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111A - 분전함 - Google Patents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111A
KR20150111111A KR1020140034588A KR20140034588A KR20150111111A KR 20150111111 A KR20150111111 A KR 20150111111A KR 1020140034588 A KR1020140034588 A KR 1020140034588A KR 20140034588 A KR20140034588 A KR 20140034588A KR 20150111111 A KR20150111111 A KR 20150111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hole
open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761B1 (ko
Inventor
여병동
Original Assignee
여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병동 filed Critical 여병동
Priority to KR102014003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7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이 개구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을 개폐하는 개폐문(1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내부공간(111)의 하부면에는 내부의 케이블(113)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공(114)이 형성된 함체부(110); 상기 함체부(110)의 하부에 체결되어 함체부(110)가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0); 상기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부에 배치되며, 측방향으로 개구된 케이블걸이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케이블(113)의 일측 또는 상기 함체부(110)의 측면에 장착된 소켓하우징(180)의 케이블(181) 일측이 걸쳐지도록 지지하는 케이블걸이(130); 및 상기 개구공(114)이 커버되도록 함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케이블인출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부(1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개구공(114)의 둘레와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이 겹쳐지면서 케이블인출공(141)의 크기가 조절되는 슬라이드판(140);을 포함하는 분전함으 개시한다.

Description

분전함{Distributing Box}
본 발명은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분전함 내부의 수분침투, 습기 및 결로발생, 우수접촉 및 전복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누전, 합선, 감전, 화재발생 및 전기부품 훼손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전함은 외부로 케이블이 인출되도록 하부면에 케이블인출공이 개구되어 있어, 우천시 바닥에 떨어진 빗물이 튀어오르면서 상기 케이블인출공으로 유입되어 내부의 전기부품이 수분에 의해 합선되면서 누전, 감전 및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분전함의 외부에는 다수 개의 소켓(콘센트)가 구비된 소켓하우징이 장착되어 각 소켓과 전자기기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이용하는 경우, 케이블이 연결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상기 소켓에 삽입된 케이블플러그가 쉽게 탈거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상기 소켓과 케이블플러그 간의 체결상태가 견고한 경우, 케이블이 당겨지는 힘에 의해 분전함의 무게중심이 편중되면서 전복될 수 있어 분전함이 훼손되거나 주변의 사용자(작업자)가 부딪혀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05337호(2012.11.21),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인출공과 케이블 간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빗물이 튀어오르면서 상기 케이블인출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켓하우징의 케이블이 케이블걸이에 걸쳐지면서 지지되도록 하여 케이블플러그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하며, 분전함의 전복이나, 분전함 내부의 수분침투, 습기 및 결로발생 및 우수접촉 등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누전, 합선, 감전, 화재발생 및 전기부품 훼손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전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은, 전방이 개구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을 개폐하는 개폐문(1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내부공간(111)의 하부면에는 내부의 케이블(113)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공(114)이 형성된 함체부(110); 상기 함체부(110)의 하부에 체결되어 함체부(110)가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0); 상기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부에 배치되며, 측방향으로 개구된 케이블걸이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케이블(113)의 일측 또는 상기 함체부(110)의 측면에 장착된 소켓하우징(180)의 케이블(181) 일측이 걸쳐지도록 지지하는 케이블걸이(130); 및 상기 개구공(114)이 커버되도록 함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케이블인출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부(1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개구공(114)의 둘레와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이 겹쳐지면서 케이블인출공(141)의 크기가 조절되는 슬라이드판(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걸이(130)는,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단에 일측이 체결되면서 타측이 함체부(110)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일측이 함체부(1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타측이 내측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접철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은 슬라이드판(140) 상에서 상기 개구공(114)의 둘레의 일측단(115)을 향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판(140)이 상기 일측단(115)을 향해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일측단(115)과 겹쳐지면서 개구된 내경의 크기가 조절되며, 상기 일측단(115) 상에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케이블인출공(141)을 향해 개구된 반원 형상의 밀착공(1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210); 상기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분전함의 