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277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277A
KR20150113277A KR1020140036067A KR20140036067A KR20150113277A KR 20150113277 A KR20150113277 A KR 20150113277A KR 1020140036067 A KR1020140036067 A KR 1020140036067A KR 20140036067 A KR20140036067 A KR 20140036067A KR 20150113277 A KR20150113277 A KR 20150113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time
module
data
slack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204B1 (ko
Inventor
김홍숙
이석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204B1/ko
Priority to US14/663,796 priority patent/US9641412B2/en
Publication of KR20150113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제2 시점까지의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연산부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중계 모듈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임 -; 및 상기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Guaranteeing Traffic OF Communication MODULE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랜과 블루투스를 함께 장착하고 있는 경우, 블루투스의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link)에 대한 트래픽을 보장하는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형 통신 장비에는 무선랜과 블루투스가 동시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블루투스 통신은, 2.4GHz에서 동작하는데, 장착된 무선랜도 2.4GHz에서 동작하는 경우, 동일한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므로, 동시에 두가지 통신 모듈이 송수신하는 경우,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블루투스는 2.4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밴드를 사용한다. ISM 밴드는 2400 ~2483.5MHz에 해당한다. 그러나 다른 장치와의 간섭을 막기 위해 이 밴드 아래쪽에는 2MHz, 위쪽에는 3.5MHz의 가드 밴드(Guard Band)를 두고, 각 채널 대역폭을 1MHz로 하여 79개의 채널, 즉 2402+kMHz (k=0,1,2,.......,78)을 채널을 사용한다.
블루투스의 TDD(Time Division Duplex)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1Mhz의 대역폭을 지닌 각각의 채널들은 625μs의 타임 슬롯(Time Slot)으로 나누어진다. 각 타임 슬롯을 통해 패킷이 전송이 되는데, 길이가 긴 패킷의 경우 5개까지의 슬롯으로 나누어져 전송되기도 한다.
블루투스의 링크는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링크와 ACL(A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링크로 구분할 수 있다. SCO 링크는 625μs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예약된 타임 슬롯(Slot)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SCO 링크는 대칭적(Symmetric)이며, 마스터와 슬레이브 간의 포인트-포인트(Point-To-Point) 연결이 된다. 또 한번 전송된 SCO 데이터 패킷은 재전송 (Retransmission) 되지 않는다. 따라서 SCO 링크는 시간적 요인이 중요하고 신뢰성은 크게 요구되지 않는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며, 대부분 음성 채널로 사용된다. SCO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SCO 패킷은 음성 전송을 위한 트래픽으로 64Kbps의 음성 전송 보장을 위하여 설정된 주기에 따른 시점에서 송수신을 반드시 보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무선랜과 블루투스가 동시에 장착된 경우, 별도의 무선랜과 블루투스간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방법이나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SCO 패킷 전송을 위해 설정된 주기동안 무선랜이 무선랜 패킷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SCO 패킷을 설정된 주기에 맞게 송수신하는 것을 항상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기기에서 음성의 품질이 저하되어 음성을 알아 듣기 어렵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선랜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제2 시점까지의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연산부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제어 장치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임 -; 및 상기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한 슬랙 타임 중에 가장 작은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선랜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link)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제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중계 모듈; 및 상기 슬랙 타임을 참고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인 통신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중계 모듈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트래픽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지스터; 및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한 슬랙 타임 중에 가장 작은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슬랙 타임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슬랙 타임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의 송신을 보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선랜 모듈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제2 시점까지의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임 -; 및 상기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이 제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중계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슬랙 타임을 참고하여,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인 통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중계 모듈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한 슬랙 타임 중에 가장 작은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랜 모듈을 장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이해를 돕거나 및/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랜 모듈을 장착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블루투스 모듈과 무선랜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는 공통 버스(Common Bus)를 통하여 프로세서, 메모리 서브 시스템, 입출력 서브 시스템이 연결된 공통 플랫폼 상에 무선랜 통신 기능이 구현된 모듈(이하 '무선랜 모듈'이라 한다)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이 구현된 모듈(이하 '블루투스 모듈'이라 한다)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랜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이 별도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모듈로 구현되어 단일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랜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이 별도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 단일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범위에서 제외되지 않는다.
