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373A -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373A
KR20150113373A KR1020140036577A KR20140036577A KR20150113373A KR 20150113373 A KR20150113373 A KR 20150113373A KR 1020140036577 A KR1020140036577 A KR 1020140036577A KR 20140036577 A KR20140036577 A KR 20140036577A KR 20150113373 A KR20150113373 A KR 20150113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etal bar
rotation
electrolytic bath
electro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668B1 (ko
Inventor
민경진
조현철
서정철
차헌주
송교신
공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삼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주식회사 삼천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03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66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6Chl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34Simultaneous production of alkali metal hydroxides and chlorine, oxyacids or salts of chlorine, e.g. by chlor-alkali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5/00Operating or servicing cells
    • C25B15/08Supplying or removing reactants or electrolytes; Regeneration of electroly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분해조(10) 내에서 염소수의 전기분해를 위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전극판(60,61); 전기분해조(10)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20);모터의 회전축(21)에 제1 기어(22), 상기 제1 기어(22)의 회전 방향을 직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어(22)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23); 내부가 중공이면서 하단(25) 부분을 제외하고 부도체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25)은 도체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기어(23)와 축결합으로 제2 기어(23)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기어의 회전축(24); 일단은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25)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두 개의 전극판(60,61) 중의 하나에 고정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금속 바(30);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내부에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과 이격되어 삽입되어 있고, 하단은 절곡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하단과 접촉되되 고정되어 있지는 않고, 상단은 직류전원 공급장치(80)의 하나의 극과 연결되는 금속봉(50); 일단이 상기 직류전원 공급장치(80)의 또 다른 하나의 극과 연결된 제2 금속 바(40);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과 접촉되되 제2 금속 바(40)에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면서 제2 금속 바(40)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시 가이드되는 원형 금속 띠(41); 및, 일단이 상기 원형 금속 띠(4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금속 바(30)의 타단과 고정결합된 전극판과 다른 전극판에 고정결합된 제3 금속 바(42);로 구성됨으로써, 전기분해조 내에서의 염소수가 교반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Sodium hypochlorite generator for managing residual chlorine}
본 발명은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해조 내에서의 염소수가 교반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 상수도 발전 단계는 1세대에는 상수도 공급 확대, 2세대에는 누수관리를 통한 누수율 감소, 누수관리가 완료되는 시점인 3세대에서 엄격한 수질관리를 통해 공급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종합적 관리의 시기가 될 것임으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상수관망에서의 수질관리와 관련된 주요 항목은 최저 잔류염소 농도 유지와 금속성분의 용출 방지, 체류시간 단축을 통한 수질변화 방지 등과 같은 배·급수시설에서의 수질 안정성이 최우선이지만, 수돗물 홍보협의회가 조사한 수돗물 만족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수돗물을 식수로 마시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막연한 불안감을 제외하고 맛, 냄새, 녹물과 이물질 때문이라는 응답이 전체 30%를 차지한다는 것은 향후 상수도의 수질관리 중 최우선 관리 대상이 잔류염소 농도 관리라고 판단할 수 있다.
2004년 전국 3,642개소에 대해 국내 수도꼭지 잔류염소 농도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0.2㎎/ℓ~1.0㎎/ℓ의 범위에 측정되었지만, 국내 가이드 라인(상하수도협회 0.2㎎/ℓ~0.4㎎/ℓ, 0.2㎎/ℓ미만이면 세균·미생물 등이 번식할 수 있고 0.4㎎/ℓ초과하면 어떤 종류의 맛·냄새 등이 발생)에 만족하는 가구수는 겨우 12.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후 염소 공정에서 염소를 주입하여 배급수계통 전체에 걸쳐 잔류염소를 관리하고 있는 지역의 경우, 각 배수지 지역 내 잔류염소 농도 편차가 크고, 관말지역은 0.04㎎/ℓ이하로 저하되는 등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기존의 염소제인 액화염소는 맹독성 가스로 유출시 인명살상과 같은 대형사고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엄격한 규제 대상으로 재해방지 설비를 설치해야 하고, 유지관리 측면에 있어서 액화염소는 관로설비 부식을 촉진하고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를 야기시키며 설비 내구성이 짧다.
