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14A - 안전난간대 - Google Patents

안전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14A
KR20150113614A KR1020140037819A KR20140037819A KR20150113614A KR 20150113614 A KR20150113614 A KR 20150113614A KR 1020140037819 A KR1020140037819 A KR 1020140037819A KR 20140037819 A KR20140037819 A KR 20140037819A KR 20150113614 A KR20150113614 A KR 2015011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inge
horizontal
safety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9242B1 (ko
Inventor
최희복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3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24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28Folding railings for flat roof edge, e.g. to hide the railings from view when not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판 형상의 난간설치부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설치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난간설치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난간대{Safety railing bar}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추락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일반 건물 등의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층간 이동 중 인부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계단 측면에 안전난간대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아파트나 일반건물의 공사현장에서 계단에 설치되는 임시 난간으로 사용되는 종래 안전난간대는 지지파이프나 지지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U 형 볼트가 체결되어 있는 난간지주대를 사용하고 있었다.
U형 볼트가 결합된 난간지주대의 일단부에 다른 단부 근처에 수평지지대가 결합되고, 이 수평지지대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부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판이 부착되어 체결부재의 회전시에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임시 난간대를 이용하여 계단 밑의 측면각도에 맞추어서 절곡된 난간지주대의 하단부를 상기 계단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돌려서 절곡판을 계단상의 절곡부에 밀착시키고, 상기 체결부재를 회전시켜 절곡판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계단에 원만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난간지주대를 고정한다.
이러한 난간지주대를 계단상에 여러개 설치한 후 각각의 난간지주대 상에 체결된 각각의 U형볼트 상에 지지파이프나 지지로프를 결합함으로서 임시의 계단 안전난간대를 설치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전난간대는 공구 삽입공에 공구를 삽입하여 체결부재를 회전시켜 난간설치부에 체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부정확한 조립 및 설치로 인한 추락사고 및 작업자의 허리 구부림의 반복작업에 의한 안전사고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KR 10-2013-0011470 (공개번호)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추락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난간설치부에 설치시 설치작업 및 체결작업이 용이한 안전난간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판 형상의 난간설치부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설치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난간설치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안전난간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지지대에 수평지지대를 힌지부를 통해 연결시켜 일체화 시킴으로써, 상기 안전난간대를 난간설치부에 설치시 설치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 공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대와 밀착부재가 난간설치부에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안전난간대가 난간설치부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는 내부에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부의 내부둘레는 제2수평지지대의 외부둘레보다 크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안전난간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안전난간대의 제1중공부는 이웃하는 안전난간대의 제2수평지지대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조절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간격조절 홀은 체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를 체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안전난간대는 난간설치부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설치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난간설치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제1지지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지지대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며, 홀이 형성된 제2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봉 형상의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난간설치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브라켓; 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동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하강하였을때, 상기 고정부재에 걸리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걸림홈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탄성걸림편;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탄성걸림편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을 탄성적으로 밀어주어 지지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인 안전난간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추락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안전난간대(1)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난간대(1)는 수직지지대(100); 상기 수직지지대(100)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110); 상기 수직지지대(100)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120);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110)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210);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120)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힌지부(110) 및 제2힌지부(120)는 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수평지지대(210) 및 제2수평지지대(220)는 상기 제1힌지부(110) 및 제2힌지부(120)의 갯수와 동일하게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라 함은 통상적인 힌지일 수 있으며, 핀 등을 사용하여 중심축의 주위에서 관절운동과 같이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의 접합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1수평지지대(210) 및 제2수평지지대(220)의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에 의해서 접이식 일체형 안전난간대(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이라 함은 지구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 제1수평방향 및 제2수평방향은 지구 중력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수직지지대(100)에서 서로 마주보지 않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수직지지대(100)에서 수직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부(110) 및 제2힌지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특정양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부(110) 및 제2힌지부(120)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힌지부(110) 및 제2힌지부(120)가 직각을 이룰때는 안전난간대(1)를 계단의 모서리에 설치될 때 적용될 수 있으며, 계단 이외에도 평편한 바닥의 코너부에 설치될 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힌지부(110) 및 제2힌지부(120)는 적용하고자하는 적용부위의 형상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직각을 이루며 설치될 수 있고, 제1힌지부(110)와 제2힌지부(120)가 소정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평지지대(20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수평지지대(210)에 형성된 중공은 제1중공부라 하고, 제2수평지지대(220)에 형성된 중공은 제2중공부라 한다. 