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891A -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 Google Patents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891A
KR20150111891A KR1020150130020A KR20150130020A KR20150111891A KR 20150111891 A KR20150111891 A KR 20150111891A KR 1020150130020 A KR1020150130020 A KR 1020150130020A KR 20150130020 A KR20150130020 A KR 20150130020A KR 20150111891 A KR20150111891 A KR 20150111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ongings
rfid
sensor
outsider
exis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엽
Original Assignee
이현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엽 filed Critical 이현엽
Priority to KR1020150130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1891A/ko
Publication of KR20150111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8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H05B37/022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출시 미비 소지품 감지 기능을 갖는 센서등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 상기한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전구를 점등하는 센서등 동작모듈과, 외출자의 소지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어 특정 소지품의 지참 유무를 파악하고, 특정 소지품이 누락된 경우 이를 음성이나 알람 등으로 외출자에게 알려 외출 전 미비소지품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외출자가 외출해서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과, RFID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ID 안테나와, 움직임 감지센서에 의해 일정 시간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는 조명용 전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은 외출시 움직임 감지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센서등과, 소지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수신정보를 파악하여 미비 소지품을 판단한 후 이를 외출자에 알려주는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을 융합함으로써 외출시 자동으로 센서등으로서 동작이 가능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외출자의 미비된 소지품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알람을 통하여 외출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외출자가 외출시 필요한 소지품을 소지하도록 하여 사회적인 활동중에 경제적 또는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거나 곤란한 입장에 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에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은 센서등에 내장된 움직임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센서등과 동시에 동작하므로 별도의 움직임 감지센서가 필요하지 않아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센서등의 교류전원에 의하여 작동하므로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교환할 필요가 없고,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여 현관 주위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복잡함을 경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Sensor Lamp Capable of Detecting and Notifying Missing Personal Belongings Using RFID}
본 발명은 외출자가 외출시 미비한 소지품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센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출자가 외출시 움직임 감지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센서등을 작동하고, 이와 동시에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을 작동시켜서 외출자가 소지한 소지품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감지하여 미비 소지품을 파악한 후 이를 외출자에 알려주는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출시 움직임 감지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조명등을 작동하면서, 이와 동시에 외출자가 소지한 소지품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를 파악하여 미비 소지품을 판단한 후 이를 외출자에 알려주는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사람들이 소지해야 할 물품은 늘어나고, 또한 기억하여야 할 사항은 점점 더 많아지며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필요한 소지품을 망각하고 외출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지품의 예로서 휴대폰, 지갑, 핸드백, 차량 및 아파트 열쇠, 노우트북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소지품은 외출자가 사회생활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서, 외출자가 이러한 소지품을 잊고 집을 나선 경우 원활한 사회활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렵다. 또한, 필요한 소지품의 미비는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로 이어지게 되고 필수적인 소지품을 소지하지 못했을 경우 외출자는 미비한 소지품을 외부에서 갖추어야 하는 등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 들어 국내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고령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해가는 추세에 있고, 이들 고령자들이 일반적으로 나이에 의한 기억력 감퇴가 심한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소지품을 망각하고 외출하는 경우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출시 소지품을 확인하여 외출자에 알릴 수 있는 장치들이 일부 제안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다양한 이유로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장치들과 관련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먼저 '외출 소지품 체크 장치 및 그 방법'(공개특허 : 10-2010-0042146)이 있다. 