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0165A - 피자포장상자 - Google Patents

피자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0165A
KR20150110165A KR1020140034190A KR20140034190A KR20150110165A KR 20150110165 A KR20150110165 A KR 20150110165A KR 1020140034190 A KR1020140034190 A KR 1020140034190A KR 20140034190 A KR20140034190 A KR 20140034190A KR 20150110165 A KR20150110165 A KR 2015011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zza
substrate
tubular substrate
support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경
Original Assignee
정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경 filed Critical 정보경
Priority to KR102014003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0165A/ko
Publication of KR2015011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95Ventilating arrangements, e.g. openings, spac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피자포장상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는 피자를 외부로 인출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피자를 상기 수용공간 바닥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마련된 통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자포장상자{PIZZA PACKING BOX}
본 발명은 피자의 포장에 사용되는 피자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조리가 완료된 피자는 종이시트를 접어 만든 상자형태의 피자포장상자에 수용된 상태에서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0321355호는 이와 같은 종래 피자포장상자의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 피자포장상자는 개폐가 가능한 단순한 상자모양으로 마련되며, 이에 따라 종래 피자포장상자에 포장된 피자는 피자포장상자 내부의 수용공간 바닥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고온 상태로 가열 조리된 피자에서는 고온의 증기가 방출되는데, 종래 피자포장상자와 같이 수용공간에 수용된 피자가 수용공간 바닥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피자와 수용공간 바닥 사이가 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피자로부터 방출되는 증기가 피자 도우에 바로 스며들게 되므로, 포장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피자 도우가 눅눅해지면서 피자의 식감이나 미감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 피자포장상자의 구조에서는 피자로부터 방출되는 증기가 수용공간 바닥에 증착되는 과정에서 피자 도우가 수용공간 바닥에 들러붙게 되어 피자를 먹는데 있어서도 불편함이 많았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0-0321355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포장 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피자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된 피자포장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피자가 수용공간에 들러붙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 피자포장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자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하여 피자를 상기 수용공간 바닥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마련된 통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장상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상기 수용공간 바닥의 모서리에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지지대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연장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접힐 수 있게 주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피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드가 세어질 수 있다.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상기 수용공간 바닥의 모서리에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 사이사이로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피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드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통기판은 종이시트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지지대와 가드는 상기 통기판 둘레에 일체로 평형하게 연이어지도록 마련된 상태에서 각각 하부와 상부 쪽으로 접혀질 수 있다.
피자와 접촉되는 상기 통기판 표면에는 위생안전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들은 상기 통기판의 외곽쪽에 있는 것들이 상기 통기판의 중심 쪽에 있는 것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전개도 형태로 절단된 종이시트를 접어 박스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통기판은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상기 종이시트 일측에 본체와 일체로 연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피자를 수용공간 바닥 상부에 수용공간 바닥과 이격된 상태에서 저부와 통기 가능한 상태로 지지함으로써, 포장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피자가 눅눅해 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식감이나 미감 등 피자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때는 피자 바닥의 통기성이 확보되어 포장 과정에서 피자의 도우 바닥이 수용공간에 들러붙게 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의 사시도로, 피자가 포장된 상태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의 사시도로, 통기판이 본체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의 단면도로, 수용공간에 피자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통기판의 본체 외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로, 통기판의 본체 내부로 위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에서 통기판의 변형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에서 통기판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A)는 피자(p)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0a)을 구비하는 상자 형태의 본체(10)를 통해 외관을 이룬다.