이때, 제1중공부의 내부둘레는 제2수평지지대(220)의 외부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개의 안전난간대(1)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안전난간대(1)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의 안전난간대(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중공부는 이웃하는 안전난간대(1)의 제2수평지지대(2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특정양태로서, 수평지지대(200)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조절 홀(230)을 포함할 수 있어, 서로 이웃하는 안전난간대(1)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삽입 후 수평지지대(200)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조절 홀(230)은 체결부재(231)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1수평지지대(210)와 이웃하는 안전난간대(1)의 제2수평지지대(220)를 체결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식 체결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난간대(1)의 사용상태도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전난간대(1)를 난간설치부(10)에 설치시 설치 작업이 편리한 안전난간대(1)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난간대(1)는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판 형상의 난간설치부(10)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00), 상기 수직지지대(100)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110), 상기 수직지지대(100)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120),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110)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210)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120)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220); 상기 수직지지대(100)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설치부(10)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300); 및 상기 제1지지대(30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난간설치부(10)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400); 를 포함한다.
여기서, 난간설치부(10)라 함은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면과 배면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으며, 공사장 또는 건설현장에서 난간의 설치를 필요로 하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무방하다. 일 예로, 공사장 또는 건설현장에서 2개 이상의 단차를 이루고 있는 계단일 수 있으며, 에이치 빔으로 이루어지는 난간설치부(10)일 수 있다.
이때, 배면이라 함은 위치상으로 상기 난간설치부(10) 등 쪽의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난간설치부(10)의 아래쪽 면인 하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면이라 함은 난간설치부(10)의 윗면인 겉면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안전난간대(1)는 지지대와 밀착부재(400)에 의해서 난간설치부(1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는 제1지지대(300)와 제2지지대(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대(500)는 제1지지대(3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400)라 함은 안전난간대(1)를 난간설치부(10)에 밀착시키기 위한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봉형상의 이동부재(410)와 상기 이동부재(410)의 하단에 연결설치되는 밀착브라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지지대(500)의 상면에는 고정부재(510)를 포함하여, 상기 밀착부재(4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410)는 제2지지대(50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며, 상기 밀착브라켓(420)은 상기 이동부재(410)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41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난간설치부(10)의 상면을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410)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고정부재(510)가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이동부재(410)가 하강하였을 때, 임의적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의 상부는 이동부재(410)의 축방향과는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하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결합이 용이하고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부재(510)는 탄성걸림편(511)과 탄성수단(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걸림편(511)은 이동부재(410)가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에 일부가 이동부재(410)의 걸림홈에 맞물리게 되어 이동부재(410)의 밀림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512)은 상기 제2지지대(500)와 상기 탄성걸림편(511)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편(511)을 탄성적으로 밀어주어 지지함으로써, 상기 탄성걸림편(511)이 이동부재(410)의 걸림홈에 맞물리는 것을 지속시킬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이동부재(410)가 하강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410)의 걸림홈에 맞물려있던 탄성걸림편(511)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걸림편(511)이 걸림홈에서 빠지면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재(410)가 원위치될 수 있다.
다른 특정양태로서, 상기 탄성걸림편(511)은 '⊂' 또는 '⊃'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지지대(100)에 형성된 제2지지대(5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직방향에서 작용하는 누름력에 의해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즉, 탄성걸림편(511)을 조작하여, 밀착부재(400)를 용이하게 하강 또는 상승시킴으로써, 안전난간대(1)를 난간설치부(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안전난간대(1)안전난간대(1)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난간설치부(10)의 일측에 안전난간대(1)의 배면에 제1지지대(300)를 위치시키고, 작업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발을 이용하여, 밀착부재(400)의 밀착브라켓(420)을 밟아 상기 밀착부재(400)를 난간설치부(10)에 밀착시킨다. 이때, 탄성걸림편(511)이 이동부재(410)의 걸림홈에 맞물리도록 한다. 그리고, 접혀있었던 제1수평지지대(210)와 제2수평지지대(220)가 수직지지대(100)와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힌지부에 설치된 고정장치로 고정시킨다.
그 후, 복수개의 안전난간대(1)를 기 설치된 안전난간대(1)와 소정간격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치시키고, 기 설치된 제1수평지지대(210)의 중공부에 이웃하는 안전난간대(1)의 제2수평지지대(220)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체결부재(231)로 체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전난간대(1)를 해체하는 과정은 제1수평지지대(210)의 중공부에 삽입된 제2수평지지대(220)를 해체한 후, 작업자의 발로 상기 탄성걸림편(511)을 발로 밟아, 상기 이동부재(410)에 맞물려있던 탄성걸림편(511)을 해제하고 손으로 상기 이동부재(410)를 손으로 당김으로써 해체한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단순한 방식으로 난간설치부(10)에 밀착부재(400)를 설치하고 해체하여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수월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안전난간대
10: 난간설치부
100: 수직지지대
110: 제1힌지부 120: 제2힌지부
200: 수평지지대
210: 제1수평지지대 220: 제2수평지지대
230: 간격조절 홀 231: 체결부재
300: 제1지지대
400: 밀착부재
410: 이동부재 420: 밀착브라켓
500: 제2지지대
510: 고정부재 511: 탄성걸림편
512: 탄성수단