전복을 경고하기 위한 전복판단 기준치가 저장되며, 상기 기울기센서(2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기울기 감지신호와 저장된 전복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분전함의 전복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램프발광, 디스플레이 중 어느 이상의 수단을 통해 외부로 상기 분전함의 전복을 경고하는 경고표시부(230); 및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각 케이블(113,181)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 배치되며 우수에 따른 수분접촉을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20)에는, 수분감지량에 따라 우수를 경고하기 위한 우수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고, 상기 우수감지센서(25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수분 감지신호와 저장된 우수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우수에 따른 분전함의 수분접촉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복상태와 구분되는 경고내용으로 분전함의 수분접촉을 외부로 경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각 케이블(113,1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1)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20)에는, 함체부(110)의 내부습도에 따라 누전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위험습도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고, 상기 습도센서(26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습도 감지신호와 저장된 위험습도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내부습도에 따른 누전위험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경고표시부(230)로 출력하며,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복상태, 수분접촉상태와 각각 구분되는 경고내용으로 분전함의 누전위험을 외부로 경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각 케이블(113,1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1)으로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온열수단(2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0)에는 상기 습도센서(260)의 습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어, 상기 습도센서(26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습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부습기를 증발할 수 있게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내부온도에 따라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어, 상기 온도센서(28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온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부습기를 증발시키거나 상기 온열수단(270)의 구동에 따라 함체부(11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공간(111)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150)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배출부(160)가 배치되며, 상기 내기배출부(1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공(150)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11) 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부(171)는 상향연장되고 하측부(172)는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내부의 케이블(113)이 관통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73)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13)의 일측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과 밀착공(116)이 겹쳐지면서 슬라이드판(140)과 개구공(114)의 둘레 일측단(115)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의 인출공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케이블(113)이 끼워지는 상측부(171)의 내경은 상기 분전함에 장착될 수 있는 가장 큰 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이 배출되는 하측부(172)의 내경은 상기 분전함에 장착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113)이 삽입됨에 따라 내경이 확장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부(172)는 케이블(113)의 외부면에 밀착되는 절곡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전함에 의하면,
첫째, 분전함의 함체부의 상부면 측부에는 함체부의 측부에 장착된 소켓하우징의 케이블이 일측에 걸쳐지지도록 지지하는 케이블걸이가 구비되어, 사용자(작업자)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케이블을 당기더라도 상기 케이블걸이에 케이블이 지지되어 소켓하우징에 끼워진 케이블플러그가 쉽게 탈거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블걸이는 함체부의 상부면 측단에 일측이 체결되면서 타측이 함체부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을 케이블걸이의 케이블걸이공에 걸쳐지게 삽입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케이블걸이의 일측이 함체부에 힌지결합되어 타측이 내측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접철동작될 수 있으므로 분전함의 이동시나 보관시에 주변의 장애물이나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케이블걸이와 접촉되면서 훼손되거나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함체부의 하부에는 내부의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되는 통로인 케이블인출공이 형성된 슬라이드판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케이블인출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갯수 및 외경에 따라 상기 케이블인출공의 크기를 증감시켜 케이블인출공과 케이블간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우천시 바닥에 떨어진 빗물이 튀어오르면서 상기 케이블인출공으로 유입되어 내부의 전기부품이 수분에 의해 합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분전함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를 통해 분전함이 전복될 수 있을 정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감지되면, 경고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전함이 전복되면서 분전함이 훼손되거나 