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46A -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46A
KR20150113646A KR1020140037913A KR20140037913A KR20150113646A KR 20150113646 A KR20150113646 A KR 20150113646A KR 1020140037913 A KR1020140037913 A KR 1020140037913A KR 20140037913 A KR20140037913 A KR 20140037913A KR 20150113646 A KR20150113646 A KR 2015011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film
polarizing plate
thickness
film
modu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석
박송희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646A/ko
Publication of KR2015011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필름(1), 편광필름 및 보호필름(2)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 수학식 1]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5

Description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POLARIZING PLA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표시장치에서 사용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화상 표시장치(특히, 액정 표시장치) 에서 사용하는 편광판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예를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은, 염색 공정, 가교결합 공정, 및 연신 공정을 거친 후에,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 같은 투명 보호필름으로 각각 이루어진 보호층 사이에서 건조되고 적층된다. 염색 공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은 이색성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로 염색된다. 가교결합 공정에서, 필름은 붕산, 보랙스 등으로 가교결합된다. 연신 공정에서, 필름은 일축연신된다(염색, 가교결합, 및 연신 공정은 중 일부 공정은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공정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원래, 컬을 갖지 않는 보호 필름이 보호층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나 폴리카보네이트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을 보호 시트로서 사용할 때는, 연신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기 때문에, 필름은 다소의 컬을 갖게 된다. 편광판의 컬이 큰 경우, 면내 광투과율(in-plane light transmittance) 같은 광학 특성이 상이한 부분이 발생한다. 이는 화상표시장치의 불균일을 유발한다. 액정에 접착될 편광판의 접착면이 액정 셀에 관하여 오목한 컬을 갖는 상태에서 편광판이 액정 셀에 접착되는 경우, 서로 접착된 편광판과 액정 셀간에는 보이드(void)가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편광판의 컬을 충분하게 억제하는 것이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편광판이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 등 모바일 기기에사용되고, 대형 텔레비전 등에 사용되면서, 편광판의 박육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상기 기기들의 사용 장소도 광범위해지면서 내구성의 향상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4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편광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경화하지 않은 에폭시 수지 조성물을 도공한 후, 그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보호막을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형성된 보호막은 박육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내열성이 부족 및 컬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며, 탄성회복율이 부족하여 눌림결함이 발생하기 쉬워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5924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탄성회복률이 우수하여 눌림결함(dent defect)이 최소화되며, 내굴곡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을 간단한 방법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광판을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품질의 화상을 제공하는 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호필름(1), 편광필름 및 보호필름(2)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 수학식 1]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5
또한, 본 발명은
편광필름의 일면에 보호필름(1)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필름의 타면에 보호필름(2)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며,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 수학식 1]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탄성회복률이 우수하여 눌림결함(dent defect)이 최소화되며, 내굴곡성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물성을 갖는 편광판을 간단한 방법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우수한 화상을 제공한다.
도 1은 Pogo Test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Pogo Test의 측정 조건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보호필름(1), 편광필름 및 보호필름(2)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 수학식 1]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5
상기 수학식 1에서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의 값이 1.4 이하인 경우, 탄성회복률이 저하되어 눌림결함도 증가한다. 또한, 2.5 이상인 경우 내굴곡성이 저하된다.
수학식 1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3
본 발명의 편광판은 Pogo test 수치가 700gf ~ 1500gf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gf ~ 1400gf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Pogo test 수치가 700gf 미만인 경우 탄성회복률이 저하되어 눌림결함이 증가하며, 1500gf 이상인 경우 내굴곡성이 저하된다.