따라서, 배·급수 지역 내 잔류염소 농도를 균등화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잔류염소를 제어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시간으로 잔류염소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관망해석프로그램을 활용한 관망 염소관리 기술과 정수장 CT값과 송수초기의 잔류염소 농도 관리 기술 이외에도 중간 염소주입 기술이 복합적으로 필요한데, 이 중에서 중간 염소주입 기술과 관련하여 현재의 액화염소의 위험성과 시판용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보관과 비용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안전한 현장 발생형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한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8141호(2009년12월15일 공개, 상수도 소독통합관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수를 공급하는 관로에 설치되어 소금물을 만들어내는 혼합기와; 상기 혼합기로부터 소금물을 공급받아 전기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한 후 저장하는 전기분해조와; 상기 전기분해조에 저장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펌핑하여 관로에 주입하는 정량주입펌프와; 상기 관로에 설치된 유량센서로부터 유량신호를 입력받고, 유량에 비례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분해조 및 정량주입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유량센서의 유량정보, 전기분해조 및 정량주입펌프의 제어정보 등의 상수도 소독관리정보를 외부의 감시센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그 자체에 의한 차아염소산나트륨 생성량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28141호(명칭: 상수도 소독통합관리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분해조 내에서의 염소수가 교반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관망 내로 소독살균제를 실시간 투입할 수 있어 상수관망 내의 잔류염소 농도를 균등하게 유지하여 수질관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좋아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분해조 내에서 염소수의 전기분해를 위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전극판; 전기분해조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 모터의 회전축에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방향을 직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 내부가 중공이면서 하단 부분을 제외하고 부도체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은 도체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기어와 축결합으로 제2 기어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기어의 회전축; 일단은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두 개의 전극판 중의 하나에 고정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금속 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내부에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과 이격되어 삽입되어 있고, 하단은 절곡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과 접촉되되 고정되어 있지는 않고, 상단은 직류전원 공급장치의 하나의 극과 연결되는 금속봉; 일단이 상기 직류전원 공급장치의 또 다른 하나의 극과 연결된 제2 금속 바; 상기 제2 금속 바의 타단과 접촉되되 제2 금속 바에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면서 제2 금속 바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시 가이드되는 원형 금속 띠; 및, 일단이 상기 원형 금속 띠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금속 바의 타단과 고정결합된 전극판과 다른 전극판에 고정결합된 제3 금속 바로 구성된 것을 그 기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기어와 제2 기어는 각각 베벨 기어, 헬리컬 기어 또는 평 기어를 이용해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극판은 티타늄을 지지체로 하여 루테늄산화물이나 이리듐산화물 또는 백금을 전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봉의 상부는 전기분해조의 외부에서 ㄷ자 모양의 고정구가 금속봉을 관통하면서 전기분해조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금속 바의 타단은 원형 금속 띠의 단면을 감싸면서 일측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제2 금속 바는 전기분해조를 관통하면서 전기분해조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일단은 전기분해조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금속 바의 타단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원형 금속 띠를 지지하고 회전시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도체인 지지바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에는 일정 개수의 팬 날개가 추가 고정 설치되어, 전기분해조 상부에 일정 개수로 천공되어 있는 환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회전으로 인한 팬 날개의 작동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분해조 내의 수온을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가스를 상기 환기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전극판의 동일 위치에 각각 적어도 두 개씩 천공이 되어 있어, 그 천공 부분으로 두 개의 전극판을 관통하는 부도체인 지지봉; 두 개의 전극판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해, 각각의 전극판 전·후면으로 상기 지지봉에 끼움고정결합되고 두 개의 전극판에 밀착되어 두 개의 전극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너트; 상기 지지봉의 양단이 걸쳐져 두 개의 전극판의 회전시에 상기 지지봉도 함께 회전하면서 두 개의 전극판을 지지하게 되는, 전기분해조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분해조 내 염소수의 온도는 20~28℃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회전축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기어가 회전하고, 제2 기어의 회전으로 제2 기어의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회전으로 제1 금속 바와 하나의 전극판이 회전하게 되고, 하나의 전극판의 회전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른 하나의 전극판이 회전하며, 그 다른 하나의 전극판의 회전으로 제3 금속 바가 회전하게 되고, 제3 금속 바의 회전으로 원형 금속 띠가 회전하므로, 상기 두 개의 전극판의 회전으로 전기분해조 내에서의 염소수가 교반이 되면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는 전기분해조 내에서의 염소수가 교반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상수관망 내로 소독살균제를 실시간 투입할 수 있어 상수관망 내의 잔류염소 농도를 균등하게 유지하여 수질관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이 좋아 유지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기분해조에서 일어나는 전기분해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서 교반 유무에 대한 비교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상부 상세도.