주변의 사용자와 부딪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분전함이 전복되는 경우 각 케이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동제어하여 케이블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분전함이 전복됨에 따라 케이블이 당겨지거나 단선되어 감전이나 장치훼손 등의 2차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우수에 따른 수분접촉을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를 통해 분전함이 우수에 의해 젖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경고표시부를 통해 우수를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분전함이 우수에 노출된 사항을 경고하며 각 케이블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어 합선, 누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분전함 내부의 습도상태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이 침투되거나, 분전함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내부에 습도가 높아지거나 결로가 발생한 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각 케이블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도록 할 수 있어, 수분이나 습도에 의해 합선이 발생하거나 내부의 전자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함체부 내부에는 내부공간으로 소정의 열이나 온풍을 발산하는 온열수단이 구비되어, 내부의 습기나 결로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습기나 수분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습도센서에서 감지되는 내부의 습도상태에 따라 상기 온열수단을 구동제어하여, 분전함 내부의 습도가 증가하거나 결로가 발생되면 자동적으로 온열수단을 구동시켜 항상 건조한 내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상기 함체부의 하부에는 내부공간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함체부 내부에는 내부공간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배출부가 배치되며, 상기 내기배출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공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함체부 내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가 생성되므로, 내부의 습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건조한 내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덟째, 케이블의 둘레 일측에 내부가 밀착되게 관통삽입되고 'L'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케이블인출공에 삽입체결되는 절곡관을 통해 상기 케이블인출공과 케이블 간의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인출공을 통해 우수가 튀어올라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내,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판 및 절곡관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은, 케이블인출공(141)과 케이블(113) 간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되어 우수가 튀어오르면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켓하우징(180)의 케이블(181)이 케이블걸이(130)에 걸쳐지면서 지지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게 소켓에 체결된 케이블플러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분전함의 전복이나, 분전함 내부의 수분침투, 습기 및 결로발생 및 우수접촉 등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누전, 합선, 감전, 화재발생 및 전기부품 훼손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전함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10), 지지대(120), 케이블걸이(130) 및 슬라이드판(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함체부(110)는 분전함의 몸체를 형성하는 베이스구조물로서, 전방이 개구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을 개폐하는 개폐문(1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내부공간(111)의 하부면에는 내부의 케이블(113)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공(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는 각 케이블(181)을 통해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기회로 부품이 실장되며, 상기 함체부(11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강인할 뿐만 아니라 우수나 이물질에 의해 쉽게 부식되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문(112)에는 손잡이(118)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함체부(110)의 내부를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함체부(110)의 상부에는 운반손잡이(119)가 장착되어 사용자 1인이 쉽게 들어올려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는 함체부(110)의 하부를 지지하여 함체부(110)를 직립배치시키는 지지구조물로서, 함체부(110)의 하부에 체결되어 함체부(110)가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20)는 함체부(110)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내구성 및 내식성이 구비되며, 지지대(120)의 수평프레임(122)에는 전동드릴과 같은 전자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공구거치공(121)이 형성되어 지지대(120)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걸이(130)는 함체부(110)의 외부에 장착된 소켓하우징(180)의 케이블(181)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부에 배치되며, 외측방향으로 케이블걸이공(131)이 형성되어 함체부(110) 내부의 케이블(113)의 일측 또는 상기 소켓하우징(180)의 케이블(181) 일측이 걸쳐지지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걸이(130)는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단에 일측이 체결되면서 타측이 함체부(110)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일측이 함체부(1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접철동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에 체결된 힌지(132)는 케이블걸이(130)이 연장된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걸이(130)이 힌지(132)를 중심으로 내측(운반손잡이(119) 방향)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접철동작할 수 있다.