상기 Pogo Test는 UTM장비에 장착된 1mm ball probe를 무게별로 압입하여 눌림이 시인되는 무게를 측정하는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는 보호필름 자체뿐만 아니라, 보호필름 상에 하드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의 탄성율은, 각각 독립적으로, 500Mpa 이상 7000Mpa 미만이고,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의 탄성율이 2500Mpa 이상 6000Mpa 미만이고, 두께가 각각 독립적으로 20 ㎛ ~ 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의 탄성율이 500Mpa 미만인 경우에는 공정상 보호필름을 편광자에 접합시 접힘, 접합의 불균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7000Mp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합 후 편광판의 Curl 발생, 보호필름의 파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의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에는 취급상 불량, 즉 다콘, 스크래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접합 후 편광판 광특성의 변화, 보호필름의 박리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과에 일면이 결합된 보호필름(1)의 타면에는 표면처리층으로서, 하드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편광판과에 일면이 결합된 보호필름(2)의 타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이러한 점착층에 의해 화상표시패널에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상기 보호필름, 편광필름, 하드코팅층, 점착층 등의 구조 및 구성요소, 및 그의 제조방법은 상기 기술한 기술적 특징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것들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 편광판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기술한 것으로서 상기에 기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1. 편광필름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사용되는 편광필름으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은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일축연신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흡착시키는 공정,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와 건조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제조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일축연신하는 공정은 염색 전에 수행, 염색과 동시에 수행 또는 염색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축연신이 염색 후에 수행되는 경우에는 붕산 처리 전 또는 붕산 처리 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물론, 이들 각각이 조합된 복수개의 단계로 일축 연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축 연신은 주속이 다른 롤 또는 열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기 중에서 연신하는 건식 연신일 수도 있고 용매로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하는 습식 연신일 수도 있다. 연신비는 통상 3 내지 8배이다.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공정은 예를 들면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구체적인 예로는 요오드 또는 이색성 유기염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염색 전에 물에 미리 침지하여 팽윤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요오드 및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염색용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요오드의 함량은 물(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이고, 요오드화칼륨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이다.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40℃이고, 침지시간 예컨대 염색시간은 통상 20 내지 1800초이다.
한편, 이색성 색소로서 이색성 유기염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수용성 이색성 유기염료를 포함하는 염색용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침지하여 염색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염색용 수용액에서의 이색성 유기 염료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1×10-4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중량부인 것이 좋다. 염색용 수용액은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을 염색 보조제로서 더 함유할 수 있다. 염색용 수용액의 온도는 통상 20 내지 80℃이고, 침지시간 예컨대 염색 시간은 통상 10 내지 1,800초이다.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붕산 처리하는 공정은 붕산 함유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통상 붕산 함유 수용액에서의 붕산의 함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중량부인 것이 좋다. 이색성 색소로서 요오드를 이용한 경우의 붕산 함유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통상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2중량부인 것이 좋다. 붕산 함유 수용액의 온도는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인 것이 좋다. 침지시간은 60 내지 1,200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초,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400초인 것이 좋다.
붕산 처리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수세 및 건조된다. 수세처리는 붕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며, 수세처리 시 물의 온도는 5 내지 40℃이고, 침지시간은 1 내지 120초이다. 수세 후 건조됨으로써 편광필름을 얻을 수 있다. 건조처리는 통상 열풍 건조기나 원적외선 가열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건조처리 온도는 통상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이고, 건조시간은 통상 60 내지 600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600초인 것이 좋다. 편광필름의 두께는 5 내지 40㎛일 수 있다.
2. 보호필름
본 발명의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의 소재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알칼리 등에 의해 비누화(검화)된 표면을 가진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편광특성 또는 내구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필름의 노출면에는 반사 방지층이나 방현층, 하드 코팅층, 접착층 등 공지된 각종 기능성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3. 접착제
상기 요오드계 편광필름과 상기 보호필름을 적층하는 단계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한다. 상기 편광 필름과 투명 보호필름의 접착 처리에서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 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 폴리머계 라텍스형 접착제, 수용성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수용액을 포함하는 접착제로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0.5 내지 60중량% 의 고형분을 포함한다.
접착제의 도포는 보호필름이나 요오드계 편광필름 중 하나에 수행할 수 있고 그들 양쪽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접착 후에 건조 처리를 실시하여 도포된 건조층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한다. 편광필름과 투명 보호필름의 접착 처리는 롤 라미네이터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대략 0.1 내지 5μm 이다
4. 점착제
보호필름이 부착된 편광필름을 액정 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형성된 점착층, 보통 아크릴계열의 점착제가 주로 사용된다.