본체(10)는 상부로 개방된 하부몸체(12)와, 하부로 개방되어 하부몸체(12)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하부몸체(12)에 일체로 연결된 상부몸체(11)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는 전개도 형태로 절단된 종이시트를 접어 상부 및 하부몸체(11,12)가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수용공간(10a)은 상부몸체(11)가 하부몸체(12)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몸체(1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상부몸체(11) 에는 절개 가공을 통해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피자(p)는 밀가루를 주성분으로 하는 반죽물로써 피자 도우(pizza dough) (p1)를 만들고, 도우(p1)를 넓게 펼친 상태에서 그 위에 치즈, 야채, 고기, 소스 등의 다양한 토핑 재료(p2)를 얹은 상태에서 프라이팬이나 오븐 등에 구워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열 조리된 피자(P)는 수용공간(10a)에 수용되도록 피자포장상자(A)에 포장된 상태에서 열기와 함께 증기를 방출하게 되는데, 피자(p)로부터 방출되는 증기가 피자 도우(p1)에 바로 스며들거나 수용공간(10a) 바닥으로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A)는 복수의 통기공(21)을 구비하여 수용공간(10a) 바닥 상부에 수용공간(10a) 바닥과 이격되도록 마련된 통기판(20)을 구비한다.
이러한 통기판(20) 위에 지지되도록 포장된 피자(p)는 수용공간(10a) 상부에 수용공간(10a) 바닥과 이격된 상태에서 저부와 통기가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때는 피자(p)로부터 방출되는 증기가 피자(p)의 도우(p1)로 스며들지 않고 통기공(21)을 통과하여 통기판(20) 저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되므로, 포장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피자 도우(p1)가 눅눅해지면서 피자(p)의 식감이나 미감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피자(p)로부터 방출되는 증기가 통기공(21)을 통해 통기판(20) 저부로 배출되는 구조에서는 포장 및 이송과정에서 피자(p)로부터 방출되는 증기가 통기판(20)은 물론 수용공간(10a) 내면에 증착될 우려도 없게 되므로, 포장 및 이송과정에서 피자 도우(p1)가 수용공간(10a)에 들러붙게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피자(p) 이용성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통기판(20)은 본체(10)를 형성하는 종이시트와 동일한 소재의 종이시트를 절개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기판(20)은 본체(10)와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0a) 바닥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통기판(20) 둘레에는 수용공간(10a) 바닥의 모서리에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지지대(22)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22)는 별도로 제작된 상태에서 통기판(20) 둘레에 부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지지대(22)는 통기판(20)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통기판(20) 인근의 종이시트 부위를 통기판(20)과 일체가 되도록 절단하는 방식으로 통기판(20) 형성과정에서 통기판(20)과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일단이 통기판(20) 둘레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용공간(10a) 바닥 모서리 쪽에 지지되는 지지대(22)는 통기판(20)을 유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수용공간(10a) 바닥 상부에 건실히 고정시키게 된다. 통기판(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대(22)는 통기판(20) 둘레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피자(p)와 접촉되는 통기판(20) 상면에는 피자(p)와의 접촉시 피자(p)의 오염을 방지하는 위생안정층(23)이 마련될 수 있다. 위생안정층(23)은 코팅이나 본딩 방식을 통해 통기판(20)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때 코팅방식은 UV코팅이나 라미네이팅 기법을 적용시킬 수 있다. 위생안전층(23)의 소재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이 음식물과 접촉된 상태에서도 인체에 무해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변형 예에 따른 피자포장상자(B)를 도시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통기판(20)은 본체(10)를 형성하는 종이시트 일측에 본체(10)와 일체로 연이어지도록 마련되어 본체(1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접혀 본체(10)의 수용공간(10a)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와 통기판(20)이 일체로 제작되어 본체(10) 조립과정에서 통기판(20)이 수용공간(10a) 안쪽으로 위치되는 피자포장상자(B)는 통기판(20)을 별도로 보관할 필요가 없게 됨은 물론 통기판(20)의 분실이 방지되어 피자(p)의 포장 전 상태에서 통기판(20)의 보관이나 관리가 보다 수월해 진다.