더불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블걸이(130)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두 개의 케이블걸이공(131)이 마련될 수 있으며,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케이블걸이공(131) 만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블걸이(130)를 통해 사용자(작업자)가 상기 케이블(113)과 연결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중에 케이블(113)을 당기더라도 상기 케이블걸이(130)에 케이블(113)이 지지되어 소켓하우징(180)에 끼워진 케이블플러그가 쉽게 탈거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걸이(130)는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단에 일측이 체결되면서 타측이 함체부(110)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113)을 케이블걸이(130)의 케이블걸이공(131)에 걸쳐지게 삽입하는 공정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접철동작으로 인해 분전함의 이동시나 보관시에 주변의 장애물이나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케이블걸이(130)와 접촉되면서 훼손되거나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판(140)은, 분전함 내부로부터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인출공(141)의 크기를 조절하여 케이블인출공(141)과 케이블(113)간의 간격이 최소화되록 동작하는 판재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부(110)의 개구공(114)이 커버되도록 함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케이블인출공(141)이 형성되며, 함체부(1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구공(114)의 둘레와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이 겹쳐지면서 케이블인출공(141)의 크기가 조절되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판(140)의 양측단에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슬라이딩홈(142)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홈(142)을 통해 개구공(114)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공(117)에 회전나사 등의 체결수단(143)을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드판(14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은 슬라이드판(140) 상에서 개구공(114)의 둘레의 일측단(115)을 향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판(140)이 일측단(115)을 향해 슬라이딩함에 따라 일측단(115)과 겹쳐지면서 개구된 내경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일측단(115) 상에서 케이블인출공(14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케이블인출공(141)을 향해 개구된 반원 형상의 밀착공(116)이 형성되어, 케이블(113)의 외부를 둘러싸는 케이블인출공(141)의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하여 케이블인출공(141)과 케이블(113) 간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인출공(141)이 형성된 슬라이드판(14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케이블인출공(14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113)의 갯수 및 외경에 따라 케이블인출공(141)의 크기를 증감시켜 케이블인출공(141)과 케이블(113)의 간격을 최소화함으로써 우천시 바닥에 떨어지는 우수가 튀어오르면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으로 유입되어 내부의 전기부품이 수분에 의해 합선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은, 분전함이 전복될 수 있을 정도로 기울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센서(210)와 제어부(220) 및 경고표시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기센서(210)은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며, 감지된 기울기 감지신호를 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분전함의 전복을 경고하기 위한 전복판단 기준치가 메모리(221)에 저장되며, 상기 기울기센서(2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기울기 감지신호와 저장된 전복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분전함의 전복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램프발광,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수단을 통해 외부로 분전함의 전복을 경고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메모리(221)에 미리 설정된 경고음향, 경고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32)와, 점멸상태 및 점등색상을 통해 경고내용을 표시하는 램프(231)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고내용을 인식시킬 수 있는 소정의 문자나 기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전함의 내부에는 각 케이블(113,181)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2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20)는 기울기센서(210)를 통해 감지된 기울기 감지신호를 통해 분전함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전원공급부(240)로 출력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40)에서 각 케이블(113,181)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분전함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210)를 통해 분전함이 전복될 수 있는 정도로 기울어진 상태가 감지되면, 경고표시부(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할 수 있으므로 분전함이 전복되면서 분전함이 훼손되거나 주변의 사용자와 부딪혀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분전함이 전복되는 경우 각 케이블(113,18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0)를 제어하여 각 케이블(113,181)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분전함이 전복됨에 따라 각 케이블(113,181)이 당겨지거나 단선되어 감전이나 장치훼손 등의 2차사고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은, 분전함이 우수(우천)에 의해 젖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경고표시부(230)를 통해 우수를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분전함이 우수에 노출된 사항을 경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함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 배치되며 우수에 따른 수분접촉을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220)에는 수분감지량에 따라 우수를 경고하기 위한 우수판단 기준치가 메모리(221)에 더 저장되고, 상기 우수감지센서(25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수분 감지신호와 저장된 우수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우수에 따른 분전함의 수분접촉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복상태와 구분되는 경고내용으로 분전함의 수분접촉을 외부로 