5. 하드코팅층
표면의 하드코팅층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10내지 60 중량%, 유기용매 40 내지 90중량%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하드 코트액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오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두를 의미한다.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구체적으로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트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ㄹ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릭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ㄹ레이트 및 페녹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단일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경우, 디페닐케톤벨질디메틸케탈, 아세트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민벤조산에스테르,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은,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3-메틸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벤조인 및 2-에틸티옥산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화합물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기능성 코팅막의 두께 조절 및 양호한 코팅성을 유지하기 위해사용하며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와의 상용성에 문제가 없는 모든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에틸셀루솔브, 메닐셀루솔브, 부틸아세티에트,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아세톤알콜, 에틸렌글리콜이소프로필알콜, 프로필렌글리콜이소프로필알콜, 메틸에틸케톤 및 N-메틸피롤리돈 중에서 선택된 단일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코팅층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코팅층 형성을 수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블레이드, 캐스팅 및 그라비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능성 코팅층의 두께는 보통 약 0.1 내지 2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0μm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μm을 유지한다. 상기 코팅된 조성물은 30내지 150℃ 온도에서 1초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시간 동안 휘발물의 증발에 의해서 건조시킨다. UV광으로 경화과정을 수행하는 바, 이때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 내지 10J/cm2이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J/cm2범위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필름의 일면에 보호필름(1)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필름의 타면에 보호필름(2)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며,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 수학식 1]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5
상기에서
수학식 1은 다음과 같이 정의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2.3
본 발명의 편광판은 Pogo test 수치가 700gf ~ 1500gf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gf ~ 1400gf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서 상기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의 탄성율은, 각각 독립적으로, 500Mpa 이상 7000Mpa 미만이고,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10 ㎛ ~ 1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의 탄성율이 3000Mpa 이상 6000Mpa 미만이고, 두께가 각각 독립적으로 20㎛ ~ 4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 하드코팅층, 점착층 등에 관한 내용은 상기 편광판에서 기술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보호필름, 편광필름, 하드코팅층, 점착층 등의 구조 및 구성요소, 및 그의 제조방법은 상기 기술한 기술적 특징에 방해가 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 공지된 것들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편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가 화상표시장치는 LCD, PDP, FED, ELD(유기 EL, 무기 EL), CRT, 터치 패널, 전자 페이퍼,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비교예 1: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기술된 편광필름은 폴리 비닐 알코올(이하PVA) 소재로 쿠라레社의 PE6000 제품을 사용하여 연신후 두께는 23um가 되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한 면에는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24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다른 한면에는 두께가 25um이고 탄성율이 37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접합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500gf, E값은 1.04로 계산되며 dent 회복율은 40%였다. Curl 수치는 max. 5mm이었다.
비교예 2: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상기 비교예 1에서 두께가 25um이고 탄성율이 3720Mpa인 보호필름 대신 두께가 40um이고 탄성율이 2580Mpa인 보호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500gf, E값은 0.93로 계산되며 dent 회복율은 30%였다. curl수치는 max. 4mm이었다.
비교예 3: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21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그 위에 하드코트 표면처리층은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제조 YSC-080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액의 주성분은 아크릴 계열 올리고머이며 코팅액의 점도는 3.5cps 이며, 두께는 6㎛로 코팅되었다. 코팅액의 경화는 80도 2분정도 건조단계를 거쳐 자외선 경화기를 이용하여 400mJ로 경화하여 적층하였다.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258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600gf, E값은 0.82로 계산되며 dent회복율은 40%였다. curl수치는 max. 3mm이었다.
비교예 4: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21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그 위에 하드코트 표면처리층은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제조 YSC-080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액의 주성분은 아크릴 계열 올리고머이며 코팅액의 점도는 3.5cps 이며, 두께는 6㎛로 코팅되었다. 코팅액의 경화는 80도 2분정도 건조단계를 거쳐 자외선 경화기를 이용하여 400mJ로 경화하여 적층하였다.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335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500gf, E값은 1.01로 계산되며 dent회복율은 40%였다. curl수치는 max. 3mm이었다.
비교예 5: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61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335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1000gf, E값은 2.97로 계산되었으며, dent 회복율은 90%였다. curl수치는 max. 10mm이었다.
비교예 6: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2890Mpad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그 위에 하드코트 표면처리층은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제조 YSC-080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액의 주성분은 아크릴 계열 올리고머이며 코팅액의 점도는 3.5cps 이며, 두께는 6㎛로 코팅되었다. 코팅액의 경화는 80도 2분정도 건조단계를 거쳐 자외선 경화기를 이용하여 400mJ로 경화하여 적층하였다.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43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600gf, E값은 0.67로 계산되고 dent회복율은 30%였다. curl수치는 max. 6mm이었다.