프로세서 서브 시스템(Processor Subsystem)은 싱글코어 또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서브 시스템(Memory Subsystem)은 프로세서 서브 시스템에 필요한 메모리를 제공하고, 공통 버스를 통하여 통신 모듈 내부의 메모리와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서브 시스템(I/O Subsystem)은 공통 플랫폼(Common Platform)내의 입출력과 각 통신 모듈간의 입출력에 필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펌웨어, 메모리 및 하드웨어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펌웨어에는 통신 규격의 로직과 같이 레이어에 해당하는 기능 중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이 필요한 기능들인 펌웨어 상의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는 공통 버스를 통하여 다른 모듈 간의 펌웨어 간에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는 모듈 내의 메모리와 하부 하드웨어 로직 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는 공통 버스, 펌웨어, 하부 하드웨어 로직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하드웨어 로직에 필요한 데이터의 유지 관리 및 공통 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메모리 서브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메모리 서브 시스템 또한 각각의 모듈 내의 있는 메모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다.
하드웨어 로직은 각 통신 규격의 제2 레이어에 해당하는 로직 중 하드웨어적인 처리가 필요한 부분과 제1 레이어에 해당하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로직은 상부의 펌웨어 및 메모리, 하부의 서브 모듈로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 제어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통신 제어 장치(200)는 수신부(210), 연산부(220) 및 송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연산부(220)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의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시점은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 제어 장치(200)로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이다. 또한, 제2 시점은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이다. 또한,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은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포트는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 장치(200)는 트래픽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슬랙 타임을 계산하고, 송신부(230)는, 계산된 슬랙 타임 중에서 가장 작은 슬랙 타임을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은 수신한 슬랙 타임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 장치(200)는, 제1 통신 모듈의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하여 트래픽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제2 통신 모듈은 무선랜 모듈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블루투스 모듈을 지칭할 때에는 제1 통신 모듈로 이해할 수 있고, 무선랜 모듈을 지칭할 때에는 제2 통신 모듈로 이해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의 SCO 트래픽 품질 보장을 위하여 SCO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하 'SCO_INFO'라 한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CO 링크 이외에도 eSCO링크 및 eSCO트래픽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후 상세한 설명에서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SCO는 SCO 및 eSCO를 함께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트래픽 정보는, 블루투스 모듈의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link)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SCO_INFO는 무선랜 모듈에 포함하거나 또는 블루투스 모듈에 포함되어 실현될 수도 있으나, 도 2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무선랜 모듈 또는 블루투스 모듈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모듈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신 제어 장치가 수행하는 다양한 동작이나 응용들이 설명되는데, 수신부, 연산부, 송신부 중 어느 구성을 특정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하고 예상할 수 있는 정도의 내용은 통상의 구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특정한 구성의 명칭이나 물리적/논리적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부는,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310). 여기서, 트래픽 정보는 제1 통신 모듈의 트랜스포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산부는,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부터 제2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제2 시점까지의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단계 320). 여기서 제1 시점은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송신부는, 슬랙 타임을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할 수 있다(단계 330).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통신 제어 장치(400)는 제1 통신 모듈(410), 중계 모듈(420) 및 제2 통신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410)은 타임 슬롯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계 모듈(420)은 제1 통신 모듈(410)로부터 제1 통신 모듈(410)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중계 모듈(420)은,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430)은 슬랙 타임을 참고하여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모듈(430)은 제1 통신 모듈(410)과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슬랙 타임은 제2 통신 모듈(430)이 제2 데이터의 송수신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일 수 있다.
여기서, 슬랙 타임은 제2 통신 모듈(430)이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중계 모듈(420)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부터 제1 통신 모듈(410)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일 수 있다.