경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각 케이블(113,1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이와 같이, 우수에 따른 수분접촉을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250)를 통해 분전함이 우수에 의해 젖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경고표시부(230)를 통해 우수를 인지하지 못한 사용자에게 분전함이 우수에 노출된 사항을 경고하며 각 케이블(113,181)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합선, 누전,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로부터의 수분이 침투되거나, 분전함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내부에 습도가 높아지거나 결로가 발생한 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는 내부공간(111)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60)이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220)의 메모리(221)에는 내부습도에 따라 누전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위험습도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고, 상기 습도센서(26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습도 감지신호와 저장된 위험습도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내부습도에 따른 누전위험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경고표시부(23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복상태, 수분접촉상태와 각각 구분되는 경고내용으로 분전함의 누전위험을 외부로 경고도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각 케이블(113,1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도록 동작함으로써, 수분이나 습도에 의해 합선이 발생하거나 내부의 전자부품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내부공간(111)으로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온열수단(27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20)의 메모리(221)에는 상기 습도센서(260)의 습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어, 상기 습도센서(26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습도 감지신호에 따라 내부공간(111)의 내부습기를 증발할 수 있게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온열수단(270)을 통해 내부의 습기나 결로를 신속하게 증발시킬 수 있어 습기나 수분에 의한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내부 습도상황에 따라 상기 온열수단(270)이 자동적으로 구동제어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는 내부공간(111)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80)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내부온도에 따라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어, 상기 온도센서(28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온도 감지신호에 따라 내부공간(111)의 내부습기를 증발시키거나 상기 온열수단(270)의 구동에 따라 함체부(11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부(110)의 하부에는 내부공간(111)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150)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함체부(110)의 상부에는 환풍장치와 같이 내부공간(111)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배출부(160)가 배치되며, 상기 내기배출부(160)의 구동에 따라 외기유입공(150)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내공 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가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기배출부(1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공(150)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함체부(110) 내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을 가로질러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가 생성되므로, 내부의 습한 공기를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건조한 내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전함은, 케이블인출공(141)에 삽입체결되는 절곡관(170)을 통해 상기 케이블인출공(141)과 케이블(113) 간의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관(170)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부(171)는 상향연장되고 하측부(172)는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내부의 케이블(113)이 관통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73)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13)의 일측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과 밀착공(116)이 겹쳐지면서 슬라이드판(140)과 개구공(114)의 둘레 일측단(115)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의 인출공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케이블(113)이 끼워지는 상측부(171)의 내경은 상기 분전함에 장착될 수 있는 가장 큰 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이 배출되는 하측부(172)의 내경은 상기 분전함에 장착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113)이 삽입됨에 따라 내경이 확장되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부(172)는 케이블(113)의 외부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함체부(110)의 내외부 일측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분전함을 구동제어하거나 동작상태 및 각종 센서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290)가 구비되어 분전함의 사용목적 및 사용환경에 따라 분전함의 설정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함체부 120...지지대
130...케이블걸이 140...슬라이드판
141...케이블인출공 170...절곡관
210...기울기센서 220...제어부
230...경고표시부 240...전원공급부
250...우수감지센서 260...습도센서
270...온열수단 280...온도센서

Claims (10)

  1. 전방이 개구된 내부공간(111)이 형성되고, 개구된 전방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을 개폐하는 개폐문(112)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내부공간(111)의 하부면에는 내부의 케이블(113)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개구공(114)이 형성된 함체부(110);
    상기 함체부(110)의 하부에 체결되어 함체부(110)가 일정높이에 위치되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0);
    상기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부에 배치되며, 측방향으로 개구된 케이블걸이공(131)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의 케이블(113)의 일측 또는 상기 함체부(110)의 측면에 장착된 소켓하우징(180)의 케이블(181) 일측이 걸쳐지도록 지지하는 케이블걸이(130); 및
