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7058B1 -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7058B1
KR102097058B1 KR1020190093213A KR20190093213A KR102097058B1 KR 102097058 B1 KR102097058 B1 KR 102097058B1 KR 1020190093213 A KR1020190093213 A KR 1020190093213A KR 20190093213 A KR20190093213 A KR 20190093213A KR 102097058 B1 KR102097058 B1 KR 102097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rotection box
protective box
monitoring function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김민수
현창언
조정수
이철우
구용태
Original Assignee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상림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H02B1/565Cooling; Ventilation for cabi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 보호함에 내장된 각종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효과적으로 냉각시킴은 물론 외부충격이나 지반침하 등에 의해 발생되는 보호함의 피해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각종 전자기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전력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보호함; 상기 보호함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구비되어 보호함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해주는 온도조절수단; 상기 보호함 또는 덮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온/습도감지센서; 및 상기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온도조절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Anti-temperature and dustproof system with monitoring function}
본 발명은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 보호함에 내장된 각종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효과적으로 냉각시킴은 물론 외부충격이나 지반침하 등에 의해 발생되는 보호함의 피해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장제어반은 산업현장에서 운영 중인 설비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센서(온도, 습도, 수위, 압력, 유량) 데이터를 RCS(Remote Control Station), RTU(Remote Terminal Unit),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등과 같은 현장제어기를 통해 실질적인 현장의 운영정보를 수집하고 상위 설비에 전달하며, 운영자의 조작(제어)명령을 밸브, 펌프, 전동기 등의 기계 및 전기설비에 전달하여 설비를 운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계장제어반은 실제 감시제어의 대상인 전기·기계설비가 작동되는 현장(공정) 내에 설치되므로, 운영자의 시스템 접근성 확보와 외부 환경(먼지, 물)으로부터 시스템(현장제어기 및 제어설비 일체)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스템 보호함(11)을 포함하며, 이와 같은 제어반의 보호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설치된 시스템의 과열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보호함(11)의 상부에 쿨링팬(12)이 설치되고, 하부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1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산업현장에 설치되어 운영되는 계장제어반의 경우, 주변 환경과 내부 기기의 발열로 인해 보호함(11) 내부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쿨링팬(12)이 가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된 음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3)를 통해 보호함(11)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와 공정에서 발생된 가스도 함께 보호함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먼지가 보호함 내부의 현장제어기와 전자제어기의 내부회로에 침착되어 시스템의 방열효율을 하락시켜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저하시키고, 습기에 노출 시 회로를 단락시켜 시스템 회로를 파손시켜 공정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매년 점검 기간을 정하고 주기적인 제거작업을 수행해야만 한다.
또한, 가스의 경우 보호함 내부의 현장제어기(RCS, RTU, PLC)와 전자제어기기의 내부회로에 유입되어 회로와 소자를 부식시켜 시스템의 오동작과 기능정지 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으나, 시스템의 특성상 개별 케이싱이 되어있는 자재들의 특성상 육안으로 확인이 매우 어려워 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특히, 수처리시설(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의 경우 대부분의 공정이 생물학적,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가스를 발생한다. 대부분의 가스가 차집되어 별도의 처리설비에 의해 처리되어 처리장 외부 대기로의 방출은 예방하고 있으나, 처리장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가스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포집과 처리 시설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처리시설 내부에 분포되어 있는 부식성 가스(암모니아성 가스)에 의한 회로및 소자의 부식으로 인해 오동작 및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재정적인 비용이 발생되며 이에 의해 현장시스템의 수명이 단축되어 조기에 개·대체 되는 경우도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94217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외부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 보호함에 내장된 각종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효과적으로 냉각시킴은 물론 외부충격이나 지반침하 등에 의해 발생되는 보호함의 피해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각종 전자기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전력케이블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가 구비되며, 상부 내측면에는 덮개부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부의 외측면에는 끼움홈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보호함; 상기 보호함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보호함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부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증설 가능하게 복수 개의 모듈 타입으로 구비되며, 전원의 극성에 따라 일단면과 타단면이 상호 상반되게 발열 또는 냉각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일단면에 밀착 고정되어 보호함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와, 상기 열전소자의 타단면에 밀착 고정되어 흡열부를 통해 흡입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와, 상기 흡열부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류를 형성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온도조절수단; 상기 보호함 또는 덮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온/습도감지센서; 상기 보호함 또는 덮개부 중 적어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함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기울기감지센서; 상기 보호함 또는 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부; 및 상기 온/습도감지센서로부터 지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보호함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서 벗어나면 열전소자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켜주며, 상기 