중계 모듈(420)은 슬랙 타임을 계산하고, 계산된 슬랙 타임을 제2 통신 모듈(43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 모듈(420)은, 적어도 하나의 레지스터 및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지스터는, 트래픽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타이머는 레지스터에 저장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랙 타임이 제2 통신 모듈(430)이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큰 경우, 제2 통신 모듈(430)은 제2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랙 타임이 제2 통신 모듈(430)이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작은 경우, 제2 통신 모듈(430)은 제2 데이터의 송신을 보류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데이터의 송신을 보류하고, 슬랙 타임이 제2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큰 경우, 제2 통신 모듈(430)은 제2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 제어 장치(400)는, 제1 통신 모듈(410)에서 지정된 트래픽의 주기 정보를 제2 통신 모듈(430)로 제공하고, 제2 통신 모듈(430)에서는 트래픽 정보를 참고하여 다음 트래픽 발생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에 제2 통신 모듈(430)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 통신 모듈(430)이 송신할 트래픽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 트래픽을 보류하여 제1 통신 모듈(410)의 트래픽을 통한 데이터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410)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제2 통신 모듈(430)은 무선랜 모듈일 수 있다. 중계 모듈(420)은 블루투스의 SCO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계 모듈(420)은 SCO_INFO로 이해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 모듈은 SCO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SCO_INFO로 제공할 수 있다. SCO_INFO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에서 제공받은 SCO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현재 시점에서 다음 SCO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SLACK TIME)을 계산하여 무선랜 모듈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재 시점은 무선랜 모듈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SCO_INFO 모듈로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이다.
한편, 무선랜 모듈은 슬랙 타임을 참고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송신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의 송신에 소요되는 시간이 슬랙 타임보다 작은 경우, 즉, 다음 블루투스 SCO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간 전에 송신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경우에만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블루투스 SCO 트래픽의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현재 요청 받은 무선랜 데이터의 전송은 보류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중계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계 모듈(420)은 레지스터(510) 및 타이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터(510)는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타이머(520)는 레지스터(510)에 저장된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타이머(520)는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제2 통신 모듈은 무선랜 모듈일 수 있다.
블루투스에서는 eSCO와 SCO를 포함하여 최대 3개의 로지컬 트랜스포트(logical transport)가 사용될 수 있다. SCO 또는 eSCO 로지컬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레지스터(PRD_SCO_i, i=1,2,3)가 설정될 수 있다. i번째 SCO 또는 eSCO 로지컬 트랜스포트에 대한 주기값은 블루투스 모듈에서 SCO Tx Info를 통하여 SCO_INFO 모듈로 전달되고, 레지스터 (PRD_SCO_i, i=1,2,3)의 값은 i번째 SCO 또는 eSCO 로지컬 트랜스포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해당 트랜스포트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슬롯 단위의 실제 주기값이 설정될 수 있고, 해당 트랜스포트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랙 타임을 계산하기 위한 타이머는, TMR_SCO_1, TMR_SCO_2, TMR_SCO3로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 TMR_SCO_j (i=1,2,3)에는 j번째 SCO 또는 eSCO 로지컬 트랜스포트상에서 다음 SCO 패킷의 전송 시작 시점까지 현재 시점에서 남은 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TMR_SCO_i (i=1,2,3)는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지스터 PRD_SCO_i의 값이 0인 경우, 즉 i번째 SCO 또는 eSCO 로지컬 트랜스포트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TMR_SCO_i는 disable 시킬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레지스터 PRD_SCO_i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즉 i번째 SCO 또는 eSCO 로지컬 트랜스포트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트랜스포트에서 다음 SCO 또는 eSCO 패킷의 전송 시작 시점까지 현재 시점기준으로 남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레지스터 PRD_SCO_i의 값이 0이 아닌 경우, 해당 트랜스포트에서 다음 SCO 또는 eSCO 패킷의 전송 시작 시점까지 현재 시점기준으로 남은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처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해당 트랜스포트에서 최초의 SCO또는 eSCO 패킷 전송 시작전에 블루투스 모듈에서 최초 SCO 또는 eSCO 패킷 전송이 예정된 슬롯의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TMR_SCO_i를 직접 설정하고 enable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타이머 TMR_SCO_i의 값이 0으로 되는 시점, 즉, 타이머 TMR_SCO_i가 만료되면 타이머 TMR_SCO_i의 값을 레지스터 PRD_SCO_i의 값(slot 단위를 us으로 환산한 값)으로 타이머 리셋을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랙 타임은,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미래의 SCO또는 eSCO 패킷 전송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이다. 