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80Y1 - 이동형 분전반 - Google Patents

이동형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80Y1
KR200492980Y1 KR2020200001496U KR20200001496U KR200492980Y1 KR 200492980 Y1 KR200492980 Y1 KR 200492980Y1 KR 2020200001496 U KR2020200001496 U KR 2020200001496U KR 20200001496 U KR20200001496 U KR 20200001496U KR 200492980 Y1 KR200492980 Y1 KR 200492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pening
distribution board
present
clos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용
김금배
Original Assignee
박정용
김금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용, 김금배 filed Critical 박정용
Priority to KR2020200001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2Mobile units, e.g. for work si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16F15/085Use of both rubber and meta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형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어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며 전기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설현장 가설용 또는 농작물 재배 하우스 등에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여 전기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메인 차단기(20)가 구성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투명 재질의 개폐뚜껑(30)과;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 걸쇠(40)와; 상기 본체부(10) 내부의 메인 차단기(20)로부터 외부로 연장 구성되는 입력 플러그(50)와; 상기 개폐뚜껑(30)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출력 콘센트(6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분전반{MOVABLE DISTRIBUTION PANEL}
본 고안은 이동형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한 이동 설치가 가능함과 함께 부가적으로는 누설전류 차폐 및 흡수로 인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ECSPD(Electric Capture Surge Protecor Device)가 구비된 이동형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공장, 빌딩, 병원, 상가, 아파트 단지 등의 각종 시설에 설치된 배전반에서 송전선(변압기)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각 사용자 시설(예를 들어, 건물의 각 층별, 아파트 단지의 각 동)에 분배하고 누전이나 과부하 발생시 전력을 차단시키는 안전장치이다.
이러한 분전반은 통상적으로 전력의 차단을 위한 차단기와, 상기 차단기에 연결되는 전류 부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분전반은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차단기 및 전류 부스바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의 분전반은 캐비넷에 의한 일정 규격의 고정형 설치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전기작업 공사시에는 별도로 공사현장에 임시 분전반의 시공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사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차원에서 분전반을 설치하지 않고 전기작업 공사를 실시함에 따른 감전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34322호(2013.11.22.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81560호(2007.11.27.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성이 개선된 분전반 구조를 제공하여 외부 전기작업 공사에서 간편하게 임시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토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형 분전반은, 내부에 메인 차단기가 구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되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개폐뚜껑과;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 걸쇠와; 상기 본체부 내부의 메인 차단기로부터 외부로 연장 구성되는 입력 플러그와; 상기 개폐뚜껑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출력 콘센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이동형 분전반은,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어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며 전기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설현장 가설용 또는 농작물 재배 하우스 등에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여 전기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분전반 내부에 ECSPD가 적용되어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분전반 정면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동형 분전반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동형 분전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 이동형 분전반의 개략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이동형 분전반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본체부 개략 단면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전반 본체부 단면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완충블럭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형 분전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분전반은 사각 형상의 함체 구조를 이루는 본체부(10) 내부에 메인 차단기(20)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내부 투시가 가능한 투명 재질의 개폐뚜껑(30)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본체부(10)의 상부에는 손잡이부(40)가 연결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10) 내부의 메인 차단기(20)로부터 외부로 연장 구성되는 입력 플러그(50)가 구성되고, 개폐뚜껑(30)에는 출력 콘센트(60)가 복수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콘센트(60)에는 콘센트 보호캡(61)이 개폐 가능하게 연결 구비된다.
특히, 본체부(10) 내부에는 주파수 변조 보상 제어기술이 적용되고, 감전 방지를 위해 램프 점등으로 표시가 이루어지는 ECSPD(Electric Capture Surge Protecor Device;21)가 구성된다.
한편, 본체부(10) 일측에는 개폐뚜껑(30)의 닫힘상태 유지를 위한 개폐고리(11)가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5는 플러그 라인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이동형 분전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이동형 분전반은 함체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 가설용, 축사, 농작물 재배 하우스 등에 신속한 이동 및 임시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현장 이동 후 도 5에서와같이 손잡이 걸쇠(40)를 이용하여 현장의 벽체(100)에 구성된 고리부 등과 같은 주변 시설물에 걸어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임시 설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입력 플러그(50)를 간선에 통전시킨 상태에서 개폐뚜껑(30)에 구비된 복수의 출력 콘센트(60)에 현장 전기설비의 콘센트를 연결하여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 설비에 대한 과전류 차단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이동식 분전반에는 ECSPD(21)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설전류 감소에 따른 감전사고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이동형 분전반은, 컴팩트한 구조를 이루어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며 전기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설현장 가설용 또는 농작물 재배 하우스 등에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여 전기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부(10)의 배면측에는 철재 부위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70)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분전반의 설치시 상부는 손잡이 걸쇠(40)에 의해 걸려진 상태에서 본체부(10)의 하부는 자석(70)의 자력을 이용한 부착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어 유동이 방지되고 보다 안정적인 설치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부(10)의 배면에는 벽면과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 재질의 완충블럭(12)이 구성되며, 상기 완충블럭(12)은 탄성스프링(1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완충블럭(12) 표면에는 보호 코팅층(12a)이 코팅 형성된다.
이때 보호 코팅층(12a)은 플루오로수지 20~40중량%, 이산화티탄 10~30중량%, 소다장석 10~30중량%, 벤토나이트 10~20중량%, 폴리에스터 수지 1~10중량%, 유리섬유 1~10중량%, 산화크롬 1~10중량%, 파라핀왁스 1~5중량%, 규산바륨 1~5중량%, 카올린 1~3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분전반의 설치시 탄성스프링(1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완충블럭(12)의 작용에 의해 본체부(10)의 완충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벽체(100)와의 접촉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블럭(12)에는 보호 코팅층(12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력에 의한 파손 내지는 변형 발생이 방지되는데, 이때 보호 코팅층(12a)에는 소다장석 및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코팅층의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산화티탄은 코팅층의 변색 발생을 방지하고, 산화크롬은 플루오로수지의 활성화를 통한 코팅층의 안정화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규산바륨은 코팅층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이동형 분전반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출력 콘센트(60)가 2개로 구비된 상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출력 콘센트(6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서는 3개 이상 다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본체부 11 : 개폐고리
20 : 메인 차단기 21 : ECSPD
30 : 개폐뚜껑 40 : 손잡이 걸쇠
50 : 입력 플러그 51 : 플러그 라인
60 : 출력 콘센트 61 : 콘센트 보호캡
100 : 벽체

