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135B1 - 지하 거치형 정류기 - Google Patents
지하 거치형 정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1135B1 KR101821135B1 KR1020170172788A KR20170172788A KR101821135B1 KR 101821135 B1 KR101821135 B1 KR 101821135B1 KR 1020170172788 A KR1020170172788 A KR 1020170172788A KR 20170172788 A KR20170172788 A KR 20170172788A KR 101821135 B1 KR101821135 B1 KR 1018211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closure
- rectifier
- pressure
- temperature
- nitrog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는 정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중에 매설된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되, 빗물 또는 지하의 습기, 유해 가스 등에 의한 전자기기 즉, 정류부의 부식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유지와 내부에 질소가스를 충진하고, 기밀에 따른 정류기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시켜 정류기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됨에 따라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정류기 주위의 온도가 지상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자연스럽게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부에 질소를 충진하되 외부 압력 즉,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충진하여 외부로부터의 빗물 또는 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식과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내부 온도와 냉각부의 온도 및 충진된 질소의 압력을 확인하여 질소의 압력 및 내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정류기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됨에 따라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정류기 주위의 온도가 지상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자연스럽게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부에 질소를 충진하되 외부 압력 즉,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충진하여 외부로부터의 빗물 또는 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식과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내부 온도와 냉각부의 온도 및 충진된 질소의 압력을 확인하여 질소의 압력 및 내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정류기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는 정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중에 매설된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되, 빗물 또는 지하의 습기, 유해 가스 등에 의한 정류기 내부의 전자기기의 부식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유지와 내부에 질소가스를 충진하고, 기밀에 따른 정류기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발산시켜 정류기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정류기는 교류전력에서 직류전력을 얻기 위해 정류작용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진 전기적인 회로소자 또는 장치이고,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전원장치에서는 실리콘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제어 정류기 응용 부분에서는 사이리스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정류기 즉, 대용량 전력변환기는 동작 시 많은 양의 열을 발생하게 되어 충분한 방열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동작의 오작동 등 기기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정류기는 선박 또는 차량 등과 같이 장치에 설치될 경우 외부와 차단된 형태로 설치되어 방열을 위한 냉각장치가 설치될 뿐만 아니라 외부와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적다. 그러나 지상에 설치되는 정류기는 냉각장치의 설치가 쉬우며 냉각 효율과 관리가 탁월하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지하에 정류기를 설치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정류기 주위의 온도가 낮은 환경에 설치하여 방열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때, 지하에 설치되는 정류기는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맨홀의 내부로 침투되는 빗물에 의해 침수되거나 지하의 습기 또는 유해 가스 등에 의한 전자기기의 부식과 손상에 대한 방지를 위해 안정적인 기밀성과 상기 기밀성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정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정류기에 사용되는 냉각장치를 살펴보면 크게 공랭식과 수냉식으로 나뉘고, 일예로, 공랭식 냉각 구조가 구비되는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00-0017866호에 '통신전자장비의 정류기 방열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수냉식 냉각 구조가 구비되는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55062호에 '발전기의 정류기 냉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공랭식 냉각 구조는 전자부품들에 직접 공기를 불어서 방열하는 구조로서, 전자부품들이 외부공기와 접촉하여 습도에 의한 부식 및 고장이 빈번하고,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먼지가 쌓이기 쉬우며, 주위 온도가 높을 경우 냉각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수냉식 냉각 구조는 열교환 장치와 냉각수를 이송하기 위한 부품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배관 누수 우려가 있으며, 정류기 설치 시 냉각수 배관을 함께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전력변환기의 정류기 방열장치가 유냉식일 경우, 전력변환기용 반도체 소자(정류기)를 기름탱크에 넣어 밀폐시켜 기름을 순환하여 냉각하는 방식이고, 종래 유냉식에 의한 정류기 방열장치는 탱크가 필요하고 냉각용 기름이 필요하여 무게가 대단히 무겁기 때문에 설치장소가 한정되며, 가격이 높으며 부피 또한 대단히 크고, 유지보수 시 탱크와 변환기를 분리하여 보수해야만 하기 때문에 기름에 침투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를 시켜야 하는 등 비용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지하에 설치되는 정류기가 빗물에 의해 침수되거나, 지하의 습기 또는 유해 가스 등에 의해 전자기기의 부식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성을 증대시키되, 전자기기에서 발생되는 내부의 열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지중에 매설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되, 상부에 덮개가 결합되어 폐쇄되는 맨홀의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정류기에 있어서, 내부에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외함과 상기 외함의 상부에 패킹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외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함은 내부에 대기압 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는 질소를 외함의 내부에 충진할 수 있는 충진밸브와 필요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외함의 내부에 충진된 질소를 배출시키거나, 제어부로부터 설정된 압력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배기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함은 