도 환자에게 진료 시점 등을 체크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과 이용 환자들의 치과 선택을 도우며, 환자 및 치과의사에게 환자의 종래 치료 정보를 제공해주고, 환자에게 추가적인 치과 이용 시점을 체크 및 제공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은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 진단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영 정보의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정보를 특정 병원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병원 서버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재차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재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촬영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 진단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촬영 정보의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재도출하는 단계; 및 재도출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재차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재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촬영 정보를 특정 병원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병원 서버가 상기 재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재도출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재도출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접속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미리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대상자의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선택한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상기 광고 컨텐츠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의 병원코드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병원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대상자의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선택한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 서버로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된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될 때 상기 적어도 사용자 단말에게 알람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하면 알람을 울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하면 알람을 울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치과 이용 환자들의 치과 선택을 도우며, 환자 및 치과의사에게 환자의 종래 치료 정보를 제공해주고, 환자에게 추가적인 치과 이용 시점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관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환자의 치과 진료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 하고 환자의 사용자 단말에만 저장하도록 하는 경우 환자의 개인 정보 보호에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치과 환자의 가입자 정보를 입력을 요청하는 도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병원 서버로 진료 대상자의 진료 기록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촬영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병원 서버로 진료 대상자의 진료 기록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고하면, 상기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은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 관리 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고,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 역시 네트워크(400)를 통해 관리 서버(300)와 연결되며,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와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 역시 네트워크(400)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는 각각의 병원에 위치하는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은 치과 환자가 보유한 사용자 단말,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테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컨셉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 및/또는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에게, 요청에 따라 치과 환자 진료 기록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하는 치아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 정보를 통해 분석한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이 도달할 경우 이를 알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 서버(3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에서 하기로 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를 참고하면, 도 1a와 비교하여 관리 서버(300)가 제외된다.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은 네트워크(40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본 발명의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통해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 중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로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사용자 단말이 실행하는 경우 보안을 위한 가입자 정보 입력 절차 등을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은 접속한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ex. 본인의 진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해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은 설정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에 따라 다음 진단 시점을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즉, 도 1a와 달리 도 1b는 치과 환자 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관리 서버(300)에 저장되지 않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로 직접 저장된다. 이 경우 관리 서버(300)에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가 저장되지 않으므로 환자의 개인 정보 보호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환자인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치료 정보가 저장된 사용자 단말과 클라우드 연결된 다른 사용자 단말로 상기 치과 환자 치료 정보를 옮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도 1a처럼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b처럼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a의 관리 서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통신 모듈(310), 보안 모듈(320), 기간 관리 모듈(330), 알람 모듈(340), 컨설팅 모듈(350), 홍보 모듈(360),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370), 출력 모듈(380), 입력 모듈(390) 및 데이터베이스(DB, 395)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통신 모듈(310)은 상기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과 각종 데이터(예컨대, 치과 환자 진료 정보, 가입자 정보, 치아 촬영 정보 등)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안 모듈(360)은 치과 환자의 진료 정보 보안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이 최초 관리 서버(300)에 접속을 요청하면 도 8처럼 가입자 정보를 입력하라는 창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 중 어느 하나가 광고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선택한 상기 광고 컨텐츠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선택을 수행한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의 병원코드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기간 관리 모듈(330)은 치과 환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 유지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알람 모듈(340)은 치과 환자의 다음 진단 시점이 도달한 경우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했음을 치과 환자의 사용자 단말에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고, 다음 진단 시점이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는 경우에도 진동알람, 소리알람 또는 화면표시알람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설팅 모듈(350)은 요청이 있을 경우 치아 촬영 정보에 따른 컨설팅(ex.현재 치아 상황에 따른 다음 진단 시점 및 진료 기록 컨설팅 등)을 상기 제1 병원 서버(110) 내지 제N 병원 서버(1N0) 또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홍보 모듈(36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에 미리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광고 컨텐츠는 치과 병원을 광고하는 컨텐츠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370)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 내지 제N 사용자 단말(2N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300)로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출력 모듈(380)은 각종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300)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관리 서버(300)의 관리자가 각종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입력 모듈(390)은 관리자가 관리 서버(300)에 각종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스타일러스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DB, 395)는 치과 환자 가입자의 정보 및 치과 환자 진료 기록, 다음 진단 시점 결정을 위한 촬영 정보와 비교를 위한 미리 설정된 기준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은 도 1a에 도시된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300)가,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한다(S110). 이때 수신하는 치과 환자 진료 정보는 치과 환자의 방문 일시, 연령, 거주지, 방문 치과 정보 및 치료 받은 진료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 예컨대, 치료 받은 진료 내용에 기초하여 치과 환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한다(S120). 예컨대, 임플란트의 경우 보철의 교체 주기가 8~10년이고 우식 등을 이유로한 정기적 구강 검사의 경우 3~6개월의 주기를 가지므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치과 환자의 치료 받은 진료 내용을 기초로 치과 환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진단 시점의 설정은 소정의 치과 서버로 상기 진료 내용을 송신하여 상기 소정의 치과 서버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설정할 수도 있고, 상기 관리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300)가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설정하는 경우 상기 진료 내용에 포함된 치과 환자의 치료 사진 또는 동영상을 프로세싱하여 미리 저장된 진단 정보와 비교분석한 후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395)에 저장한다(S130).