도 8은 도 5의 A부분 상세 절개도.
도 9와 도 10은 도 5의 B부분 상세 단면도와 상세 사시도.
도 11은 도 5의 C부분 상세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D부분 상세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E부분 상세도.
도 14는 상수관망에서 중간 염소주입 장치의 전체 구성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본 발명에 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이므로, 도면들 및 이에 관한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될 것이다.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서는 전기분해가 일어나는데, 전기분해는 금속의 산화 및 환원에 의한 전기 화학적 반응과 같은 원리로써 부식의 원리와 유사하다. 순수한 물은 전기분해가 되지 않으나 소량의 전해질을 첨가하면 전기분해 할 수 있다. 전기분해의 전해질로는 일반적으로 NaCl을 이용하며,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전극판이 설치된 전기분해조(10)에서 전류인가시 전기분해된다. 이 때, 양극에서는 산화반응이 일어나고, 음극에서는 환원반응이 일어나는데, Cl-는 양극에서 산화되어 염소(Cl2)를 생성하고, 물은 음극에서 환원되어 수소가스(H2)를 발생시킨다. 양극에서 생성되는 산화제의 총 생산량은 패러데이 법칙(Faraday's Law)을 따르고, 주요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는 전기분해조(10)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설치되어 있어 양극간을 구분하는 격막이 없는 무격막 방식을 적용하고, 공급된 염소수는 전해되어 상기 전기분해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양극에서 다음의 화학식과 같이 염소(Cl2)를 발생시킨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염소는 가장 범용적 소독제로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는 효과가 높고, 높은 잔류성으로 관망에서의 제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렴하다. 또한, 염소는 소독 후에도 잔류염소로서 수중에 남아 있으므로 배수도중에 세균의 재오염이 있는 경우에도 이것에 대항하여 안전하게 하고, 수도에서는 급수전에서 0.2㎎/ℓ(유리잔류염소)만큼 잔류하도록 염소를 주입함으로써 모든 급배수계 내에서의 세균학적인 안전을 확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기분해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음극에서는 수소(H2)가 발생하고 수산이온(OH-)이 생성되어 이 수산이온과 나트륨이온(Na+)으로 다음의 화학식과 같이 가성소다(NaOH)를 생성한다.
Figure pat00004
전기분해조(10) 내에 격막이 없으므로 양극에서 발생한 염소와 음극에서 발생한 가성소다가 반응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다음의 화학식과 같이 생성한다.
Figure pat00005
도 1은 전기분해조 내에서 일어나는 상기 전기분해와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전기분해시 전기분해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분해조(10) 내 영향인자로는 전해질 농도, 전류세기, 반응시간, 수온, 전류밀도, 전극 간격, 염소수 교반유무 등이 있다.
특히, 전기분해조(10) 내의 염소수의 온도에 따라 유리잔류염소의 농도는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기 위한 전기분해조(10) 내 전기분해시, 염소수의 온도 상승은 불가피하다. 때문에, 수온 상승으로 인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전기분해조(10) 내 적정수온을 20~28℃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전기분해조(10) 내 염소수의 온도가 20℃이하일 경우에는 전력 소비량이 증가되어 전극판의 수명이 짧아지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속도가 느리고, 전기분해조(10) 내 염소수의 온도가 28℃이상일 경우에, 전기분해조(10) 내에서 전해에 의한 발열 때문에, 생성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온도가 높아지고 분해 속도가 빨라질 뿐만 아니라 전극판 및 배관 등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냉각 혹은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기분해시 전기분해조(10)에 공급되는 염소수의 교반 유무에 따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도 영향을 받는데, 도 2는 하기에서 상술할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의한 교반 유무에 따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과 pH의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교반할 경우에는 교반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동일 시간 대비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이 증가하고 동일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생성량에 대해 반응시간이 단축되며 pH가 낮다.