슬랙 타임은 타이머 TMR_SCO_j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Min (TMR_SCO_j), j=1,2, or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Min을 최소값을 의미하며, j는 레지스터 PRD_SCO_j의 값이 0이 아닌 모든 타이머(즉, enabled timer)들의 번호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모듈은 SCO_INFO 모듈에서 제공하는 슬랙 타임을 통하여 현재 시점 기준으로 블루투스 모듈에서의 다음 SCO또는 eSCO 패킷의 전송 시작 시점까지의 남은 시간을 알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무선랜 패킷 전송이 필요한 경우, 전송할 무선랜 패킷의 예상 전송 시간이 슬랙 타임보다 작은 경우에는 무선랜 패킷을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블루투스 모듈에서의 다음 SCO또는 eSCO 패킷 전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무선랜 패킷의 전송을 슬랙 타임의 값이 전송할 무선랜 패킷의 예상 전송 시간 커질 때까지 보류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통신 모듈은 타임 슬롯을 통해 제1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단계 610).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계 모듈은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고,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할 수 있다(단계 620).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통신 모듈은 슬랙 타임을 참고하여,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단계 630). 여기서 제2 통신 모듈은 제1 통신 모듈과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슬랙 타임은 제2 통신 모듈이 제2 데이터의 송수신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일 수 있다.
여기서 슬랙 타임은 제2 통신 모듈이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중계 모듈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부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일 수 있다. 중계 모듈은 슬랙 타임을 계산하여 제2 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2 통신 모듈은 슬랙 타임을 이용하여 송신할 제2 데이터를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슬랙 타임이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큰 경우, 제2 통신 모듈은 제2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고, 작은 경우에는 제2 데이터의 송신을 보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제2 시점까지의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연산부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통신 제어 장치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임 -; 및
    상기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통신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한 슬랙 타임 중에 가장 작은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통신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선랜 모듈인 통신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의 동기식 접속 지향 링크(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link)에 대한 것인 통신 제어 장치.
  7. 제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중계 모듈; 및
    상기 슬랙 타임을 참고하여,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인 통신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중계 모듈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인 통신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트래픽 정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지스터; 및
    상기 레지스터에 저장된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머
    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통신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한 슬랙 타임 중에 가장 작은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통신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슬랙 타임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통신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슬랙 타임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의 송신을 보류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통신 제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무선랜 모듈인 통신 제어 장치.
  15.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제1 통신 모듈 및 제2 통신 모듈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제2 시점까지의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점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임 -; 및
    상기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17. 제1 통신 모듈이 제1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
    중계 모듈이 상기 제1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정보를 이용하여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슬랙 타임을 참고하여,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서로 상이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인 통신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랙 타임은,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상기 제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중계 모듈로 상기 슬랙 타임을 요청한 시점부터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연관된 트래픽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인 통신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의 주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해 상기 슬랙 타임을 계산하는 통신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각각에 대한 슬랙 타임 중에 가장 작은 슬랙 타임을 상기 제2 통신 모듈로 송신하는 통신 제어 방법.