충진된 질소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압력정보를 전달하는 압력게이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냉각부는 상기 외함의 일측에 결합되는 단열블럭과 상기 단열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의 내부로 돌출되는 열흡수부와 상기 단열블럭에 설치되되, 상기 열흡수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열방출부와 상기 외함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열방출부가 내입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후드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된 온도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의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온도제어기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압력정보 또는 온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휴대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입력된 질소의 압력값 또는 외함 내부의 온도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지하 거치형 정류기는 지하에 설치됨에 따라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정류기 주위의 온도가 지상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자연스럽게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부에 질소를 충진하되 외부 압력 즉,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충진하여 외부로부터의 빗물 또는 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식과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편, 내부 온도 및 충진된 질소의 압력을 확인하여 질소의 압력 및 내부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정류기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각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각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냉각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정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정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는 정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압전류에 의한 안전과 지중의 특성상 외부 온도가 낮아 자연스럽게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지중에 매설된 맨홀의 내부에 설치되고, 빗물에 의한 침수, 지하의 습기 또는 유해 가스 등에 의한 정류기 내부 전자기기의 부식과 이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함(20)의 내부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질소를 충진시키고, 외함(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시켜 정류기가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지중에 매설되어 수용공간(14)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되, 상부에 덮개(12)가 결합되어 폐쇄되는 맨홀(10)의 상기 수용공간(14)에 설치되는 정류기에 있어서, 내부에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외함(20);과 상기 외함(20)의 상부에 패킹(32)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커버(30); 및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함(20)은 내부에 대기압 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커버(30)는 질소를 외함(20)의 내부에 충진할 수 있는 충진밸브(34);와 필요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외함(20)의 내부에 충진된 질소를 배출시키거나, 제어부(50)로부터 설정된 압력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배기밸브(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함(20)은 충진된 질소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압력정보를 전달하는 압력게이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냉각부(40)는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단열블럭(41);과 상기 단열블럭(41)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20)의 내부로 돌출되는 열흡수부(42);와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열흡수부(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열방출부(43);와 상기 단열블럭(41)에 결합되되, 상기 열방출부(43)가 내입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후드(44a)가 형성되는 하우징(44); 및 상기 하우징(44)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측정된 온도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24)의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45)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온도제어기(60); 및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압력정보 또는 온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휴대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입력된 질소의 압력값 또는 외함(20) 내부의 온도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부(50)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정류기는 지중에 매설되어 수용공간(14)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되, 상부에 덮개(12)가 결합되어 폐쇄되는 맨홀(10)의 상기 수용공간(1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맨홀(10)은 지중에 일정 깊이만큼 매설되도록 상기 지중에 콘크리트 재질의 하부 및 측면이 형성되어 새로 설치되거나, 하수도나 전선 및 통신선이 이미 설치되어 유지보수를 위한 종래의 맨홀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맨홀(10)은 외부의 습기 또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콘크리트 재질의 바닥(미표시)과 상기 바닥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부방향으로 형성되는 측벽(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부에는 덮개(12)가 결합되며, 상기 바닥과 측벽에 의해 정류기가 설치되는 수용공간(14)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12)는 상기 맨홀(10) 내부의 공기가 외부와 통할 수 있도록 배기홀(미도시) 등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배기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부러진 에어벤트(미표시)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배기부(미표시)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에어벤트와 배기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것은 정류기의 설치를 위해 적합한 장소에 새로 설치되는 맨홀(10)의 경우에 해당되고, 종래의 맨홀을 이용할 경우에는 종래의 맨홀의 내부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내측에 정류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덮개(1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하게 형성된 강화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확인부(12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확인부(12a)는 전파 또는 주파수의 통과가 용이하여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될 무선통신부(70)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맨홀(10) 내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정류기의 외부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정류기 외부의 유지보수가 필요한지 필요하지 않은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외함(20)은