Claims (10)

  1.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를 포함하는 안전난간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는 내부에 제1중공부 및 제2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공부의 내부둘레는 제2수평지지대의 외부둘레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대는 서로 이웃하는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안전난간대의 제1중공부는 이웃하는 안전난간대의 제2수평지지대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조절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 홀은 체결부재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제1수평지지대 및 제2수평지지대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대.
  6. 난간설치부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1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힌지부, 상기 수직지지대에 제2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2힌지부, 일측이 상기 제1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수평지지대 및 일측이 상기 제2힌지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수평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하부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난간설치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제1지지대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여 상기 난간설치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 를 포함하는 안전난간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상기 제1지지대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지지대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며, 홀이 형성된 제2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밀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 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봉 형상의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난간설치부의 상면에 밀착되는 밀착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하강하였을때, 상기 고정부재에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걸림홈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탄성걸림편;
    상기 제2지지부와 상기 탄성걸림편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을 탄성적으로 밀어주어 지지하는 탄성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난간부.
KR1020140037819A 2014-03-31 2014-03-31 안전난간대 KR10155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19A KR101559242B1 (ko) 2014-03-31 2014-03-31 안전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819A KR101559242B1 (ko) 2014-03-31 2014-03-31 안전난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14A true KR20150113614A (ko) 2015-10-08
KR101559242B1 KR101559242B1 (ko) 2015-10-14

Family

ID=5434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819A KR101559242B1 (ko) 2014-03-31 2014-03-31 안전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0017A (zh) * 2017-11-09 2018-02-23 天津升华机械设备有限公司 方罐护栏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975A (ko) 2017-10-25 2019-05-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접이식 안전 난간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381B1 (ko) 2008-08-28 2009-04-29 권현철 폼 안전 난간대
KR101235354B1 (ko) 2010-10-15 2013-02-20 주식회사 유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0017A (zh) * 2017-11-09 2018-02-23 天津升华机械设备有限公司 方罐护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9242B1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31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CA2739414C (en) Telescopic safety post
US20170096856A1 (en) Lifeline bracket for ladders, ladders including lifeline brackets and related work platform systems and methods
KR20120140340A (ko) 비계장치
KR101559242B1 (ko) 안전난간대
KR100855758B1 (ko) 공사장 리프트의 출입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발판
KR101679542B1 (ko) 가설난간용 지주대
KR101614689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난간
US20130299761A1 (en) Modular rai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489666Y1 (ko) 건설현장 계단용 난간대
KR101878647B1 (ko) 난간 기둥장치
GB2477812A (en) Scaffolding tool for attaching handrail
EP2122085B1 (en) A barrier assembly
KR200489141Y1 (ko) 시스템 난간대
KR101621868B1 (ko) 건축 작업용 작업대
KR101976688B1 (ko) 사다리 전도 및 추락방지용 안전 시설물
EP1365087B1 (en) Safety barrier apparatus
JP6664833B2 (ja) 車いす用のスロープ中継台
KR101578763B1 (ko) 계단용 임시난간
KR20150032982A (ko) 계단 난간용 난간패널
KR20140118722A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제조 방법
KR101307026B1 (ko) 갱폼 멍에재에 이용되는 작업발판용 브라켓
KR101986974B1 (ko) 탈착식 안전난간
KR101344064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
KR20190071556A (ko) 갱폼 안전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