비교예 7: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2120Mpad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그 위에 하드코트 표면처리층은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제조 YSC-080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액의 주성분은 아크릴 계열 올리고머이며 코팅액의 점도는 3.5cps 이며, 두께는 6㎛로 코팅되었다. 코팅액의 경화는 80도 2분정도 건조단계를 거쳐 자외선 경화기를 이용하여 400mJ로 경화하여 적층하였다.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253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650gf, E값은 1.34로 계산되고 dent회복율은 50%였다. curl수치는 max. 5mm이었다.
실시예 1: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383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258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900gf, E값은 1.48로 계산되고, dent회복율은 90%였다. curl수치는 max. 1mm이었다.
실시예 2: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40um이며 탄성율이 383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43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800gf, E값은 1.42로 계산되고, dent회복율은 90%였다. curl특성은 X이었다. curl수치는 max. 1mm이었다.
실시예 3: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43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43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800gf, E값은 1.42로 계산되고, dent회복율은 80%였다. curl수치는 max. 3mm이었다.
실시예 4: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43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19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1350gf, E값은 2.25로 계산되고, dent회복율은 90%였다. curl수치는 max. 3mm이었다.
실시예 5: 편광판의 제조 및 물성 평가
표면측의 보호필름으로서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401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고, 그 위에 하드코트 표면처리층은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제조 YSC-080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코팅액의 주성분은 아크릴 계열 올리고머이며 코팅액의 점도는 3.5cps 이며, 두께는 6㎛로 코팅되었다. 코팅액의 경화는 80도 2분정도 건조단계를 거쳐 자외선 경화기를 이용하여 400mJ로 경화하여 적층하였다. 점착제측의 보호필름은 두께가 25um이며 탄성율이 1920Mpa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이하 TAC) 보호필름을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이때 Pogo test 측정치는 1200gf, E값은 2.09로 계산되고, dent회복율은 90%였다. curl수치는 max. 3mm이었다.
항목 보호
필름1
보호
필름1
두께
(um)
보호
필름2
보호
필름2
두께
(um)
탄성율(Mpa) E pogo
test(g)
눌림
회복율
(%)
curl
특성
보호
필름1
보호
필름2
비교예1 40 Normal 40 25
Normal
25 2420 3720 1.04 550 40
비교예2 40 Normal 40 40
Normal
40 2420 2580 0.93 500 30
비교예3 40-HC 40 40
Normal
40 2120 2580 0.82 500 40
비교예4 40-HC 40 25
Normal
25 2120 3350 1.01 550 40
비교예5 40 Normal 40 25
Normal
25 6210 3350 2.97 1550 90 X
비교예6 25-HC 25 25
Normal
25 2890 4320 0.67 600 30 X
비교예7 40-HC 40 25
Normal
25 2120 2530 1.34 650 50
실시예1 40 Normal 40 40
Normal
40 3830 2580 1.48 900 90
실시예2 40 Normal 40 25
Normal
25 3830 4010 1.53 1000 90
실시예3 25 Normal 25 25
Normal
25 4320 2950 1.46 800 80
실시예4 25 Normal 25 25
Normal
25 4320 1920 2.25 1400 90
실시예5 25 HC 25 25
Nomal
25 4010 1920 2.09 1250 90
주)
E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물성 테스트 방법>
(1) 탄성율 측정
탄성율의 측정은 샘플 사이즈를 5mm*100mm로 준비하여 연신방향으로 상온(25℃ 30~50%RH)조건에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측정장비는 SHIMAZDU社의 AG-X 1kN 모델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또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Tensile chamber 내부에서 측정이 진행되었다.
-인장속도: 4mm/min
-초기원점인식: 시작
-파단검출: 감도 10%, 레벨 0.02%
-제어방식: 스트로크(신율)
(2) Pogo Test 방법
제작한 평관판에 대한 pogo test를 실시하기 위하여 샘플을 100*100mm*0.5T 코닝glass에 부착하여 샘플을 제작하였다. 평가를 위한 장비는 instron社 UTM5527를 사용하였으며 측정횟수는 10회를 실시하였다. 프로브가 기재를 접촉하는 시간부터 일정 압력범위로 도달시간은 4초이고, 압력 도달 후 holding 시간은 1초이다. 그 후 편광판에 눌림현상을 ref. 비교 육안평가로 판단한다. 무게수준의 범위는 100~2000g까지 측정하며 통상 100g 단위로 평가를 진행한다. 또한 30분단위 또는 1시간 단위로 복원여부도 확인한다. Pogo test시 합격 판정여부는 편광판의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경우 1000g이상으로 하며 PF가 없을 경우 즉 HC표면에 직접 test시에는 700g이상으로 한다.