기울기감지센서로부터 지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보호함의 기울기가 설정된 경사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경고발생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호함에는 개폐도어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함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식가스를 감지하는 부식가스감지센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함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어 보호함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덮개부에 열전소자와 흡열부 및 방열부를 포함하는 온도조절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보호함 내부로 외부의 먼지와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보호함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하여 보호함 내에 구비된 전자제어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기울기감지센서부와 도어열림감지센서부 및 부식가스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이상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발생부를 통하여 경고를 발생시킴으로써, 관리자가 보호함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항온 및 방진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이 적용된 계장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온도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이 적용된 계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온도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은 외부공기 유입을 통해 내부를 냉각시키는 모든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해 계장시스템에 적용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현장의 전력공급 및 자동제어를 위한 전자장치를 내장시켜 보호하는 계장시스템의 보호함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공기를 유입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시켜 효과적으로 냉각시킴은 물론 외부충격이나 지반침하 등에 의해 발생되는 보호함의 피해 여부를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사각형태의 외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각종 전자기기(111)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110)이 마련되며, 하부에는 외부의 기계장치(도면에 미도시)와 전자기기(111)를 연결하기 위한 전력케이블(121)이 관통되는 관통홀(120)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보호함(100)이 구비된다.
한편, 보호함(100)의 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1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함(100)의 상부 내측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덮개부(2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홈(2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140)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끼움돌부(140)의 외측면에는 끼움홈(21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견고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돌부(14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보호함(100)의 개방된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덮어져 보호함(100)의 내부를 개폐시켜주는 덮개부(2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덮개부(200)의 하단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함(100)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부(140)가 끼움 결합되도록 끼움홈(210)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200)의 외측 테두리에는 손으로 잡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플랜지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덮개부(200)의 상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함(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해주는 온도조절수단(30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온도조절수단(300)은 전원의 극성에 따라 일단면과 타단면이 상호 상반되게 발열 또는 냉각되는 열전소자(3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열전소자(310)는 펠티어 소자라고도 하며, 반도체 표면을 통해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무소음, 무공해, 저전력 소모를 구현하는 친환경, 그린에너지 부품으로서 열전발전과 열전냉각에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제품이다. 기존의 컴프레서 냉각방식을 대체할 차세대 냉각방식으로 간단한 극 전환을 통해 간편하게 냉각과 발열이 동시에 가능한 부품으로 상온에서 대상물을 섭씨 -70도 ~ 섭씨 150도 까지 냉각과 가열에 의해 일정한 온도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전류를 흘려주면, 한 접합에서는 열을 흡수하고 다른 접합에서는 열을 방출한다. 이때 전류의 방향을 변경시키면 열을 흡수하는 곳과 열을 방출하는 곳이 서로 변경된다.
또한, 전술한 열전소자(310)의 일단면에 밀착 고정되며, 보호함(100)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되어 보호함(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3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흡열부(320)는 열전소자(310)와 면 밀착되는 흡열판(321)이 형성되고, 이 흡열판(321)의 일면에는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복수 개의 흡열핀(322)이 배열되어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열전소자(310)의 타단면에 밀착 고정되며,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전술한 흡열부(320)로부터 흡열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3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방열부(330)는 열전소자(310)와 면 밀착되는 방열판(331)이 형성되고, 이 방열판(331)의 일면에는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복수 개의 방열핀(332)이 배열되어 구성된다. 한편, 방열핀(332)의 상부에는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열팬(33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온도조절수단(300)은 복수 개의 모듈타입으로 덮개부(2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보호함(100)의 내부 전자기기(111)에서 발생하는 열량에 따라 증설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온도조절수단(300)은 보호함(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열부(320)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류를 형성시키는 순환팬(3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보호함(100) 또는 덮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00)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온/습도감지센서(400)가 구비된다.
또한, 보호함(100) 또는 덮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보호함(10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감지센서(5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호함(100)에는 개폐도어(13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센서(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어열림감지센서(600)는 개폐도어(130)와 근접한 위치에 구비됨이 발람직하다.