스테인레스와 같이 내식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전자기기로 이루어진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며, 상부가 개방되는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맨홀(10)의 수용공간(14)에 안착되어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정류부는 종래의 정류기에서 전자기기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정류부를 제어하여 정류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외함(2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커버(30)가 상부에 결합되되, 내부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질소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질소에 의해 외함(20)의 내부로 빗물, 지하의 습기 또는 유해 가스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류부의 부식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커버(30)는 상기 외함(20)의 상부에 패킹(32)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함(20)과의 결합부위로 빗물, 습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32)이 상기 결합부위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외함(20)의 기밀이 유지된다. 이때, 상기 커버(30)와 외함(20)의 결합은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지보수 시 상기 커버(30)를 분리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커버(30)는 상기 외함(20)의 상부에 패킹(32)이 먼저 결합되거나, 내측면에 패킹(32)이 결합된 후 상기 외함(20)의 상부에 안착되어 볼트 또는 나사 등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30)는 질소를 외함(20)의 내부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진밸브(34)와, 필요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외함(20)의 내부에 충진된 질소를 배출시키거나, 제어부(50)로부터 설정된 압력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배기밸브(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밸브(34)는 상기 커버(30)가 외함(20)의 상부에 패킹(32)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결합된 후 상기 외함(20)의 내부에 질소를 충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배기밸브(36)는 충진밸브(34)를 이용하여 외함(20)의 내부에 질소를 충진시키면 상기 외함(2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고, 이때, 상기 배기밸브(36)는 외함(20)의 내부 압력이 일정압력 즉,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높아지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외함(20)의 외부로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기밸브(36)는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설정된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충진되는 질소에 의해 외함(20)의 내부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이로써, 상기 외함(20)과 상기 커버(30)의 결합부위로 침투될 수 있는 습기나 유해 가스가 침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배기밸브(36)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될 수 있는데, 이는 유지보수 필요시 상기 외함(20)의 내부 압력이 높은 상태에서 커버(30)를 개방하면 사고발생의 위험이 있으므로, 작업자는 제어부(50)를 이용하여 배기밸브(36)를 강제 개방하여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낮춘 후 상기 커버(30)를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배기밸브(36)는 평상시 제어부(50)로부터 설정된 압력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설정된 압력보다 외함(20)의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유지보수 필요시 사용자는 이후에 설명될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제어부(50)에 상기 배기밸브(36)를 강제개방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외함(20)은 충진된 질소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압력정보를 전달하는 압력게이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압력게이지(22)는 질소 뿐만 아니라 상기 외함(20) 내부의 기체의 압력을 측정한 후 측정된 압력정보를 제어부(5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무선통신부(70)를 통해 상기 압력정보를 작업자의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유지보수 필요시 작업자가 더욱더 안전하게 커버(30)를 개방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작업자가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배기밸브(36)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설정압력을 제어부(50)에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기밸브(36)를 강제로 개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질소가 충진되는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외부 온도가 다른 계절에 따라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냉각부(40)는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가 외함(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함(20) 내부의 정류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 상기 정류부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정류기는 지하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커버(30)와 패킹(32) 및 외함(20) 내부에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충진되는 질소에 의해 향상된 기밀성을 가지므로, 외함(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부(40)의 구성이 필수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정류기는 수냉식, 유냉식보다 설치가 비교적 쉽고 지하에 설치되는 특성상 주변의 온도가 지상보다 낮기 때문에 공랭식의 냉각구조가 적절하며, 외함(20)의 내부에 질소가 충진되므로, 정류부에 공기를 불어 냉각시키는 공랭식보다는 외함(20)의 내부에 발생되는 열을 전도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냉각부(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 질소가 충진되어 있고, 외함(20) 외부의 온도가 지상보다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전도를 통해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단열블럭(41)과, 상기 단열블럭(41)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20)의 내부로 돌출되는 열흡수부(42)와,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열흡수부(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열방출부(43)와, 상기 단열블럭(41)에 결합되되, 상기 열방출부(43)가 내입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후드(44a)가 형성되는 하우징(44) 및 상기 