    상기 개구공(114)이 커버되도록 함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개구된 케이블인출공(141)이 형성되며, 상기 함체부(110)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개구공(114)의 둘레와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이 겹쳐지면서 케이블인출공(141)의 크기가 조절되는 슬라이드판(140);을 포함하는 분전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걸이(130)는, 함체부(110)의 상부면 측단에 일측이 체결되면서 타측이 함체부(110)의 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일측이 함체부(11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타측이 내측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접철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은 슬라이드판(140) 상에서 상기 개구공(114)의 둘레의 일측단(115)을 향해 개구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판(140)이 상기 일측단(115)을 향해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일측단(115)과 겹쳐지면서 개구된 내경의 크기가 조절되며,
    상기 일측단(115) 상에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케이블인출공(141)을 향해 개구된 반원 형상의 밀착공(1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하는 기울기센서(210);
    상기 함체부(110) 또는 지지대(120)의 기울기 상태에 따라 분전함의 전복을 경고하기 위한 전복판단 기준치가 저장되며, 상기 기울기센서(21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기울기 감지신호와 저장된 전복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분전함의 전복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20);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램프발광, 디스플레이 중 어느 이상의 수단을 통해 외부로 상기 분전함의 전복을 경고하는 경고표시부(230); 및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각 케이블(113,181)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공급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의 외부면 일측에 배치되며 우수에 따른 수분접촉을 감지하는 우수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20)에는, 수분감지량에 따라 우수를 경고하기 위한 우수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고, 상기 우수감지센서(25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수분 감지신호와 저장된 우수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우수에 따른 분전함의 수분접촉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복상태와 구분되는 경고내용으로 분전함의 수분접촉을 외부로 경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각 케이블(113,1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1)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220)에는, 함체부(110)의 내부습도에 따라 누전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위험습도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고, 상기 습도센서(26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습도 감지신호와 저장된 위험습도판단 기준치를 비교하여 내부습도에 따른 누전위험을 외부로 경고하고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경고표시부(230)로 출력하며,
    상기 경고표시부(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복상태, 수분접촉상태와 각각 구분되는 경고내용으로 분전함의 누전위험을 외부로 경고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전원공급부(240)는 각 케이블(113,18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1)으로 소정의 열을 발산하는 온열수단(2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0)에는 상기 습도센서(260)의 습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어, 상기 습도센서(26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습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부습기를 증발할 수 있게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의 내부공간(1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내부온도에 따라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기 위한 구동제어판단 기준치가 더 저장되어, 상기 온도센서(28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의 온도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부습기를 증발시키거나 상기 온열수단(270)의 구동에 따라 함체부(11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상기 온열수단(270)을 구동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110)의 하부에는 상기 내부공간(111)과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외기유입공(150)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110)의 상부에는 상기 내부공간(111)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내기배출부(160)가 배치되며,
    상기 내기배출부(1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공(150)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내부공간(111) 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류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10. 제 9항에 있어서,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측부(171)는 상향연장되고 하측부(172)는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내부의 케이블(113)이 관통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73)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13)의 일측 둘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블인출공(141)과 밀착공(116)이 겹쳐지면서 슬라이드판(140)과 개구공(114)의 둘레 일측단(115)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의 인출공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케이블(113)이 끼워지는 상측부(171)의 내경은 상기 분전함에 장착될 수 있는 가장 큰 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이 배출되는 하측부(172)의 내경은 상기 분전함에 장착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케이블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113)이 삽입됨에 따라 내경이 확장되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부(172)는 케이블(113)의 외부면에 밀착되는 절곡관(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함.