또한, 보호함(10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식가스를 감지하는 부식가스감지센서(7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부식가스감지센서(700)는 전력케이블(121)이 관통되는 관통홀(120)과 근접한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호함(100)의 외측에는 보호함(100) 외부 주변의 온/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별도로 온/습도측정센서(400)를 더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주변환경의 온/습도를 측정한 신호를 제어부(900)로 수신하므로써, 보호함(100) 주변 여건에 맞춰 능동적으로 온도조절수단(300)을 제어하므로 보호함(100) 내의 온/습도 조절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호함(100) 및 관리센터(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기울기감지센서부(500), 도어열림감지센서부(600) 및 부식가스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부(8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경고발생부(800)는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나 붉은빛을 발하는 경광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함(100)의 내부에는 온/습도감지센서(4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온도조절수단(300)을 제어하는 제어부(9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900)는 온/습도감지센서(400)로부터 지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설정된 온도에서 벗어나면 이를 감지하고 열전소자(310)로 인가되는 전류(또는 전압)를 제어함으로써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900)는 기울기감지센서부(500)와 도어열림감지센서부(600) 및 부식가스감지센서(700)로부터 보호함(100)이 설정된 경사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짐이 감지되거나, 개폐도어(130)가 열려있거나, 보호함(100) 내에 부식가스가 감지된 이상감지 신호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경고발생부(8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경고를 발생하여 관리자가 이를 바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직접 현장점검을 나갈 필요없이 보호함(100)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900)는 관리센터(10)에서도 현장과 동일한 내용의 정보 수신이 가능하도록 보호함(100) 내부에 설치 운영되는 현장제어기(RCS, RTU, PLC)가 지원하는 범용화된 산업용 통신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부(900)의 운영데이터를 현장제어기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무선통신수단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또는 아이피망을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망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보호함(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어 보호함(100)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덮개부(200)에 열전소자(310)와 흡열부(320) 및 방열부(330)를 포함하는 온도조절수단(300)을 구비시킴으로써, 보호함(110) 내로 외부의 먼지와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은 물론 보호함(110)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하여 신속하게 냉각시키므로 보호함(110) 내에 구비된 전자기기(101)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기울기감지센서부(500)와 도어열림감지센서부(600) 및 부식가스감지센서(700)로부터 감지된 이상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발생부(800)에서 경고를 발생시킴으로써, 관리자가 보호함(100)의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용이하다.
100 : 보호함
110 : 수용공간
120 : 관통홀
130 : 개폐도어
140 : 끼움돌부
200 : 덮개부
210 : 끼움홈
220 : 플랜지부
300 : 온도조절수단
310 : 열전소자
320 : 흡열부 321 : 흡열판 322 : 흡열핀
330 : 방열부 331 : 방열판 332 : 방열핀 333 : 방열팬
340 : 공기순환팬
400 : 온/습도감지센서
500 : 기울기감지센서
600 : 도어열림감지센서
700 : 부식가스감지센서
800 : 경고발생부
900 : 제어부

Claims (5)

  1. 내부에 각종 전자기기가 수용되도록 수용공간(110)이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는 전력케이블(121)이 관통되는 관통홀(120)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도어(130)가 구비되며, 상부 내측면에는 덮개부(200)의 끼움홈(210)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부(140)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부(140)의 외측면에는 끼움홈(21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부(141)가 돌출 형성되는 보호함(100);
    상기 보호함(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상기 보호함(100)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부(140)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210)이 형성되며, 외측 테두리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플랜지부(220)가 형성되는 덮개부(200);
    상기 덮개부(200)의 상부에 증설 가능하게 복수 개의 모듈 타입으로 구비되며, 전원의 극성에 따라 일단면과 타단면이 상호 상반되게 발열 또는 냉각되는 열전소자(310)와, 상기 열전소자(310)의 일단면에 밀착 고정되어 보호함(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흡열부(320)와, 상기 열전소자(310)의 타단면에 밀착 고정되어 흡열부(320)를 통해 흡입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부(330)와, 상기 흡열부(320)와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류를 형성시키는 순환팬(340)을 포함하는 온도조절수단;
    상기 보호함(100) 또는 덮개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제어부(900)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온/습도감지센서(400);
