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812B1 - 코팅 아크릴 필름 - Google Patents

코팅 아크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812B1
KR101894812B1 KR1020160163919A KR20160163919A KR101894812B1 KR 101894812 B1 KR101894812 B1 KR 101894812B1 KR 1020160163919 A KR1020160163919 A KR 1020160163919A KR 20160163919 A KR20160163919 A KR 20160163919A KR 101894812 B1 KR101894812 B1 KR 10189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parts
unit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3969A (ko
Inventor
김영수
김경수
하선영
이호준
강혁모
은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60163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8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63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 수지 및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주 도프액으로부터 형성되며, 하기 수학식 1으로 표시되는 면내 리타데이션 Ro와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가 23°55%RH의 조건하에서 10nm 이하이면서, T-Die에서 Steel Belt로 토출 후 용제 건조과정을 거치고 Steel Belt로부터 박리시 박리력이 20gf/2inch 이하이며, 표면 처리 후에도 외관 얼룩이 나타나지 않아 고품질의 등방성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MMA-PMI-BA
여기서, MMA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PMI는 페닐 말레이 이미드(Phenyl Male Imide) 단위, BA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단위를 나타낸다.
[수학식 1]
Ro = (nx- ny) ×d,
Rth = (nx + ny)/2-nz ×d
상기 수학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는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z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각각 나타낸다.

Description

코팅 아크릴 필름{Coating acryl film}
본 발명은 박리력이 우수하고 표면 처리 후에도 외관 얼룩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아크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비 전력이 작고 저전압으로 동작하며, 경량이고 박형인 액정 표시 장치가, 휴대 전화, 휴대 정보 단말 컴퓨터용 모니터, 텔레비젼 등의 정보 표시 디바이스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 표시 디바이스는, 용도에 따라서는 가혹한 환경하에서의 신뢰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용 액정 표시 장치는, 그것이 놓이는 차내의 온도나 습도가 매우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 통상의 텔레비젼이나 퍼스널 컴퓨터용 모니터에 비교하면, 요구되는 온도 및 습도 조건이 엄격하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편광판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엄격한 온도 및/또는 습도 조건이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편광판에도 높은 내구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편광판은 통상,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 필름의 양면 또는 한 면에 투명한 보호 필름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종래부터 이 보호 필름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가 널리 이용되며, 이 보호 필름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접착제를 통해 편광 필름과 접착되어 있다. 그런데,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보호 필름이 적층된 편광판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투습도가 높기 때문에, 고습열 환경하에서 장시간 사용했을 때에, 편광 성능이 저하되거나, 보호 필름과 편광 필름이 박리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에 비하여 투습도가 낮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기존의 아크릴계 보호 필름은 멜트 캐스팅(Melt Casting) 방식으로 제조되어 왔으나, 솔벤트 캐스팅(Solvent Casting) 공법으로 제조시 박형화, 대량 생산, 수지의 재활용 등 친환경적 측면에서 장점이 많다. 솔벤트 캐스팅법은 아크릴 필름을 용매에 녹여서 T-Die로 압출한 후, Belt에서 용제를 건조하여 필름을 만들게 되는데, 최적화된 입자를 첨가하여 충격강도를 높이고 필름 이송을 위한 Slip성을 확보해야만 위와 같은 공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첨가된 입자는 용매에 녹거나 변형이 생겨서는 안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265007호에는 사용 환경의 변화에 의해서도 화상 표시 장치의 광 누설이 잘 발생하지 않는 점착형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는데,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폴리머가 소정량의 방향 고리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단위를 함유하여 그 함유량이 투명 보호 필름의 광탄성 계수 X의 값에 따라 결정되고, 가열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 투명 보호 필름의 위상차값이 변화한 경우에, 점착제층이 투명 보호 필름과는 반대 부호의 위상차 변화를 발생시키도록 조정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14354호에는 광중합성 아크릴계 중합체, 대전방지제 및 중합걔시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층을 가지는 광학부재용 보호필름으로서, 광조사에 의해 개시제에서 발생하는 라디칼에 의해서 가교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활성기가 도입된 광중합성 아크릴계 중합체 및 중합 개시제를 소정 비율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추가로 대전방지제를 적정량 배합하여, 경화 시의 숙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하면서도, 박리 또는 사용시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61591호에는 고리형 지방족 탄화수소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 결합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1층(저투습층)과, 그 위에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제2층을 갖고, 제1층에 특정 구조를 갖는 플루오로 지방족기 함유 공중합체를 특정량 사용함으로써 층간 밀착성과 바람에 의한 불균일 내성이 우수한 편광판 보호필름을 얻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4-240905호에는 편광자와의 접착성, 리워크성, 평면서 및 시인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막두께 및 탄성률이 특정 범위 내에 있고,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호 필름 A, 편광자, 글루코스 골격에 적어도 에테르 결합과 치환기를 가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위상차 필름 B의 순으로 적층되며, 필름 A 및 필름 B가 모두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도록 한 기술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여전히 아크릴계 보호 필름을 솔벤트 캐스팅법에 의해 제조할 때에 제막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필름 이송을 위한 슬립성 확보 측면에 대한 기술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265007호 한국등록특허 제1114354호 한국공개특허 제2015-0061591호 일본공개특허 제2014-2409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Solvent casting 공법으로 제작된, 박리력이 우수하면서도 표면 처리 후에도 외관 얼룩 불량이 없는 아크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주 도프액으로 이루어지고 솔벤트 캐스팅 제법으로 형성되며, Steel Belt로부터 박리 시 박리력이 20gf/2inch 이하이면서 표면 처리 후에도 외관 얼룩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필름이다.