이때도 통기판(20) 둘레에는 상기 지지대(22)가 일체로 연결되고, 통기판(20)은 일측의 지지대(22)에 연장되는 연결부(30)를 통해 본체(1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판(20)은 본체(10)에서도 하부몸체(12)의 일 측벽의 내면 쪽으로 접히도록 마련된 연결부(30)를 통해 본체(10)와 접힘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이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는 수용공간(10a)에 대한 통기판(20)의 접근성이 좋아 통기판(20)과 본체(10) 사이를 연결하는 종이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통기판(20)을 수용공간(10a) 바닥 쪽으로 효과적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물론 본체(10)와 접힘이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수용공간(10a) 바닥 쪽으로 접힐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통기판(20)은 하부몸체(12)의 다른 부위나 상부몸체(11) 쪽을 통해서도 본체(1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도 피자(p)를 지지할 수 있게 수용공간(10a) 쪽으로 접혀지는 통기판(20) 상면에는 위생안전층(23)이 마련된다. 이러한 위생안전층(23)은 본체(10)를 조립하기 전 상태에서 미리 통기판(20) 상면에 부착되어 본체(10)의 조립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피자(p)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로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변형 예들이 도시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판(20)을 관통하는 통기공(21´)들은 통기판(20)의 외곽 쪽에 있는 것들이 중심 쪽에 있는 것들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것은 외곽 쪽이 두텁게 형성되는 피자 도우(p1)의 형태를 감안한 것으로, 두터운 도우(p1)의 외곽 쪽은 큰 사이즈의 통기공(21´)을 통해 통기성을 증대시키고, 도우(p1)의 두께가 얇은 중심 쪽은 상대적으로 외곽보다 작은 사이즈의 통기공(21´)을 통해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피자 도우(p1) 전체적으로 고른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통기공(21´)들의 사이즈는 통기판(20) 외곽 쪽에서 중심 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적어지도록 마련됨으로써, 피자 도우(p1)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판(20) 둘레에 마련되는 지지대(22´)는 연장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접힐 수 있게 주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22´)는 종이로 마련되는 지지대(22´)의 특성을 감안하여 통기판(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수용공간(10a) 바닥과 통기판(20)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피자(p)가 포장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피자(p)의 무게에 의해 지지대(22´)가 꺾이면서 통기판(20)이 수용공간(10a) 바닥으로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22´)는 본체(10)의 조립과정에서 지지대(22´)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회 접음으로써 간단히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용공간(10a) 바닥 상부의 통기판(20) 위에 올려지는 피자(p)가 포장과정이나 이송과정에서 통기판(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판(20) 둘레에는 가드(24)가 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드(24)는 지지대(22´)의 사이사이의 통기판(20) 둘레에 지지대(22´)와 같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지지대(22´)와 가드(24)들은 종이시트로부터 통기판(20)을 절단해 내는 과정에서 통기판(20)의 둘레에 통기판(20)과 평행하게 연어지도록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지지대(22´)는 하부로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접혀 통기판(20)을 지지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고, 가드(24)들은 상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접혀 통기판(20)에 지지되는 피자(p)의 이탈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지지대(22´)와 가드(24)가 일체로 마련된 통기판(20)의 경우에도 일부 지지대(22´)나 가드(24)를 통해 본체(10)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 피자포장상자 10: 본체
11: 상부몸체 12: 하부몸체
20: 통기판 21: 통기공
22: 지지대 23: 위생안전층
24: 가드

Claims (8)

  1. 피자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하여 피자를 상기 수용공간 바닥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 바닥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마련된 통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장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상기 수용공간 바닥의 모서리에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지지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지포장상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연장방향을 따라 탄력적으로 접힐 수 있게 주름지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장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피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드가 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상장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상기 수용공간 바닥의 모서리에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지지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대 사이사이로 상기 통기판 둘레에는 피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드가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마련되되,
    상기 통기판은 종이시트를 통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지지대와 가드는 상기 통기판 둘레에 일체로 평형하게 연이어지도록 마련된 상태에서 각각 하부와 상부 쪽으로 접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장상자.