    상기 보호함(100) 또는 덮개부(200) 중 적어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보호함(100)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제어부(900)로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기울기감지센서(500);
    상기 보호함(100) 또는 관리센터(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받으면 경고를 발생하는 경고발생부(800); 및
    상기 온/습도감지센서(400)로부터 지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보호함(100)의 내부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서 벗어나면 열전소자(31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켜주며, 상기 기울기감지센서(500)로부터 지속적으로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보호함(100)의 기울기가 설정된 경사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경고발생부(80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함(100)에는 개폐도어(130)의 열림 상태를 감지하는 도어열림감지센서(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함(100)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부식가스를 감지하는 부식가스감지센서(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3213A 2019-07-31 2019-07-31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KR102097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13A KR102097058B1 (ko) 2019-07-31 2019-07-31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13A KR102097058B1 (ko) 2019-07-31 2019-07-31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058B1 true KR102097058B1 (ko) 2020-05-29

Family

ID=70912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13A KR102097058B1 (ko) 2019-07-31 2019-07-31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3850A (zh) * 2021-05-18 2021-07-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高低压配电柜
KR102379783B1 (ko) 2021-07-30 2022-03-28 주식회사 위너이엔지 항온항습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566A (ko) * 2012-07-17 2014-01-29 고성서 냉각팬이 구비된 건식 변압기용 보호케이스
KR101494217B1 (ko) 2014-03-17 2015-02-23 대일산전(주) 계장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50111111A (ko) * 2014-03-25 2015-10-05 여병동 분전함
KR101670255B1 (ko) * 2016-03-16 2016-10-28 신푸름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3046B1 (ko) * 2016-07-06 2017-05-24 이인석 냉온유지모듈이 탑재된 전기 배전함
KR101773562B1 (ko) * 2017-06-14 2017-09-01 한국전력산업과학기술 주식회사 강제 환기 방식을 이용한 지상 개폐기용 결로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1566A (ko) * 2012-07-17 2014-01-29 고성서 냉각팬이 구비된 건식 변압기용 보호케이스
KR101494217B1 (ko) 2014-03-17 2015-02-23 대일산전(주) 계장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50111111A (ko) * 2014-03-25 2015-10-05 여병동 분전함
KR101670255B1 (ko) * 2016-03-16 2016-10-28 신푸름 열전소자를 이용한 제습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33046B1 (ko) * 2016-07-06 2017-05-24 이인석 냉온유지모듈이 탑재된 전기 배전함
KR101773562B1 (ko) * 2017-06-14 2017-09-01 한국전력산업과학기술 주식회사 강제 환기 방식을 이용한 지상 개폐기용 결로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3850A (zh) * 2021-05-18 2021-07-13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高低压配电柜
KR102379783B1 (ko) 2021-07-30 2022-03-28 주식회사 위너이엔지 항온항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1047B2 (en) Sensor modules for light fixtures
KR102097058B1 (ko)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항온 및 방진시스템
US10863638B2 (en) Moisture control systems for enclosures
US10448525B2 (en) Moisture control systems for electrical enclosures
US7595630B2 (en) Automated laser header testing
CN104769515A (zh) 用于危险场所外壳的可编程温度控制器
EP3739314A1 (en) Flow guiding and heat dissipating type dry block temperature calibrator
KR101881118B1 (ko) Emp 방호용 계장계측 제어장치 함체를 이용하는 원방감시용 프로세스 제어시스템
US20110198062A1 (en) Cooler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or equipment cabinet having air-to-air heat exchanger cassettes
KR101913430B1 (ko) 전력 변환 설비의 열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설비
CN102539946A (zh) 测试设备
KR20190041305A (ko) 옥외용 전기기기 함체
CN212008481U (zh) 一种voc气体监测系统
CN103728999A (zh) 机柜
KR102165951B1 (ko) 전기 설비함의 열화방지 냉각시스템
JP2022500982A (ja) センサが組み込まれたケーブルコンジット
CN115189222B (zh) 具有高可靠性温控结构的激光收发设备及光学望远镜
RU197263U1 (ru) Усилитель сверхвысокочастотной мощности
CN115566531B (zh) 具有高可靠性温控结构的激光收发设备及光学望远镜
KR102588758B1 (ko) 통신모니터링 일체형 태양광 배전함
KR20090036668A (ko) 방사선 검출 장치 및 그 온도 제어 유닛
CN218183740U (zh) 一种保温舱及测量模块
KR101821135B1 (ko) 지하 거치형 정류기
KR20210074530A (ko) 스마트온실 제어패널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동작방법
ES2578940A1 (es) Procedimiento, dispositivo y sistema de monitorización y caracterización de un módulo solar fotovolta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