이후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S140).
또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서 도 3의 흐름은 상기 도 1b의 시스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흐름으로도 설계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하면 알람을 울리는 것으로 설계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은 도 3에 더해져 수행될 수 있다. 도 4 설명을 위해 사용자 단말의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210)이 도시되고, 병원 서버의 일 예로 제1 병원 서버(110)가 도시된다.
도 3의 S140 이전의 특정 단계 이후에 도 4의 다음과 같은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130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 단말(210)이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하고(S210), 이후 관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신한다(S220).
관리 서버(300)는 상기 촬영 정보를 특정 병원 서버인 제1 병원 서버(110)에 송신한다(S230). 이때 상기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1 병원 서버(110)는 사전에 관리 서버(300)와 협의가 이루어져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관리 서버(300)의 저장 데이터상으로 상기 촬영 정보와 가장 부합하는 병원 서버로 판단되어 결정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1 병원 서버(110)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하고(S240),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제1 병원 서버(110)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한 정보를 수신한다(S250).
이후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S250에서 수신한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송신(S260)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에게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게 상기 S250에서 수신한 정보를 송신하기 전에 송신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95)에 갱신시킨다.
또한 도 4의 흐름은 도 1b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계변경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210)이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제1 병원 서버(110)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송신하고 상기 제1 병원 서버(110)는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하여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송신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에게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은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저장하고 해당 시점에 알람을 울리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은 도 3에 더해져 수행될 수 있다. 도 5의 설명을 위해 사용자 단말의 일 예로 제1 사용자 단말(210)이 도시되고, 병원 서버의 일 예로 제1 병원 서버(110)가 도시된다.
도 3의 S140 이전의 특정 단계 이후에 도 5의 다음과 같은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130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고하면, 제1 사용자 단말(210)이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하고(S310), 이후 관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신한다(S320).
관리 서버(300)는 상기 촬영 정보와 상기 관리 서버(300)에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를 비교해 분석하고(S330), 비교 분석에 따라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하며(S340), 도출된 다음 진단 시점을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송신한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210)에게 도출된 다음 진단 시점을 송신하기 전에 송신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95)에 갱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는 사전에 사진 또는 동영상 정보에 따라 다음 진단 시점을 테이블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놓은 다음 진단 시점에 관한 기준이 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비교 분석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관리 서버(300)는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정보와 가장 유사한 화면을 추출해 그에 상응하는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흐름은 도 1b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계변경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 5의 관리 서버(300)가 특정 병원 서버(ex. 제1 병원 서버)로 대체되어 S320~S350이 상기 특정 병원 서버와의 관계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계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은 도 3에 더해져 수행될 수 있다.