상기 기술은 RFID를 이용하여 외출자의 소지품을 체크하여 그 결과를 음성이나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러한 장치는 별도의 기기로 구현하여 현관이나 출입구의 천장 또는 벽에 설치하여야 하고, 기기의 좁은 전면판을 통하여 외출자와 소지품에 대한 정보 입력및 표시, 소지품의 등록, 외출종류의 표시와 선택 등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여야 하며, 시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RFID를 이용한 소지품 확인시스템 및 그 방법'(공개특허 : 10-2008-0012589)에 관한 기술을 살펴보면, 상기 기술도 마찬가지로 RFID를 이용하여 외출자의 소지품을 체크하여 체크결과를 음성이나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 장치도 별도의 기기로 구현하여 현관 등에 설치하여야 하고, 이외에도 별도의 출입감지 센서 2개를 천장이나 벽에 설치하여 입출입을 판단하여야 하며, 외부통신망의 구축을 필요로 한다. 또한, 기기의 좁은 전면판을 통하여 외출자와 소지품에 대한 정보표시, 소지품의 등록, 외출종류 표시 및 선택 등과 같은 복잡한 작업을 처리하여야 하고, 시간이 지나면 배터리를 교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출자의 움직임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점등됨과 동시에 외출자가 외출시에 외출자의 소지품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미비된 소지품을 알려줌으로써 외출 시 빠뜨린 소지품을 사전에 방지하여 시간 낭비나 경제적인 손실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지품의 누락을 감지하고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기를 벽이나 천장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센서등의 전원을 사용함에 따라 별도의 기기로 구현하였을 경우에 필수적인 배터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배터리의 수명이 다하면 교환하여야 하는 불편이 없고, 센서등이 지니고 있는 외출자의 움직임 감지기능을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과 공유함으로써 간단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인 RFID에 의한 소지품 미비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외출시 미비 소지품 감지 기능을 갖는 센서등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21), 움직임 감지센서(21)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전구(28)를 점등하는 센서등 동작모듈(4)과, 외출자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를 읽어 특정 소지품(5)의 지참 유무를 파악하고, 미리 설정된 소지품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소지품(5)이 누락된 경우 이를 음성이나 알람 등으로 외출자(6)에게 알려 외출 전에 미비 소지품(5)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외출자가 외출해서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과, RFID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ID 안테나(20)와, 미비소지품 관련 정보를 음성이나 알람의 형태로 외출자(6)에 알려주는 스피커(22)와, 움직임 감지센서(21)에 의해 일정 시간 교류전원(25)이 인가되어 점등되는 조명용 전구(2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은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로부터 RFID 안테나(20)를 통해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200)와, 스마트폰(7)의 전용 앱을 통해 외출자(6)와 소지품(5), 소지품(5)별 체크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 스마트폰(7)과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170)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컨트롤하는 제어부(100)와, 등록된 외출자(6)와 외출자(6)별 소지품(5), 그리고 소지품(5)별 체크 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0)와,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대한 누락 여부를 통보하는 음성 출력부(160)와, 상기한 움직임 감지센서(21)의 감지신호에 의해 인가된 교류전원(25)을 정류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190)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은 외출시 움직임 감지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는 센서등과, 소지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수신정보를 파악하여 미비 소지품을 판단한 후 이를 외출자에 알려주는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을 함께 융합함으로써, 외출시 자동으로 센서등으로서 동작이 가능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외출자가 외출시에 미비된 소지품에 대한 정보를 음성 또는 알람을 통하여 외출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외출자가 필요한 소지품을 소지하도록 하여, 사회적인 활동중에 경제적 또는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거나 곤란한 입장에 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에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은 센서등에 내장된 움직임 감지센서의 작동에 의해 센서등과 동시에 동작하므로 별도의 움직임 감지센서가 필요하지 않아 간단하며 경제적이고, 센서등의 교류전원에 의하여 작동하므로 배터리를 사용하거나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하여 현관 주위에 장착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복잡함을 경감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에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은 스마트폰 기반의 미비 소지품 감지장치의 경우 스마트폰 자체가 미비될 경우에는 이를 감지할 수 없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의 동작환경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 센서등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의 개략적인 하드웨어적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과 외출자의 소지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의 세부적인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에서 신규 소지품의 등록환경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에서 신규 소지품을 등록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등은 계단이나 복도, 현관 등의 천장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수 초간 점등을 이루어 이용자에게 어둠을 순간적으로 밝혀주는 편리함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절전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1)은 일반 