Tip 이동속도: 1mm/min
Tip 직경: D=1mm(원형)
무게(힘): 입력 변수(일정 무게 도달 시간: 4sec)
무게(힘)값은 0부터 서서히 증가하여 Target에 다다르면 1초간 무게유지
(3) 눌림회복율( Dent 회복율 )
덴트 회복율은 pogo test 평가 시 눌림현상이 있는 지 확인 후 상온(25℃ 30~50%RH)에서 24hr후 눌림현상이 사라지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10point중 회복되는 point를 카운트하여 %로 나타내었다.
(4) Curl 특성
사변의 curl을 측정하여 max값을 적용
Curl 수치가 정컬, 역컬, 2차역컬 0~2mm 이내: ○
Curl 수치가 정컬, 역컬, 2차역컬 3~5mm 이내: △
Curl 수치가 정컬, 역컬, 2차역컬 5mm 초과: X

Claims (10)

  1. 보호필름(1), 편광필름 및 보호필름(2)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 수학식 1]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름(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5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Pogo test 수치가 700gf ~ 1500gf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는 탄성율이 500Mpa 이상 7000Mpa 미만이고, 두께가 각각 독립적으로 10 ㎛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의 탄성율이 3000Mpa 이상 6000Mpa 미만이고, 두께가 각각 독립적으로 20 ㎛ ~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에 일면이 결합된 보호필름(1)의 타면에는 하드코팅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과에 일면이 결합된 보호필름(2)의 타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편광필름의 일면에 보호필름(1)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필름의 타면에 보호필름(2)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편광판을 제조하며,
    상기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가 하기 수학식 1의 관계를 충족하도록 보호필름(1)과 보호필름(2)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 수학식 1]
    1.4 < ((보호필름(1)의 탄성율×보호필름(1)의 두께) ÷ (보호필림(2)의 탄성율×보호필름(2)의 두께)) < 2.5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Pogo test 수치가 700gf ~ 1500g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1) 및 보호필름(2)는 탄성율이 500Mpa 이상 7000Mpa 미만이고, 두께가 각각 독립적으로 10 ㎛ ~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의 편광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40037913A 2014-03-31 2014-03-31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150113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13A KR20150113646A (ko) 2014-03-31 2014-03-31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13A KR20150113646A (ko) 2014-03-31 2014-03-31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46A true KR20150113646A (ko) 2015-10-08

Family

ID=5434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13A KR20150113646A (ko) 2014-03-31 2014-03-31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6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502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8025772A (ja) * 2016-07-28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WO2018143594A1 (ko) * 2017-01-31 2018-08-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투명 적층체
KR20210081289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4502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18025772A (ja) * 2016-07-28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WO2018143594A1 (ko) * 2017-01-31 2018-08-09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투명 적층체
CN110248807A (zh) * 2017-01-31 2019-09-17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透明堆叠结构
KR20210081289A (ko) * 2019-12-23 2021-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46861B (zh) 光学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KR20080080528A (ko)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938411B1 (ko) 편광판
CN106010302B (zh) 粘着性组合物、粘着剂、粘着片以及带有粘着剂层的光学薄膜
KR20180065027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50113646A (ko)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CN108291995B (zh) 复合偏光板及包含该复合偏光板的图像显示设备
TWI806968B (zh) 積層膜
JP2018092083A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WO2018221319A1 (ja) 光学積層体、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593816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 광학 적층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CN110221375B (zh) 层叠膜
KR20150113666A (ko) 디스플레이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101894811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60047899A (ko) 디스플레이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23013275A1 (ja)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50113645A (ko) 편광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JP2022054452A (ja) 反射防止用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WO2022244301A1 (ja) 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90026708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894812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TW202307485A (zh) 積層體
JP2022034558A (ja) 反射防止用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2022034559A (ja) 反射防止用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JP2022034557A (ja) 反射防止用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