[화학식 1]
MMA-PMI-BA
여기서, MMA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PMI는 페닐 말레이 이미드(Phenyl Male Imide) 단위, BA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단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는,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70 내지 95중량부, 페닐 말레이 이미드(Phenyl Male Imide) 단위 1 내지 15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단위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관하여 각 분자량은 1,000g/mol 내지 5,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은 코팅 조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 조성물은 코어 쉘 고무(CSR) 입자 또는 실리카 입자로부터 선택되어지는 1종 또는 2종의 입자를 포함하고, 그 직경이 100 내지 3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의 분자량은 300,000~2,5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솔벤트 캐스팅의 솔벤트를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알코올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은 막 두께가 10 이상 6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pm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박리력이 5gf/2inch 이상 20gf/2inc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관 얼룩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은, 제막 및 필름의 이송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자들은 박막의 아크릴 필름을 솔벤트 캐스팅 공법으로 제조시 필름의 제막 및 필름 이송이 용이한 아크릴 필름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지의 분자량이 300,000~2,500,000g/mol의 범위로, 특정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의한 제막시, 제막 및 이송이 용이한 보호 필름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 수지 및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주 도프액으로부터 형성되며, 박리력이 20gf/2inch 이하이면서 표면 처리 후에도 외관 얼룩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필름이다.
[화학식 1]
MMA-PMI-BA
여기서, MMA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PMI는 페닐 말레이 이미드(Phenyl Male Imide) 단위, BA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단위를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페닐 말레이 이미드 단위,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위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단량체 단위들이 반복 단위 형태로 포함되는 아크릴 수지이다.
광학 특성, 투명성, 상용성, 가공성 및 생산성을 고려할 때,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70 내지 95중량부, 페닐 말레이 이미드(Phenyl Male Imide) 단위 1 내지 15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단위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우수한 위상차 특성 및 광학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함량이 70중량부 미만일 경우 보호 필름의 광학적 성능이 나빠지게 되고, 9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보호 필름의 두께 균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주 도프액에 있어서, 상기 말레이 이미드 단위는 적절한 위상차 값을 부여하는 역할과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간의 상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말레이 이미드 단위의 함량은 1 내지 15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말레이 이미드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원하는 위상차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은 1 내지 15 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바람직한 두께 균일성 특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아크릴 수지에 용매에 녹지 않고 변형이 생기지 않는 나노 입자를 첨가함으로써, 필름의 충격 강도를 높이기 때문에 제막 및 필름 이송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나노 입자는 실리카(Silica) 또는 코어 쉘 고무(CSR)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나노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이 100 내지 3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 입자의 직경이 100nm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발명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고, 300nm를 초과할 경우 보호 필름의 품위가 불량해진다.