센서등(2)에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5)의 감지기능을 내장한 것으로 센서등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점등되는 순간, 이와 동시에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의 정보신호를 파악하여 외출자(6)와 특정 소지품(5)의 지참 유무를 파악하고 미리 설정되어 등록된 소지품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특정 소지품(5)이 누락된 경우 이를 음성이나 알람 등으로 외출자(6)에게 알려주어 외출전 미비 소지품(5)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외출자(6)가 외출해서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일반 센서등(2)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일반 센서등(2)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21), 움직임 감지센서(21)의 출력 값을 인식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이에 따라 전구(28)를 일정 시간 동안 점등하도록 하는 제어부(26)와, 제어부(26)의 명령에 따라 외부에서 인가된 교류전원(25)을 스위칭하여 전구(28)에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구동부(27)와, 조명용 전구(28)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센서등(2)은 내부에 장착된 움직임 감지센서(21)나 제어부(26) 및 구동부(27)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부를 구비할 수 있고, 이외에도 외출자(6)의 정확한 움직임 감지 위하여 빛센서, 열감지센서, 적외선감지센서, 또는 근접센서 등과 같은 다수의 감지센서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상기 센서등(2)의 경우와 같이 단순히 1개의 움직임 감지센서(21)를 사용할 경우에는 움직임 감지센서(21)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구동부(27)를 직접 제어할 수도 있으므로 내부적인 동작회로는 제어부(26)를 생략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 센서등(1)의 개략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 센서등(1)은 일반 센서등(2)에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내장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와(21), 움직임 감지센서(21)의 감지신호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전구(28)를 점등하는 센서등 동작모듈(4)과,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를 읽어 특정 소지품(5)의 지참 유무를 파악하고, 미리 설정된 소지품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특정 소지품(5)이 누락된 경우 이를 음성이나 알람 등으로 외출자에게 알려 외출전 미비 소지품(5)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외출자(6)가 외출해서 정상적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과, RFID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RFID 안테나(20)와, 미비 소지품(5) 관련 정보를 음성이나 알람 형태로 외출자(6)에 알려주는 스피커(22)와, 움직임 감지센서(21)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교류전원(25)이 인가되어 점등되는 조명용 전구(28)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 센서등(1)의 동작은, 움직임 감지센서(21)에 의하여 외출자(6)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감지신호가 센서등 동작모듈(4)로 인가되는 움직임 감지단계와, 상기한 감지신호에 따라 센서등 동작모듈(4)에 인가된 교류전원(25)을 스위칭함으로써 조명용 전구(28)를 점등하고 이와 동시에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을 작동시키는 내부전원인가 단계와, 상기 작동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에 의하여 외출자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를 읽어 특정 소지품(5)의 지참 유무를 파악하는 미비 소지품 파악단계와, 상기단계에서 파악된 소지품(5)을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소지품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미비된 소지품(5)이 있을 경우 이를 음성이나 알람 등으로 외출자(6)에게 알리는 미비 소지품 알림단계와, 일정시간 동안 센서등 동작모듈(4)에 인가된 교류전원(25)이 스위칭되어 오프되면, 전구(28)를 소등하고 소지품 감지작업을 종료하는 내부전원 차단단계를 포함하여 동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은 외출자(6)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전구(28)가 점등할 때는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되고, 일정시간 후 센서등(2)이 소등되면 이에 따라 전원이 오프되게 되며, 따라서 외출자(6)의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는 동작되지 않고 전력소모도 발생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의 구체적인 하드웨어 구성과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를 보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은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로부터 안테나(20)을 통해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200)와, 스마트폰(4)의 앱을 통해 외출자(6)와 소지품(5), 소지품(5)별 체크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등록하기 위하여 스마트폰(7)과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170)와,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고 컨트롤하는 제어부(100)와, 등록된 외출자(6)와 외출자(6)별 소지품(5), 그리고 소지품(5)별 체크 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0)와,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대한 누락 여부를 통보하는 음성 출력부(160)와, 상기한 움직임 감지센서(21)의 감지신호에 의해 인가된 교류전원(25)을 정류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190)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의 전체적인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현관과 같이 외출자(6)가 출입하는 장소에 설치된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에서, 센서등 동작모듈(4)에 연결된 움직임 감지센서(21)는 먼저 외출자(6)의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100). 외출자(6)의 움직임이 감지될 경우(S101), 센서등 동작모듈(4)은 인가된 교류전원(25)을 출력하여 조명용 전구(28)를 일정시간 동안 점등하고, 이와 동시에 전원을 인가하여(25)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을 작동시킨다(S102). 