도 3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에서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전기분해조(10)는 좁은 의미로 하기의 구성을 내장하는 외곽수조의 개념이고, 그 재질은 아크릴 재질 등의 부도체이다.
전기분해조(10)의 상부에는 모터(20)가 구비되고 모터의 회전축(21)에 제1 기어(22)가, 상기 제1 기어(22)의 회전 방향을 직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 기어(23)가 상기 제1 기어(22)와 맞물려 있는데, 상기 제1 기어(22)와 제2 기어(23)는 각각 베벨 기어, 헬리컬 기어 또는 평 기어를 이용해서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은 내부가 중공이면서 하단(25) 부분을 제외하고 아크릴 재질 등의 부도체로 이루어져 있고, 제2 기어의 회전축(24)은 제2 기어(23)와 축결합으로 제2 기어(23)에 고정되어 있어 제2 기어(23)가 회전하면 제2 기어의 회전축(24)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상단은 전기분해조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고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25)은 도체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2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금속 바(bar,30)의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1 금속 바(30)의 타단은 전기분해조 내의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60,61) 중의 하나에 고정결합된다. 참고로, 상기 전극판(60,61)은 불용성 촉매전극(DSA)을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불용성 촉매전극은 티타늄을 지지체로 하여 루테늄산화물이나 이리듐산화물, 백금과 같은 금속물질을 전착시켜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내부에는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과 이격되어 금속봉(50)이 삽입되는데 상기 금속봉(50)의 하단은 절곡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25)과 접촉되되 고정되어 있지는 않아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회전과 함께 금속봉(50)은 회전하지는 않으며, 상기 금속봉(50)의 상단은 직류전원 공급장치(80)의 하나의 극과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되는 하나의 극은 당연히 상기 제1 금속 바(30)의 타단에 고정결합되는 전극판(60 또는 61)과 동일한 극이어야 할 것이고, 상기 금속봉(50)은 내부가 중공인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봉(50)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금속봉(50)과 직류전원 공급장치(80)를 연결하는 전선의 꼬임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불어, 상기 금속봉(50)의 상부는 전기분해조(10)의 외부에서 고정되는데, 일 실시예로 ㄷ자 모양의 2개의 고정구(51)가 십자 형태로 금속봉(50)을 관통하면서 전기분해조(10)에 고정결합되는 형식인데 그 결합형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직류전원 공급장치(80)에서부터 전류의 흐름은 금속봉(50) ->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25) -> 제1 금속 바(30) -> 전극판(60 또는 61)이 된다.
한편, 상기 직류전원 공급장치(80)의 또 다른 하나의 극은 제2 금속 바(bar,4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은 원형 금속 띠(41)와 접촉되되 원형 금속 띠(41)와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면서 원형 금속 띠(41)를 지지하고 회전시 가이드하게 되는데,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은 원형 금속 띠(41)의 단면을 감싸면서 일측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고, 원형 금속 띠(41)가 회전할 때 그 개방된 일측으로 제3 금속 바(bar,4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제3 금속 바(bar,42)의 일단이 원형 금속 띠(41)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제3 금속 바(42)의 타단은 상기 제1 금속 바(30)의 타단과 고정결합된 전극판(60 또는 61)과 다른 전극판(60 또는 61)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의 형태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금속 바(40)는 원형 금속 띠(41)를 지지해야하므로 전기분해조(10)를 관통하면서 전기분해조(10)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원형 금속 띠(41)를 지지하고 회전시 가이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도체인 지지바(43)가 추가로 필요한데 상기 지지바(43)의 일단은 전기분해조(10)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지지바(43)의 타단은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 원형 금속 띠(4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직류전원 공급장치(80)에서부터 전류의 흐름은 제2 금속 바(40) -> 원형 금속 띠(41) -> 제3 금속 바(42) -> 전극판(60 또는 61)이 된다.