실리카 입자의 함량은 주도프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0.1의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코어 쉘 고무(CSR) 입자의 함량은 주도프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나노 입자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경도와 가요성이 모두 우수한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은 300,000~2,5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자량이 300,000g/mol 미만인 경우 필름의 생산 효율이 떨어지고, 2,500,000을 초과하는 경우 성형 가공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는 12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이게 되어도 취급성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은 막 두께가 10 이상 6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의 두께가 10㎛미만일 경우 충분한 위상차 특성을 발현하지 못하고, 보호 필름의 두께가 60㎛ 초과할 경우 박형의 편광판에 사용하기 부적당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크릴 수지의 제조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말레이 이미드 단량체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 수지 용액을 제조한다. 이들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제조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현탁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혹은 용액 중합 등의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공중합체 수지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아크릴 수지 및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주 도프액의 제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솔벤트 캐스팅 공법(용액 필름 형성법)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고 있다. 솔벤트 캐스팅 공법은, 캐스팅 용매 중에 아크릴 공중합체를 용해시켜 수득되는 주 도프액을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주 도프액의 제조는 캐스팅 용매에 상기 제조된 아크릴 수지 및 보조첨가제를 혼합하는 방법에 의한다.
솔벤트 캐스팅 공법으로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주 도프액을 제조하기 위한 용매는 유기용매가 바람직하다. 유기용매로는 할로겐화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할로겐화탄화수소로는 염소화 탄화수소,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클로로포름이 있고, 이 중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할로겐화탄화수소 이외의 유기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로겐화탄화수소 이외의 유기용매로는 에스테르, 케톤, 에테르, 알코올 및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에스테르로는 메틸포르메이트, 에틸포르메이트, 프로필포르메이트, 펜틸포르메이트, 메틸아실레이트, 에틸아실레이트, 펜틸아실레이트 등이 사용 가능하며, 케톤으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에틸케톤, 디이소부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시클로헥사논 등이 사용 가능하고, 에테르로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디메톡시메탄, 디메톡시에탄, 1,4-디옥산, 1,3-디옥솔란, 테트라히드로푸란, 아니솔, 페네톨 등이 사용 가능하고,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t-부탄올, 1-펜탄올, 2-펜탄올, 2-메틸-2-부탄올, 시클로헥산올, 2-플루오로에탄올, 2,2,2,-트리플로오로에탄올, 2,2,3,3-테트라플루오로-1-프로판올 등을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주용매로 사용하고, 알코올을 부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알코올의 혼합비는 80 : 20 내지 95 : 5의 범위 이내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매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필름의 제조에서는 보조첨가제들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 도프액에는, 각 제조공정에서 용도에 따른 각종 보조첨가제, 예를 들면, 자외선 방지제, 미립자, 적외선 흡수제, 박리제 등의 보조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의 구체적인 종류는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필름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를 첨가하는 시기는 첨가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한다. 주 도프액 조제의 마지막에 첨가제를 첨가하는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가제로써 실리카(silica) 나노 입자를 사용하였고, 상기 나노 입자의 직경은 100 내지 3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주 도프액은 상온, 고온 또는 저온 용해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제1층 제막공정
본 발명의 솔벤트 캐스팅법은, 주 도프액을 가압다이의 노즐로부터 금속 지지체 상에 유연하여 소정 시간 방치시켜, 반건조 상태의 필름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반건조상태의 필름을 금속 지지체로부터 박리하고, 건조시스템으로 이행하여 건조를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용제를 제거한다. 그리고, 건조상태로 된 필름에 대하여 1축 연신공정 또는 2축 연신공정을 실시한다. 이 연신공정의 실시에 의하여 보호 필름의 막 균일성 및 위상차값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얻어진 주 도프액을 캐스팅 다이를 통해 지지체 상에 캐스팅하여 아크릴 시트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는 다이에서 압출된 시이트상의 캐스팅 원액을 이송하면서, 캐스팅 원액에 존재하는 용매를 증발시켜, 아크릴 필름으로 제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체 또는 그의 표면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표면을 경면 마무리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체로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벨트 등의 금속 벨트(steel belt)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금속 지지체의 표면 온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캐스팅 원액에 존재하는 용매의 증발을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지만, 지나치게 높으면 캐스팅 원액이 발포되거나 평면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하는 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 내지 75℃ 가 바람직하고, 5 내지 45℃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체로는 평면상 컨베이어 벨트 형태의 금속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아크릴 시트를 텐더 내에서 연신 단계를 거치게 되며, 예열 공정은 아크릴 플레이크(flake)의 유리전이온도(Tg)는 120°이상이다.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은 상기의 조건으로 텐더에서 연신단계를 거친 후, 텐더의 클립 또는 핀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된 필름의 좌우측 말단을 제거한 후 건조기에서의 건조단계를 거쳐 필름이 완성될 수 있다.