작동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의 제어부(100)는 RFID 리더기(200)와 RFID 안테나(20)를 통해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를 읽고(S103) 이에 따라 감지된 외출자(6)와 특정 소지품(5) 및 소지품(5)별 체크 시간대/요일을 파악한다(S104). 상기 제어부(100)는 데이터저장부(100)에 등록되어 저장된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에 의하여 감지된 데이터와 비교하고(S105), 미비 소지품이 존재하는 경우(S106) 이에 대한 정보를 음성출력부(160) 통하여 음성이나 알람 형식으로 외출자(6)에게 출력한다(S107). 상기 과정은 상기한 센서등 동작모듈(4)이 일정 시간 조명용 전구(28)를 점등할 동안만 반복되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조명용 전구(28)가 소등되면 RFID 미비 소지품 감지모듈(3)에 전원이 차단되므로 상기 과정은 자동으로 중단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에서 신규 소지품(5)을 등록하는 환경을 보이는 도면이다. 상기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에 의한 신규 소지품(5)의 등록은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와, 상기 RFID 태그(10)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과, 별도의 전용 앱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부(170)에 페어링하여 연결한 다음, 외출자(6)와 외출자별 소지품(5) 및 소지품(5)별 체크시간대/요일 등의 내용을 신규로 설정하고 등록하거나, 현재 등록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7)을 구비하여 등록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에서 신규 소지품의 등록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를 이용한 소지품(5)의 등록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소지품(5)에 RFID 태그(10)을 부착한 후(S120) 외출자(6)는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의 주변에 접근하여 움직임 감지센서(21)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이 점등되고, 이와 동시에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에 전원이 인가되어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이 작동하게 된다(S121).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이 작동되면 스마트폰(7) 내의 전용 앱을 통하여 스마트폰(7)을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 내에 장착되어 있는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의 블루투스 통신부(170)에 페어링하여 연결한다 (S122). 이 상태에서 상기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은 RFID 리더기(200)와 RFID 안테나(20)을 통하여 RFID 태그(10)를 자동으로 인식하고(S123), RFID 태그(10)가 등록되어 있는지 파악한다(S124). RFID 태그(10)가 등록되어 있으면 미리 설정되어 등록된 소지품(5)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S125) 새로 인식된 정보가 누락되어 있는지 파악한 후, 미비소지품(5)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S126) 이를 음성이나 알람 등으로 외출자(6)에게 알려서 외출 전에 외출자(6)가 이를 준비하도록 함으로써 정상적인 외부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S127). 만약 RFID 태그(10)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블루투스 통신부(170)을 통해 스마트폰(7)에 등록을 요청하고(S128), 스마트폰(7) 상의 전용 앱에서 외출자(6)와 외출자별 소지품(5) 및 소지품(5)별 체크 시간대/요일 등에 관한 내용을 신규로 지정하거나 설정하도록 한 다음(S129), 이를 블루투스 통신부(170)을 통하여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에 전송하여(S130) 데이터저장부(110)에 저장하여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S131). 이외에도 현재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의 데이터저장부(110)에 등록된 내용의 확인이 필요하면, 상기 스마트폰(7) 내의 전용 앱을 통하여 등록되어 있는 내용을 스마트폰(7)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신규소지품(5)의 등록 과정은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이 점등되어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에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동안에만 가능하나, 실제적으로는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이 점등되는 시간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출자는(6) 등록과정에서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이 소등되는 경우 움직임 감지센서(21)를 동작시켜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1)이 재점등 되도록 하고,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과 스마트폰(7)의 동작 소프트웨어는 등록과정에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이 재동작되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내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신규소지품(5)의 등록과정이 이전 과정과 연결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RFID 미비소지품 감지센서등 2 : 센서등
3 :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 4 : 센서등 동작모듈
5 : 소지품 6 : 외출자
7 : 스마트폰 10 : RFID 태그
20 : RFID 안테나 21 : 움직임 감지센서
22 : 스피커 25 : 교류전원
26,100 : 제어부 27 : 구동부
28 : 전구 110 : 데이터저장부
160 : 음성출력부 170 : 블루투스 통신부
190 : 전원부 200 : RFID 리더기

Claims (5)