하우징(44)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열블럭(41)은 외함(2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미표시)에 결합되어 상기 외함(20)의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열흡수부(42)는 상기 외함(20) 내부의 열이 흡수되며, 상기 열방출부(43)는 상기 열흡수부(42)로부터 흡수된 열을 외함(20)의 외부로 방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열흡수부(42)와 열방출부(43)는 종래에 사용되는 히트싱크의 구성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고, 열 전도를 통해 외함(20)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흡수하여 외함(2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44)은 상기 외함(20)의 일측 즉, 외함(20)의 외측방향에서 상기 단열블럭(41) 및 상기 열방출부(43)가 내입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열방출부(43)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기 단열블럭(41)과 외함(20)의 결합 부위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외함(20)의 일측에 결합시 결합부위에 가스켓(미표시)이 함께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44)은 상부에 배기후드(44a)가 형성되어 상기 열방출부(43)로부터 방출된 열을 상부방향으로 방출할 수 있고, 상기 배기후드(44a)는 적어도 하나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부에만 형성되도록 하여 열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45)은 상기 하우징(44)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블럭(41)의 하부에 결합되어 일측 즉, 외함(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라켓(미표시)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열방출부(4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열방출부(43)에서 방출되는 열을 상부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측정된 온도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24)의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45)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온도제어기(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24)는 상기 외함(2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0)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무선통신부(70)를 통해 작업자의 휴대단말기(100)에 상기 온도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작업자는 정류기 내부의 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제어기(60)는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24)로부터 외함(20) 내부의 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45)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외함(2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판단되면 송풍팬(45)을 작동시키도록 제어부(50)에 작동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온도제어기(60)는 작업자가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고, 이는 기설정된 송풍팬(45)의 작동을 결정하는 온도 차이를 변화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송풍팬(45)의 작동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외함(20) 내부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본 발명의 온도제어기(60)를 통해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기밀이 유지되고 있는 본 발명의 정류기 내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안정적으로 작동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압력정보 또는 온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작업자의 휴대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입력된 질소의 압력값 또는 외함(20) 내부의 온도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부(50)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무선통신부(70)는 온도센서(24)에서 측정된 온도정보가 제어부(50)에 전달되고, 압력게이지(22)로부터 측정된 외함(20) 내부의 압력정보가 제어부(50)에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상기 온도정보 및 압력정보를 전달받아 작업자의 휴대단말기(100)로 상기 온도정보 및 압력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작업자가 쉽게 정류기 내부의 압력과 온도 및 외함(20) 외부 즉, 외함(20) 외측의 냉각부(40)의 온도를 확인하여 정류기의 운영환경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무선통신부(70)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100)를 통하여 외함(20) 내부에 충진되는 질소의 압력값 또는 외함(20) 내부의 온도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부(50)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50)는 전달받은 압력값 또는 온도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외함(20)의 내부 압력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50)는 유지보수 필요시 작업자가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22)에서 측정된 외함(20) 내부의 압력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무선통신부(70)를 통해 작업자의 휴대단말기(100)로 상기 압력정보를 송신하게 되면, 작업자는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확인한 후 커버(30)를 제거하기 전에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외함(20) 내부의 압력값을 입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압력값을 전달받은 제어부(50)는 배기밸브(36)를 강제 개방하여 외함(20) 내부의 압력을 낮춰 작업자가 안전하게 커버(30)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온도센서(24)로부터 측정된 온도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무선통신부(70)를 통해 상기 온도정보를 작업자의 휴대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작업자는 휴대단말기(100)를 통해 외함(20) 내외부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내외부의 온도가 비정상적이라고 판단되면 휴대단말기(100)에 온도값을 입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온도값을 전달받은 제어부(50)는 온도제어기(60)에 온도값을 전달하여 상기 온도제어기(60)가 송풍팬(45)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도 5는 본 발명의 냉각부(4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각부(40)는 커버(30)에 단열블럭(41)이 설치되고, 외함(20)의 내부로 열흡수부(42)가 돌출되며, 외함(20)의 상부방향으로 열방출부(43)가 형성되되, 맨홀(10)의 덮개(14) 상부까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냉각부(40)의 하우징(4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방출부(43)와 함께 맨홀(10)의 덮개(12) 상부까지 돌출형성되고, 상부에 배기후드(44a)가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송풍팬(45)은 상기 배기후드(44a)의 하부에 구비되되, 하우징(44) 내부의 공기를 흡수하여 상기 배기후드(44a)를 통해 하우징(44)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열의 방출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맨홀(10)의 덮개(12)는 상기 단열블럭(41)이 설치되는 결합홀(미표시)이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고, 상기 하우징(44)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결합홀의 상부에 상기 결합홀이 수용될 수 있는 보호하우징(미표시)이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하우징은 일측과 타측에 복수 개의 통기홀(미표시)이 형성되어 방출된 열이 맨홀(10)의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기홀은 외부 이물질 및 빗물이 쉽게 통과되지 못하도록 상부에 가림부(미표시)가 돌출형성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맨홀 12 : 덮개