텐더 연신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텐더의 좌우 파지 수단에 의해 필름의 파지 길이를 좌우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조작은 다단계로 분할하여 실시하여도 되고, 유연 방향, 폭 방향으로 이축 연신을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축 연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동시 이축 연신을 행하여도 되고, 단계적으로 실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 단계적이란, 연신 방향이 다른 연신을 순차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일 방향의 연신을 다단계로 분할하고, 또한 다른 방향의 연신을 그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시 2축 연신에는 일 방향으로 연신하고, 다른 한쪽을 장력을 완화하여 수축시키는 경우도 포함된다. 동시 2축 연신의 바람직한 연신 배율은 폭 방향, 길이 방향 모두 1.01배 내지 2.0배의 범위에서 취할 수 있다.
건조 수단은 웹의 양면에 열풍을 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람 대신에 마이크로 웹을 대어 가열하는 수단도 있다. 너무 급격한 건조는 완성된 필름의 평면성을 손상시키기 쉽다.
제2층 제막공정
완성된 필름은 표면 처리 코팅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우레탄계 올리고머와 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광개시제와 함께 유기용매에 용해하고 이를 조액탱크에 넣고 코터 전, 리버스 탱크로 이송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코터로 코팅 조액을 공급한다. 코터로부터 공급된 코팅 조액이 아크릴 필름에 코팅되고, 이를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증발 제거한다. 이후 UV 경화공정을 거져 코팅된 수지를 경화시킨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아크릴 보호 필름은 권취롤러에서 권취된다.
본 발명에 있어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관하여 각 분자량은 1,000g/mol 내지 5,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은 코팅 조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 1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아크릴 필름은 온도 23°습도 55%RH의 환경 하에서, 하기 수학식 1로 정의되는 면내 리타데이션 Ro와 두께 방향 리타데이션 Rth가 23°55%RH의 조건하에서 10nm 이하이고, Steel Belt로부터 박리시 박리력이 20gf/2inc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1]
Ro=(nx-ny)×
Rth=(nx+ny)/2-nz×
(상기 수학식 중, nx는 필름면 내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을, ny는 지상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z는 필름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d는 필름의 막 두께(nm)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계 1>아크릴 수지
부틸 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5%이고,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낸 아크릴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2
Figure 112016118704709-pat00001
<단계 2>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주 도프액의 제조
메틸렌 클로라이드 64.17중량부, 메탄올 7.13중량부, 아크릴 수지 27.94중량부, 자외선 흡수제인 Tinvuin 928(BASF사 제조) 0.72중량부, Silica 0.04중량부를 포함하는 주 도프액을 제조하였다.
<단계 3> 제1층의 제막과정
이후 상기 주 도프액을 Applicator(폭 2inch)를 이용하여 Steel Belt 위에 캐스팅한 후, 일정한 잔류 용제에 도달할 때까지 상온에서 건조하여 필름을 생성하였다.
삭제
<단계 4>제2층의 제막과정
코팅 조액을 조액탱크에 넣고, 코터 전, 리버스(reverse) 탱크로 이송하고 펌프를 이용하여 코터로 코팅 조액을 공급하였다. 이때 코팅 조액의 조성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1중량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2중량부, 에틸 아세테이트 20중량부, 노르말-부틸 아세테이트 33.5중량부, 광개시제인 미원스페설티케미칼, MIRAMER PU610 1중량부, 2um 크기의 PMMA-Styrene 공중합체 유기입자 2.5중량부이다. 상기 코팅 조액이 제1층에 코팅되고, 이를 건조하여 유기용매를 증발 제거하였다. 이후,  UV 경화공정을 거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고, 최종적으로 얻어진 필름을 권취하여, 제1층과 제2층이 적층된 아크릴 보호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되, 아크릴 수지의 부틸 함량을 10%(실시예2), 15%(실시예3)인 부틸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주 도프액을 만들고 박리력을 측정하되, 아크릴 수지의 부틸 함량이 20%인 수지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주 도프액을 만들고 박리력을 측정하되,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낸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16118704709-pat00002
[화학식 3]
1. 박리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필름들에 대해서, AR-1000(Chemsultants International Inc.) 장비를 이용하여 0.5mpm 속도로 Plate를 전진하며 박리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2. 위상차값의 측정
이렇게 얻어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필름들에 대해서, AxoScan(OPMF-1, Axometrics社) 광학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23℃, 55 %RH의 환경 하에 파장 590 nm에서 위상차값 Ro와 Rth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3. 외관얼룩 평가
이렇게 얻어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필름들에 대해서, 외관얼룩을 육안평가하였다.