더불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에는 일정 개수의 팬 날개(70)가 고정 설치되어, 전기분해조(10) 상부에 일정 개수로 천공되어 있는 환기구(7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회전으로 인한 팬 날개(70)의 작동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분해조(10) 내의 수온을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가스를 상기 환기구(7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두 개의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에는 동일 위치에 각각 적어도 두 개씩 천공이 되어 있어 그 천공 부분(62)으로 부도체인 아크릴 재질 등의 지지봉(63)이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60,61)을 관통하게 되는데,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60,61)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해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 전·후면으로 상기 지지봉(63)에 끼움고정결합된 너트(64)가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에 밀착되어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63)의 양단은 전기분해조(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부(65)에 걸쳐져 두 개의 전극판(60,61)의 회전시에 상기 지지봉(63)도 함께 회전하면서 두 개의 전극판(60,61)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나,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의 위치를 고정하는 형태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의 회전으로 전기분해조(10) 내에서의 염소수가 교반이 되는데, 모터 회전축(21)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기어(22,23)가 회전하고, 제2 기어(23)의 회전으로 제2 기어의 회전축(24)이 회전하게 되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회전으로 제1 금속 바(30)와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이 회전하게 되고,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의 회전으로 지지봉(63)에 의해 간격 유지되면서 고정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이 회전하며, 그 다른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의 회전으로 제3 금속 바(42)가 회전하게 되고, 제3 금속 바(42)의 회전으로 원형 금속 띠(41)가 회전하게 된다. 결국, 직류전원 공급장치(80)와 전선으로 연결되는 금속봉(50)과 제2 금속 바(4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금속봉(50)과 직류전원 공급장치(80)를 연결하는 전선/ 제2 금속 바(40)와 직류전원 공급장치(80)를 연결하는 전선의 꼬임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염소수는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의 전기분해조(10) 하부에 있는 유입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되고, 전기분해조(10)에서 생성된 차아염소산(HOCl)과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포함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은 전기분해조(10) 상부에 있는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자연 유하 방식으로 별도의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에 저장된다.
참고로, 상기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양극 및 음극 전극판(60,61)과 제2 기어의 회전축(24) 및 원형 금속 띠(41) 각각의 회전 중심은 일치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전극판(60,61)이 회전할 때 생기는 회전력으로 염소수의 온도를 일정 정도 유지할 수 있고, 교반시 전극판(60,61)을 이용하므로 외부 장비를 이용하여 교반하는 것에 비해 전기분해조(10) 내 다른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이물질로 인한 부식 우려를 저감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이 포함된, 상수관망에서 중간 염소주입 장치의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수관망에서 공급되는 물은 연수기를 거치면서 경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 연수기는 현장 발생형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서 2가 양이온(Ca2 +, Mg2 + 등)에 의한 전극의 스케일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유입부 전단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연수기를 거친 물의 일부는 소금저장조로 급수되는데, 이 소금저장조는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소금을 저장 및 일정량의 소금물을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 공급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에서 차아염소산(HOCl)과 차아염소산이온(OCl-)을 포함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고, 이를 다시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에 저장한다.
한편, 잔류염소 계측기는 상수관망내 잔류염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인젝터를 통한 상수관망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유동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수관망 유량계는 상수관망내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인젝터를 통한 상수관망내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유동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현장제어반은 부대시설(펌프, 연수기, 저장조, 인젝터, 잔류염소계측기, 유량계)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최종적으로, 인젝터를 통해 압력수를 공급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로부터의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희석·혼합시킨 후 일정량을 상수관망내로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데, 차아염소산나트륨이 상수관망에 주입되면 수중반응이 일어나고 수중의 차아염소산(HOCl) 또는 차아염소산이온(OCl-)으로 존재하는 유리잔류염소로 소독살균작용을 한다.