Claims (5)

  1. 사각 형상의 함체 구조를 이루며, 내부에 메인 차단기(20)가 구성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투명 재질의 개폐뚜껑(30)과;
    상기 본체부(10)의 상부에 연결 구성되는 손잡이 걸쇠(40)와;
    상기 본체부(10) 내부의 메인 차단기(20)로부터 외부로 연장 구성되는 입력 플러그(50)와;
    상기 개폐뚜껑(30)의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며, 콘센트 보호캡(61)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출력 콘센트(6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10)는
    일측에 개폐뚜껑(30)의 닫힘상태 유지를 위한 개폐고리(11)가 구성되고, 내부에는 감전사고 방지를 위해 주파수 변조 보상 제어기술이 적용되고, 램프 점등으로 표시가 이루어지는 ECSPD(21)가 구성되며,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분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에는 철재 부위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자석(7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분전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00001496U 2020-05-04 2020-05-04 이동형 분전반 KR200492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96U KR200492980Y1 (ko) 2020-05-04 2020-05-04 이동형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496U KR200492980Y1 (ko) 2020-05-04 2020-05-04 이동형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80Y1 true KR200492980Y1 (ko) 2021-01-12

Family

ID=7413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496U KR200492980Y1 (ko) 2020-05-04 2020-05-04 이동형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12A (ko) * 2021-04-30 2022-11-08 주재규 무감전 이동식 다목적 전원공급박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678U (ko) * 1995-06-15 1997-01-21 신전균 과자포장상자 구조
KR100395415B1 (ko) * 2001-02-14 2003-08-25 남양비젼 주식회사 임시 분전함
KR200423828Y1 (ko) * 2006-03-30 2006-08-11 최규연 휴대가 가능한 엘이디 전광판
KR20070110980A (ko) * 2006-05-16 200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KR100781560B1 (ko) 2007-08-20 2007-12-03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회전식 격납부를 구비한 분배전반용 캐비넷
KR200439488Y1 (ko) * 2007-02-02 2008-04-16 이선우 전기 컨트롤 박스
KR101334322B1 (ko) 2011-12-26 2013-11-29 설연우 수밀형 분배전반
KR20150111111A (ko) * 2014-03-25 2015-10-05 여병동 분전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678U (ko) * 1995-06-15 1997-01-21 신전균 과자포장상자 구조
KR100395415B1 (ko) * 2001-02-14 2003-08-25 남양비젼 주식회사 임시 분전함
KR200423828Y1 (ko) * 2006-03-30 2006-08-11 최규연 휴대가 가능한 엘이디 전광판
KR20070110980A (ko) * 2006-05-16 200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
KR200439488Y1 (ko) * 2007-02-02 2008-04-16 이선우 전기 컨트롤 박스
KR100781560B1 (ko) 2007-08-20 2007-12-03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회전식 격납부를 구비한 분배전반용 캐비넷
KR101334322B1 (ko) 2011-12-26 2013-11-29 설연우 수밀형 분배전반
KR20150111111A (ko) * 2014-03-25 2015-10-05 여병동 분전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12A (ko) * 2021-04-30 2022-11-08 주재규 무감전 이동식 다목적 전원공급박스
KR102526805B1 (ko) * 2021-04-30 2023-04-27 주재규 무감전 이동식 다목적 전원공급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2133A1 (en) Universal enclosure with electrical panel
KR200492980Y1 (ko) 이동형 분전반
KR101905844B1 (ko) 폭발 방지형 수배전반
KR101230072B1 (ko) 수배전반
KR102112560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EP2336071B1 (en) Control panel with push buttons for controlling electric plants
CN206258543U (zh) 一种电源漏电自动报警装置
KR101293530B1 (ko) 슬라이딩 개폐형 도어가 구비된 세대용 통신단자 일체형 분전함
KR101371679B1 (ko) 투명 배전함
CN205960466U (zh) 一种供电所接入层机柜
CN203085464U (zh) 一种小型分断式漏电断路器
CN204258054U (zh) 计量柜
KR200495253Y1 (ko) 배전반용 도어
CN203260534U (zh) 一种触点全封闭式接触器
CN107611788B (zh) 一种降温绝缘性开关柜
CN220291462U (zh) 一种高安全智能型开关柜
KR20210107066A (ko) 비-기계적-인터페이싱 전자 스위치를 위한 기계적 로크아웃
CN206558401U (zh) 一种防止剩余电流保护器自动重合闸的组合保护装置
CN205104388U (zh) 微动开关的绝缘防护结构、微动开关组件和空气净化器
CN215870218U (zh) 一种电厂用继电保护压板误触碰防护罩
CN212411919U (zh) 一种具有保护结构的户内高压隔离开关
CN211125517U (zh) 一种具有自动复位功能的磁保持继电器
CN212366521U (zh) 一种用于高压开关柜的有效防护警示装置
CN216489292U (zh) 一种新型的开关柜
CN210516626U (zh) 一种新型电气线路接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