14 : 수용공간 20 : 외함
22 : 압력게이지 24 : 온도센서
30 : 커버 32 : 패킹
34 : 충진밸브 36 : 배기밸브
40 : 냉각부 41 : 단열블럭
42 : 열흡수부 43 : 열방출부
44 : 하우징 45 : 송풍팬
50 : 제어부 60 : 온도제어기
70 : 무선통신부 100 : 휴대단말기
14 : 수용공간 20 : 외함
22 : 압력게이지 24 : 온도센서
30 : 커버 32 : 패킹
34 : 충진밸브 36 : 배기밸브
40 : 냉각부 41 : 단열블럭
42 : 열흡수부 43 : 열방출부
44 : 하우징 45 : 송풍팬
50 : 제어부 60 : 온도제어기
70 : 무선통신부 100 : 휴대단말기
Claims (5)
- 지중에 매설되어 수용공간(14)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되, 상부에 덮개(12)가 결합되어 폐쇄되는 맨홀(10)의 상기 수용공간(14)에 설치되는 정류기에 있어서,
내부에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상부가 개방된 외함(20);과
상기 외함(20)의 상부에 패킹(32)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되는 커버(30); 및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2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냉각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함(20)은
내부에 대기압 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질소를 외함(20)의 내부에 충진할 수 있는 충진밸브(34);와
유지보수 필요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어 외함(20)의 내부에 충진된 질소를 배출시키거나, 제어부(50)로부터 설정된 압력이상의 질소가 충진되면 자동으로 개방되는 배기밸브(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함(20)은
충진된 질소의 압력을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압력정보를 전달하는 압력게이지(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40)는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결합되는 단열블럭(41);과
상기 단열블럭(41)에 설치되어 상기 외함(20)의 내부로 돌출되는 열흡수부(42);와
상기 단열블럭(41)에 설치되되, 상기 열흡수부(42)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열방출부(43);와
상기 외함(20)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열방출부(43)가 내입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배기후드(44a)가 형성되는 하우징(44); 및
상기 하우징(44)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거치형 정류기는
상기 외함(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50)로 측정된 온도정보를 전달하는 온도센서(24);와
상기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24)의 온도정보를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송풍팬(45)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온도제어기(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
-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 거치형 정류기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압력정보 또는 온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휴대단말기(100)로 송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입력된 질소의 압력값 또는 외함(20) 내부의 온도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부(50)에 전달하는 무선통신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거치형 정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2788A KR101821135B1 (ko) | 2017-12-15 | 2017-12-15 | 지하 거치형 정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2788A KR101821135B1 (ko) | 2017-12-15 | 2017-12-15 | 지하 거치형 정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1135B1 true KR101821135B1 (ko) | 2018-01-23 |
Family
ID=6107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2788A KR101821135B1 (ko) | 2017-12-15 | 2017-12-15 | 지하 거치형 정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113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82343A (ja) | 2009-10-07 | 2011-04-21 |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 超電導機器の冷却装置 |
KR101104234B1 (ko) | 2010-09-30 | 2012-01-10 | 한국전력공사 | 초전도 한류기 내부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2788A patent/KR1018211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82343A (ja) | 2009-10-07 | 2011-04-21 |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 超電導機器の冷却装置 |
KR101104234B1 (ko) | 2010-09-30 | 2012-01-10 | 한국전력공사 | 초전도 한류기 내부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40773A (ko) | 방수 기능과 냉각 기능을 갖는 지하 매설식 변압기 | |
US20190267822A1 (en) | Charging Station Foundation and Charging Station | |
US10630088B2 (en) | Battery charging device | |
CN111133605B (zh) | 排气系统 | |
WO2016197073A1 (en) | Systems for circulating air inside a manhole vault | |
KR20200009002A (ko) | 지면 매설형 인클로저 시스템 | |
JP2013150544A (ja) | 電動式車輛を充電するのに用いられる充電ステーション、及び関連する方法 | |
KR102231865B1 (ko) | 방열과 내진기능을 겸비하는 태양광발전용 접속반 | |
US9776516B2 (en) | Device for inductive transfer of electrical energy | |
EP2124518A1 (en) | Cabinet, and cabinet temperature control system | |
JP2013131416A (ja) | 蓄電池の設置構造 | |
US10601236B2 (en) | Battery charging device | |
CN113113866A (zh) | 一种节能型路灯全自动控制箱式变电站及其使用方法 | |
KR101821135B1 (ko) | 지하 거치형 정류기 | |
KR101135002B1 (ko) |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수배전반 | |
JP2012255322A (ja) | 受変電装置 | |
KR20150029195A (ko) | 침수방지 맨홀 구조체 | |
CN110474544A (zh) | 一种地下整流器 | |
KR101185261B1 (ko) | 온도 저감을 위한 히트파이프 연결 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수배전반 | |
CN214956280U (zh) | 一种干式变压器 | |
CN213989825U (zh) | 一种带有清洁结构的高效散热型电气控制柜 | |
KR20140052709A (ko) | 지열을 이용한 옥외용 함체의 냉각시스템 | |
JP3767208B2 (ja) | 地下埋設設備の放熱換気装置 | |
KR20170095625A (ko) | 밀폐형 정류기 | |
IE67358B1 (en) | Transform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