따라서, 정수장으로부터 송·배수관로의 연장이 길거나 배수지의 용량 등의 관계로 잔류염소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되거나 특정지역의 급수전까지 거리가 지나치게 길어서 정수장에서 염소제의 과잉주입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가능한 급수전에서 잔류염소를 균일하게 하고 필요한 잔류염소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수지나 상수관망 도중에 염소주입설비를 설치하여 염소제를 추가 주입하는 방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상수관망내 잔류염소의 측정을 통해 고품질의 수돗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수관망내로 전해살균제를 실시간 투입할 수 있는 전기분해를 이용한 상수관망 소독장치인, 본 발명을 포함한 중간 염소주입 장치는 유지관리의 편의성 및 수질관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소금물을 음극과 양극이 인가된 전극판 사이에 통과시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는 기술인 본 발명은 장치를 소형화하여 맨홀 내 설치함으로써 소요부지를 최소화하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차아염소산나트륨 저장조에 On-line 잔류염소측정센서를 설치하고 관망내에도 On-line 잔류염소측정센서를 설치하여 필요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 및 투입량을 자동으로 산정하여 실시간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주입할 수 있는 시스템이 탑재될 수도 있다. 기존 기술들은 장치 소형화의 한계로 인하여 배·급수지에 설치한 반면, 본 발명은 장치 소형화를 통해 설치한계를 극복하고 차아염소산나트륨의 농도와 생성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차아염소산나트륨의 과다 투여와 과잉 운영을 방지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은 증진되고 유지관리비용은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는 소금을 원료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비규제 대상이며, 별도의 중화설비등 재해방지의 설치가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인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는 관련설비의 부식이나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최소 10년 이상으로 액화염소에 비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10: 전기분해조 20: 모터
21: 모터 회전축 22: 제1 기어
23: 제2 기어 24: 제2 기어의 회전축
25: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 30: 제1 금속 바
40: 제2 금속 바 41: 원형 금속 띠
42: 제3 금속 바 43: 지지바
50: 금속봉 51: 고정구
60,61: 전극판 62: 천공 부분
63: 지지봉 64: 너트
65: 요홈부 70: 팬 날개
71: 환기구 80: 직류전원 공급장치

Claims (10)

  1. 전기분해조(10) 내에서 염소수의 전기분해를 위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되어 있는 두 개의 전극판(60,61);
    전기분해조(10)의 상부에 구비된 모터(20);
    모터의 회전축(21)에 제1 기어(22), 상기 제1 기어(22)의 회전 방향을 직각으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제1 기어(22)와 맞물려 있는 제2 기어(23);
    내부가 중공이면서 하단(25) 부분을 제외하고 부도체로 이루어져 있고, 하단(25)은 도체인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기어(23)와 축결합으로 제2 기어(23)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기어의 회전축(24);
    일단은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의 하단(25)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두 개의 전극판(60,61) 중의 하나에 고정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금속 바(30);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내부에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과 이격되어 삽입되어 있고, 하단은 절곡되어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하단과 접촉되되 고정되어 있지는 않고, 상단은 직류전원 공급장치(80)의 하나의 극과 연결되는 금속봉(50);
    일단이 상기 직류전원 공급장치(80)의 또 다른 하나의 극과 연결된 제2 금속 바(40);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과 접촉되되 제2 금속 바(40)에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면서 제2 금속 바(40)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시 가이드되는 원형 금속 띠(41); 및,
    일단이 상기 원형 금속 띠(4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 금속 바(30)의 타단과 고정결합된 전극판과 다른 전극판에 고정결합된 제3 금속 바(4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22)와 제2 기어(23)는 각각 베벨 기어, 헬리컬 기어 또는 평 기어를 이용해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60,61)은 티타늄을 지지체로 하여 루테늄산화물이나 이리듐산화물 또는 백금을 전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50)의 상부는 전기분해조의 외부에서 ㄷ자 모양의 고정구(51)가 금속봉(50)을 관통하면서 전기분해조(10)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은 원형 금속 띠(41)의 단면을 감싸면서 일측은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고, 상기 제2 금속 바(40)는 전기분해조(10)를 관통하면서 전기분해조(1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일단은 전기분해조(10)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금속 바(40)의 타단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원형 금속 띠(41)를 지지하고 회전시 가이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도체인 지지바(43)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에는 일정 개수의 팬 날개(70)가 추가 고정 설치되어, 전기분해조(10) 상부에 일정 개수로 천공되어 있는 환기구(71)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회전으로 인한 팬 날개(70)의 작동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분해조(10) 내의 수온을 낮추어 줄 뿐만 아니라 전기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수소가스를 상기 환기구(7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전극판(60,61)의 동일 위치에 각각 적어도 두 개씩 천공이 되어 있어, 그 천공 부분(62)으로 두 개의 전극판(60,61)을 관통하는 부도체인 지지봉(63);
    두 개의 전극판(60,61)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해, 각각의 전극판(60,61) 전·후면으로 상기 지지봉(63)에 끼움고정결합되고 두 개의 전극판(60,61)에 밀착되어 두 개의 전극판(60,6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너트(64);