도 3의 S140 이전의 특정 단계 이후에 도 6의 다음과 같은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130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접속 요청을 수신(S410)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접속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미리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S420). 이때 상기 광고 컨텐츠는 치과 병원을 광고하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은 광고 컨텐츠를 볼 수 있어, 병원 정보를 알 수 있으며, 병원은 상기 관리 서버(300)와 계약하여 자신의 병원을 홍보를 할 수가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광고 컨텐츠에 상응하는 치과 병원으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다음 진단 시점이 송신될 수 있다(S430).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광고 컨텐츠를 잘못 선택할 가능성이 있고, 환자의 치과 진료 정보 역시 개인정보에 해당하여 보안이 필요한 바 다음과 같은 과정이 진행된 이후에 송신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상기 광고 컨텐츠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의 병원코드 입력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병원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병원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대상자의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선택한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 서버로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관리 서버(300)는, 병원코드가 맞게 입력된 경우라면 광고 컨텐츠를 이상없이 선택했다고 판단하여 송신을 수행하고, 병원코드가 맞지 않게 입력된 경우라면 광고 컨텐츠 선택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해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병원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의 일부분에 병원 이름과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광고 컨텐츠에 포함되는 다른 병원들의 병원 이름 및 병원코드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는 병원 이름 및 병원코드를 다시한번 확인할 수 있고 확인후 병원코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보안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보안을 더 강화시키기 위해 치과 환자의 인증(예컨대, 주민등록번호 입력, 개인인증서 확인, 비밀번호 입력 등)을 요하는 절차가 설계에 따라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은 도 4 또는 도 5에 더해져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관리 서버(300)는 제1 사용자 단말(110)이 카메라를 이용해 재차 치아를 촬영한 재촬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이것은 새로운 촬영 정보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전에 판단한 다음 진단 시점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절차가 수행된다.
관리 서버(300)는 재촬영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다시 판단한다(S520). 일 예로,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재촬영 정보를 특정 병원 서버(예컨대, 제1 병원 서버(210))에 송신하고, 상기 특정 병원 서버가 상기 재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재도출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 서버(300)는 상기 재촬영 정보와 데이터베이스(395)에 미리 저장된 기준 진단 정보를 비교 분석할 수 있고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촬영 정보의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재도출할 수 있다.
이후 관리 서버(300)는 재도출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10)의 대상자에 제공할 수 있다(S530).
또한 도 7의 흐름은 도 1b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계변경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210)이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재촬영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재촬영한 정보인 재촬영 정보를 제1 병원 서버(110)에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직접 송신하고 상기 제1 병원 서버(110)는 상기 재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에 송신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에게 다음 진단 시점을 통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10)은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저장하고 해당 시점에 알람을 울리게 할 수 있다.
도 8은 치과 환자의 가입자 정보를 입력을 요청하는 화면(500)을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 또는 병원 서버가 관리 서버(300)에 접속을 하는 경우 누구에 대한 진료 기록 또는 다음 진단 시점을 원하는 지를 알기 위해 가입자 정보를 입력하라는 윈도우(5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병원 서버로 진료 대상자의 진료 기록이 제공되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600)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치과 환자(대상자)의 이름(홍길동), 진료일시(A), 진료장소(B), 진료내용(C), 다음 진료 시점(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촬영 정보를 나타내는 화면(700)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정보(710)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E)을 포함한 윈도우(720)를 사용자 단말 또는 병원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800)에 광고 컨텐츠가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처럼 제1 광고 컨텐츠(810), 제2 광고 컨텐츠(820) 등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광고 컨텐츠(810), 제2 광고 컨텐츠(820) 각각은 해당 치과의 이름, 전문성, 인력, 비용 등을 포함하는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사용자 단말 또는 병원 서버로 진료 대상자의 진료 기록이 도착 했음 나타내는 화면(900)이다. 도 12에서는 진료 기록이 도착했음을 나타내는 윈도우(910)만을 도시하였으나, 진료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나타내는 윈도우 역시 제공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에 의해 다음 진단 시점이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되는 경우에 진동알람, 소리알람 또는 화면표시알람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어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어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어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0: 제1 병원 서버
120: 제2 병원 서버 1N0: 제N 병원 서버
210: 제1 사용자 단말 220: 제2 사용자 단말
2N0: 제N 사용자 단말 300: 관리 서버
400: 네트워크 310: 통신 모듈
320: 보안 모듈 330: 기간 관리 모듈
340: 알람 모듈 350: 컨설팅 모듈
360: 홍보 모듈 370: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
380: 출력 모듈 390: 입력 모듈
395: DB

Claims (11)

  1.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 진단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촬영 정보의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촬영 정보를 특정 병원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병원 서버가 상기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도출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재차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재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촬영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기준 진단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교 분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재촬영 정보의 대상자의 다음 진단 시점을 재도출하는 단계; 및