  1. 미비 소지품 감지가 가능한 센서등에 있어서 외출자(6)의 출입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구(28)를 점등하는 센서등 동작모듈(4)과, 외출자(6)가 소지한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 정보를 판독하여 외출자(6)의 미비 소지품(5)을 판단한 후 이를 외출자(6)에 알려주는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2. 제 1항에서 상기 센서등 동작모듈(4)은 외출자(6)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센서(21)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구동부(27)를 동작시켜 교류전원(25)이 일정시간 동안만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전구(28)를 점등시키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전구(28)가 점등되는 동안에는 상기 교류전원(25)이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로 인가되어 동작하고, 상기 전구(28)가 소등되면 상기 교류전원(25)이 자동으로 차단되어 상기한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이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3. 제 1항에서 상기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은 외출자(6)의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로부터 정보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판독하는 RFID 리더기(200)와, 등록된 외출자(6)와 외출자별 소지품(5) 및 소지품별 체크 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0)와, 파악된 외출자(6)의 미비 소지품(5) 내역을 음성이나 알람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160)와, 외출자(6)와 외출자별 소지품(5) 및 소지품(5)별 체크 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스마트폰(4)과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부(170)와, 상기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컨트롤하는 제어부(100)와, 전구(28)가 점등되는 일정시간 동안에 인가되는 교류전원(25)을 정류하여 시스템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4. 제 1항에서 상기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의 동작은 사용 초기에 외출자(6)와 외출자별 소지품(5), 소지품별 체크 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외출자(6)가 소지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10)로부터 정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신호에서 상기 외출자(6)와 상기 소지품(5) 등의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단계와, 판독된 상기 외출자(6) 및 상기 소지품(5)의 식별정보를 사전 등록되어 데이터저장부(110)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소지품(5)의 미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소지품(5)의 미비여부 결과를 음성출력부(160)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RFID에 의한 미비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5. 제 1항에서 상기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에 의한 소지품(5)의 등록은 소지품(5)에 부착된 RFID 태그(10)와, 상기 RFID 태그(10)를 인식하기 위한 상기 RFID 미비소지품 감지모듈(3)과, 별도의 전용 앱을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부(170)에 페어링하여 연결한 다음, 외출자(6)와 외출자별 소지품(5) 및 소지품별 체크 시간대/요일 등의 정보를 신규로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된 사항을 구체적으로 확인 가능한 스마트폰(7)을 구비하여 등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RFID에 의한 미지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KR1020150130020A 2015-09-15 2015-09-15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KR201501118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020A KR20150111891A (ko) 2015-09-15 2015-09-15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020A KR20150111891A (ko) 2015-09-15 2015-09-15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891A true KR20150111891A (ko) 2015-10-06

Family

ID=5434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020A KR20150111891A (ko) 2015-09-15 2015-09-15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18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41A1 (ko) * 2016-10-14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물품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41A1 (ko) * 2016-10-14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물품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80485A1 (en) Handling duress input
CN107209488B (zh) 用于将可穿戴物品整合于建筑物管理系统的操作中的方法和系统
US9984555B2 (en) Mobi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20120305340A1 (en) Elevator, floor, and door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11187573B1 (en) Connected scale device
US20210241551A1 (en) User detection
US20180160273A1 (en) Garage door opener system hav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7004196A (ja) 忘れ物通知システム
US20100001859A1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lf activated rfid tag
KR20150111891A (ko) Rfid에 의한 미비 소지품 감지기능을 갖는 센서등
US20230394944A1 (en) Doorbell packag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7227991A (ja) 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
JP2020086604A (ja) 旅行かばん探索システム、タグ
US11501620B2 (en) Method for activating an alert when an object is left proximate a room entryway
JP2016161997A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47560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160090605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경보시스템 및 방법
KR101603572B1 (ko) 보안카드 리딩 기능을 갖는 보안 컨트롤러
US202102251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JP2011197836A (ja) 忘れ物防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7999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755932B1 (ko) 비콘을 이용한 소지품 점검 장치
JP2022028816A (ja) 照明装置、生体移動検出システム、生体移動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425507B1 (ko) 보안 구역의 출입시 사용되는 카드리더기
JP2022028815A (ja) 照明装置、生体移動検出システム、生体移動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