    상기 지지봉(63)의 양단이 걸쳐져 두 개의 전극판(60,61)의 회전시에 상기 지지봉(63)도 함께 회전하면서 두 개의 전극판(60,61)을 지지하게 되는, 전기분해조(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홈부(65);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전기분해조(10) 내 염소수의 온도는 20~28℃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모터 회전축(21)의 회전으로 제1 및 제2 기어(22,23)가 회전하고, 제2 기어(23)의 회전으로 제2 기어의 회전축(24)이 회전하게 되며, 제2 기어의 회전축(24)의 회전으로 제1 금속 바(30)와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이 회전하게 되고,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의 회전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른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이 회전하며, 그 다른 하나의 전극판(60 또는 61)의 회전으로 제3 금속 바(42)가 회전하게 되고, 제3 금속 바(42)의 회전으로 원형 금속 띠(41)가 회전하므로, 상기 두 개의 전극판(60,61)의 회전으로 전기분해조(10) 내에서의 염소수가 교반이 되면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1020140036577A 2014-03-28 2014-03-28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10158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77A KR101580668B1 (ko) 2014-03-28 2014-03-28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577A KR101580668B1 (ko) 2014-03-28 2014-03-28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373A true KR20150113373A (ko) 2015-10-08
KR101580668B1 KR101580668B1 (ko) 2015-12-29

Family

ID=5434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577A KR101580668B1 (ko) 2014-03-28 2014-03-28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6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425A (ja) * 2001-07-19 2003-02-04 Jonan Kk 金属器具の消毒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277859A (ja) * 2003-03-18 2004-10-0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塩素発生装置
JP2005095808A (ja) * 2003-09-26 2005-04-14 Shinwa Kogyo Kk 水素水製造用攪拌具
JP2005334760A (ja) * 2004-05-26 2005-12-08 Kobe Steel Ltd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20090128141A (ko) 2008-06-10 2009-12-15 (주)더블유앤티 상수도 소독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3425A (ja) * 2001-07-19 2003-02-04 Jonan Kk 金属器具の消毒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277859A (ja) * 2003-03-18 2004-10-0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塩素発生装置
JP2005095808A (ja) * 2003-09-26 2005-04-14 Shinwa Kogyo Kk 水素水製造用攪拌具
JP2005334760A (ja) * 2004-05-26 2005-12-08 Kobe Steel Ltd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20090128141A (ko) 2008-06-10 2009-12-15 (주)더블유앤티 상수도 소독통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668B1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25104B2 (en) Device for manufacturing sodium hypochlorite or hypochlorous acid and water treatment system in general
Ghernaout et al. On the dependence of chlorine by-products generated species formation of the electrode material and applied charge during electrochemical water treatment
Schmalz et al.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of biologically treated wastewater from small treatment systems by using boron-doped diamond (BDD) electrodes–Contribution for direct reuse of domestic wastewater
US650892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802361B1 (ko) 전해살균 소독수 공급장치
KR100706215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US2021017945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nitizing Pool and Spa Water
CN208328133U (zh) 可降低盐耗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CN208328131U (zh) 可提高反应速率的新型次氯酸钠发生器
EP1461291B1 (en) Electrolytic devic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water in a water supply system by means of the generation of active chlorine
KR101271179B1 (ko)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관로 소독 시스템 및 세척 방법
KR102104511B1 (ko) 소규모 상수시설용 살균장치
KR101371616B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의 차염 희석구조
KR200435320Y1 (ko) 염소소독수 생성장치
KR101580668B1 (ko) 잔류염소 관리를 위한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 장치
KR100757209B1 (ko) 간이상수도 시스템
KR20090128141A (ko) 상수도 소독통합관리 시스템
KR20090083796A (ko) 모듈형 전해셀을 구비한 저용량 차아염소산나트륨 발생장치
JPH06206076A (ja) 殺菌水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2104510B1 (ko) 소규모 상수시설용 살균장치
KR101022817B1 (ko) 조류 발생 억제 장치
KR20080059860A (ko) 광천수로부터 음료수를 제조하는 방법
RU2540616C2 (ru) Способ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ных систем минерализованными промышленными водами в виде растворов гипохлорита
KR20120028515A (ko) 살균제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EP1226094B1 (en) Device for electro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