    재도출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재차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를 동영상 또는 사진 촬영한 정보인 재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촬영 정보를 특정 병원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병원 서버가 상기 재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재도출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재도출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접속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 미리 결정된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대상자의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선택한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상기 광고 컨텐츠가 맞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의 병원코드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입력한 병원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대상자의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다음 진단 시점을 상기 선택한 광고 컨텐츠에 해당하는 병원 서버로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된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될 때 상기 적어도 사용자 단말에게 알람을 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9. 사용자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하면 알람을 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10.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게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또는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병원 서버로부터 치과 환자 진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치과 환자 진료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 진단 시점을 설정하고, 상기 수신된 치과 환자 진료 정보 및 상기 다음 진단 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다음 진단 시점에 해당하면 알람을 울리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20140038466A 2014-04-01 2014-04-01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61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66A KR101611024B1 (ko) 2014-04-01 2014-04-01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66A KR101611024B1 (ko) 2014-04-01 2014-04-01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194A true KR20150114194A (ko) 2015-10-12
KR101611024B1 KR101611024B1 (ko) 2016-04-08

Family

ID=5434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466A KR101611024B1 (ko) 2014-04-01 2014-04-01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0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01A (ko)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레이 치아 촬영용 엑스레이 촬영기
KR20190085337A (ko) * 2018-01-10 2019-07-18 김정남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코드를 삽입한 치아교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086B1 (ko) * 2018-10-23 2021-0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진료 일정 스케줄링 방법, 진료 일정 스케줄링 시스템 및 기록매체
KR102273893B1 (ko) 2018-12-26 2021-07-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환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87005B1 (ko) 2021-04-14 2023-10-10 주식회사 위노아이 상이한 촬영 시간영역대를 가지는 구강 영상을 이용한 구강내 변화 분석방법 및 정보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9356A (ja) * 2002-10-17 2004-05-13 Medical Management Service:Kk 歯科診療予約管理システム、歯科診療予約管理サーバおよび歯科医院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101A (ko) 2017-05-02 2018-11-12 주식회사 레이 치아 촬영용 엑스레이 촬영기
KR20190085337A (ko) * 2018-01-10 2019-07-18 김정남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코드를 삽입한 치아교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024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4919B (zh) 用于通过使用治疗管理系统管理医疗保健服务的方法
US20200258605A1 (en) Electronic health records managemen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611024B1 (ko) 치아 정보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20220020487A1 (en) Processing of Portable Device Data
US20100262435A1 (en) Targeted health care content delivery system
US20200357495A1 (en) Method, server, and program for providing healthcare data
JP2012027565A (ja) 救急患者治療支援システム
US11887704B2 (en) Providing and receiving medical data records
US20190189277A1 (en) Medical support system,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patient image data acquisition method
KR20200068992A (ko) 전자 차트 관리 장치, 전자 차트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1022969A (ja) 電子カルテ生成装置
KR102227833B1 (ko) 진료 매칭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201103139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healt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ources of health information and personal health record systems
KR101935172B1 (ko) 의료 정보 교류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EP35031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validating parameters in a medical study
KR20180135591A (ko) 틀니 관리 서버 및 방법
JP2020034999A (ja)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医用画像取得装置,医用画像データファイルの取得方法
JP2020052457A (ja) 利用者情報管理システム、利用者情報管理装置、権限管理装置、利用者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利用者情報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の構築方法
JP2001306691A (ja) 診療情報システム
KR100561313B1 (ko) 환자 데이터 관리 시스템
JP2006279407A (ja) 医用画像管理システム
WO2018003077A1 (ja) 画面共有遠隔診察システム、画面共有遠隔診察方法、および画面共有遠隔診察プログラム
JP2003033342A (ja) 撮影装置、撮影システム、撮影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CN103548029A (zh) 用于图像采集工作流的方法和系统
EP1288836A2 (en) Examination follow-up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imple and certain follow-up examin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