  6. 제 1항에 있어서,
    피자와 접촉되는 상기 통기판 표면에는 의생안전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장상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들은 상기 통기판의 외곽쪽에 있는 것들이 상기 통기판의 중심 쪽에 있는 것보다 큰 사이즈를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장상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개도 형태로 절단된 종이시트를 접어 박스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통기판은 상기 본체를 형성하는 상기 종이시트 일측에 본체와 일체로 연이어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수용공간 안쪽으로 위치되도록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포장상자.
KR1020140034190A 2014-03-24 2014-03-24 피자포장상자 KR20150110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90A KR20150110165A (ko) 2014-03-24 2014-03-24 피자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190A KR20150110165A (ko) 2014-03-24 2014-03-24 피자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165A true KR20150110165A (ko) 2015-10-02

Family

ID=5434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190A KR20150110165A (ko) 2014-03-24 2014-03-24 피자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016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8205A1 (fr) * 2016-02-18 2017-08-23 Adial Boîte jetable pour la cuisson et le transport d'un produit alimentaire préparé, et notamment d'une pizza
KR101869193B1 (ko) * 2017-03-29 2018-06-19 김태형 피자케이스
IT202000013477A1 (it) * 2020-06-05 2021-12-05 Nextmaterials S R L Packaging in cartone ad alto assorbimento di energia
KR20220065985A (ko) * 2020-11-14 2022-05-23 주식회사 빨간화덕푸드 냉동피자 판매용기 및 냉동피자 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8205A1 (fr) * 2016-02-18 2017-08-23 Adial Boîte jetable pour la cuisson et le transport d'un produit alimentaire préparé, et notamment d'une pizza
FR3047979A1 (fr) * 2016-02-18 2017-08-25 Adial "boite jetable pour la cuisson et le transport d'un produit alimentaire prepare, et notamment d'une pizza"
KR101869193B1 (ko) * 2017-03-29 2018-06-19 김태형 피자케이스
IT202000013477A1 (it) * 2020-06-05 2021-12-05 Nextmaterials S R L Packaging in cartone ad alto assorbimento di energia
WO2021245513A1 (en) * 2020-06-05 2021-12-09 Nextmaterials S.R.L. Cardboard packaging with high energy absorbing
KR20220065985A (ko) * 2020-11-14 2022-05-23 주식회사 빨간화덕푸드 냉동피자 판매용기 및 냉동피자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3062B2 (en) Food tray
JP2002539043A (ja) 食品用のマイクロ波使用可能容器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20150110165A (ko) 피자포장상자
EP3209578B1 (en) Package for take-away food products, in particular for pizza
US20130056369A1 (en) Hot food container moisture absorbent insert
US10611549B1 (en) Sandwich container
KR20180116317A (ko) 서빙 또는 케이터링 트레이와 통을 위한 장식 홀더
AU2022200427B2 (en) A Produce Container
US20190352048A1 (en) Containers featuring improved food integrity and takeout experience
JP2021098554A (ja) 包装用容器
US10117543B2 (en) Disposable baking pan with detachable baking paper
US20150342380A1 (en) Recyclable, thermally insulated plastic container
US20140332542A1 (en) Food carrier
US20110036796A1 (en) Food delivery apparatus with stackable shelf system
US20120219684A1 (en) Bakeable Parchment Tray for Baking Pizza
US11629001B2 (en) Wrapper and three-dimensional package with steam venting feature for hot food items and method
KR200476323Y1 (ko) 피자 박스
JP2011168311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JP3016738U (ja) 簡易蒸し器
KR200461201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JP2011189985A (ja) 使い捨て容器および容器入り食品
CN210883350U (zh) 一次性甜品盒
KR20110005325U (ko) 즉석면 용기의 접이식 뚜껑
KR200485807Y1 (ko) 만두 포장용기
JP2021142987A (ja) 電子レンジ加熱食品用蓋付き紙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