KR1020140036067A 2014-03-27 2014-03-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3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067A KR102236204B1 (ko) 2014-03-27 2014-03-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14/663,796 US9641412B2 (en) 2014-03-27 2015-03-20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traffic quality of communication modu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067A KR102236204B1 (ko) 2014-03-27 2014-03-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277A true KR20150113277A (ko) 2015-10-08
KR102236204B1 KR102236204B1 (ko) 2021-04-07

Family

ID=5419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067A KR102236204B1 (ko) 2014-03-27 2014-03-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41412B2 (ko)
KR (1) KR1022362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6380B (zh) * 2018-02-14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报文的方法、第一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2625B2 (en) * 2000-12-14 2005-04-19 Nokia Networks Oy Method for scheduling packetized data traffic
KR20080035609A (ko) * 2005-07-11 2008-04-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전자 디바이스 내에 공동배치된 다수의 무선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통신의 조정
KR20080055839A (ko) * 2005-09-16 2008-06-19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을 정합하는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090034909A (ko) * 2006-06-27 2009-04-08 엔엑스피 비 브이 스케줄링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89373A (ko) * 2006-12-07 2009-08-2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피코넷 링크와의 각종 무선 링크의 상호동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1082679A (ja) * 2009-10-05 2011-04-21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機器、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20034204A (ko) * 2009-06-16 2012-04-1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및 듀얼 안테나 블루투스(bt)/wlan 공존
KR20130016340A (ko) * 2010-04-28 2013-02-14 콸콤 아테로스, 인코포레이티드 Wlan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787307B2 (en) * 2008-12-15 2014-07-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network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8296A (ko) 2011-12-15 2013-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캐리어 기반 간섭 조정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2625B2 (en) * 2000-12-14 2005-04-19 Nokia Networks Oy Method for scheduling packetized data traffic
KR20080035609A (ko) * 2005-07-11 2008-04-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단일 전자 디바이스 내에 공동배치된 다수의 무선 통신프로토콜에 대한 통신의 조정
KR20080055839A (ko) * 2005-09-16 2008-06-19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에이비 블루투스 및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통신을 정합하는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090034909A (ko) * 2006-06-27 2009-04-08 엔엑스피 비 브이 스케줄링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89373A (ko) * 2006-12-07 2009-08-2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디바이스에서 피코넷 링크와의 각종 무선 링크의 상호동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787307B2 (en) * 2008-12-15 2014-07-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network thereof
KR20120034204A (ko) * 2009-06-16 2012-04-1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및 듀얼 안테나 블루투스(bt)/wlan 공존
JP2011082679A (ja) * 2009-10-05 2011-04-21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機器、無線lan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30016340A (ko) * 2010-04-28 2013-02-14 콸콤 아테로스, 인코포레이티드 Wlan 통신 및 블루투스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204B1 (ko) 2021-04-07
US9641412B2 (en) 2017-05-02
US20150281033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2102B1 (en) Point-to-point radio system, point-to-point radio apparatu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0535555B (zh) 一种确定传输优先级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769498B (zh) 用于防止频率干扰的无线动力传输方法
US992453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00022445A (ko) 블루투스가 있는 다중 표준 시스템의 슬립 모드 신호 발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664715B (zh) 用于防止无线通信系统中的用户设备的接收与传输之间的重叠的方法和系统
IL26939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JP6796711B2 (ja) 電力の割り当て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0140334396A1 (en) Interference avoidance-bas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13159A (ko) 타이밍 조정 방법 및 장치
CN111093276A (zh) 一种数据处理方法、通信节点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466501B1 (ko)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 장치
KR20190056429A (ko) 업 링크 제어 정보(uci)의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8082467A1 (zh) 一种调度方法、终端及基站
KR1022362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듈의 트래픽 보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132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간섭 회피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4020857B1 (en) Resource conflict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2013025255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6419409A (zh) 资源传输方向确定方法、装置及终端
EP1971165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device
KR20160010997A (ko)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및 저전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스케쥴링 맵 생성 방법
KR101841823B1 (ko) 프로토콜 처리 장치 및 방법
EP2717612B1 (en) Network setting chang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and terminals which are used with said system
KR101669369B1 (ko) 액세스 포인트와 리피터 시스템에서 듀얼 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N115884229B (zh) 传输时延的管理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