KR1020140034588A 2014-03-25 2014-03-25 분전함 KR101585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588A KR101585761B1 (ko) 2014-03-25 2014-03-25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588A KR101585761B1 (ko) 2014-03-25 2014-03-25 분전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111A true KR20150111111A (ko) 2015-10-05
KR101585761B1 KR101585761B1 (ko) 2016-01-14

Family

ID=5434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588A KR101585761B1 (ko) 2014-03-25 2014-03-25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761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0535A (zh) * 2016-04-20 2016-06-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宁供电公司 一种低压电缆分支箱
CN108832504A (zh) * 2018-07-25 2018-11-16 哈尔滨新世通电器有限公司 一种全新智能移开式高低压配电柜
CN110723686A (zh) * 2019-10-08 2020-01-24 江苏海鑫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配电箱用移动装置
KR102079182B1 (ko) * 2019-02-21 2020-02-19 세종기술종합(주) 방수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분전함
KR102097058B1 (ko) * 2019-07-31 2020-05-29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CN111736232A (zh) * 2020-06-29 2020-10-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电力通信光缆防外破告警装置及方法
CN111864558A (zh) * 2020-04-26 2020-10-30 陈春艳 一种便于安拆的中置式开关柜
KR200492980Y1 (ko) * 2020-05-04 2021-01-12 박정용 이동형 분전반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CN116632662A (zh) * 2023-07-26 2023-08-22 江苏百维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智能电能表
CN116885607A (zh) * 2023-04-10 2023-10-13 河北辰百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巡检系统
CN117117739A (zh) * 2023-10-25 2023-11-24 山东红日东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潮功能的电缆分支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90B1 (ko) * 2018-12-26 2020-08-11 여병동 가설 분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305Y1 (ko) * 2000-01-18 2000-06-15 주식회사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공사가설분전함 안전장치
KR101263748B1 (ko) * 2013-03-13 2013-05-13 (주)무림설계기술단 다량의 전선 배선을 위한 공동 주택 전용 배전함
KR101301554B1 (ko) * 2013-03-20 2013-09-04 디아이케이(주) 통합 cmd센서를 이용한 고장 및 열화진단 기능의 고압반,저압반,분전반,모터제어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0535A (zh) * 2016-04-20 2016-06-2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宁供电公司 一种低压电缆分支箱
CN108832504A (zh) * 2018-07-25 2018-11-16 哈尔滨新世通电器有限公司 一种全新智能移开式高低压配电柜
KR102079182B1 (ko) * 2019-02-21 2020-02-19 세종기술종합(주) 방수기능을 갖는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된 전기분전함
KR102097058B1 (ko) * 2019-07-31 2020-05-29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CN110723686A (zh) * 2019-10-08 2020-01-24 江苏海鑫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配电箱用移动装置
CN110723686B (zh) * 2019-10-08 2020-12-29 江苏海鑫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配电箱用移动装置
CN111864558B (zh) * 2020-04-26 2022-05-06 山东万盛电气有限公司 一种便于安拆的中置式开关柜
CN111864558A (zh) * 2020-04-26 2020-10-30 陈春艳 一种便于安拆的中置式开关柜
KR200492980Y1 (ko) * 2020-05-04 2021-01-12 박정용 이동형 분전반
CN111736232A (zh) * 2020-06-29 2020-10-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淄博供电公司 电力通信光缆防外破告警装置及方法
KR102311202B1 (ko) *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CN116885607A (zh) * 2023-04-10 2023-10-13 河北辰百生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巡检系统
CN116632662A (zh) * 2023-07-26 2023-08-22 江苏百维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智能电能表
CN116632662B (zh) * 2023-07-26 2023-09-26 江苏百维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安全性智能电能表
CN117117739A (zh) * 2023-10-25 2023-11-24 山东红日东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潮功能的电缆分支箱
CN117117739B (zh) * 2023-10-25 2024-01-02 山东红日东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潮功能的电缆分支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761B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761B1 (ko) 분전함
US7786879B2 (en) Self-powered rechargeable smoke/carbon monoxide detector
US10119847B2 (en) Interior sensor with a remote power source
KR102097626B1 (ko) 리모컨으로 동작되는 화재감지기용 복합 테스트 장비
US7544082B1 (en) Electrical connection guard
US8429833B2 (en) Remote restriction detecting system for clothes dryer exhaust systems
US5890797A (en) Multi-directional security light with elongated extension arm
KR102155295B1 (ko) 공동주택 전기케이블 트레이
CN206806817U (zh) 一种散热防尘多功能电力柜
KR101637011B1 (ko) 배전반 내부 온·습도 자동제어장치 및 자동제어방법
CN105164475A (zh) 具有水平开关保险装置的加热器
US8454228B2 (en) Thermal detector testing device
CN106998039A (zh) 一种带有报警装置的多功能电力柜
JP2006006862A (ja) リモコン制御自動物干し
KR101413082B1 (ko) 사방 배출이 가능한 온풍기
KR100850788B1 (ko) 야외 조명장치
US20080209751A1 (en) Dryer exhaust duct alarm
CN111928903A (zh) 一种远程电力监测系统
US5519382A (en) Mobile fire detector system
CN108036818A (zh) 一种配电室内电力设备异常定位报警装置
KR102426766B1 (ko) 감전사고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행거기구
JP6147832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装置
JP4706265B2 (ja) 天井旋回扇の取付装置
US10125778B1 (en) Smoke deflector having a fan for purging a smoke detector
KR20210006266A (ko) 비닐하우스 자동 제설 온풍기와 그 작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