시료 수지 박리력
(gf/2inch)
위상차 외관얼룩 비고
면방향(nm) 두께방향(nm)
1 부틸아크릴
(부틸 함량 5%)
8 1 5 없음 실시예1
2 부틸아크릴
(부틸 함량 10%)
6 2 7 없음 실시예2
3 부틸아크릴
(부틸 함량 15%)
4 2 8 없음 실시예3
4 부틸아크릴
(부틸 함량 20%)
3 3 15 없음 비교예1
5 일반아크릴 70 1 5 있음 비교예2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Solvent Casting으로 보호필름을 제조 시, 박리력이 우수하여 표면 처리에도 외관얼룩 문제가 나타나지 않는 고품질의 등방성 광학 필름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크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70 내지 95중량부, 페닐 말레이이미드(Phenyl Male Imide) 단위 1 내지 15중량부,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단위 1 내지 15중량부로 이루어진 아크릴 수지 및 입자의 직경이 100 내지 300nm인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주 도프액으로부터 솔벤트 캐스팅 방법으로 형성된 제1층과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코팅 조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제2층이 접하고 있는 구조이고,

    상기 실리카 입자는 주 도프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중량부이고,

    0.5mpm의 박리 속도로 측정한 박리력이 5gf/2inch 이상 20gf/2inc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필름.
    [화학식 1]
    MMA-PMI-BA
    여기서, MMA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단위, PMI는 페닐 말레이 이미드(Phenyl Male Imide) 단위, BA는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단위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및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 관하여 각 분자량은 1,000g/mol 내지 5,000g/mol이고, 코팅 조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 10중량부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필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이 300,000g/mol 내지 2,500,000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벤트 캐스팅의 솔벤트를 할로겐화 탄화수소와 알코올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필름.


  6. 삭제
  7. 삭제
KR1020160163919A 2016-12-02 2016-12-02 코팅 아크릴 필름 KR10189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19A KR101894812B1 (ko) 2016-12-02 2016-12-02 코팅 아크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19A KR101894812B1 (ko) 2016-12-02 2016-12-02 코팅 아크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69A KR20180063969A (ko) 2018-06-14
KR101894812B1 true KR101894812B1 (ko) 2018-09-05

Family

ID=6262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19A KR101894812B1 (ko) 2016-12-02 2016-12-02 코팅 아크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8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3076A1 (en) * 1989-03-13 1993-02-18 Ici Acrylics, Inc. High temperature heat resistant acrylics
WO2009150926A1 (ja) * 2008-06-13 2009-12-1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アクリ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で作製したアクリ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2197A2 (ko) 2008-07-01 2010-01-07 (주)Lg화학 광학부재용 아크릴계 조성물, 광학부재용 보호필름,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TWI435124B (zh) 2010-10-20 2014-04-21 Nitto Denko Corp Adhesive typ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097310B1 (ko) * 2012-06-22 2020-04-06 소마아루 가부시끼가이샤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적층체
JP2014240905A (ja) 2013-06-12 2014-12-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具備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2015102813A (ja) 2013-11-27 2015-06-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3076A1 (en) * 1989-03-13 1993-02-18 Ici Acrylics, Inc. High temperature heat resistant acrylics
WO2009150926A1 (ja) * 2008-06-13 2009-12-1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アクリ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で作製したアクリ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69A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9490A (ko) Ips lcd 패널
KR101838493B1 (ko) 저투습 편광판
KR101838494B1 (ko) 수분에 강한 패널
KR20190027016A (ko) 아크릴 필름
KR101936674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101894811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101928860B1 (ko) 아크릴 필름
KR101894812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101956614B1 (ko) 아크릴 필름
KR101936702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20190027012A (ko) 아크릴 필름
KR101947484B1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101928871B1 (ko) Ips lcd 패널
KR101867935B1 (ko) 외관품질이 우수한 패널
KR101928862B1 (ko) 아크릴 필름
KR101838495B1 (ko) 수분에 강한 패널
KR101968989B1 (ko) Ips lcd 패널
KR101838496B1 (ko) 저투습 편광판
KR101898519B1 (ko) Ips lcd 패널
KR20180134783A (ko) 코팅 아크릴 필름
KR102088823B1 (ko) 편광판
KR20180079616A (ko)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615A (ko) 내응력(耐應力) 내백화(耐白化) 필름
KR101928861B1 (ko) 아크릴 필름
KR20180063977A (ko) 코팅 아크릴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